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보이스피싱과 로맨스스캠 비교분석: 텍스트마이닝을 중심으로
김민재,서준배 경찰대학 경찰대학 2023 경찰학연구 Vol.23 No.1
This study analyzes Naver Knowledge iN Naver is S. Korea’s first portal website with a self-developed search engine created in June 1999. Knowledge iN is online Q&A platform launched in 2002. The tool allows users to ask any question and to received answers form other users. web documents through text mining methods and it proposes a method for using fraud report data. Text mining method has the advantage that it analyzes the natural and vivid thoughts and emotions directly described in the language of the person concerned and enables researchers to learn beyond the questions and answers in survey mothods. 'Voice phishing' and 'Romance scam', the two fraud categories which causes a large amount of damage and are most harmful to society, were set as keywords, and the frequency and correlation of words in the document were analyzed with the two keywords. As a resul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public's perception of each type of fraud. In other words, in ‘Voice phishing’,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words are 'be charged with a crime', and 'victim' and the question type is task-oriented as the words such as criminal act→fraud→aiding and abetting fraud→be charged with a crime→voice phishing and voice phishing→victim→investigative authority→criminal charges are connected in a chain. On the other hand, in 'Romance Scam', the type of question is focused heavily on confirming the definition of the crime of ‘Romance Scam’ rather than seeking information to file a complaint. Based on this analysis,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were presented, such as the need to introduce an active reporting channel for romance scams and the need to interpret the law in a way that allows payment suspension under the Special Act on the Prevention of Loss caused by Telecommunications-Based Financial Fraud and Refund for Loss. 본 연구는 텍스트마이닝을 통해 네이버 지식iN 문서를 분석하고 이를 모델로 한 사기 신고 데이터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텍스트마이닝은 당사자의 언어로 직접 기술한 자연스럽고 생생한 생각과 감정을 분석한다는 점에서 설문지의 질문에만 제한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사회적으로 피해 액수가 크고 해악이 큰 ‘보이스피싱’과 ‘로맨스스캠’을 키워드로 정하고 두 개의 키워드로 해당 문서의 단어의 빈도수와 상관관계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각의 사기유형에 관한 대중의 인식에 두드러진 차이점을 발견하였다. 즉, ‘보이스피싱’은 가장 많이 언급된 단어가 ‘처벌’과 ‘피해자’로, 형법→사기죄→사기방조죄→처벌→보이스피싱 그리고 보이스피싱→피해자→수사기관→형사고소 등 단어가 연쇄적으로 이어지면서 질문유형이 과업 지향적(task-oriented)으로 나아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로맨스스캠’은 질문의 유형이 로맨스스캠 범죄에 대한 정의를 확인하는 데 집중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로맨스스캠’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신고 채널의 도입이 필요하고 통신사기피해환급법상 지급정지가 가능한 방향으로 법을 해석해야 한다는 점 등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김민재,조은하,Zahid Hussain,박효진 대한소화기학회 2024 대한소화기학회지 Vol.83 No.2
Background/Aims: Achalasia is an esophageal motility disorder characterized by dysphagia and noncardiac chest pain. Impairment of vagal function has been reported in achalasia. This study evaluated autonomic nervous system (ANS) dysfunctions in patients with achalasia to establish a correlation between an ANS dysfunction and the clinical symptoms of achalasia. Methods: Nineteen patients with achalasia (six males/13 females; mean age, 47.1±16.3 years) and 10 healthy controls (four males/six females; 34.8±10.7 years) were enrolled prospectively at Gangnam Severance Hospital between June 2013 and June 2014. All pati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on ANS dysfunction symptoms and underwent a heart rate variability (HRV) test. Results: ANS dysfunction symptoms were present in 13 patients with achalasia (69%) and three controls (30%). The ANS dysfunction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achalasia than in the controls (p=0.03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andard deviation of all normal R-R intervals, high frequency (HF), low frequency (LF), and LF/HF ratio in the HRV test. In subgroup analysis comparing female achalasia patients with controls, the cardiac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emale achalasia patients than in the controls (p=0.036). The cardiac activity (p=0.004) and endurance to stress (p=0.004)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chalasia patients with ANS dysfunction symptoms than the achalasia patients without ANS dysfunction symptoms. Conclusions: ANS dysfunction symptoms are common in patients with achalasia. Female achalasia patients and those with ANS dysfunction symptoms showed increased cardiac activity. Hence,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cardiac overload in achalasia patients who are female or have ANS dysfunction symptoms.
‘인문(人文) 정치’에 대한 시론 - 『논어』에 나타난 ‘인의 정치[仁政]’와 악셀 호네트(A. Honneth)의 ‘인정투쟁’을 연계하여
김민재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5 No.2
본 연구의 일차적인 목적은, 『논어(論語)』에 수록된 공자(孔子)의 모습을 중심으로 그 의 정치에 대한 관점, 즉 ‘인의 정치[仁政]’의 작동 원리를 현대적으로 해명해 보려는 것 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독일의 현대 철학자 악셀 호네트(A. Honneth)가 제시한 ‘인정투쟁(Kampf um Anerkennung)’의 창을 통해 『논어』를 바라보고자 하였으며, 나아 가 공자의 정치관이 단순히 이상 정치를 향한 열망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오늘날에도 ‘인문(人文) 정치’라는 형태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론적인 수준에서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는 과정에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인의 정치를 인정투쟁과 비 교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호네트가 주장한 인정투쟁의 요점들을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공자의 사유를 설명하는 여러 개념과 용어들이 인정투쟁의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는지 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끝으로 인의 정치의 작동 원리 위에서 구현되는 인문 정치의 모습이란 어떠한 것인지 개략적으로 소개하였다. 논의의 결과, 『논어』에 수록된 공자의 모습으로부터 ⓐ 정치적인 측면에 있어 ‘상호 인정’의 필요성, ⓑ 이상적인 상호관계를 위해 요구되는 도덕적 형식으로서의 ‘예(禮)’, ⓒ 그 방법론으로서 ‘서(恕)’에 기반한 ‘충(忠)’과 ‘경(敬)’ 등이 도출되었다. 또한 이를 통 해 호네트의 인정투쟁과 공자의 사유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닐지라도 일정 수준 이상 소통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인정투쟁의 프레임으로 인의 정치의 작동 원 리가 어느 정도 해명되었다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전제 아래, 천하의 주체들이 자신과 더불어 천하를 구성하는 다른 주체들을 인정함으로써 천하에 도가 있고[天下有道] 관계적 명칭들이 바르게 된[正名] 상태를 ‘인문 정치’라는 조어로 표현한 뒤, 그 현대적인 모습 은 ‘신뢰[信]’의 사회 및 ‘조화[和]’의 정치를 추구하는 것이라고 대략적으로 그려보았다. 이 가운데 전자는 정치적 영역과 사회적 영역들 모두에서 신뢰라는 가치를 달성하려는 지향을 의미하고, 후자는 사이비(似而非) 조화가 아니라 갈등까지도 화합으로 승화하는 정치의 방향을 뜻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nfucius' words and actions in the Confucian Analects(論語) and examine the mechanism of ‘politics of Rén(仁)’, his political perspective.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the words and actions of Confucius through the frame of ‘Kampf um Anerkennung’ suggested by the modern German philosopher A. Honneth. And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that Confucius' political perspective can still be used today in the form of ‘politics of humanities(人 文)’. This study first extracted the points of ‘Kampf um Anerkennung’ argued by Honneth to compare ‘politics of Rén’ and ‘Kampf um Anerkennung’, and then analyzed whether the concepts and terms included in Confucius' thinking can be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Kampf um Anerkennung’. Subsequently, This study sketched the appearance of ‘politics of humanities’ that could be realized on the mechanism of ‘politics of Rén’. In conclusion, from the words and actions of Confucius contained in the Confucian Analects, ⓐ the necessity of recognition in politics, ⓑ ‘Lǐ(禮)’ as a moral form necessary for ideal interrelationships, ⓒ ‘Zhōng(忠)’ and ‘Jìng(敬)’ based on ‘Shù(恕)’ as a methodology were derived. And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thoughts of Honneth and Confucius could be connected to some extent, and it was judged that the mechanism of ‘politics of Rén’ was partially elucidated with the frame of ‘Kampf um Anerkennung’. Under this premise, the modern goal of ‘politics of humanities’ was presented as the pursuit of ‘society of trust(信)’ and ‘politics of harmony(和)’.
도핑 개념의 확대를 통한 e스포츠 대회에서의 AI 도핑 규제 방안 검토
김민재,홍선기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2024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Vol.18 No.1
현재 게임 산업에서 AI는 게임의 개발 단계부터 플레이 단계까지 다방면으로 활용되고 있다. 리그 오브 레전드, 스타크래프트2와 같은 실시간 온라인 대전 게임에서는 모두 AI와의 대전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게임사에서도 AI의 플레이 방식을 인간의 플레이와 유사하게 만들기 위한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진행 중이다. 심지어 강화학습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생성형 AI’는 기존 AI의 게임 플레이 방식을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 게임 제작사에서 사전에 코딩한 데이터만을 토대로 게임을 하는 정적 AI가 아닌, 실제 이용자의 플레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AI 캐릭터가 스스로 강화학습 알고리즘을 거쳐 그의 게임 플레이와 매우 유사하고, 유사도가 점점 높아지는 진화된 동적 AI가 등장한 것이다. 다만, AI의 발전은 e스포츠 산업에 명과 암을 모두 초래할 것으로 보인다. 생성형 AI가 발전하면서 이용자가 자신보다 게임 실력이 뛰어난 특정인의 플레이 방식을 AI에 학습시키고, 그 AI가 이용자의 플레이를 도와주거나 대체하는 AI 도핑의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 주장하고자 하는 AI 도핑은 다양한 사람들의 플레이를 학습한 AI를 공식 대회에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프로게이머나 상위 랭커들은 공식 대회뿐만 아니라 소속 팀원 간의 내부 연습, ‘스크림’이라고 불리는 팀 간 연습, 최근에는 개인 방송을 통해서까지 하루에도 수십~수백 판의 게임을 플레이하는데, 방대하고 다양한 표본을 바탕으로 학습한 고성능의 AI를 공식 대회 중에 사용한다면 이는 ‘자신의 신체적 역량 이외에 경기력의 추가적인 향상을 도모하는 모든 수단’이라는 도핑 행위의 정의에 부합하는 행동이고, e스포츠의 무결성을 해쳐 e스포츠 대회의 무결성을 해칠 우려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AI 도핑을 규제하기 위해 이미 국민체육진흥법과 문화체육관광부장관 고시에서 제재하고 있는 도핑 행위에 대한 정의를 확대하는 방식을 검토하여 공식 대회에서 경기 중에 AI를 사용하는 ‘AI 도핑’을 규제하고, e스포츠 대회의 공정성과 무결성을 보전하여 e스포츠 대회에서 등장할 수 있는 도덕적 해이를 방지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Currently, in the game industry, AI is used in a variety of ways from the development stage of the game to the play stage. Real-time online battle games such as League of Legends and Starcraft 2 all provide the function of fighting AI, and game companies are also continuously updating AI to make it similar to human play. Even Generative AI, created based on reinforcement learning, is changing the way existing AI plays games significantly. Instead of static AI that plays games based solely on data coded in advance by game producers, an AI character created based on the play of a real user has emerged that is very similar to his game play through a reinforcement learning algorithm by itself, and the similarity is increasing. However, the development of AI is expected to cause both light and cancer in the e-sports industry. This is because with the development of Generative AI, the possibility of AI doping, in which users learn the play method of a specific person who has better game skills than them, and the AI helps or replaces the user's play, is emerging. AI doping, which we want to argue in this paper, refers to the use of AI that has learned the play of various people in official competitions. Professional gamers and top rankers play dozens to hundreds of games a day, not only in official competitions, but also in internal practice between their team members, practice between teams called "cream," and more recently through personal broadcasts. If high-performance AI learned based on vast and diverse samples is used during the official competition, it is considered to be an act that meets the definition of doping behavior that is "any means to further improve performance other than one's own physical capabilities," and there is a concern that it harms the integrity of e-sports and harms the integrity of e-sports competitions. Therefore, in this study, to regulate AI doping as described above, the National Sports Promotion Act and the Minister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s notice will expand the definition of doping behavior, which is already sanction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