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상기,Kim, Sang-Gi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97 전자통신동향분석 Vol.12 No.1
최근 미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에서는, 경쟁 환경이 도입된 통신 시장에서 가입자들이 자신의 전화 번호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타 사업자에게 이동할 수 있는 번호 이동성(Number Portability)제공이 커다란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번호 이동성의 유형을 살펴보고, 특히 문제가 되는 시내 전화시장의 경쟁에 따른 LNP(Local Number Portability)에 대하여 그 실현 방법들을 조사 분석하였다. 미국에서의 연구 동향을 바탕으로 교환기 기반의 단기 해결 방안과 지능망을 이용한 장기적 해결 방안을 소개하고, 구체적인 호 처리 흐름을 예시하였다.
형식기술법에 의한 AIN 프로토콜 적합성 시험 계열 생성
김상기,김성운,정재윤,Kim, Sang-Ki,Kim, Seong-Un,Jeong, Jae-Yun 한국정보처리학회 1997 정보처리학회논문지 Vol.4 No.2
본 논문은 형식 기술 기법에 의한 차세대 지능망의 INAP(Intelligent Network Application Protocol) 프로토콜 적합성 시험 계열 생성을 위해 형식 기술 기법(formal Description Tehnique)을 사용하여 프로토콜을 명세화한후 이것으로부터 최소 길이의 최소 비용을 요구 하는 시험계열 생성을 위한 최적화 기술에 의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을 구연하고 효율성을 증명하기 위해, INAP 프로토콜 SRF(Serivece Rexource Function)의 SRSM(SRF Call State Machine)을 형식 기술 기법 중의 하나인 SDL(System Description Language)로 명세화 하여 관련 도구로 I/O FSM(Input/Output Finite Machine)을 생성 하고, 이 참조 모델에 직접 적용하여 시험 개열을 생성하였다. 이렇게 생성 시험 개혈의 길이가 기존의 UIO(Unique Input Output)방법에 의한 31%나 개선된 짧고 효율적임을 보였고 또 오류 판단 능력면에서도 훨씬 효과가 있음을 실험적으로 증명하였다. This paper proposes a formal method on confromance testing for INAP(AIN) test sequence generation by optimization technique.In order to implement and prove the d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we specify the SRSM of INAP protocol SRF in SDL and generate I/O FSM by using our S/W tool. We generate an opti-mal test sequence by applying our method our method to this reference I/O FSM. We prove experimentally that the length of the generated test sequence by our method is more effective and shorter(i.e 32% improved)than the one geverated by UIO method,and estimate that The test coverage space of our test sequence is larger that of UIO method.
김상기,이선희,박현범,Kim, Sangkee,Lee, Sunhee,Park, Hyunbum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 2016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Vol.10 No.1
In this study, structural design of exhaust gas sensor of automobile was performed. In order to evaluate the structural design of the measurement sensor, the structural analysis was performed by the finite element method. The vibration and thermal stress analysis was carried out at the high temperature condition. Finally, the structural test of sensor system was performed, and used for comparison with the analyzed model. Through the structural analysis and test, it is confirmed that the designed measurement sensor structure is acceptable.
김상기,유재건,김성규,Kim, S.K.,Yoo, J.G.,Kim, S.K.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94 전자통신동향분석 Vol.9 No.4
통신의 개인화 실현에 가장 중요하고도 기본적인 요구 조건은 통신 주체의 이동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동성은 단말의 이동성과 개인의 이동성이라는 두가지 서로 다른 성격의 이동성이 모두 보장될 때 완전하게 된다. 차세대 개인 통신에 대한 연구는 ITU-T/R의 UPT와 FPLMTS에 의하여 대표된다. UPT는 이용자에게 개인의 이동성을 제공해 주는 서비스인데 비하여, FPLMTS는 무선 단말의 이동성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이들은 모두 차세대 개인 통신의 기본적인 기능인 이동성을 제공하지만 서로 독립적이며, 상호 보완적인 개념들이다. 본 고에서는 차세대 개인 통신에 대한 개념과 연구 동향을 분석, 소개하였다. 특히 ITU-T/R에서 표준화 노력을 경주하고 있는 UPT, FPLMTS를 단말의 이동성과 개인의 이동성 측면에서 소개하고 그들간의 상호 관계를 분석하였다.
김상기,박종대,Kim, S.K.,Park, J.D.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6 전자통신동향분석 Vol.31 No.1
Mobile Edge Computing(MEC)은 무선 기지국에 분산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적용하여 다양한 서비스와 캐싱 콘텐츠를 이용자 단말에 가까이 전개함으로써 모바일 코어망의 혼잡을 완화하고, 새로운 로컬 서비스를 창출하는 기술이다. 현재는 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ETSI)주도로 규격 작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동시에 산업계에서는 LTE 모바일 네트워크에 적용하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MEC기술은 Software Defined Network(SDN)/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NFV) 기술들과 함께 향후 2020년대에 도입될 5G 네트워크의 주요 구성 기술로서 부상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MEC의 개념과 다양한 서비스 시나리오, MEC 플랫폼 구조 및 기술동향 등을 살펴보고, 5G에서의 역할과 앞으로 도전하여야 할 기술적인 과제들에 대하여 분석한다.
김상기,이병선,Kim, S.K.,Lee, B.S.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8 전자통신동향분석 Vol.23 No.5
차세대 네트워크에서 이용자 중심의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지식을 보유하고 활용하는 서비스 플랫폼 기술에 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한다. 먼저 이용자 중심의 차세대 서비스에 대한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이를 만족시키기 위한 서비스 인프라 및 서비스 사례에 대하여 기술한다. 다음에는 차세대 서비스 인프라를 실현시키는 기술 개발 동향에 대하여 살펴보는데, 기반 기술이 되는 통신 서비스 SOA 기술과 이를 바탕으로 진행되는 국내외의 지식기반 서비스 플랫폼 기술 개발 프로젝트에 대한 현황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는 차세대 통신 서비스 플랫폼을 발전시켜 IT 기반 융합 서비스 플랫폼으로 발전시키려는 비전과 표준화에 대한 최근 동향을 살펴본다.
김상기,이상환,이원형,권오준,곽병화,Kim, Sang-Ki,Lee, Sang-Hwan,Lee, Won-Hyong,Kwon, Oh-Joon,Koak, Byong-Hwa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88 전자통신 Vol.10 No.4
엘립소메츠리를 이용하여 $B^+$ 및 $As^+$ 이온이 주입된 실리콘층의 굴절률과 소멸계수를 도우즈 및 열처리 조건의 함수로 조사하였다. $B^+$ 이온주입된 실리콘의 경우 n은 $10^13$ 도우즈 이상에서 증가하고, k는 도우즈 증가에 따라 단조 증가를 나타내었다. RTA 열처리가 furnace 열처리 보다 결정성 회복이 우수하였으며, 등온 열처리 시 약 30분이상에서 거의 완전하게 재결정됨을 볼 수 있었다. $As^+$ 이온주입의 경우 $10^15$이상에서 복소굴절률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열처리에 대해 k가 n보다 민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