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魏晉 및 16國時代 敦煌地域의 顔料-種類 및 用例 特徵을 中心으로-

        김병모 동서미술문화학회 2018 미술문화연구 Vol.13 No.13

        As HeXi region was in the era of WeiJin Dynasties, it started to lay the foundation for art culture which was different from before, as the mural in the central area was constructed in earnest. As Buddhist cave paintings were newly introduced in the west during sixteen Kingdoms age, HeXi region converted art trend again. In other words, HeXi region was where involves a huge change on the space of the construction of paintings as well as the theme, as the art trend which was mainly developed in the burial chamber mural was converted to of that of Buddhist cave paintings. This study intends to review the change on the types and the aspect of the use about pigment which has been served as an important foundation for painting in this era of change. The pigments of the two regions, the central east of HeXi and JiuQuan, are already mentioned in the previous paper, so this study is limited to reviewing DunHuang, the west end of HeXi. During Wei & Jin Dynasties, the area of DunHuang gave clearer recognition of the phenomenon of changing the hub of coloring culture from the eastern to the western part by introducing the different colors including not only black, white, red, and navy but also yellow and 魏晉 및 16國時代 敦煌地域의 顔料 213 brown than HeXi region did then. In addition, it also identically confirmed the pigment's expanding trend of the local region or the west, which had been continuously developed in Hexi region since Han Dynasty. In this region, the murals of a burial chamber and a Buddhist stone cave uniquely unveiled different types of pigments from each other over the sixteen Kingdoms age. On one hand, it is unique to see that the burial chamber's murals kept most of the pigments of Wei & Jin Dynasties although the atmosphere of creating murals was significantly contracted at that time. In other words, it has become an indispensable material for understanding the supply and demand system of pigment in HeXi region by showing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ose seen in the nearby Jiu Quan. On the other hand, the Buddhist stone wall paintings newly revealed a considerable number of pigments different from those unveiled in HeXi region until Wei & Jin Dynasties, distinguishing themselves from the burial chamber's. Moreover, various ways of mixing pigments led to a different coloring method than the previous and in particular, it hinted a changing trend, the "common use" of pigments by not unveiling a big dissimilarity from those of the Buddhist stone murals of other regions such as LanZhou and TianShui during sixteen Kingdoms age. Even though the previous studies did not pay attention to such changes of pigment types and supply and demand patterns witnessed in DunHuang over the Wei & Jin Dynasties as well as the sixteen Kingdoms age, these contents are likely to be used as critically important grounds as well as foundations for analysis in order to understand coloring patterns and change of the painting expression by region. 河西지역은 위진시대에 이르러 중원지역 벽화가 본격 조성되면서 이전과는 전혀 다른 미술문화의 토대를 갖추기 시작하였고, 16국시대에는 서방에서 불교석굴벽화 등이 새롭게 유입되면서 예술 트렌드를 다시 한번 전환시켜간 지역이다. 즉 묘실벽화 위주로 전개되던 미술 트렌드를 불교석굴벽화 위주로 전환시키면서 주제는 물론이고 회화 제작 공간의 커다란 변화를수반한 지역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의 시대에 회화 제작의 중요한 토대로 작용하였을 안료에 관하여 종류의 변화 및 쓰임 양상을 검토하고자 한 것이다. 하서 중동부지역과 주천지역 안료에 관하여는 이미 선행 연구를 통해 밝힌바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하서 서단(西端)의 돈황지역에 한정시켜 검토를 진행하였다. 위진시대 돈황지역은 흑, 백, 홍, 남 등을 포함하여 황, 종 등의 안료를 출현시키면서 위진시대 하서지역에서 보여준 동부지역에서 서부지역으로의 채색 문화 중심지 이동 현상을 보다분명하게 인식시킨다. 뿐만 아니라 한대 이래 하서지역에서 줄곧 전개시켜온 해당 지역 혹은서방 지역 안료의 확대 경향도 동일하게 드러낸다. 16국시대 돈황지역은 묘실벽화와 불교석굴벽화가 서로 다른 계통의 안료를 출현시킨 점이큰 특징으로 나타난다. 묘실벽화의 경우 벽화 조성 분위기가 크게 위축된 상황에서도 위진시대에 출현시킨 안료의 대부분을 그대로 지속시켜가는 모습을 특징으로 내보인다. 즉 인근 주천지역에서 보여준양상과 동일한 모습을 내보임으로서 하서지역 안료 수급 체계의 이해에 간과할 수 없는 자료를 제공한다. 이에 비해 불교석굴벽화는 하서지역에서 위진시대까지 출현시키지 않던 안료의 상당수를새롭게 출현시킴으로서 묘실벽화와는 차별화된 모습을 드러낸다. 뿐만 아니라 안료 간 다양한 혼합을 통해 이전과는 다른 조색(調色) 방법을 출현시키고, 특히 난주 및 천수 등 16국시대다른 지역 불교석굴벽화의 안료와 큰 차이를 드러내지 않음으로서 안료의 ‘공용’이라는 변화된 흐름도 읽게 한다. 기존 연구는 위진 및 16국시대에 걸쳐 돈황지역에서 보여준 이와 같은 안료 종류의 변화및 수급 양상에 주목하고 있지 않지만 지역별 채색 양상과 회화 표현법 변화를 이해하고자할 경우 이러한 내용은 매우 중요한 분석의 근거이자 기초로 기능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魏晉및 16國時代河西地域의 교역기반 - 서역경영 및 소그드인의 활동을 중심으로 -

        金炳模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7 동방학 Vol.36 No.-

        본 연구는 魏晉및 16國時代河西지역의 교역기반에 관하여 西域經營 및 소그드인의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검토 결과 위진시대 하서지역은 중원문화의 유입 및 발전이 심화되고 중앙아시아 소그드 상인의 유입 및 활동도 크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된 다. 특히 대 서방 교역 거점으로서 돈황의 새로운 대두 및 역할이 간과 할 수 없는 특징으로 나타난다. 16국시대 하서지역은 중앙정부에서 이탈한 지방정권의 대두가 무엇보 다도 주목되며, 이들의 남다른 교역 의지 역시 교역기반 파악과 관련하 여 간과할 수 없는 요인으로 나타난다. 특히 위진시대에 주목을 받기 시 작한 돈황은 16국시대를 거치면서 刺史의 治所로서, 그리고 國都로서 발 전을 거듭하며 하서지역 교역을 주도하는 핵심 거점의 하나로 새롭게 자리매김하고 있다. 16국시대 하서지역은 전량, 전진, 후량, 서량, 북량 등 여러 정권의 지 배를 거치지만 교역기반의 전체적인 흐름은 위진시대에 비해 훨씬 견고 하고 발전적인 양상으로 진일보하며, 소그드인의 유입 규모와 활동 지 역 역시 위진시대에 비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특히 상당 규 모로 일가를 이루어 새로운 분야 및 지역으로 진출을 확대해가는 모습도 확인된다. This study analyzes the trade foundation of the HeXi Region of Wei & Jin Dynasties and sixteen Kingdoms of China focusing on the opening up the countries to the Western Regions and the activity of Sogdians. During the Wei-Jin Era, the Hexi Region saw intensified influx and development of central culture an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activities and influx of merchants from the Central Asia Sogdiana. Especially, the Western Regions as the trading hub, the new rise and role of Dunhuang is a feature that cannot be overlooked. Above all, the rise of local governments deviating from the central government of the Sixteen Kingdoms Era in the Hexi Region is noticeable, and their understanding in relation to the trade foundation is an exceptional factor that cannot be overlooked. In particular, Dunhuang which had begun to attract attention in the Wei-Jin Dynasties Era newly established itself as the core of trade in the Hexi Region as administrative capital of local government through Sixteen Kingdoms Era, and developed again as the national capital. Though the Sixteen Kingdoms Era was governed by many regimes like Former Liang Kingdom, Former Qin Kingdom, Later Liang Kingdom, Western Liang Kingdom, Northern Liang Kingdom, etc, and the overall flow of the trade foundation was much more strong and progressive in developmental aspects than the Wei-Jin Dynasties Era, also, it is found that the influx size of Sogdians and their activities in the region increased significantly in comparison to Wei-Jin Dynasties Era. Especially, there was expansion into new fields and regions with the substantial increase in scale of family relations.

      • KCI등재

        기업의 현금자산과 투자의 헷징 필요성

        김병모 한국자료분석학회 201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4 No.6

        본 연구는 기업들이 보유하고 있는 현금자산이 투자효율성에 미치는 효과와 기업들의 투자 헷징 필요성과의 연관성에 대한 실증적 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헷징 필요성에 따라 구분된 두 그룹 간에 현금자산의 투자효율성 개선 효과를 비교한다. 헷징 필요성은 당해 유입되는 영업현금으로 필요한 투자자금을 충족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표본기간 즉, 2001년부터 2007년까지의 각 기업의 수익성과 투자기회와의 상관계수로 측정한다. 추정된 상관계수가 작은(큰) 기업은 상대적으로 투자 헷징의 필요성이 높은(낮은) 기업임을 의미한다. 분석 결과 헷징 필요성이 적은 그룹에 비하여 큰 그룹에서 현금자산의 역할 즉, 투자 자본으로 사용되어 투자기회를 충족시키는 효과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지금껏 현금자산의 투자 안정성 개선에 대한 논의가 있어왔으나 그 영향이 헷징 필요성이 큰 기업에게서 두드러짐을 검증한다는 점에서 이전 연구들과의 차별점이 있다. 그리고, 현금자산이 기업 가치를 증진시킨다는 기존 결과들과 연계하여 생각한다면 본 연구의 검증 결과는 대리인비용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현금을 축적하는 기업들의 행태에 대한 이유의 하나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corporate cash holdings on investment hedging. This effect is tested by compar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cash and investment efficiency between two groups based on corporate hedging needs. Hedging needs are defined as the extent to which investment opportunities a firm faces are aligned with the firm's operating profitability. Cash is expected to be more useful in helping investment efficiency in the firms with high hedging needs where extra funds are necessary to satisfy investment opportunities the firms have. The results suggest that cash holdings improve corporate investment efficiency especially in the firms with high hedging needs rather than in the firms with low hedging needs, consistent with the hypothesis of this paper. This evidence helps us understand why many firms hold large cash which is unprofitable and associated with agency problems.

      • KCI등재

        조선시대 어교(魚膠) 생산지와 산출 어교 -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

        김병모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22 동방학 Vol.- No.47

        본 연구는 『세종실록』 지리지를 포함하여 『경상도지리지』, 『경상도속찬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등 조선시대 각종 지리지에 기록된 어교 공납과 각 군현별 산출 어종에 대한 내용을 토대로 어교 생산지와 산출 어교에 관해 검토를 진행한 것이다. 경상도 지역의 어교 생산지는 『세종실록』 지리지에서 언급한 어교 분정 지역 이외에 다양한 지역이 생산지로 상정되었다. 즉 분정 대상으로 언급된 동래현, 김해도호부, 창원도호부, 고성현, 사천현, 진해현 이외에 경주부, 울산군, 기장현 등이 생산지로 추가 파악되었다. 이외에 바다에 인접한 여러 군현 역시 생산 가능성이 매우 높은 지역으로 고려되었다. 뿐만 아니라 내륙에 위치한 군현 역시 어교 생산을 일정하게 고려해야 하는 경우들을 상당수 포함했다. 산출 어교의 경우 일반적으로 기대하는 민어교의 상정을 개진하기 어려웠다. 그 다음으로 기대되는 석수어교의 경우도 진주목 관할 군현에 한정해서 고려되었다. 대신 산출 어종 및 기타 지역에서 전개된 제조 사례 등을 토대로 연어교, 해삼교, 은어교 등의 산출 가능성을 새롭게 상정했다. 이상의 검토 내용은 예상했던 것과 상당히 다른 것으로서 향후 기타 지역의 어교 생산지와 산출 어교에 관한 연구를 진행할 경우 간과할 수 없는 연구 시각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조선시대 어교 생산지와 산출 어교에 대한 담론 구조 및 경계를 새롭게 하는데도 일정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회귀 분석에 기반한 3차원 엮임 재료의 최적설계

        김병모,심기찬,하승현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22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35 No.6

        본 논문에서는 3차원 엮임 재료의 유체투과율 향상을 목적으로 수치해석 데이터 기반의 물성치 회귀 분석 및 최적설계를 소개한다. 우선 3차원 엮임 재료를 구성하는 와이어 사이의 간격을 결정하는 배율 계수를 매개변수화하여 다양한 배율 조합을 가지는 수치 모델을 생성하였고, 전산 수치해석을 통해 계산된 각 모델의 체적 탄성계수, 열전도 계수, 유체투과율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항식 기반의 회귀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사용해서 체적 탄성계수와 유체투과율 사이의 다목적함수 최적설계를 통한 파레토 최적해를 도출하였으며, 두 물성치가 서로 상충 관계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3차원 엮임 재료의 열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유체투과율을 최대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경사도 기반 최적설계를 수행하였고, 제약조건인 체적 탄성계수의 크기별 유체투과율의 변화율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설계자가 원하는 최소한의 강성을 가지는 최대 유체투과율 설계 모델을 얻어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회귀 방정식을 통해서 얻어진 설계가 높은 정확도를 가지고 있음을 추가적으로 검증하였다.

      • KCI등재

        국가 수취 대상으로서 조선시대 膠의 분류

        김병모 동아시아고대학회 2021 동아시아고대학 Vol.- No.64

        본 논문은 조선시대 지리지 가운데 전국적 貢物 分定 상황 및 산출품에 관한 가 장 체계적이고 세분화된 분류 체계를 보여주는 세종실록 지리지 물산 항목을 중 심으로 국가 수취 대상으로서 膠의 분류 특징에 관해 검토를 진행한 것이다. 조선시대 교의 수취는 조선시대 제조, 생산된 15여 종의 교 전체를 대상으로 하 지 않고 어교, 아교, 녹각교 등 일부만을 대상으로 했다. 그리고 국가 수취 대상으 로서 이들 어교, 아교, 녹각교의 분류는 토지세, 토질에 적합한 재배 작물, 특산품 등과 같은 영역보다는 정기적, 비정기적으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공납 물품 분야에 집중했다. 아울러 그러한 분류 분야의 선택에 있어서 각 교의 용도를 있는 그대로 반영하기보다 국가 수취 대상으로서 특정한 관점과 인식이 적극 고려되는 선택적 분류를 보다 적극 고려했다. 나아가 국가 수취 대상으로서 교의 분류는 특정 지역의 산출 여부만을 고려하는 단선적, 획일적 방식으로 진행된 것이 아니라 각 지역이 처한 공물 부담, 수송 여건, 국가 수요에 부응하는 안정적이고 원활한 수취 등의 문제를 다양한 맥락에 서 고려하는 유기적, 차별적 방식으로 진행했다. 국가 수취 대상으로서 교에 반영된 이와 같은 분류 특징은 향후 조선시대 교의 산출지 문제는 물론이고 생산 주체 및 특징 등을 검토하는데 중요한 기초 및 근거 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reviewed the classification characteristics of glue as a product received by the state, focusing on the Geography Section of the Annals of King Sejong, which shows the most systematic and detailed classification system for national tribute items and outputs among all geographic books of the Joseon Dynasty. When it comes to glue items as the objects collected during the Joseon Dynasty, not all 15 kinds of glue produced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subject to the record, but only some glues, such as fish glue, animal glue, and antler glue, were targeted during the period. These adhesives, which are objects received by the state, were public goods collected in various ways, either regularly or irregularly, compared to other tribute items such as land tax, crops cultivated suitable for soil quality, and specialty items. Notably, rather than simply reflecting the use of each adhesive as it was when selecting an adhesive as a tribute, selective classification in which specific perspectives and recognition at the time when tributes were decided were actively considered as items received by the state. Furthermore, the classification of adhesives, as tribute items received by the state, was not carried out in a single-line and mindless manner, but in a holistically organic and regionally discriminatory manner, addressing issues such as the burden of tribute, tribute-specific transport conditions, and stable and smooth collection in line with the then national demands.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fication reflected in adhesives as items collected by the state are anticipated to serve as important basic data and evidence for follow-up studies and review on who were producers of adhesives and their features as well as issues related to adhesive production sites during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

        시스템 일반화 적률법을 이용한 자본구조 조정 속도의 추정

        김병모 한국자료분석학회 2015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7 No.2

        본 연구는 기업이 목표 자본구조와 현재 자본구조와의 거리를 좁히려 한다는 가정 하에서, 이론이 제시하는 동적 모형을 이용하여 자본구조의 조정 속도를 추정한다. 동적 패널 모형의 경우 종속 변수의 이전 기의 값이 설명변수에 포함되는데 이는 오차항과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를 고려하지 않는 추정법을 이용하면, 계수값에 Nickell(1981)이 제시한 하향 편의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통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Blundell, Bond(1998)가 제시한 2단계 시스템 일반화 적률법을 이용하여 조정 속도를 추정하며 그 결과를 고정효과만을 고려하여 추정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검증 결과, 우선 개별 기업의 부채비율에는 시계열적으로 평균회귀 성향을 가지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에 근거하여 추정된 자본구조 조정 모형의 추정결과에 따르면, 두 추정 방법을 사용한 경우 모두 표본 기업들은 목표 부채비율을 향해 현 부채비율과의 괴리의 일부를 유의적으로 조정하고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는 상충이론을 뒷받침하는 결과이다. 그러나 고정효과분석을 사용한 경우에는 이전 기 부채비율의 계수값이 시스템 일반화 적률법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낮게 추정되어 조정 속도의 과대평가를 유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동적 특성이 있는 패널 자료를 다루는 경우 이를 고려한 통계적 방법의 선택이 중요함을 나타내는 결과로서 Baltagi (2008)의 주장과 일관된 것이다. This paper estimates the capital structure adjustment speeds toward target debt ratio. The relatedness between lagged dependent variable and the error term in the dynamic adjustment model of capital structure causes a statistical estimation problem known as Nickell's (1981) bias. To identify this problem, we compare the adjustment speed estimated using Blundell, Bond (1998) 2-step system GMM with that estimated using fixed effects regression. We find that firms with high debt ratio are likely to decrease it. The result suggests that debt ratio has a mean-reverting pattern and justifies the partial adjustment model of capital structure which includes the lagged dependent variable as one of explanatory variables. The result from either estimation method shows that firms partially adjust their debt ratio toward target capital structure. However, the coefficient of lagged debt ratio obtained using fixed effects regression is shown to be biased downward and leads to overestimate the partial adjustment speed. It suggests that a choice of econometric method is important in dealing with dynamic panel data, consistent with Baltagi (200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