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한국인 복지태도의 변화궤적 탐색

        김사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Vol.13 No.-

        본 연구는 한국인의 복지태도 궤적을 분석한 연구이다. 기존의 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크게 2가지 측면을 강조한다. 첫째, 복지태도를 다차원적 관점에서 규정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인의 복지태도가 어떻게 구조화되었는지를 탐색하였다. 둘째, 복지태도의 변화가 모든 집단에게서 동일하지 않을 것이란 가정아래, 변화의 양상을 공유하는 여러 집단을 특성을 탐색하고자 했다. 분석을 위해 한국복지패널조사의 복지인식 부가조사 8차, 11차, 1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고, Nagin 등에 의해 개발된 집단중심기반 다중궤적모형(Group-based Multi-trajectory Model) 분석을 실시하였다. 복지태도는 다음의 5가지 복지정책 이슈에 대한 태도로 규정하였다: 불평등(Inequality), 정부지출(Expenditure), 보편성(Universality), 정책평가(Evaluation), 증세(Tax). 분석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변화궤적이 상이한 집단은 크게 4개로 식별되었으며, 변화의 양상을 따라 ‘선별확대군(48.7%)’, ‘확대반대군(25.7%)’, ‘비용회피군(18.9%)’, ‘적극확대군(6.7%)’으로 명명하였다. 다른 변화궤적을 따르는 이유에 대해 기존 복지태도 설명이론들이 일부 기여하고 있지만, 이들로부터 설명되기 어려운 점들이 적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복지태도의 명확한 개념정의 필요성을 다시 환기하도록 하였으며, 변화적 측면에서 내적 이질성과 동질성을 동시에 파악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KCI등재

        위험지위와 정부의 복지지출 선호 -정치적 신뢰와 사회적 신뢰의 조절효과 차이

        김사현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22 사회복지정책 Vol.49 No.3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political and social trust moderate the preference difference of the government originated from risk status for welfare expenditure. Its purpose is to reevaluate the existing argue that high political and social trust mitigates the preference difference for welfare expenditure along self-interest from the point of view of risk status theory. This research highlights political trust acts on high risk group stronger and preference difference even becomes larger based on that. While on the other, it is also suggested that social trust decreases preference difference by lowering the preference of high risk group though it raises that of low risk group. The data for empirical analysis is the Korean Social Survey 2021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at includes the interaction between risk status and political and social trust is used as the analysis method. Although the results of analysis are somewhat insignificant, they appear to be consistent with the arguments raised in this study. That is because high political trust acts by strengthening the preference difference along risk status and high social trust acts by mitigating that. So, it is found out in this study that political and social trust does not always acts toward mitigating the preference difference against welfare policy along self-interest. 이 연구는 위험지위에서 비롯되는 정부의 복지지출에 대한 선호 차이를 정치적 및 사회적 신뢰가 어떻게 조절하는지 탐색한 것이다. 이는 높은 정치적ㆍ사회적 신뢰가 자기이해에 따른 복지정책에 대한 선호격차를 경감한다는 기존의 주장을 위험지위론 관점에서 재평가해보기 위함이다. 이 연구에서 강조하는 바는 정치적 신뢰가 고위험자들에게 더 강하게 작용하며, 따라서 경우에따라 선호의 격차는 오히려 더 커질 수 있다는 점이다. 반면 사회적 신뢰는 저위험자의 선호를높이지만, 동시에 고위험자들의 선호는 떨어뜨려 선호의 격차가 줄어들 가능성도 제기하였다. 실증분석은 한국사회조사 2021년 자료를 이용하여 위험지위와 정치적 및 사회적 신뢰의 상호작용항을 포함하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분석의 결과는 다소 미진하지만 대체로 본연구에서 제기하는 주장에 부합하는 양상을 보였다. 높은 정치적 신뢰는 상대적으로 고위험자들의 선호에 강한 영향을 미치며 위험지위에 따른 선호차이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높은 사회적 신뢰는 선호차이를 경감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정치적 및 사회적 신뢰가 항상 자기이해에 따른 복지정책에 대한 선호의 격차를 줄이는 방향으로만 작용하지않는다는 것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MCP-1에 의해 유도된 THP-1 유주에 미치는 Zerumbone의 영향

        김사현,김시현,유성률,이평재,문철,Kim, Sa Hyun,Kim, Si Hyun,Ryu, Sung Ryul,Lee, Pyeongjae,Moon, Cheol 대한임상검사과학회 2018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KJCLS) Vol.50 No.2

        본 연구는 zerumbone이 단구의 유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단구는 다양한 염증 질환의 중요한 매개자로 인식되고 있으며, 활성, 유주 등 단구의 기능 조절을 통해 염증 질환을 조절하는 가능성이 보고 되고 있다. 염증 발생 시 증가하는 케모카인인 MCP-1에 의해 단핵구 세포주 THP-1의 유주가 유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10 ng/mL의 농도에서 유주가 발생하였으며, 100 ng/mL과 200 ng/mL의 농도에서 가장 높은 유주 현상이 나타났다. MCP-1에 의해 유발된 THP-1 유주는 zerumbone 존재 시 50% 이상 감소하였다. MCP-1 수용체인 CCR2 신호전달 과정의 중요 2차 전달자인 cAMP의 배양액 내 농도는 zerumbone 단독 처리 시 세포 단독 배양 조건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MCP-1 단독 처리 시에는 의미있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zerumbone과 MCP-1을 동시에 처리했을 때에는 다시 cAMP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MCP-1 처리에 의해 일어나는 Erk 인산화도 zerumbone과 동시 처리 시 감소하는 결과를 확인했다. 본 연구는 염증성 질환에 중요한 매개자로 인식되고 있는 단구의 유주 현상을 조절하는 zerumbone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zerumbone on monocyte migration. Monocytes are recognized as important mediators of various inflammatory diseases, and the possibility of controlling inflammatory diseases by regulating the monocyte functions, such as activity and mobility, has been reported. MCP-1, which is a chemokine with levels that increase upon inflammation, causes the migration of the monocyte cell line, THP-1. Migration occurred at a concentration of 10 ng/mL MCP-1, and the highest migration occurred at 100 ng/mL and 200 ng/mL. MCP-1-induced THP-1 migration decreased by more than 40% in the presence of zerumbone. The concentration of cAMP, an important secondary messenger of the CCR2 signaling pathway, the MCP-1 receptor, was increased in the culture medium after a zerumbone treatment. The concentrations of cAMP decreased significantly under the MCP-1 treatment condition only. On the other hand, an increase in cAMP was observed when zerumbone and MCP-1 were treated simultaneously. Erk phosphorylation induced by an MCP-1 treatment was also found to decrease with the zerumbone treatment. This study introduces the possibility of controlling inflammatory diseases through the function of zerumbone, which regulates the migration of monocytes.

      • KCI등재

        사회복지 공공성: 새로운 복지정치 담론의 제안

        김사현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9 사회복지정책 Vol.46 No.4

        This thesis examined the publicness in social welfare in the perspective of welfare politics. Especially, this thesis envisioned the ‘new’ or ‘micro’ politics of welfare, instead of the ‘politics of welfare state’ by following the new publicness discourse, and then explored its roles that could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publicness in social welfare. As a space for the micro-politics of welfare to operate, this thesis pays attention to the gap between universal and individual needs for social services. Currently, this space has been marketized, which results in the socio-economic stratification. This thesis emphasizes that this space should be a public space where relevant people participate with equal rights to meet individual needs. At the same time, this thesis suggests to make it possible to meet individual needs through the ‘politics of needs interpretation’ in this space. This thesis argues that this public space is to form the ’flexible social rights’ instead of the ‘rigid social rights’ institutionalized by the state as the measures for vitalizing the welfare politics from below. 이 논문은 사회복지 공공성 문제를 복지정치의 관점에서 다루어 본 것이다. 특히 새로운 공공성 담론을 따라 ‘복지국가의 정치’가 아닌 ‘새로운’ 혹은 ‘미시적’ 복지정치를 구상하고, 이것이 사회복지 공공성 확장에 기여할 역할에 대해 탐색하였다. 본고에서 미시적 복지정치가 작동할 공론장으로 주목한 것은 사회서비스에 대한 보편적 욕구와 개별적 욕구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이다. 현재 이 공간은 시장화되어 있어 사회경제적으로 계층화가 발생하고 있는데, 본고는 이 공간이 개별적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관련된 사람들이 동등한 권리로 참여하는 공적 공간이 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그리고 이곳에서 ‘욕구해석의 정치’를 통한 개별적 욕구의 충족이 가능하도록 할 것을 제안한다. 이는 국가에 의해 제도화된 ‘경직된 사회권’이 아닌 공동체에서 인정되는 ‘유연한 사회권’을 보장하는 것이며, 아래로부터 복지정치를 활성화시키는 방안일 수 있다는 게 본고의 주장이다.

      • KCI우수등재

        노동시간과 재분배 정책에 대한 선호

        김사현 한국사회복지학회 2022 한국사회복지학 Vol.74 No.1

        이 연구는 개인의 노동시간과 정부의 재분배 정책에 대한 선호 사이의 관계를 탐색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일소득이라면, 개인의 효용은 여가시간(혹은 비노동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고 가정된다. 그런데 비용측면에서 여가시간은 소득처럼 세율의 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동일한 소득수준일 경우, 재분배정책에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노동보다는 여가를 선호할 것이 분명하다. 특히나 정부의 복지정책이 추가적인 소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라면, 결국 여가에 대한 선호 증가는 추가적인 노동보다는 복지정책을 선호하는 방향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높인다. 최근 한국사회에서 워라밸(work-life balance)에 요구가 강해지고 있으며, 그런 점에서 한국사회에서도 이러한 관계가 현실화되고 있는지를 탐색해 보고자 했다. 이에 Barnes의 이론모델을 고찰하고,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2006년과 2016년 자료를 활용한 경험적 검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2006년에는 이들 사이의 관계가 확인되지 않았으나, 2016년에는 노동시간이 30~45시간 범주에 있는 경우에서 재분배 정책에 대한 선호가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사회에서도 노동시간과 재분배 정책 선호 사이에 체계적인 관계가 서서히 형성되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외식업주 행복지수 척도개발

        김사현,김삼희,이규민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22 호텔경영학연구 Vol.31 No.8

        Happiness means a state in which humans feel sufficient satisfaction and joy in the life they live in, and all humans want to be happy. For the qualitative growth of the restaurant industry, the happiness of restaurant owners must be premised, and in order for restaurant owners to be happy, they must be satisfied personally as well as professionally, environmentally, and institutionally. In order or restaurant owners to take a step further into the happy restaurant industry and for small business owners to grow into a strong country,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measure the happiness of restaurant owners. According to the scale development methodology, the restaurant owner happiness index scale composed of 8 dimensions and 47 measurement tools was developed, an AHP survey and analysis were conducted to calculate the weight of the developed restaurant owner happiness index dimensions, and an arithmetic equation was established to convert happiness into a score. In addi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both were found to meet the criteria, indicating that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secured. This study provided academic implications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happiness index for restaurant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actual use and application of the happiness index for restaurants, and presented limitation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taurant industry and future research tasks through actual happiness measurement.

      • 복지국가의 제도적 특성이 복지태도에 미치는 영향 : 노동인구 및 비노동인구를 위한 복지정책을 중심으로

        김사현 한국사회복지연구원 2014 복지사회 Vol.1 No.1

        이 연구는 노동인구 및 비노동인구를 위한 복지정책에 대한 사회구성원들의 태도에 복지체제를 구분하는 제도적 특성들이 미치는 효과를 파악한 것이다. 특별히, 복지체제를 구별하는 복지제도의 세 가지 특성으로 일에 대한 기회정도(일자리 유무 및 권리), 다수와 저소득층간의 경제적 격차(급여관대성), 제도의 잔여-보편성(제도적 포괄성)으로 구별하였다. 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람들은 노동인구를 위한 복지정책과 비노동인구를 위한 복지정책을 구별하고 각각에 대해 다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사람들은 비노동인구에 대한 복지정책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대한 태도를 보이는 반면, 노동인구에 대해서는 좀 더 엄격한 태도를 보였다. 그리고 이러한 양상은 모든 국가들에게서 동일하게 관찰되었다. 그러나 복지체제별로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자유주의체제의 경우 비노동인구에 대한 복지정책에 대해 상대적으로 관대한 반면, 보수주의체제는 반대로 노동인구에 대해 관대하였고, 마지막으로 사민주의체제는 두 집단 모두에 대해 가장 긍정적인 복지태도를 보였다. 둘째, 복지제도가 포괄적이고 급여관대성이 높을수록, 그리고 일에 대한 권리를 확대할수록 복지태도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러한 효과는 주로 노동인구에 대한 정책에만 한정되었는데, 이는 역사적으로 복지국가의 축소 및 재편의 과정에서 복지개혁의 대상이 주로 노동인구에 대한 복지정책이었고, 그러한 개혁의 결과 역시 국가마다 달랐던 이유를 설명해 줄 수 있는 단초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welfare state institution on the welfare attitude about working people and non-working people. The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below. First, it is confirmed that the people distinguishes the public policies between working people and non-working people and have different welfare attitude about two policies. In general, the people have relatively the broad-mined welfare attitude about non-working people. But they have the strict welfare attitude about working people. Second, the welfare regime makes the welfare attitude about two groups different. The support for welfare attitude about working people is highest in the social democratic welfare regime, and the liberal welfare regime follows the next. The highest support for welfare attitude about non-working people is the same as the previous results, but the next is the conservative welfare regime. Third, welfare system's effect on welfare attitude comes very clearly out when we focus on the public policies for working people and non-working people(especially working people). To put it concretely, both the coverage and generosity of welfare programs and the working right have positive effect on welfare attitude about working people, but not effect on welfare attitude about non-working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