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망명 시기 창강(滄江) 김택영(金澤榮)의 출판 활동과 그 意義 -「문묵췌편(文墨萃編)」을 중심으로-

        김민학 ( Min Hak Kim ) 한국한문학회 2014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6

        본고는 창강 김택영의 출판 활동과 그 기저에 깔린 의식을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창강이 중국 南通에서 출간한 책은 46종에 이르며 역사, 문학, 경학, 실용서에 이르기 까지 범위도 다양하다. 창강이 어떤 과정을 통해 출판할 책을 선정하고 초고를 교정하 고 이를 출판했으며 다시 유통시켰는지는 아직 자세히 알려진바 없지만, 오직 매천집 의 경우에는 그 출판 과정의 시말을 文墨萃編 이라는 책을 통해 소상하게 살펴볼 수 있다. 문묵췌편 은 매천과 그 주변 사람들의 글을 모은 책으로, 그 일부가 매천집 편찬과정에서 창강과 그 제자들이 주고받은 서간으로 이루어져있다. 그간 알려지지 않은 출판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창강이 서책을 출판하면서 어디에 주안점을 두었는지 살펴 볼 수 있었다. 창강의 출판 활동은 대부분 조선 문인지식인들의 출자로 이루어졌고 그 대부분은 다시 풍전등화의 조국으로 비밀리에 우송되어 출자한 사람들에게 분배되었다. 이는 출판에 있어서 空前의 패러다임으로 당시 조선의 문인지식인들이 암울한 시국에서 민족 문화의 보전을 위한 방법으로 출판에 동의했다는것과 다르지 않다. 창강은 우리나라 문집에서 가장 정채로운 글을 골라 출판했으며 아울러 한반도의 역 사를 통관하는 사서를 저술했다. 문장과 역사를 아울러 보존하고자 한 것이다. 민족의 위기상황에서 창강은 한반도의 기록문화유산을 출간하는 것이야말로 급선무라고 판단 했다. 다시 말하면 민족 문화의 보존이다. 본고는 문묵췌편 을 분석하여 창강의 출판 과정을 再構하고 이어 창강의 출판 의식의 기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Changkang Kim Taekyoung (金澤榮, 1850-1927) is a writer of Japanese occupation in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In 1905, when Eulsa neugyak(乙巳勒約) was signed, Changkang decided to seek asylum in China. As for the life of Changkang, it was divided into two at its starting point. Changkang came to work after exile at a publishing company(翰墨 林印書局) in Nantong(南通). He published dozens of kinds of books which he engaged in book editing in Nantong, and were related to the history and literature, and they was mainly supplied in Korea of the colonization time. This report aims to study his publishing activity and the consciousness spread in the its base. As for the book which Changkang published in Nantong, they reached 46 kinds which ranged up to the history, literature, Chinese classics, pragmatic learning, and so on. Still unknown for the details of his publication list, the process of proofreading and distribution, however, as for Maecheonjip(梅泉集) a whole process of the publication is understood in details through a book called Munmuk Chueapyeon(文墨萃編). Changkang published the most outstanding works in Korean collections, and wrote history books which penetrate the Korean history and intended to store all the literary works and the history books at the same time. As an urgent priority, he determined to publish Korean record cultural heritage in the racial crisis situation. In other words, it was preservation of the race culture.This report analyzed Munmuk Chueapyeon and reconstituted a publication process of Changkang, and the writer studied the bases of the publication awareness of Changkang.

      • KCI등재

        東谿 趙龜命의 蘇軾 문학 수용과 변용 양상 연구

        김민학(Kim, Min-hak) 대동한문학회 2018 大東漢文學 Vol.55 No.-

        18세기 초 산문가 東谿 趙龜命(1693~1737)의 독특한 문론과 작품은 일찍부터 주목받았다. 동시기 인물뿐 아니라, 후대의 이규상, 송백옥, 김택 영 등의 비평가들은 공히 조귀명 문장의 非常함을 높이 여기는 비평을 남겼 다. 80년대 말 선인들의 비평에 힘입어 조귀명이 연구되기 시작한 지 30여 년의 시간이 흘렀다. 그 결과 조귀명은 18세기 초 가장 뛰어난 산문작가 중 한 명으로 자리 잡았다. 그렇다면 조귀명 산문의 어떤 지점이 그토록 뛰어나다는 것인가? 기존 연구에서 언급된 조귀명 문학론의 개념어는 道文分離, 倣古創新, 自得, 適意 등이다. 그런데 이러한 개념들과 문학관이 과연 조귀명만의 것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품지 않을 수 없다. 문예미의 추구는 조귀명에게 뚜렷하게 보이는 특징이지만, 이는 문인과 시기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는 점에서 조귀명만의 전유물이라고 할 수는 없다. 방고와 창신 역시 마찬가지다. 이제 조귀명이 어떻게 이런 문학론을 성립시킬 수 있었는지, 또 이러한 문론으로 어떤 작품들을 창작했는지를 살펴볼 시기이다. 본고는 조귀명 문학론의 한 근원으로서 소식에 주목한다. 조귀명은, 소식 문장의 정수를 터득했으며 이를 후대에 전하는것 역시 자신의 몫이라고 자 임할 만큼 소식의 문장을 애호했다. 본고에서는 우선 조귀명의 親友들과 당시 문사들, 그리고 후대 비평가들의 조귀명-소식에 대한 비평을 살펴보았다. 이어 見識解悟로 규정되는 뜻[意]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소식 문장에 대한 비평이 주요한 단서로 작용했음을 밝혔다. 다음으로 역시 소식을 酷好한 같은 시기 문인 신정하와의 學蘇경향을 대 비해 조귀명만의 특징을 부각시켰다. 즉, 신정하는 소식의 小文을 애독하며 소식 筆帖의 글자를 분해해 고시를 짓는데, 이는 같은 주제로 글을 써도 소식과는 전혀 다른 결론을 내리는 조귀명이 보기에는 자신만의 식견과 깨달음을 찾아볼 수 없는 창작행위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조귀명의 學蘇法이 잘 드러나는 <賈誼論>을 분석해서, 맹목적 慕蘇가 아닌 창작방법론의 학습임을 밝혔다. In the early 18th century, the unique literature and works of prose poet DongKei(東溪) Jo gwi myoung(趙龜命)(1693~1737) received attention earlier on. Not only contemporary critics but also critics such as Lee Gyu-sang, Song Baek-ok, and Kim Taek-yong criticized unusual Jo qwi myung s phrase. In the late ‘80s, more than 30 years have passed from the beginning of study.’ As a result, he became one of the most outstanding prose writers of the early 18th century. So, what point of prose is so exquisite? The conceptual words of literature theory created by Jogimyung mentioned in the previous research are road separation, recurrence, self -esteem, and appropriateness. However, I wonder whether these concepts and literary viewpoint are made from only Joqimyung. The pursuit of literary beauty is a distinctive feature of Cho, but it can not be said that it is the only thing owned by Jogimyung. In the sense that it shows various aspects according to the literary period so, it can not be the only thing owned by Jogimyung. The same is true for 倣古 and 創新. Now it is time to look at how the Jo gwi myung was able to establish this literary theory and what works he created with these literary texts. This paper focuses on the news as a source of the Jo gwi myung s literary theory . He learned the essence of the news sentence, and he liked the sentence of the news so that it was his own responsibility to transfer it to future generations. In this article, I first looked at the criticism of the first names of the angelic name friends, the writers of the time, and the later names of later critics.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meaning that is defined by the resolution of the insight, the criticism of the sentence was the main clue. Next, I also highlighted the characteristics of Jo gwi myung only in preparation for the trend of the scholarship of Shin Jeong-ha, who exists at the same time period of loving news. In other words, we read the small sentence of the new news and separate the letter of the newsletter to make a notice and this is a creative act that own insight and realization cannot be seen. Jo gwi myung who brings different conclusion of a news even if he write on the same subject thought that. Finally, I analyzed the “賈誼論”, in which the 學蘇 is well-known, revealing that it is the study of the method of creation which focuses on the intention rather than the popularity.

      • Size Taping 기법을 이용한 구급차의 내부 공간 설계

        한용택(Yong Taek Han),김민학(Min Hak Kim)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추계

        국내 구급차는 「도로교통법 제2조 제20호」에 긴급자동차로 분류되며 「응급의료에 관한 시행규칙 제38조제1항」에서는 일반구급차와 특수구급차로 구분이 된다. 일반 구급차는 위급의 정도가 중하지 아니한 응급환자의 이송에 주로 사용되며 기본적인 의료장비 및 구급의약품을 갖춘 구급차를 말하며, 특수구급차는 위급의 정도가 중한 응급환자의 이송에 적합하도록 의료장비, 구급의약품, 의료인 및 의료기관과 통화 할 수 있는 통신장비를 갖춘 구급차를 말한다. 그리고 「구급차의 기준 및 응급환자 이송업의 시설 등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조, 제1항」 구급차의 형태에서 구급자동차(이하 “구급차”라 한다.)는 자동차관리법 제3조의규정에 의한 승합자동차 또는 화물자동차로서 지붕구조의 덮개가 있어야 한다고 되어 있다. 「자동차관리법 제3조」자동차의 종류에서 자동차는 자동차의 크기⋅구조, 원동기의 종류, 총배기량 또는 정격출력 등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하는 구분기준에 따라 승용자동차, 승합자동차, 화물자동차, 특수자동차 및 이륜자동차로 구분한다. 국내의 일반구급차의 경우 대부분 EMS의 민간구급차의 형태로 제조 및 사설병원과 연계되어 운용이 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며, 특수구급차는 전고가 높은 형태의 일부 EMS의 민간구급차와 관용의 119소방대의 구급차의 형태로 크게 운용이 되고 있다. 또한, 차종의 형태는 현재까지 대부분 H사의 스타렉스의 차대를 이용하여 운용되고 있으며, 차대의 기술 개발로 인하여 신형의 차체인 H사의 스타리아의 형태를 이용한 구급차가 개발이 되고 있으며, 이와같은 신형의 차체를 이용한 구급차의 연구이며, 제한된 실내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공간의 디자인을 위한 size taping 기법을 활용하여 환자, 보호자 및 처치자의 공간 활용을 효율적으로 설계하기 위한 size taping 기법에 관한 연구이다. 이와같은 기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공간분석을 통하여 국내의 구급차의 개발에 이바지하는 것을 본 연구에서는 목표로 하고 있으며, 기본적이지만 매우 큰 효과를 내부공간 설계에 활용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