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U-City 이슈 해결을 위한 정책방향

        김병선 ( Byeong Sun Kim ),김교민 ( Kyo Min Kim ),김걸 ( Kirl Kim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2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5 No.1

        이 연구는 U-City와 관련된 다양한 이슈를 분석하고 도출된 이슈를 바탕으로 문제해결을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U-City 관련 문헌연구를 수행하여 U-City 이슈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인과지도를 사용하여 U-City 구성요소의 관련성을 파악함으로써 U-City 이슈의 근본 원인을 도출하였다. 또한 U-City에 거주하는 시민을 대상으로 U-City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하고 U-City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중요성과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U-City에 대한 시민 인식 강화를 위한 홍보전략 마련, 시민참여형 U-City 도입 방안 수립, U-City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사회과학적 접근 방안 마련 등의 U-City 이슈 해결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various issues related to U-City and suggest the policy direction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U-City. It looks into U-City issues by reviewing preceding literatures, identifies the relationship of U-City components by using causal loop map, and elicits the basic root of U-City issues. It also performs a survey to find out U-City residents` perception and analyzes their satisfaction to U-City services by using IPA. Based on the survey and IPA results, this research suggests the policy directions for solving the issues of U-City such as the making of the PR strategy for fortifying U-City residents` perception, the establishment of the introduction of public participation U-City, and the preparation of social scientific approache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in U-City.

      • KCI등재

        Regression-Kriging 모형을 이용한 인구분포 추정에 관한 연구

        김병선(Byeong-Sun Kim),구자용(Cha Yong Ku),최진무(Jinmu Choi) 대한지리학회 2010 대한지리학회지 Vol.45 No.6

        센서스 단위의 인구자료는 기초적인 인문사회 자료로 행정구역 단위로 요약되어 공간분석에 사용된다. 정밀한 인구 분포를 추정하기 위해 기존의 연구에서는 위성영상과 회귀분석 모형을 이용하였다. 하지만 회귀식에 의한 추정치는 공간자료의 공간적자기상관과 잔차 때문에 정확도에 있어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회귀모형과 회귀모형에서 추출된 잔차에 대해 공간적자기상관을 고려하도록 크리깅 보간하는 RK모형(Regression Kriging Model)을 이용하여 인구분포의 추정 정확도를 향상하였다. RK모형을 적용하여 서울시의 4개구를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하였으며, 모형의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만을 이용한 예측 결과와 RK모형을 이용한 예측 결과를 서로 비교하였다. 비교한 결과로 상관관계 계수, 평균제곱근 오차, G 통계량 수치에서 RK모형의 추정 정확도가 기존의 회귀모형에 비해 높게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정확한 인구추정을 위해 RK모형이 많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opulation data has been essential and fundamental in spatial analysis and commonly aggregated into political boundaries. A conventional method for population distribution estimation was a regression model with land use data, but the estimation process has limitation because of spatial autocorrelation of the population data. This study aim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population distribution estimation by adopting a Regression-Kriging method, namely RK Model, which combines a regression model with Kriging for the residuals. RK Model was applied to a part of Seoul metropolitan area to estimate population distribution based on the residential zones. Comparative results of regression model and RK model using RMSE, MAE, and G statistics revealed that RK model could substantially improve the accuracy of population distribution. It is expected that RK model could be adopted actively for further population distribution estimation.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공간정보 연구 영역과 동향 분석

        김병선(Kim, Byeong Sun),류지희(Ryu, Ji Hui),안종욱(Ahn, Jong Wook) 대한공간정보학회 2020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8 No.3

        본 연구는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2000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 공간정보 분야에 대한 연구 동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공간정보 기술의 발전을 위한 필요 연구 영역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동시출현단어 분석과 토픽모델링과 같은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국내 공간정보 분야의 연구 영역을 도출하였다. 또한 토픽모델링으로 도출된 개별 토픽들에 대한 시계열 분석을 통해 토픽별 연구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 결과 4차 산업혁명 기술과 관련된 국내 공간정보 연구는 아직 미진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3차원 공간정보, 무인항공기 등 융복합 공간정보로써 발전 잠재력이 높은 연구 영역도 분석을 통해 식별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공간정보 연구에 대한 정책과 연구 개발 계획을 과학적으로 수립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quantitively analyzed the research trend of spatial information in Korea with text mining from 2000 to 2019. It is aimed to identify further research area to enhance the spatial technology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research has extracted research area of spatial information in Korea with text mining such as analyzing co-word and topic modelling. It has identified the research trend categorized by topic with time series analysis. In conclusion, the quantified results from this study was insufficient to comment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However, it has discovered high developmental potential in these research areas based on convergence spatial information such as 3D spatial informatio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and so forth.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the foundation to establish policies and programs for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in relation to the spatial information.

      • KCI등재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 기반의 3차원 국토공간정보 구축 작업규정 개정방안

        김병선(Byeong Sun Kim),이희석(Hee Seok Lee),신동빈(Dong Bin Shin) 한국지적학회 2023 한국지적학회지 Vol.39 No.1

        이 연구는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을 기반으로 3차원 국토공간정보 구축 작업규정을 개정하기 위한 정책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주요 현황을 분석하고 3차원 국토공간정보구축 작업규정의 문제점과 제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파악하여, 작업규정 개정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개정방안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기존의 작업규정과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을 연계하여 제품 생산 단계부터 배포까지의 전 과정에 대한 기준을 정의한 3차원 국토공간정보 제품 규격 개발이며, 둘째는 3차원 국토공간정보 모델링 가이드 구축이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개정방안은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과 3차원 국토공간정보 작업규정의 활용성을 높이고, 작업규정에 따라 데이터를 제작하면 자연스럽게 표준을 준수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olicy plans for revising the 3D Land Geospatial Information Work Regulation based on the standards of the National Digital Twin(NDT). We reviewed global and domestic status related with the work regulation, and deduced the main implications needed to revise it. In the study, the revision policies of the work regulation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1) NDT Standards-Based product specification which presents the specific norms about all the processes from production to distribution of 3D land geospatial information, (2) modeling guide for 3D land geospatial information. The proposed policies of the study would be contributed to promote the availability of both 3D Land Geospatial Information Work Regulation and NDT Standards, and to lay the groundwork that one can spontaneously create the 3d geospatial data complied with the NDT Standards if following in accordance with the work regulation.

      • KCI등재

        UML을 이용한 3차원 공간정보 건물 데이터 모델 구축

        김병선(Kim, Byeong Sun),정다운(Jeong, Da Woon),홍상기(Hong, Sang Ki) 대한공간정보학회 2018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6 No.4

        본 연구는 3차원 공간정보 중 활용도가 가장 높은 건물을 대상으로 공간정보 데이터 모델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단계로는, 첫 번째로 국내·외에서 사용하고 있는 3차원 데이터 모델의 현황에 대해 비교 분석하여 데이터 모델 개발을 위한 참조 프레임워크로 공간정보 국제 표준인 CityGML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국내 2차원 공간정보 데이터 모델과 수요 조사 내용을 통해 도출한 데이터 모델 표준 관련 필수-확장 항목들을 CityGML의 건물클래스와 비교한 후, UML과 CityGML의 ADE를 통해 3차원 건물 데이터 모델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데이터 모델은 향후 국가 차원에서 3차원 건물 데이터를 교환하고 저장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design and generate the 3D geo-spatial model for building data, which is the most frequently used in 3D City model. The data model was constructed through several steps. Firstly, CityGML was selected as the reference framework model through a comparison of various 3D data models. Secondly, conceptual mapping between CityGML classes and semantic classes (essential/extension element) which was extracted from 2D data model and demand survey was carried out. Lastly, 3D geo-spatial data model was constructed in following the principles of CityGML application domain extensions (ADE) by using UML. The generated 3D geospatial data model for building thematic classes will be used as a common exchange format to store digital 3D building data at national level.

      • KCI등재

        3차원 공간정보 데이터 검증을 위한 프로토타입 설계 및 구현

        김병선(Kim, Byeong Sun),이희석(Lee, Hee Seok),홍상기(Hong, Sang Ki) 대한공간정보학회 2020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8 No.3

        3차원 공간정보 데이터의 무결성은 3차원 도시 모델의 활용성을 높이는 가장 기본적인 조건이다. 3차원 공간정보의 기하, 위상, 시맨틱 정보에 대한 관련 표준이 존재하나, 시각적으로 우수한 3차원 도시 모델도 관련 표준에 부합하지 않는 다양한 오차를 내포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러한 오차는 3차원 도시 모델을 처리하고 분석하는데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3차원 도시 모델을 구성하는 3차원 데이터에 대해 국제표준의 적합성 여부를 검토하고 품질을 자동으로 검증하는 프로토타입의 설계 및 구현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3차원 데이터와 도시 모델에 대한 국제표준과 3차원 데이터의 품질을 검토하는 검증 도구 현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3차원 데이터의 기하정보와 시맨틱 정보의 품질을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으며, 실험 데이터를 통해 프로토타입의 활용성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프로토타입을 고도화하기 위해서는 공식적인 프로젝트 등을 통해 산출된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한 반복적인 테스트가 필요하다. 또한, 3차원 도시 모델에 대한 국내 품질 기준도 마련되어 품질 확보가 반드시 제도화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tegrity and quality of 3D geospatial data is a critical issue in improving and utilizing geospatial applications. Although geospatial applications call for standardized and geometric-topological-semantically correct 3D models, many existing 3D city data sets have errors in them. In addition, in many cases, data do not conform to the existing international standards. This study aims to design and implement the prototype system with which we can automatically check and validate the 3D geospatial data against international standards. First, this paper reviewed the standards published by 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such as ISO/TC 211 and OGC, and discussed the existing validation softwares for 3D geospatial data. Then, prototype system which composed of integrated model of geometric-semantical validation was implemented and finally verified by using a test dataset. The result shows that the prototype system satisfied the test conditions and proved to be valid. For the prototype system to be really useful in practice, though, repeated tests should be performed with various real world 3D city data. Moreover, it is recommended that a guideline for quality requirements and specifications of 3D city models should be developed to ensure data quality.

      • U-City 기반시설 보호체계 구축을 위한 지능화시설 분류체계 기본 틀 구축에 관한 연구

        김병선(Kim Byeong Sun),이재석(Lee Jae Suk),배인철(Bae In Chul),강성길(Kang Sung Kil),채명기(Chae Myung Ki),박찬호(Park Chan Ho) 대한공간정보학회 2010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0 No.3

        정부는 녹색성장의 추진 동력으로 U-City 개발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으며, 지자체에서는 그들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U-Service를 발굴하고 이를 통해 지역 성장의 새로운 발판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반시설에 대한 체계적인 보호체계 수립과 관련된 계획은 현재까지 미진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U-City 기반시설에 하나인 지능화 시설을 대상으로 U-City 기반시설보호체계의 핵심인 U-City 지능화시설 분류체계 기본 틀을 구축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지능화 시설 분류체계 기본 틀은 향후 U-City 기반시설보호체계를 구축하는데 기본 골격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3차원 공간정보 도로 데이터 모델 표준 설계 및 구현

        김병선(Kim, Byeong Sun),정다운(Jeong, Da Woon),오세훈(Oh, Se Hoon),안종욱(Ahn, Jong Wook),홍상기(Hong, Sang Ki) 대한공간정보학회 2019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7 No.5

        본 연구는 3차원 도로 데이터 모델을 설계하고 여의도를 대상으로 설계 내용을 실험적으로 구현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도로와 관련된 국제 표준인 geographic data file (GDF)의 특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CityGML-Transportation model이 기존의 표준과 비교하여 3차원 도시 모델에서 도로 공간을 반영함에 있어서 가장 적합한 데이터 모델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관련 문헌 검토와 사용자 요구사항 조사를 통해 CityGMLTransportation model의 한계점과 개선 사항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unified modeling language (UML)를 이용해 CityGML-Transportation model 기반의 3차원 도로 데이터 모델을 설계하였으며, 여의도를 대상으로 설계 내용을 구현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활용 잠재력이 높은 3차원 도로 데이터의 구축과 활용에 기초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design transportation model for detailed 3D road data and to implement the representation of the street space for Yeouido City. For such purpose, we reviewed related standards dealing with street modeling such as GDF, LandInfra and CityGML-Transportation model. From this comparison, it can be concluded that CityGML-Transportation model may be a good solution for addressing the shortcomings of the other standards and ensuring the usability of roads within 3D city models. Subsequently, the CityGML-Transportation model is examined to discovery some critical issue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as well as on user requirements and a number of improvements are presented. Finally proposed concept is designed by using UML and implemented for Yeouido City. It is judge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applied on the basis of the construction for detailed 3D road data which have high potential applications.

      • KCI등재

        복리환경의 시공간적 변화

        김병선(Byeong Sun Kim),김영성(Young Sung Kim),정수열(Su Yeul Chung) 한국지역지리학회 2011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7 No.2

        공공서비스의 지역적 불균등을 분석하는 것은 사회복리지리학에 가장 큰 주제 가운데 하나이다. 이 연구는 1885년~2005년 동안 광주광역시를 포함한 전라남도 지역을 대상으로 연구지역의 객관적인 사회복리 수준의 지역적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군집 분석기법을 비롯한 다양한 사회복리 수준 측정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지난 20년 동안 연구지역의 전반적인 사회복리 수준이 향상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도서지역의 경우 사회복리 수준의 발전이 상대적으로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서지역의 사회복리 수준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이 수립될 필요가 있다. One of the major concerns to improve social-wellbeing is uneven spatial distribution of public service. The paper analyses the changes in the geographic distribution of public service facilities over time. The analysis is with a case study about JeollaNamdo Province including Gwangju Metropolitan City, 1985~2005. It employed eighteen proxies in different fields to measure public service and utilized cluster analyses, and various summary statistics including Schutz`s coefficient and regression. The results show that overall social well-being has improved during the two decades and the gap between Gwanju City and the major cities in the JeollaNamdo Province has narrowed. However, the disparity between mainland and island areas still persists, calling our attention to the island areas.

      • KCI등재

        U-City 기반시설보호를 위한 관련 법제도 정비 방향

        김병선(Kim Byeong Sun),이재석(Lee Jae Suk),신동빈(Shin Dong Bin) 대한공간정보학회 2011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19 No.1

        이 연구는 U-City기반시설보호를 위한 관련 법제도의 정비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해외 기반시설보호체계와 국내의 U-City법을 비롯한 관련 법제도에 대해 분석하고, 산ㆍ학ㆍ연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U-City기반시설보호와 관련된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U-City기반시설보호를 위한 관련 지침 제정, U-City기반시설보호 의무화, U-City기반시설보호를 위한 전담조직 구성, 지능화된 시설 보호를 위한 관련 법제도 개정 및 U-City기반시설보호 보호시스템 구축 등의 U-City기반시설보호를 위한 법제도 정비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improvement directions of related laws system to protect U-City infrastructure facilities. For this, the study analyzes oversea infrastructure protection systems and domestic U-City laws system. Then, this indicates problems considering U-City infrastructure protection through Industrial-University-Institute experts’ survey. Based on this survey, this study proposes improvement guideline of laws system to protect U-City infrastructure facilities, including enactment the Guideline of U-City Infrastructure Protection, obligation of U-City Infrastructure Protection, revision method of related laws system for protecting intelligent facilities, and Management System of U-City Infrastructure Fac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