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떤 교사가 문화감응성이 높은가? ‘교수 불확실성 관리’ 가설

        김빛누리,함승환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5

        The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immigrant-background children in South Korea calls for a greater level of multicultural competence among teachers. To identify factors that contribute to teachers’ cultural responsiveness, we analyze the South Korean subset of the OECD’s TALIS 2018 data. The data reveal considerable variation in cultural responsiveness between teachers. A large portion of the variation turns out to be accounted for as a function of teachers’ openness toward non-routine, and thus rather complex and difficult, teaching. This pattern sheds light on the instructional uncertainty management perspective in which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is understood as a particular mode of pedagogical adjustments that accompanies an increased level of instructional uncertainty. An important step toward fostering cultural responsiveness for teachers appears to begin with helping teachers effectively manage instructional uncertainty. 교사는 학생들의 문화적 다양성을 포용하는 방식으로 교수 전략을 효과적으로 조율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한국의 교사는 문화감응성 면에서 취약성을 보일 가능성이 제기되어 왔다. 이 연구는 이러한 상황의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개선방안 모색을 위해 OECD의 TALIS 2018 자료 중 한국의 초중등 교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 간에는 문화감응적 교수 효능감 면에서 편차가 컸으며, 이러한 편차는 교사가 비정형화된 교수행위에 대해 얼마나 개방성을 지니고 있는지의 함수로 상당 부분 설명되었다. 이는 문화감응적 교수활동의 핵심이 ‘교수 불확실성 관리’에 있다는 본 연구의 이론적 관점과 부합하는 것이다. 교사의 문화감응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교사양성 및 전문성개발 단계에서 다문화 관련 교육내용을 보강하는 것도 반드시 필요하지만, 더욱 근본적으로는 교사가 다양한 장면에서 마주하게 되는 교수 불확실성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환경 전반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 KCI등재

        스마트 기기가 임용고시 준비에 미치는 영향

        김빛누리,한선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4 교육논총 Vol.34 No.1

        본 연구에서는 임용고사를 준비하는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스마트기기 사용 실태와 그에 따른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G-교육대학교 1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조사대상의 71%가 임용고시에 있어 스마트 기기의 이용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스마트 기기의 교육적 이용의 방해요인은 페이스 북, 카카오 톡, 웹 서핑이라고 나타났으며, 동영상 강의, 교육용 앱, 스케줄 관리에 스마트 기기를 학습에 가장 자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마트 기기의 임용고시의 활용을 위하여 예체능 멀티미디어에 관련된 앱의 필요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과정 정보, 암기용 앱이 필요성이 뒤따랐다. 구체적인 교육용 앱의 개발 및 개선을 통해 방해요소를 최소화한다면 스마트 기기를 임용공부에 긍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대표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들의 포용적 경험 평가 항목에 관한 연구 - 트위터, 인스타그램, 틱톡, 제페토 -

        김빛누리,구유리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22 디자인융복합연구 Vol.21 No.2

        다양성과 포용이 사회·문화·정치적으로 더욱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현재, 본 연구는 전 세계 다양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더욱 포용적인 서비스 경험을 제공할 필요가 있는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포용성을 평가하 여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 평가 결과를 통한 시사점을 발굴하는 것을 목표 로한다.먼저다양한학계에서정의하는포용성개념을고찰한후기존포 용성 평가지표와 문헌을 통해 포용적 경험 평가항목과 요소를 개발한다. 실 제 SNS에 평가요소를 적용하고 분석의 축을 설정하기 위해 대표 SNS를 선 정하는 기준을 마련한다. 이를 위해 포용성을 갖춘 SNS를 주 사용 미디어 발전 단계에 따라 4단계로 구분한다. 선정된 4개(트위터, 인스타그램, 틱톡, 제페토) 서비스에 평가요소를 적용해 포용성을 평가한다. 평가 결과, 서비스 들은 최근 개발된 순으로 인지적 ̇경험적 포용성이 부족하였으며, 주 사용 연령층과 미디어 특성에 따라 강조하는 포용성의 측면이 달랐다. 이러한 결 과를 통해 간과되거나 중요시되는 포용성 요소를 SNS의 특성과 연결지어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서비스의 개선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 추 가로, 실제 서비스에 존재하는 포용적 기능을 통해 포용해야 할 인구통계학 적특징과포용요소를추가로발견할수있었다.

      • 대표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들의 포용적 경험 분석: 트위터, 인스타그램, 틱톡, 제페토

        김빛누리(Bit Nuri Kim),구유리(Yoori Koo) 한국HCI학회 202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2

        본 연구는 다양한 학계의 포용성 평가 기준을 통합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여,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들이 제공하는 경험이 얼마나 포용적인지를 평가하고 그 양상을 분석한 연구이다. 기존 문헌에 존재하는 틀들을 활용해 포용성 평가 프레임워크를 작성하고, 이를 대표적인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4 가지(트위터, 인스타그램, 틱톡, 제페토)에 적용하여 각 서비스의 포용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알게 된 서비스의 특성별로 다양하게 나타나는 포용성의 양상과 실제 서비스 사례를 통해 알 수 있는 포용해야 할 특징들을 기술하였다.

      • KCI등재SCOPUS

        포용적 SNS 설계를 위한 서비스경험 원칙과 실행방안 제안 - 사회적 소수자 경험을 중심으로-

        김빛누리(Bitnuri Kim),구유리(Yoori Koo) 한국디자인학회 2023 디자인학연구 Vol.36 No.4

        Background : Currently, inclusive research related to SNS (Social Network Service or Social Media Service) is limited in terms of information accessibility, and research on inclusive experiences in terms of service experience is in its early stages. Thus, the accurate concepts and elements are not clearly defined.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Inclusive Service Experience Principle” by considering theories related to inclusion and inclusive service design, and to verify and materialize the principles derived through empirical research on the SNS use experience of social minorities. Methods : Literature research and empirical research methods were used. The conceptual elements of inclusion were derived through content analysis of literature. Based on this, the “Inclusive Service Experience Principle” was presented as a result of analyzing literature related to inclusive experience and service design. Next,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on social minorities using SNS to verify the principle and to discover how the subfactors of the principle appear as embodied user experiences in actual services. After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on social media use experiences of social minorities and thematic analysis, detailed experience elements and a specific action plan of the “Inclusive Service Experience Principle” were discovered. Results : Through literature analysis, inclusive services were defined as ‘services that have functions for diversity and accessibility, have systems to achieve inclusion, and encourage users to feel that the user experience is inclusive’. In addition, the ‘Inclusive Service Experience Principle’ was derived into three categories: [A] Functional, [B] Systemic, and [C] Experiential inclusion. Under these categories, eight factors were derived as sub-items: [A1] Securing user diversity, [A2] Securing service accessibility, [B1] Establishing inclusive value-based strategies and systems [B2] Enhancing users’ capabilities and voice, [B3] Educating on inclusion, [C1] Supporting users to express their various identities, [C2] Increasing users’ value as members, and [C3] Securing connectivity between users and diverse groups. 22 experience value elements were also derived. Conclusions : Based on the literature on inclusion, inclusive services and the actual experience of social minorities, the ‘Inclusive Service Experience Principle’ and an action plan are presented. In addition, in order to apply the derived principles and action plan to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user’s SNS use journey, an “Inclusive Service Experience Principle Application Map according to the user experience stage” is propos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an inclusive user experience and presents concrete application plans for practitioners in companies.

      • MOC 시스템을 이용한 브레이크 패드 마모 진단 기술 개발

        이건희(Geonhee Lee),박재현(Jaehyun Park),이수혁(Soohyuk Lee),박정환(Jeonghwan Park),문권기(Kwonkee Moon),김빛누리(Bitnuri Kim),이찬원(Chanwon Lee),김용길(Yongkil K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21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21 No.6

        As the paradigm of the automobile industry approaches the era of autonomous driving, driver’s involvement in driving vehicles is decreasing. Accordingly, the system reliability and failure diagnosis of vehicles are getting important. Among many automobile parts, pre-diagnosis of a brake pad wear is indispensable because its wear could cause fatal defects that degrade braking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nitoring system of brake pad that can pre-diagnose the wear of brake pads in stages using MOC(Motor on caliper), a type of electric parking brake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