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계몽주의 시대의 엘리트 문화와 민중문화- 인간은 기본적으로 문화적인 존재이다 -

        김복래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2007 역사문화연구 Vol.28 No.-

        Elite culture and popular culture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Kim, Bok-rae The aim of this paper entitled “Elite culture and popular culture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is to examine firstly the aspects of Elite/popular cultures from the standpoint of cultural hegemony. Secondly, it is to understand the basic religious beliefs of mass people. Thirdly, it is also to understand the reasons why elite and popular cultures became separate into the 18th century. Elites was culturally defined by literacy, the acceptance of counter reformation religious practices, going to secondary school, attendance at university, access to the classical texts and the humanities, the possession of a library, and the frequenting of specialist groups. An essential element is the humanist culture from the renaissance, with its revival of the classics, popularisation of them, and their wide dissemination by the printing press. Popular culture is often defined in its opposition or contrast to elite culture. Elite culture is literate, popular culture is illiterate, learned/unlearned, written/oral, even rational/magic.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there was a separation between elite and popular cultures. From the distinction of two heterogenous cultures to their plausible fusion in the name of mass culture, it is useful to analyze the dominant/dominated cultures through the case study of elite/popular culture in the 18th century. 계몽주의 시대의 엘리트 문화와 민중문화 - 인간은 기본적으로 문화적인 존재이다 - 김 복 래 본고의 목적은 첫째, 계몽주의시대의 엘리트문화와 민중문화의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둘째, 대중들의 기본적인 종교 신앙을 이해한다. 셋째, 왜 18세기에 엘리트와 민중문화가 분리되었는지 그 이유를 분석한다. 18세기 엘리트문화의 특징들은 다음과 같다. ①문자 교육(literacy)과 교양, ②반종교개혁의 종교관행에 대한 승인, ③중등학교에 다니기, ④대학출석, ⑤고전텍스트와 인문학, ⑥서재소유, ⑦특별한 집단들과의 교제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가장 기본적인 요소는 르네상스 시대로부터 물려받은 고전문학․인문학의 재생과 대중화, 특히 인쇄술발달에 따른 인문주의의 광범위한 보급을 들 수 있다. 18세기 엘리트문화의 또 다른 양상으로 사법사회(judicial society)의 등장, 궁정문화에 의해 촉진된 문명화과정, 언어문화의 변화, 빈자들에 대한 상류층의 커다란 문화공포와 기피현상을 지적할 수 있다. 민중문화는 엘리트문화의 반대 내지 대립현상으로 곧잘 정의된다. 엘리트문화는 글을 쓰고 읽을 줄 아는 교양 있는 학술문화이며, 민중문화는 문맹 또는 무학의 교양 없는 문화로 정의된다. 간단히 요약하면 엘리트 대(對) 민중문화는 ①교육/무교육, ②기술(written)/구두(oral)문화, ③합리적(rational)/마술(magic)문화로 구분된다. 18세기는 이러한 문화의 구분 짓기가 가속화되어, 상류층과 하층문화가 분리되었던 시기이다. 사실상 엘리트 대 민중문화의 이분법은 자의적이다. 민중문화는 단순히 일원론적 하부구조만을 반영하지는 않는다. 실제로 우리는 민중문화의 기원을 종종 학술문화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러므로 엘리트 계층에게 전혀 오염되지 않은 순수한 ‘민중의, 민중에 의한, 민중을 위한’ 문화가 ‘따로(à part)’ 존재한다는 발상은 역사적 현실이 아니다. 그것은 오히려 민주문화에 따뜻한 연민을 품은 현대 역사가의 상상력의 소산이다. 문화의 구별 짓기의 놀이에서 경계 허물기, 즉 엘리트주의적 문화개념의 폐기에 이르기까지 18세기의 엘리트 대 민중문화의 대립구도는 문화연구자에게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리라 본다.

      • KCI등재

        파리의 보헤미안 역사: 반문화운동을 중심으로 한 일상생활사

        김복래 한국유럽학회 2008 유럽연구 Vol.26 No.1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s a ‘counter-culture’ movement the Bohemianism which can be divided into two generations, and to describe vividly the Bohemian everyday life styles. The paper is divided into seven categories: the definition of Bohemianism, Bohemian geography, Bohemian two generations, their lifestyles, fashions, Bohemian women(Grisettes), and Dandyism, etc. The first generation of Bohemianism starts with Henri Murger who is considered as a true founder of Bohemian movement in Paris. The second generation of Bohemianism is represented by Courbet's realism and Brasserie Andler. The Bohemians refuse to accept the private property rights and materialism which characterize the Bourgois values based on the pursuit of wealth. The counter-culture movement is an important element of historical changes. As a conclusion, the Bohemianism is epitomized into three categories: the youth movement, Bohemian women and Dandyism. 본 고의 목적은 반문화운동으로서의 보헤미안주의를 살펴보고, 그 문화를 중심으로 전개된 일상생활사를 간략히 기술하는 데 있다. 정치사에서 경제사, 사회사, 그리고 21세기의 화두인 문화를 중심으로 한 신문화사(New cultural history)가 주요 학풍으로 자리를 잡음으로써 특출하고 저명한 개인들의 인물사나 사건중심의 정치사가 아니라, 한 사회집단의 집단심성사와 일상생활사도 학계의 각광을 받는 시대가 되었다. 그리하여 본고는 한 세대를 풍미했던 반문화운동을 주도했던 집단적 주체인 보헤미안의 정의와 지리학, 보헤미안 1, 2세대, 라이프스타일, 패션, 그리고 보헤미안 여성을 논한 다음, 또 다른 반문화운동인 댄디이즘과 비교·고찰하는 것으로 결론을 맺고 있다.

      • KCI등재

        Agri-tourism and its internationalization strategy

        김복래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0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Vol.13 No.2

        Korean competitiveness in rural communities and agriculture has considerably diminished due to the 'market opening' for agricultural products: sudden surge of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 oversupply of domestic agricultural products and a fall in their prices → aggravation of farm incomes → weakening of agricultural sector basis. As a result, there is a decline in rural farm income and population. Therefore, the conditions of settling in rural areas have become worse in the chain of vicious circle. As part of an increasing farm diversification to solve the crisis of the Korean agricultural sector, nowadays the agri-tourism attracts considerable public attention. The meaning of ‘agri-tour’ as a social phenomenon is a process of switching the resources of agricultural amenities into lucrative market values. Thus, the cultural, natural and environmental resources scattered all over the countryside, - which have existed and still exist regardless of consumers' will to pay for them - have been programming into more systematic tour experiences, eco-friendly products, accommodations and agricultural events & festivals. etc. Korean agri-tourism is in the stage of quantitative growth, but it is now a turning point from quantitative growth into further qualitative development. Thus, new objective and strategy are needed, and they can be epitomized into ‘international strategy’ in a word.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international strategy of Korean agri-tourism through the various examples of Western countries (France, UK, etc.) as benchmark models in this analyze. The internationalization of agri-tourism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quality improvement and expanding induction of foreign tourists.

      • KCI등재
      • KCI등재

        Research on Storytelling in Museum

        김복래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2008 역사문화연구 Vol.31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tructure of storytelling of museum exhibition in post-modern era. The museum management's hegemony was handed over from the patronage of royal family and aristocrats into great masses of people. With political and economic independence gradually established, today's museum makes rapid growth on the basis of market principles. After digital revolution, rapidly increase the demand for the contents of mass culture (film, education, sports, etc.) and of high culture (arts and art objects). The characteristic of culture contents industry is based on 'one source multi-use' principle. The 'art for the sake of business' in full progress is not only money's sake, but a metaphor about the use of technologies. There are many ways and strategies in marketing, but in cultural marketing 'service marketing' approach is very important because cultural marketing needs logos, pathos and ethos. Recently, storytelling in marketing is to enhance clients' understanding on the product, and to make them remember it through familiar stories. It's an impressive communication with people. Storytelling is not only a key strategy in marketing, but also in art, architecture, IT industry, culture contents industry, etc. Museum has also adopted storytelling for communicating with peopl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ulti-function of storytelling in museum as a tool of communication with the mass. This guide to developing effective storytelling programs is necessary to enhance the value of museums and to maintain their prosperous long-term management. Museums are no longer a place passively waiting for their clients already fed up with boring traditional exhibitions, but they visit their clients by blending excellent storytelling with their culture contents (art objects). Audiences want to share and compare experiences rather than to read and view. They are more interested in creative ideas linked to objects, than objects alone. 이 논문은 포스트모던 시대의 박물관전시의 스토리텔링구조를 주된 연구과제로 삼고 있다. 문화의 헤게모니가 소수의 특권층에서 일반대중에게로 이식된 이래, 급속도로 기업화된 오늘날 박물관산업의 현장, 즉 박물관‘콘텐츠’산업은 경쟁적인 시장원리에 근거하여 놀라운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른바 디지털 혁명이후 대중문화의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날로 팽창하고 있는데, 이는 예술전시품을 주요한 문화콘텐츠로 하는 박물관산업도 예외는 아니다. 신자본주의시대에 ‘비즈니스를 위한 예술’은 비단 돈에만 국한된 사안이 아니라, 반드시 디지털 기술사용의 은유를 전제로 한다. 즉 이제는 문화와 예술도 콘텐츠이다. 그러므로 문화와 예술도 보다 기업화되고, 보다 친(親) 비즈니스적 환경이 되지 않으면 글로벌 경쟁시대에 생존하기가 어렵다. 예술도 하나의 상품이고, 그래서 고도로 다중적인 차원의 감성마케팅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최근 문화마케팅 분야에서 스토리텔링이 시대적인 각광을 받고 있는데, 그 이유는 로고스, 파토스, 에토스의 삼박자를 모두 갖춘 스토리텔링이 대중과 감성적으로 소통하는 데 가장 좋은 도구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중과 소통하는 수단으로서의 스토리텔링의 다기능적 구조를 영미박물관의 사례연구를 통해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효율적인 스토리텔링의 프로그램의 개발은 박물관의 가치를 고양시키고, 박물관의 장기적인 흑자경영을 유지시키는 데 필수적이다. 이제 박물관은 수동적으로 관람객을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문화콘텐츠(예술전시품)을 스토리텔링에 연계시켜 관객들을 직접 찾아가는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을 펼치고 있다. 왜냐하면 포스트모던시대의 관객들은 예술품을 단순히 읽고 관찰하기 보다는 문화적 ‘경험’을 구체적으로 공유하고 비교하기를 원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스토리텔링을 여섯 가지 카테고리로 나누어 분석하고 있으며, 이 스토리텔링의 분석모델을 영미의 다섯 가지 표본박물관 사례연구에 적용시키고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