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퇴계문학(退溪文學)의 지각논(知覺論) 수용(受容) 연구(硏究)

        김병권 ( Kim Byeong-kweon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6 退溪學論叢 Vol.28 No.-

        退溪의 詩에서 대부분의 소재는 물이 흐르고, 꽃이 피며, 바람이 불고, 새가 나는 자연이다. 이런 退溪의 시를 어떻게 읽고 무엇을 느껴야 하는가? 이 문제는 기본적으로 退溪가 시를 창작한 경험에 근거하여 해결해야 한다. 退溪는 도산서당 주변의 자연과 사물이 저절로 마음에 즐거움을 주는 것이 얕지 않았으며, 이 즐거움을 말하지 않을 수 없어서 시를 지었다고 전한다. 이 내용은 마음이 즐거움을 知覺하였다는 뜻이다. 이 지각은 退溪가 시를 지었던 중요한 동기이면서 의미 있는 창작 경험이다. 그래서 退溪의 시를 知覺論의 관점에서 읽고 이해할 필요가 있다. 먼저 마음이란 무엇인가? 退溪는 마음의 전체가 지극히 虛하고 고요하여 마치 거울이 사물을 비추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이 설명은 간단한 말로써 표현하고 있지만 그 뜻은 예사롭지 않다. 마음이 허하고 고요하다는 말은 마음의 구조이고, 사물을 비춘다는 말은 마음의 기능이다. 그래서 마음은 사물을 지각하는 주체이다. 다음으로 마음에 저절로 준 즐거움이란 무엇인가? 退溪는 학문에서 理를 탐구하는 일이 중요하며, 理가 밝으면 책을 읽든, 일을 만나든, 어디로 가든 걸림이 없음을 강조한다, 그래서 즐거움의 본질은 사물 자체의 아름다움일 수 있으나, 그 사물을 사유하고 지각한 理라고 보아야 한다. 사물에 내재한 理가 지각의 대상이다. 마지막으로 마음이 어떻게 사물의 理를 있는 대로 지각할 수 있는가? 退溪는 마음에 만약 어떤 사물이 달라붙으면 虛明하고 靜一한 기상을 가질 수가 없다고 하였다. 마음에 달라붙은 사물은 물욕을 비유한 것이다. 물욕으로 혼탁해진 마음을 깨끗하고 또렷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물욕을 버려야 한다. 물욕을 버리는 한 방법이 敬이다. 敬을 유지하면 욕심은 줄어들고 이치는 맑아진다. 그래서 持敬은 사물을 있는 대로 보고 그 理를 지각하도록 마음을 성찰하는 방법이다. 退溪의 마음에 저절로 준 즐거움은 자연과 사물에서 지각한 理이며, 退溪는 이 理를 지각한 즐거움을 시에서 표현했던 것이다. 다시 말하면 理를 지각한 학문은 體이고 理를 지각한 즐거움을 표현한 문학은 用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마음이 사물을 지각한 학문과 문학은 둘이면서 둘이 아니라고 보아도 좋을 듯하다. 따라서 退溪가 도산서당에서 자연의 이치를 지각하고 그 이치가 마음에 준 즐거움을 시에 표현했던 창작 경험은 『陶山雜詠』의 시를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이 되리라고 믿는다. A main theme in Toegye`s poems is the nature with water flowing, wind blowing, and birds flying. How should we read and feel Toegye`s poems? This question should be addressed based on Toegye`s experiences of creating poems. Toegye stated that he created poems to share his experience of the naturally occurring pleasure that was derived from the nature around Dosanseodang(陶 山書堂). This indicates that the naturally occurring pleasure was perceived in Toegye`s mind, which, importantly, motivated him to create poems. Thus, Toegye`s poems should be understood from a perspective of a theory of perception. First, what is the mind? Toegye profoundly considered the mind as entirely empty and calm in a similar way that a mirror reflects things. The mind described as empty and calm is related to the structure of the mind, while the mind portrayed as reflective is related to the function of the mind. In this respect, the mind is the main agent of perceiving things. Next, what is the pleasure that naturally occurs to the mind? Toegy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xploring Li(理) in study because if people perceive Li(理), they will not have any obstacles in their way. Although the pleasure may simply be derived from the beauty of things, more profoundly, it may also be Li(理) on grounds of contemplating and perceiving things the way they are. Last, how can the mind perceive Li(理) the way it is? Toegye believed that if things are attached to the mind, the mind no longer has the spirit of brightness and calmness. These things attached to the mind are worldly desires. To make the mind clear and lucid, worldly desires should be discarded. When Jing(敬) is maintained, Li(理) becomes clear and worldly desires decrease. Thus, to maintaining Jing(敬) is to perceive Li(理) the way it is. In all, in his poems Toegye expressed Li(理) that he perceived from the nature, which was the pleasure itself that naturally occurred to his mind. Essentially, Toegye`s studies concerned the way in which he perceived Li(理), and such perception of Li(理) was also expressed in his literacy work. Thus, it seems that Toegye`s studies and literature did not comprise two different areas, but centered around a single theme of perceiving Li(理).

      • KCI등재

        퇴계(退溪)의 자통해(自通解) 학습(學習) 연구(硏究)

        김병권(Byeong Kweon Kim) 퇴계학부산연구원 2011 퇴계학논총 Vol.18 No.-

        退溪 李滉 선생은 만년에 陶山書堂을 완공하고 심신을 수양하면서 진리를 탐구하고 제자를 교육하는 데 전념하였다. 퇴계가 학문을 연구하고 제자에게 교육한 학습의 특성은 무엇일까? 퇴계의 학문과 교육에서 중요한 학습의 특성은 自通解이다. 自通解는 알지 못하였던 내용을 학습하여 스스로 통하고 이해하게 된다는 뜻이다. 自通解에 이르는 학습은 자율적이어야 한다. 자율적 학습은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 목표를 세우고, 공부할 내용을 학습하며, 학습한 결과를 평가하는 활동이다. 이러한 자율적 학습은 공부를 하면서 일어나는 의문을 스스로 해결할 수있는 분석력과 논리력을 창의적으로 기를 수 있도록 한다. 현재의 학교 교육에서는 진학을 위한 성적 위주의 교육, 사교육에 의존한학습, 인간성을 상실한 학교 폭력, 그리고 오락에 몰입한 생활 등의 여러 문제들이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학교 교육은 학습자가 교육의 진정한 목적을 이해하고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과 창의력을 기르는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이런 시점에서 自通解에 이르는 퇴계의 학습 과정과 활동은 사교육에 의존하지 않는 학교 교육 정상화과 학교 교육을 마친 후의 평생 교육을 모색하는 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It has been 450 years since Lee Hwang(1501~1570), whose pen-name was Toegye, the greatest Confucian during the Chosun dynasty, established Dosan-seodang where he devoted himself to developing himself physically and mentally, seeking the truth, and educating his disciples. Dosan-seowon was built by Toegye's followers in recognition to his spirit and achievement in a field of study. What Toegye emphasized in seeking the truth and educating his students was Jatonghae, meaning to understand unknown knowledge by studying for himself. The way to lead to leaning of Jatongrhae should be autonomous. Autonomous learning is for students to set up a goal for studying by themselves, learn what they study, and evaluate the results of learning. The autonomous learning enables students to creatively develop their analytic and reasoning skills to solve problems that occur in studying. Nowadays, there are several drawbacks of school education in the excessively competitive society, such as studying only for entering university, relying heavily on private education, and losing of humanity. To overcome these problems, school education has been concentrating on changing its direction into self-directed learning in which students understand the ultimate goal of education and develop their creativity. At this point, Toegye's learning processes and activities leading to Jatonghae will be of great significance to normalize public education and realize lifelong education.

      • KCI등재

        「욱면비면불서승(郁面婢念佛西昇)」의 불교문화적 담론 연구

        김병권 ( Kim Byeong-kweon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19 퇴계학논총 Vol.34 No.-

        삼국시대에 佛敎가 전래된 이후 그 가르침은 위로는 왕실에서 아래로는 일반 백성들에게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전파되었다. 불교의 전국적 전파과정에서 형성되었던 불교 說話를 『三國遺事』에서 읽을 수 있다. 특히 「郁面婢念佛西昇」, 「廣德 嚴莊」, 「南白月二聖 努肹夫得 怛怛朴朴」 등은 衆生의 極樂往生을 소재로 한 작품이다. 이 작품들은 불교의 民衆敎化와 중생의 死後에 대한 期待를 살피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본 연구의 대상 작품은 불교의 彌陀信仰을 반영하여 형성되었던 「郁面婢念佛西昇」이며, 鄕傳과 僧傳으로 구성되어 있다. 향전은 修行을 돕는 일을 하던사람[知事者]이 戒를 받지 못해 축생도에 떨어져 부석사의 소로 환생하고, 소는 등에 실어 나르던 佛經의 힘을 입어 다시 인간세계에 여자 종으로 태어나며, 이 여자의 이름이 郁面이라고 전한다. 그리고 향전은 郁面이 주인의 천대와 멸시를 견디며 자기 신분의 한계와 몸의 고통을 잊고 염불하여 마침내 極樂往生하였음을 전하는 이야기다. 본 연구에서는 인과론적인 생사윤회와 彌陀信仰의 極樂往生에 대한 불교문화적 담론을 살펴보았다. 郁面의 생사윤회와 極樂往生談은 신비체험을 통해 중생들을 교화하기 위한 假說 方便이다. 한편 불교 수행을 통하여 멸시와 천대를 견디는 忍辱과 몸을 잊어버린 無我를 통해 自性의 청정함을 깨달아 진정한 自由와 영원한 幸福을 이룬다는 가르침은 불교 교리의 實談이다. 현실세계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너와 나 사이에 갈등하고 대립하는 모순의 세계이다. 이 세계에서 자유와 행복을 얻기 위해서는 천대와 멸시를 견디며 몸을 잊어야 한다. 또한 나와 너, 있음과 없음, 옳음과 그름의 분별로 인한 집착과 相을 초월하여야 한다. 「郁面婢念佛西昇」의 불교문화적 담론은 무절제한 소유욕과 분별로 인한 갈등과 대립이 만연한 오늘날의 현실에 시사해주는 바가 크다. The Samguk Yusa includes Buddhist folk tales that were delivered by word of mouth in the Silla era. These folk tales are important data for analyzing how Buddhism’s popularization and cultural imagination were related to the Silla people’s expectations for the future. The current study focuses on Wukmyenbiyembwulsesung(one of the folk tales in Samguk Yusa), which was created on ground of Buddhism's Mita faith. The protagonist is a female servant named Wukmyen. In her past life, she was a cow in Buseoksa which carried Buddhist texts. Thanks to carrying Buddhist texts, she was reborn as a servant In the human world. By enduring her master's contempt and practicing Buddha-chanting, Wukmyen was able to reach the Buddha Land. From a Buddhist perspective, this study analyzed meanings of cultural discourses of Wukmyenbiyembwulsesung, focusing on the process of reincarnation (birth, death and rebirth) and the Silla people’s aspiration to go to the Buddha Land. Wukmyen’s story is a hypothetical one that was mainly used to enlighten the people about reincarnation and the Buddha Land. It also reflects the Buddhist doctrine that true freedom and eternal happiness can be achieved by realizing the purity of one’s self, enduring contempt, and practicing selflessness. The real world consists of conflict between the other and the self across time and space. To have freedom and happiness in the world, one should endure contempt and practice selflessness. Thus, the meanings of cultural discourses of Wukmyenbiyembwulsesung have important implications to the contemporary world.

      • KCI등재

        기획논문 : 퇴계학과 퇴계학파 ; 퇴계(退溪) 문학(文學)의 학문적(學問的) 지향(志向) 연구(硏究)

        김병권 ( Byeong Kweon Kim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4 퇴계학논총 Vol.24 No.-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의 학문은 주자학을 계승한 성리학이라고 평가된다. 그리고 그의 학문은 시를 창작한 연원이 되었고, 많은 작품에서 그것을 읽을 수 있다. 퇴계의 학문은 파급력을 가지면서 퇴계학파라는 큰 맥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퇴계는 학문이 이(理)를 다함을 귀하게 여겼으며, 학문의 방법은 주자학을 계승하였고, 학문의 목적은 이치를 궁구하고 본성을 다하여 천명에 이르는 데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퇴계학에 대한 연구는 국내에만 한정되지 않고 일본, 대만, 중국, 그리고 미국에까지 확산되고 있다. 퇴계는 길가의 풀 한 포기나 산 속에 있는 옹달샘이나 우물에서도 자연의 이치를 발견하였으며, 자신이 지향해야 할 가치를 모색하였다. 그리고 물고기나 솔개를 통해서 자연의 이치를 사색하고 사람이 지녀야 할 본성을 탐구하였다, 이처럼 퇴계는 자연을 통찰하여 그 이치를 탐구한 즐거움을 여러 시 작품에서 표현하였던 것이다. 그 대표적인 시 작품들이 도산서당에서 학문을 연구면서 지었던 시들을 모은 「도산잡영(陶山雜詠)」에 전해지고 있다. 따라서 퇴계에게 학문과 문학은 둘이 아니었음을 쉽게 이해하게 된다. 퇴계의 문학은 그 자체만으로도 충분한 연구 가치가 있다. 그렇지만 한편으로는 퇴계학의 현대화와 세계화를 위한 방향으로 연구되어야 할 필요도 있다. 그리고 퇴계는 스스로 지향했던 학문을 문학 창작에 어떻게 활용하고 표현했는지에 대한 연구가 절실하다고 하겠다. Toegye Yi Hwang`s scholarship has been evaluated as Neo-Confucianism in succession to the doctrines of Chu-tzu. Chu-tzu`s scholarship was a crucial source for Toegye to create his poems, as shown in a wide range of his work. As Toegye`s scholarship gained a considerable academic influence, the Toegye school was formed as one of the main schools during Chosun Dynasty. Toegye valued to pursue the natural law and followed Chu-tzu`s scholarly methods. For Toegye, a primary goal for scholarship was to achieve reasoning, seek the human nature, and aspire to the heavenly mandate. Research on Toegye has not only been diffusing in Korea, but also been widespread all around the world including Japan, Taiwan, China, and the US. Toegye discovered the order of nature through one clump of grass on the street and a spring in the mountain, exploring his values that he attempted to follow. He also contemplated the order of nature and sought to the human nature through fishes and kites. Toegye`s Dosanjobyoung included his representative poems that he create in the pursuit of scholarship in the Dosanjobyoung. Thus, for Toegye, scholarship and literature merged together. Toegye`s literature has substantial research values by itself. By extension, studies will need to aim for modernization and globalization of Toegye Study. Finally, researchers should explore how Toegye expressed his thoughts in the process of his creation of literary work.

      • KCI등재

        〈열녀춘향수절가〉 구성의 주역적 원리 연구

        김병권(Kim Byeong-Kweon) 한국문학회 2007 韓國文學論叢 Vol.47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Faithfulness Story of Virtuous Woman, Chun-hyang", which is the Wanpan(完板) Woodblock Edition of Chunhangjun, and to find a method of the exposition in the thinking system of the Book of Change(周易).<BR>  First of all, I identified that the meaning of Chun-hyang Seong and Mong-Rowong Lee, the names of main characters in Chunhangjun, implied SooPoongJungKwae(水風井卦) represented water and wind.<BR>  The second, by comparing the constructive steps of the work with the Lines(爻) of SooPoongJungKwae(水風井卦), I found that six steps of the work were connected with six Lines of SooPoongJungKwae(水風井卦).<BR>  Finally, With studying the principle of main subject based on the meaning of SooPoongJungKwae(水風井卦), I Explained that this work comforted the people"s hard life and the enlightenment to encourage them was spread throughout the country. So I recognized that this work expressed the realization of the royal regime for the people.<BR>  You can find two meanings here. The first point is that the way of understanding and analyzing Chunhangjun are based on the contents of itself. The second point is that names of its characters, steps of its composition and its subject are expressed based on the thinking system of the Book of Change. I believe that these of views and studying method will be a foundation to make a formation theory of Korean classical novels.

      • KCI등재

        신라 노래 <풍요>의 문화적 담론 읽기

        김병권 ( Kim Byeong-kweon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8 퇴계학논총 Vol.31 No.-

        <풍요(風謠)>는 신라시대에 사람들이 노래했던 향가의 한 작품이다. 성 안의 시주들은 양지(良志) 스님이 재(齋)를 지낼 때에 비용을 보시(布施)하였고, 성 안의 남녀들은 장육상(丈六像)을 만드는 일에 진흙을 다투어 날랐으며, 진흙을 나르면서 불렀던 노래가 <풍요>이다. 불교는 깨달음의 종교이며, 중생도 깨달으면 부처라 한다. 불교교리는 정해진 법이 있어서 깨달음을 이루는 것은 아니라고 가르친다. 한편 신라인들은 노래를 숭상한지 오래되었고, 노래가 천지와 귀신을 감동시킨 일이 한두 가지가 아니었다고 전한다. 이와 같은 시각에서 <풍요>를 불렀던 당시 사람들의 불교문화 담론(談論)을 읽을 수 있다. <풍요>에서 사용한 어휘가 ‘오다’와 ‘서럽다’와 ‘의내[중생]’와 그리고 ‘공덕닦다’이다. 이 어휘들은 단순하지만 불교의 중요한 개념어이다. 오다는 생사의 윤회에서 해탈하지 못하고 전생(前生)에서 금생(今生)으로 온다는 뜻이다. 중생은 고정관념에 집착하여 진리를 깨닫지 못한 사람이다. 서러움은 괴로움에서 일어나는 정서이다. 괴로움은 인과응보에 따른 업장(業障), ‘나’의 고정된 관념에 집착하는 무명(無明)과 그리고 실상(實相)을 있는 대로 보지 못하는 무지(無知)에서 일어난다. 수행인은 내가 없음을 알고 남에게 멸시를 당하더라도 분노를 참을 수 있음으로써 공덕(功德)을 성취한다. 이러한 공덕을 닦는 일은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재물을 보시한 복덕보다 훨씬 뛰어나며, 깨달음을 얻는 수행이다. 따라서 <풍요>는 전생에서 금생으로 온 중생들이 괴로움을 소멸하고 깨닫기 위해 공덕을 닦는다는 작품이다. 이러한 <풍요>의 의미에서 두 가지 담론을 읽을 수 있다. 첫째는 노래를 지은이가 괴로움을 소멸한 깨달음이 재물을 보시한 복덕에 있지 않고 무아를 알며 분노를 참는 공덕에 있음을 교화(敎化)한 담론이다. 둘째는 중생이 <풍요>를 노래한 일은 염불(念佛) 또는 참선(參禪)을 하듯이 믿는 마음을 맑게 하여 깨달음에 이르려는 수행 담론이다. 따라서 <풍요>의 내용은 선지식이 업장 또는 무명 또는 무지의 괴로움을 겪고 있는 중생을 교화하려는 담론이며, 노래 부르기는 깨달음을 얻기 위해 공덕을 닦는 수행 담론이다. < Pungyo(風謠) >, the focus of this study, is one of the Hyangga(鄕歌), which was sung by people in the Silla Dynasty. Pungyo was written in Yangjisaseok(良志使錫) of Samgugyusa(三國遺事). According to Yangjisaseok, the Silla people offered a monk with Buddhist alms needed for Buddhist services and carried mud needed to make a statue of the Buddha. Pungyo was sung when the people carried mud. In this respect, in order to understand literary values of Pungyo, it is important to conduct a contextual reading of Pungyo from a Buddhist perspective. Words used in Pungyo were understood in Buddhist contexts. ‘To come’ seems to indicate a rebirth from a past life to a current life within the eternal cycle of birth, death, and rebirth. ‘Sadness’ indicates a feeling of sufferings, which come from the four phases of life (i.e., birth, old age, sickness, and death) and being ignored. These sufferings are experienced by the common people who have not reached spiritual enlightenment. ‘Practicing Buddhist-merits(功德)’ means to engage in practice(修行) to remove any delusions(妄想) on one’s mind and be enlightened. Thus, Pungyo was sung with the hope of being enlightened by practicing Buddhist merits of self-effacement(無我) and endurance(忍辱) to remove sufferings. Based on these meanings of the words in Pungyo, two discourses are implied. First, the author of Pungyo constructed a discourse that spiritual enlightenment, which arises after removing sufferings, is derived not from ‘fortune(福德)’ of offering worldly goods, but from ‘Buddhist-merits(功德)’ of being aware of self-effacement and controlling anger. Second, the author constructed the other discourse that singers of Pungyo were encouraged to engage in practice(修行) in order to be enlightened and remove sufferings by singing it in a manner similar to working, relaxing, sitting, lying, chanting Buddhist prayers, or mediating(參禪). Sakyamuni taught that Buddha can be one of the common people if unenlightened, while one of the common people can be Buddha if enlightened. Pungyo is a work which expressed a discourse in a literary form with the purpose of enlightening the common people, who experience sufferings, based on Sakyamuni’s teaching. One of the literary values of Pungyo lies in the common people’s singing it and engaging in practice with the hope of being enlightened.

      • KCI등재

        소대성전 창작의 수리성명학적 연구

        김병권(Kim Byeong-kweon) 동남어문학회 2005 동남어문논집 Vol.19 No.-

        The name of the main character So Dae-seong in 〈The Tale of So Dae-seong〉 implies a person who would be able to bring glory to the royal family history. The name gives us a clue to understanding the roots of the plot. Naming a person in accordance with certain rules and telling the person's fortunes by analysing the name are part of cultural practices in Ko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inciples behind the creation of 〈The Tale of So Dae-seong〉 from the name numerology point of view. First, this essay examines the life cycle of a person whose name is So Dae-seong based on the name interpretation. So Dae-seong is destined to go through an ordeal in his childhood such as growing up in an unhappy family, experiencing a breakup of a couple and dying young. In adolescence, he would obtain authority and fame by achieving a great work. So Dae-seong, in his middle age, would clean up the past and make a new progress and then, he would enjoy health and longevity with everything going well in his later years. Next, this essay draws a comparison between the life of the main character So Dae-seong described in the 〈The Tale of So Dae-seong〉 and the above mentioned life cycle, which i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name So Dae-seong in general. The hero in his childhood faces parents' deaths and hard time in a foreign land, being almost murdered by a thug and the separation of a couple, all of which are consistently related to the fortunes determined by the name. His rise to the throne of the No Dynasty in his youth following the victory in the war with an enemy's country represents the self-made man in the fortunetelling based on the name. 〈The Tale of So Dae-soeng〉 contains the story of the hero in his childhood and adolescence, so it can be said that the work describes the first half of the destiny of a person whose name is So Dae-seong according to the name analysis. Lastly, the second half of the story can be found in 〈The Tale of Yongmun〉. Since So Dae-seong's childhood and adolescence are written in the 〈The Tale of So Dae-seong〉 and his middle age and old age are described in 〈The Tale of Yongmun〉, the two works are not separate from each other and the latter is a second volume of the former. These examinations make it possible to estimate that the writer of the 〈The Tale of So Dae-seong〉 or 〈The Tale of Yongmun〉 had good knowledge of the name numerology, so he could choose a name for the hero in line with the life story unfolded in his work, or he used the story at different stages of life obtained from the name interpretation to create a novel. In conclusion,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behind the creation of Korea's ancient novels by taking a look at local cultural custom such as nameology.

      • KCI등재

        소대성전 창작 원리의 불교사상적 연구

        김병권(Kim Byeong-Kweon) 한국문학회 2005 韓國文學論叢 Vol.41 No.-

        This study aims to search the principle of being applied consistently to The Tale of Soh Dae-seong. First, I searched the principle of understanding the text by analyzing the dialogue between Soh Yang and an old Buddhist monk. In the dialogue, Soh Yang realizes that we can reach the reward of virtue by giving alms(dana) without staying at the "相"(nimitta, a distinctive mark). This means that dana is the cause and the reward of virtue is the effect. Therefor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ana and the reward of virtue is one of the principles that could create The Tale of Soh Dae-seong. Second, I analyzed the whole life of Soh Dae-seong as the relationship between dana and the reward of virtue. Soh Dae-seong gives alms good to all human beings, and rises up against the oppression on all the people. He suppresses the attack of the invaders with the help of the supernatural existence whenever he undergoes bitter trials, coming to the throne of "魯". The fact that Soh Dae-seong, overcoming the difficulties, become a king can be interpreted as the reward of virtue for giving alms. Therefore, The Tale of Soh Dae-seong is the work in which Soh Dae-seong's whole life is developed depending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ana and the reward of virtue. Third, I interpreted the whole life of Soh Dae-seong in relation to The Diamond Sutra. According to The Diamond Sutra, dana, acquirable with the elucidation of Dharma is more valuable than the reward of virtue, acquirable with the giving of property. The whole life of Soh Dae-seong serves to explain the value in The Diamond Sutra that we can attain the holy way by seeing nimitta as what is not nimitta. Therefore, The Tale of Soh Dae-seong is the work created as the means of explaining readers Buddhism.

      • KCI등재

        퇴계학논문(退溪學論文) : <천연대(天淵臺)>에 표현한 퇴계(退溪)의 즐거움 연구(硏究).

        김병권 ( Byeong Kweon Kim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2 퇴계학논총 Vol.19 No.-

        退溪李滉(1501~1570)은 말년에 陶山書堂을 짓고 거기에서 연구와 교육에 전념하였으며, 서당과 주변의 산수 공간을 소재로 하여 詩를 지었다. 이 시기에 지었던 七言絶句18수와 五言絶句26수는 『陶山雜詠』으로 분류되어 전하고 있다. 이 詩들은 퇴계가 말했듯이 스스로 마음속에 즐거움을 준 것을 기록하여 지었던 작품이다. 그래서 『陶山雜詠』의 詩들은 산수 속에서 생활했던 퇴계의 즐거움이 무엇이었는지를 이해할 수 있는 작품이다. 이 연구의 대상 작품은 『陶山雜詠』의 한 작품인 <天淵臺>이다. 퇴계는 천연대의 勝景에서 자연 운행의 이치를 탐구하고, 마음의 눈이 열려 明誠을 세번 반복하여 읊조리는 내용으로 표현하였다. 마음의 눈이 열린 것은 자연의 이치를 마음에 내면화하는 과정이다. 明誠은 밝은 德을 밝히고 진실한 誠을 성실히 하는 마음의 이치와 작용이며, 明誠을 세 번 반복하여 읊조린 일이 마음의 작용이 활발했다는 뜻이다. 사람은 하늘로부터 本性을 부여받았으며, 본성은 도덕적 자아를 완성하고 이상적 사회를 형성하는 데에 작용한다. 그러나 본성이 氣稟에 구애되고 人慾에 가려서 어두워질 때도 있다, 이렇게 어두워진 마음을 알고, 밝은 본성을 회복하는 것이 明誠의 이치이며 작용이다. 이 明誠의 이치와 작용을 통해서 자연 운행의 이치와 마음 운행의 이치가 일치하는 天人合一에 도달할 수 있다. 天人合一에 도달하도록 明誠을 생각하는 것이 퇴계의 마음에 저절로 즐거움을 주었던 것이다. 天人合一에 도달하는 明誠은 도덕적 자아를 완성하고 이상적 사회를 형성하도록 하는 마음의 이치이며 작용이다. 따라서 <천연대>에 표현된 즐거움은 학문과 수양을 통해서 자연의 이치와 일체가 되도록 바르고 순한 본성을 회복 하는 데에 있다. Yi Hwang, whose pen name is Toegye, spent his latter years in Dosan-Seowon, devoting himself to research and teaching, and composing poems about Dosan-Seowon and its landscape. Toegye`s 26 verses with five words to each line and 18 verses with seven words to each line have been passed down in his book, Dosan-Jabyeong. As Toegye stated, his works were written to document heartfelt pleasure by itself. Thus, the poems in Dosan-Jabyeong are crucial for research on essences of Toegye`s pleasure experienced by living in nature. Cheonyeondae, one of the Toegye`s poems written in Dosan-Jabyeong, is analyzed in the present study. In this poem, Toegye explored the order of nature in the beautiful scenary of Cheonyeondae, internalized it, and then recited Myeongseong three times. His recitation of Myeongseong is one of the workings of the human mind, through which the human nature can be understood. Human beings are given the human nature by the heavens, and it works to accomplish the perfection of the moral self and to form a ideal society. The human nature, however, sometimes becomes blind with avarice and darkened by greed. It is through the workings of the mind that people are aware of the darkened mind and regain the brightened one. Through the workings of the mind, human beings can achieve an integration of the heavens and the man, which is the coincidence of the order of nature and the human nature. Myeongseong, which enables people to attain an integration of the heavens and the man, leads to Toegye`s heartfelt pleasure by itself. Myeongseong is one of the workings of the human mind for the perfection of the moral self and for the formation of an ideal society. Thus, the pleasure expressed in Cheonyeondae is to regain the human nature by feeling a sense of oneness with the order of nature through learning and discipline.

      • KCI등재

        퇴계(退溪)의 문학(文學)에서 유인(幽人)의 생활(生活) 담론(談論) 연구(硏究)

        金秉權 ( Kim¸ Byeong-kweon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0 퇴계학논총 Vol.36 No.-

        退溪의 聖學은 마음과 대화하며 사물의 이치를 知覺[깨달음]하는 마음공부이다. 마음의 구조는 虛靈하며, 그 기능은 대상의 이치를 知覺하는 것이다. 마음이 이치를 탐구하여 통달하고 그것을 익혀서 실천하는 사람은 무엇을 하든 어디로 가든 걸림이 없는 자유인이 된다. 따라서 마음공부의 목적은 자아의 맑고 깨끗한 本性을 발견하고 修養함으로써 自由自在한 聖人의 경지에 이르는 것이다. 退溪의 詩는 자연과 대화하며 山水가 마음에 저절로 준 즐거움을 말하지 않을 수 없어서 쓴 문학이다. 이때의 즐거움은 억지로 구하여 얻은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억지로 구한 즐거움은 마음의 집착이 되므로 無欲의 청정한 마음에서 일어난 즐거움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청정한 마음의 自由自在한 즐거움이 참된 즐거움[眞樂]이며, 이는 말로써 형언할 수 없으나 말하지 않으면 즐거움을 전할 수가 없으므로 비유의 형식인 詩로 지은 것이다. 退溪의 生活은 사람과 대화하며 道理를 지키는 德行의 실천이다. 그는 자기를 버리고 남을 따르지 못하는 것이 큰 病이라고 제자들에게 가르쳤고, 제자들은 退溪에게서 이것이니 저것이니 구분하는 境界가 없었다고 전한다. 구분은 공동체가 분열하는 원인이 된다. 남을 따르지 못하는 病은 구성원이 대립하는 원인이다. 따라서 퇴계의 생활은 분열하고 대립하는 현실에서 사회적 統合과 구성원의 和樂을 가르치고 실천한 의미가 있다. 이치에 통달하는 마음공부, 이치가 마음에 준 즐거움을 표현한 문학, 도리를 지키고 덕행을 실천한 생활은, 공동체의 화합과 즐거움을 지향한 인간의 本性的 價値를 合理化한 談論이다. 이러한 退溪의 談論은 인욕에 집착함으로써 인간성을 상실한 시대에 自我를 完成하고 他人과 調和를 이루며 살아가는 道理와 德行을 과거에도 안내해 왔으며 현재와 미래에도 안내할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退溪의 心學에 근거하여 그의 詩 가운데 幽人이 등장하는 「天淵翫月」에 표현한 즐거움의 본질을 분석함으로써 공동체의 和合을 지향한 談論을 도출하는 데 있다. This article draws a discourse of value rationality to pursue a cohesive community by reviewing Teogye’s poem, titled 天淵翫月(Cheonyeonwanwol) and analyzing it based on his theory of mind. In his poem, a metaphor is used to compare the clear moon symbolizing Toegye’s theory of mind and the moon blocked by the cloud describing any personal avarice such as obsession and greed. The theory of mind is based on two concepts: a structure of innocent mind and perception regarding how people perceive this structure as a matter of principle. These two essential concepts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behavioral ethics of studying a structure of mind and perceiving a principle. The behavioral ethics suggested by Toegye should be continuously exercised to prevent any personal avarice from differentiating between the two ideological hegemony. Then the innocent mind can be upheld by these efforts. Like the clear moon shining on the land, people following these behavioral ethics can enjoy an essential pleasure without worrying about personal avarice and ideological conflicts. Toegye’s life and pursuit of purpose can be inferred in his poem. Toegye, in his life, actually pursued his behavioral ethics, studying a structure of mind and perceiving a matter of principle by communicating with members of his community. He also had efforts to keep a lookout for personal avarice and to avoid differentiating between ideological conflicts. The poem, titled 天淵翫月 (Cheonyeonwanwol), reflecting an essential pleasure caused by his exercising behavioral ethics, implies how the transitional stage to transforming mechanized and digitalized society overcomes ideological conflicts and establishes a cohesive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