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의력결핍/과잉운동 장애 아동의 상대적 뇌 혈류에 미치는 Methylphenidate의 효과 : SPECT 관심 영역법 연구

        김붕년,이재성,조수철,이동수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5

        연구목적: 순수 ADHD 환아 32명을 대상으로 하여 MPND치료 전후에 있어서의 상대적 뇌 혈류량의 변화를 관심영역법을 사용하여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MPND 치료에 의한 혈류 변화의 양상을ADHD환아에서 관찰하고자 하였고, 이를 통해 약물 작용기건의 일부를 이해하려 하였다. 방법: 약물투여를 받지 않고 있으며, 다른 어떤 신체적, 정시과적인 진단도 받지 않은 32명의 환아군에대해, WISC, LNNB등 심리검사를 실시하였고, 환아군의 문제 행동에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 환아 부모를 대상으로 해서는, CBCL, DBDS, YCI, CPRS를 실시하였고, 교사를 대상으로 해서는 CTRS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평가과정을 거쳐, 정상기능 범위의 순소 ADHD 아동만을 대상군으로 선정하여 첫번째SPECT를 촬영하였고, 약 6주간의 약물 치료를 MPND로 실시하였으며, 이후 두번째 SPECT 촬영과 각종 척도 평가를 다시 한번 실시하였다. 매 환자마다 치료 전후의 SPECT 영상을 얻은 후, OML 20,40, 60mm 상방 세 단면에 관심영역을 치정하여 정량화된 상대적 혈류량을 구했고, 치료전후의 차이를 서로 비교하였다. 결과: OML 20mm 상방 단면에서는, 유의미한 혈류량 증가가 없었다. OML 상방 40mm의 단면상에서, 피질부에서는 좌우 측부 전두엽에서, 피질하 구조물에서는 좌우측 미상핵과 시상에서 유의한 혈류 증가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OML 상방 60mm에서 단면에서는 12개의 관심 영역 모두에서 아무런 차이도 보이지 않았다. 결론: 8세에서 12세까지 ADHD 아동군에서 MPND 치료에의해, 전전두엽과, 시상, 미상핵에서의 혈류량 이 증가됨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혈류량의 변화는 최근 연구에서 증명되고 있는 전전두엽-시상-비상핵-전전두엽 회로 이상의 기능적 회복이라는 치료 기전을 뒷받침해주는 소견으로 생각되었다. 향후 다른 영상도구를 통한 추시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중심단어: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SPECT 관심영역법·MPND 치료 전후의 변화.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opographic changes of cerebral perfusion between pretreatment and posttreatmet state via region of interest method by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SPECT). Method: By DSM-Ⅳ criteria, we selected 32 patients with pure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through various assessment scales, psychometric tools and neuropsy-chological batteries. All the patients with ADHD were studied by TCnm-HMPAO Brain SPECT, before methylphenidate(MPND) treatment and after 6 weeks treatment. Three transaxial brain slices delineating anatomically defined region of interest at approximately 20, 40, 60mm above the orbitomeatal line(OML) were used, with the average number of counts for each region of interest normalized to the area of cerebellar maximal uptake. Results: In the plane 20mm above OML, None of areas showed significant perfusion changes. In the plane 40mm above OML, lefe and right prefrontal areas, caudate and thalamic areas showed increased relative perfusion compared to pretreatment state. In the plane 60mm above OML, there were no increases in all regions of interest. Conclusion: The MPND treament improved cerebral blood flow in some specific brain regions : prefrontal lobe, caudate and thalamic area. We found neuroanatomical action sites of MPND might be the pathophysiologic sites of ADHD which had been proved in previous studies. These findings implied that MPND treatment could correct the underlying pathologic brain dysfunction of ADHD. KEY WORDS:SPECT ROI method·ADHD·Pre and posttreatment by MPND.

      • KCI등재

        특발성 경련 환아에 대한 부모와 일반인의 태도 비교

        김붕년,조수철,홍강의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1

        연구목적: 경련성 환아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편견을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특발성 경련 질환으로 진단받고 12개월이상 치료중인 58명의 환아 부모군과 30명의 건강한 아동을 둔 부모군을 대상으로 하여, "경련 질환에 대한 인식조사 설문"를 통해 환아 부모군과 일반인군(대조군)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았다. 결과: 환아 부모군의 인식 태도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련으로 인한 신체적 손상에 대해 지나치게 걱정하는 태도를 보여주어 25%의 부모군은 한번의 경련으로도 환아가 사망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경련질환의 원인에 대해서는 두부손상 -뇌 질환 - 환아의 심리적 문제 - 양육 방식- 가족의 걱정 -유전의 순서로 그 가능성을 생각하고 있었는데, 부모의 양육방식과 아이의 심리적인 문제 등과 같은 것이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잘못된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40%이상 되었다. 셋째, 60%이상의 부모가 경련질환 아동이 인지적 장애, 학습능력 장애, 정서장애, 행동상의 문제 등을 가지고 있다고 답하였다. 넷째, 약물 부작용에 대해서 행동의 변화(55%), 기분 변화(60%), 집중력 방해(73%) 등을 보고하여, 약불을 지속적으로 복용해야 한다는 사실은 잘 알고 있음(95%)에도 불구하고 부작용에 대한 걱정때문에 상당한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 다섯째, 환아로 인한 부모의 문제 중 약을 먹이는 문제를 가장 어려워하였으며(98%), 질환과 약에 대해 설명해 주는 데에 대해서도 70%정도에서 어려움을 느낀다고 하였다. 이외에도 지속적인 관찰을 해야 한다는 부담감(65%), 행동 통제가 어렵다(57%)는 호소를 하였다. 여섯째, 환아와 가족의 사회적 제한에 대해, 취업 및 결혼에 대한 걱정을 많이 하고 있었고, 부모의 사회생활에서도 40∼50%에서 몇 가지 제한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일반인군은 이 병의 원인에 대해 뇌의 질환-유전-양육방식-두부손상-아이의 걱정- 가족의 걱정 순서로 생각하고 있어 환아 부모에 비해 부정확한 인식을 가지고 있었고, 경련질환을 유전병의 일종으로 생각하는 비율이 일반인의 경우 70%나 되었다. 그리고 일반인군과 환아군을 비교하였을 때, 일반인군이 보다 심각하게 여기는 소항목은 부모의 어려움, 사회적 활동의 제한, 가족 생활의 제한 등이었다. 결론: 이 결과들은 일반인들의 경련 질환으로 인한 사회적 제약을 실제 환아부모가 겪는 것보다 과장되게 유추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경련성 환아들에 대한 사회적 편견이 아직 강하게 존재함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판단된다. Objectives : We conducted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parental attitude toward their children wiht idiopathic convulsive disorder and to compare it with that of parents with healthy children. Methods :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convulsive disorder were recruited from the outpatient department of pediatric neurology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We excluded patients with mental retardation,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and overt organic brain pathology. The parents of normal students were chosen as control group. Children's sex, age, achievement and socioeconomic status were matched. The author interviewed all the children and their parents and obtained the developmental history and family information. 'Questionnaire for adult's attitude toward children with convulsive disorder' was used to obtain the data about the ideas about epileptic children and their family members from both parents of epileptic and normal children. Results : First, parents of epileptic children worried too much about the possibility that convulsion made serious damage on physical status of patients. 25% of them believed that even single convulsion could lead to sudden death. Second, as the causes of convulsive disorder, the prents chose brain damage- brain pathology- worries of children- mode of parenting- worries of family- genetic origin in order of frequency. 40% of them had false concepts that the way of rearing and childen's psychological problems might cause the convulsive disorder. Third, according to the answers of parents of epileptic children, mor than 60% of children with convulsive disorder had cognitive, emotional, behavioral and learning problems. Fourth, parents of epileptic children reported behavioral change, emotional disturbance and attentional problems as result of adverse sffect of medication. Fifth, Many parents of epileptic children had difficulties in explaining the disease and reasons of taking medication to patients. Sixth, Many parents of epileptic children worried about marriage and employment and reported the several limitations of social lives of parents and patients. The parents of healthy children had more tendency to believe that the convulsive disorder could be one of genetic diseases than parents of epileptic children. They chose the brain pathology-genetic origin-mode of parenting-brain damage-worries of children-worries of family as the causes of convulsive disorder in order of frequency. The parents of healthy children had overcare about the limitations of children's social activity and difficulties of parents and family members of epileptic children. Conclusion : This study revealed the parents of epileptic children had some overcares and misbelieves about their children's disorder. Also, the parents of healthy children had more distorted ideas about the causes of the convulsive disorder and its impact on epileptic children and their family members. So the mental health professionals should prepare and conduct the comprehensive and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parents and public members.

      • KCI등재

        틱 장애의 진단과 치료

        김붕년 대한가정의학회 2004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25 No.5

        Tics are brief, rapid and repetitive movement and sounds that are either simple or complex in presentation. Tics can be preceded by a premonitory urge (sensation) that decreases after tic is completed. The fourth edition of Diagnostic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DSM- IV) includes diagnoses for Tourettes disorder, chronic motor or vocal tic disorder, transient tic disorder and tic disorder not otherwise specified (Table 1)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tic symptoms and degree of complexity. The purposes of treatment of tic disorders must be set up based on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of developmental profiles, strength, weakness, family situation, and school adaptation status. The family education must be included early in treatment process and psychosocial treatment including th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will be needed to develop and maintain the self-efficacy in controlling the tic symptoms. The most effective and efficient method for the reduction of tic symptoms, however, are drug treatment. The pharmacotherapy is usually one component of treatment for chronic tic disorder and Tourettes disorder. The gold standard for tic reduction is the dopaminergic receptor blocking agent (or antipsychotic agent, neuroleptics). The primary drugs are haloperidol, pimozide, and risperidone. Among theses, risperidone will be the primary choice because of its low side effect profiles, esp, neurologic side effects. In the near future, the studies on the efficacy of the olanzapine, quetiapine and ziprasidone will be more reported. As second line drugs, clionidine, guanfacine, nicotine related drugs can be considered. 틱 장애의 개념 및 분류에 있어서 현재는 DSM-IV를 주로 따르고 있다. 그러나 국제적 질병분류체계인 ICD-10과도 차이는 없다.틱 증상이 지속된 기간에 따라서 일과성 틱장애와 만성 근육 또는 음성 틱장애로 구분하고, 음성 틱과 근육 틱이 어느 한쪽만 나타나느냐 또는 동시에 나타나느냐에 따라서 뚜렛장애와 만성 근육 또는 음성 틱장애로 구분하고 있다.치료의 목표는 아동의 발달력과 장점-약점, 가족 상황, 학교 적응 상태 등을 고려한 포괄적인 것이 필요하다. 치료과정에서는 가족교육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틱 증상의 자기 조절감을 키우기 위한 정신사회적 치료도 필요하다. 틱증상을 경감시키는 데에 가장 효과적인 것은 약물치료로, 만성틱장애, 뚜렛장애는 약물치료를 요하는 경우가 많으나, 증상의 경중에 따라서 다소 가변적이다. 약물치료에서는 haloperidol, pimozide, risperidone이 현재의 선택 약물이라 할 수 있다. 약 70∼80%의 뚜렛장애 또는 틱장애 아동들이 호전된다. 앞으로는 아마도 olanzapine, quetiapine, ziprasidone 등의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에 대한 연구 결과가 계속 보고될 것이다. 이러한 약물들에 의하여 호전되지 않거나, 또는 심한 부작용이 나타나는 경우, 장기적인 복용으로 지연성 운동부전증의 위험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이차적인 약물로 clonidine을 시도할 수 있다. 최근에는 α- 2 효현제로서 clonidine보다 반감기가 길고, 부작용이 적은 guanfacine이 시도되어 비교적 양호한 반응을 얻고 있다. 또한 경피 nicotine 첩포 등의 nicotine계 약물은, 아직 단독 투여에 의한 효과는 미지수이지만, 항정신병 약물과 병합 투여 시에 틱증상 완화를 촉진시킬 가능성이 있다. 이런 병합 투여는 장기적으로는 항정신병 약물의 용량을 상대적으로 낮추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항정신병약물의 부작용을 줄일 가능성이 크다. 이외에 SSRI, trazodone, naltrexone, cannabinoid, clonazepam, baclofen 등도 시도된 바 있다. 또한 단일 근육 혹은 근육군의 틱 증상에는 botulinum toxin의 직접 주입도 시도되고 있다.강박장애가 동반된 경우에는 fluoxetine을 함께 투여할 수 있으며,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가 동반된 경우에는 clonidine, guanfacine, desipramine을 시도해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