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특집 : 올바른 신장합병증 관리를 위해 - 신장합병증의 치료 I - 혈액투석과 복막투석으로 치료

        김민옥,Kim, Min-Ok 사단법인 한국당뇨협회 2011 당뇨 Vol.261 No.-

        당뇨병은 전 세계적으로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심각한 대혈관 및 미세 혈관 합병증들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대다수 선진국에서 당뇨병은 만성 신질환 및 말기 신부전의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당뇨병성 신증은 단백뇨를 특징으로 하며 30% 정도의 환자에서는 혈뇨도 관찰된다. 그래서 당뇨병성 신증의 발병 검진은 미세알부민뇨 검사로 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며 제 1형 당뇨병환자는 일반적으로 당뇨병 발병 5년 이후에 하며 위험인자가 있는 환자는 더 조기에 한다. 제 2형 당뇨병환자는 당뇨병 진단 시점부터 매년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KCI등재

        윤흥길의「매우 잘 생긴 우산 하나」에 나타난 권력의 양상

        김민옥 ( Min Ok Kim ) 영주어문학회 2015 영주어문 Vol.31 No.-

        본고에서는 윤흥길의 「매우 잘 생긴 우산 하나」에 나타난 권력의 양상을 살폈다. 1980년대에는 우리 사회에 만연한 권력의 횡포나 폭력을 알레고리로 승화시켜 우의적으로 드러낸 소설이 많이 등장하였는데, 본고에서 텍스트로 선정한 「매우 잘 생긴 우산 하나」도 그 대표적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소설 속인물이 보이는 행위를 분석하여 이 작품이 쓰인 시대적 상황과의 연결고리를 찾고, 당시에 권력이 어떻게 작동하였는지 그 양상을 살펴 이 소설이 지니는 사회적 의미와 작가 의식을 밝혔다. 작가는 주인공 김달채 씨가 권력을 형성하는 과정과 권력을 행사하는 모습,그리고 권력이 몰락하게 되는 과정을 군중들의 시선과 ‘우산=무전기’라는 사물을 통해 드러내고 있다. 주인공은 친구로부터 우산을 얻고, 그 우산이 무전기와 유사한 형태를 띠고 있어 사람들의 시선을 빼앗는다. 이로써 권력을 형성하는데,군중들은 주인공이 지닌 무전기를 훔쳐보며 스스로를 감시하고 규율하는 행태를 보인다. 이는 푸코가 말한 미시 권력, 즉 규율 권력이 1980년대 사회에 얼마나 뿌리 깊게 형성되어 작용하고 있었는지를 보여 준다. 또한 김달채 씨는 군중들의 시선과 보이지 않는 규율 권력을 감지하고 권력을 가시적으로 행사하려는, 권력지향적 인물로 변화한다. 그는 우산을 지니고 있는 자신의 힘을 과시하고자 일부러 사람들에게 무전기를 노출하면서 사람들의 시선을 끌고 그것을 즐긴다. 작가는 이 시선 끌기를 통해 1980년대 권력 구조와 사회를 간접적으로 비판하면서 당시 군중들이 얼마나 자주 권력의 폭력성에 노출되었었는지를 드러낸다. 아울러 무전기의 실체가 밝혀지고 시선이 역전되면서 비극적 결말을 맞이하는 김달채 씨의 모습 속에는 부당한 방법으로 획득한 권력과 그 권력을 소유하려고만하는 신군부가 어떤 논리로든 자신들을 합리화하고 권력을 행사하려 해도 그것은 허상일 뿐이라는 작가의 날카로운 시선이 배어 있다. 윤흥길은 이 작품을 통해 보이지 않는 감시의 시선, 권력자들을 향한 군중들의 시선, 사물 자체가 권력이 될 수 있음을 예리하게 포착하여 부당한 방식으로 권력을 획득한 정권을 비판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권력에 무조건적 굴종의 자세를 취하는 군중과 실천적 행동을 하지 못하는 지식인 역시 비판의 대상으로 삼아, 권력에 대한 통찰과 성찰을 통해 현실의 모순을 극복해야 한다는 시대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aspect of the power in Yun Heung-Gil``s A very handsome umbrella . During the 1980s, there were lots of novels that revealed tyranny and violence of the power prevailed in our society indirectly by sublimating into allegory, A very handsome umbrella , selected by this research as a text, can be said to be a representative work among them. This research intended to investigate the aspect how the power of that period acted by searching a link with the period situation that this work was written by analyzing the behavior that the character in the novel shows, and investigated the social meaning that this novel has and Yun Heung-Gil``s writer consciousness. In ‘formation of power’, this research determined how Kim Dal-Chae, the main character, could acquire power and the social meaning that it has, based on the opportunity that he formed power. The public showed the behavior of keeping watching and regulating oneself by peeping the umbrella=two-way radio that Kim Dal-Chae had, which revealed how the microscopic power that Foucault mentioned worked by being deeply rooted in the society of that time. Nevertheless, people felt anxiety and fear without reason while seeing the two-way radio, which can be said to be the condition as well as duty that were given to the application object by the microscopic power. In ``growth of power``, this research analyzed how the power of two-way radio worked. Kim, Dal-Chae regularly exerted power, from that point, operation of microscopic power turned into the operation of macroscopic power. Kim, Dal-Chae repelled the street roughs who harassed a female student in an alley with the umbrella=two-way radio. As the equation two-way radio=power appeared, exposure of two-way radio loaded a great power on him. With the catalyst of this event, Kim Dal-Chae intended to draw people``s sight in order to show off the power of the two-way radio. The operation of power that appeared through this attraction of sight had a function of indirectly revealing the power structure and the society of 1980s, particularly, it proved how often the public during that time were exposed to violence of power. This can be said to be a part that the writer keenly grasped a fact that how our society of that period was oppressed by the power and the surrounding phenomena. In ‘collapse of power’, this research analyzed the process that the truth of two-way radio was revealed and ruined. Kim Dal-Chae pushed the two-way radio toward the plain-clothes policemen for the purpose of helping the college students who demonstrated against the New Army Group. Kim Dal-Chae intended to exert power of two-way radio in thee practical level beyond the cognitive level, however the power was finally collapsed by the sight that penetrated the truth of two-way radio. Since Kim Dal-Chae cognized the power as possession instead of strategy, finally the power was collapsed. Here, the writer``s keen sight was hidden in respect that the power acquired by unreasonable method and the dictatorship government that only intended to possess that power are only illusion however they rationalized with any logic and intended to exert it with reasonable way. Through this work, Yun Heung-Gil revealed the period consciousness that the contradiction of reality should be overcome through the discernment and introspection of power by criticizing the government that acquired power with unreasonable way and targeting the public who unconditionally submit to the power as the object of criticism by keenly grasping the point that a sight and an object could be an power.

      • KCI등재

        1920년대 한국 전통줄다리기의 일본화와 지역적 전승

        김민옥(Kim Min-ok),송화섭(Song Hwa-seob)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0 로컬리티 인문학 Vol.- No.23

        지난 2015년 한국의 줄다리기는 베트남, 캄보디아, 필리핀의 줄다리기와 함께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이들 4개국의 줄다리기는 풍작을 기원하고, 공동체의 화합을 도모하며, 농사의 시작을 알리는 점 등이 문화유산적 가치로 높이 평가되었다. 하지만 다양한 한국의 줄다리기 중에서 6건만 무형문화 유산으로 등재되면서, 역설적으로 각 지역이나 마을에서 행해지는 다양한 형태의 줄다리기가 외면받거나 그 고유성이 소멸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전통줄다리기의 일본화 과정을 1920년대 발행된 신문자료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는 1920년대 일본 동화주의 문화정치로 인해 한국의 각 마을 단위로 행해지던 다양한 줄다리기가 일본식 줄다리기로 획일화되고 고착화 되었다. 이 과정을 되짚어 봄으로써 현재의 줄다리기의 다양성 확보 및 전승을 위한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일제의 동화주의적 문화정치는 한국 전통 줄다리기의 일본화로 이어졌다. 이 정치는 마을 단위 줄다리기의 공동체 의식을 약화시키거나 제거 또는 해체하는 방향으로 나아갔고, 줄다리기의 읍치화, 줄의 대형화, 대규모 인원의 참여 방식으로 변화시켰다. 마을별 변별적으로 연행되던 마을 줄다리기가 인허가 대상으로 관리되면서 읍치 단위의 고싸움놀이로 획일화되었으며, 대형화, 연행화 그리고 스포츠화로 진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각 마을 단위로 다양하게 연행되던 줄다리기는 상당 부분 해체되었다. In 2015, Juldarigi, Korea’s traditional tug-of-war, was registered as a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long with the tug-of-war in Vietnam, Cambodia and the Philippines. The tug-of-war of these four countries was highly regarded for its heritage value, such as wishing for a good harvest, promoting community unity, and announcing the beginning of farming. However, as only six of the cultural artifacts in Korea have been list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various types of the local and regional tug-of-war in Korea and their uniqueness can be ignored or marginalized. This article examines the Japanization process of Korea’s traditional tug-of-war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rough examining the newspaper articles published in the 1920s. By the influence of the cultural politics of Japanese assimilation of the time, various forms of regional tugs-of-war were transformed and solidified into a Japanese style. By reviewing this process, we argue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suggestions for securing the play’s diversity and its succession. Japanese colonial cultural politics led to Japan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tug-of-war. Specifically, the politics has weakened, eliminated, or dismantled the community consciousness embedded in regional tugs-of-war, and has changed the way tug-of-war is played, including the use of larger rope and the participation of large-scale personnel. As the regional tugs-of-war in Korea had become subject to Japan’s authorization, they were converted into Gossaum-nori. During this process, Korea’s tug-of-war, which had been carried out in various ways in each village, was largely dismantled.

      • KCI등재

        색채 심리학으로 바라본 오정희 소설

        김민옥(Kim, Min-Ok) 한국비평문학회 2015 批評文學 Vol.- No.58

        Under the prerequisite that author"s consciousness could be interpreted related to color if color has close relationship with human subconsciousness, desire or psychology, this study analyzed Oh Jeong-Hee"s 「Garden of Childhood」 and examined a characteristic of growth novel by application of color psychology. So this study understands psychology and consciousness shown by characters through repeatedly appeared color image in Oh Jeong-Hee"s novel, and analyzed how effectively the color image reveals a aspect of a female growth novel. The yellow color was mainly used to reveal a vague mentality and anxiety of a little female character who watches desires. The yellow image functions as revealing dim self-consciousness on life as a female being presenting weak inner side of main character more sensuously and in detail. The red color image was used mainly to describe body which pursuits desire. As a color which lost purity, this red color functions to express mother"s desire, who violates taboo, and to reveals a world of rebellion. And because of image of tension and confliction caused by red color, it contributes to extend the psychology of anxiety and fear that the little female main character feels. The pink color image is frequently used to describe the body which pursuit desire with combination of sun light and white color etc. This pink color image contributes for Norangnuni to recognize the body without birth as pure being, and functions to make Norangnuni recognize female being"s sexual desire as positive one by connecting body of grand mother and sexual desire of Bune to softness, joy and praise. To describe a body that its desire is under watch, mainly achromatic color was used. We could know the various color image appeared in 「Garden of Childhood」 contributes to present psychology of a little female character in detail, which were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growth. This color image does a function of revelation of fear on growth as a female being by revealing chaos and confusing psychology of the main character, forming anxiety on rebellious body, showing a praising psychology on the being which pursuit desire.

      • KCI등재후보

        서정인 초기소설에 나타난 시간의식과 비극적 비전-「후송」, 「미로」, 「강」을 중심으로-

        김민옥 ( Kim Min-ok ) 영주어문학회 2017 영주어문 Vol.37 No.-

        본고는 서정인이 보여주는 시간의식이 비극적 비전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점을 논의의 전제로 삼고, 서정인의 초기 단편소설을 텍스트로 하여 시간구조와 기법의 특성을 살핀 후, 작품 속 인물들이 보이는 시간의식을 통해 서정인의 작가의식의 단면을 찾고자 하는 시도이다. 「후송」은 이야기의 연대기적 시간을 무시하고 ‘후송을 요청하다’와 ‘후송을 거부 당하다’는 상황을 반복적으로 서술하는 기법과, 현재와 과거의 사건이 수시로 단절되고 서로 다른 과거의 시간대가 혼란스럽게 제시되는 복합적 시간구조를 통해 주인공이 겪는 불안한 심리를 심층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작품이다. 객관적이고 선조적 시간을 단절시키는 복잡한 시간구조와, 계기적 시간은 전진의 방향으로 흘러가지만 성 중위의 삶의 시계는 오히려 후진하는 비극적 결말을 통해, 서정인이 객관적인 시간을 부정하는 시간의식과 삶의 비극적 비전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미로」는 우연적 사건과 미로 속 공간에 놓인 인물의 무의미한 삶의 모습을 통해 벗어날 수 없는 삶의 비극적 허무함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현실과 환상이 혼합된 시간구조를 통해 독자들도 주인공을 따라 미로 속을 헤매는 듯한 인상을 주고, 시간을 복잡하게 재구성함으로써 주인공의 불안의식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주인공이 겪는 환상은 균일적인 시간 질서와 주관적이고 상대적인 시간 사이의 괴리를 드러내는 기능을 하고 있다. 서정인은 삶의 의미가 사라진 비극적 비전을 현실과 환상이 교묘하게 재구성된 시간구조, 삶이 끝나지 않는 한 영원히 그 속에서 빠져 나오지 못할 것이라는 시간의식, ‘미로’를 헤매는 인물의 불안한 모습을 통해 드러내고 있다. 「강」은 늙은 대학생 김 씨, 세무서 직원 이 씨, 하숙집 주인 박 씨가 시골 마을의 결혼식에 가는 하루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작품은 서사의 계기적 시간은 흐르지만 인물들의 의식을 드러내는 연상 기법과 반복적 시간구조를 통해 삶이 전진되지 않고 정체되어 있음을 드러내고 있다. 서사의 층위에서 시간은 낮에서 밤으로, 공간은 서울에서 시골로 이동되지만, 객관적 시간의 흐름 속에 놓인 주인공들의 삶의 방향은 결코 흐르지 않았다. 시간의 계기성이 무시되는 구조와 방향성을 상실한 채 고인 물속에서 삶을 지속하는 주인공들의 모습은, 서정인이 보여주고자 했던 삶과 시간에 대한 비극적 비전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consciousness of an author, Seo Jeong-In through the structuralization and aspect of time shown in his early short stories, under the premise of discussion that the time consciousness shown in his novels is closely related to the tragic vision. 「Evacuation」 deeply presents the main character's anxiety through the complex timel structure mixed with the time zone of different past when events of the present and past are frequently severed, on top of repetitively describing the condition of ‘requesting for evacuation’ and ‘evacuation has been rejected’ regardless of the chronicle time of the story. Even though the successive time and the complex temporal structure severing the objective sequential time flow forward, the life clock of Lieutenant Seong moves backward. This tragic conclusion means that Seo Jeong-In shows the time consciousness denying the sequential time and the tragic vision of life. 「Maze」shows the tragic emptiness of unavoidable life through meaningless looks of characters in the space of maze and accidental incidents. Its temporal structure mixed with reality and illusion makes readers feel like wandering around the maze following the main character. The complex reconstruction of time strengthens the main character's anxiety. Especially, the main character's illusion shows the gap between the regular time order and subjective/relative time. Seo Jeong-In reveals the tragic vision with no serious gestures showing the weight of human after the meaning of life has evaporated in the air through the skillfully-reconstructed time structure with reality and illusion, a temporal consciousness that no one can get out of it unless life ends, and the anxious look of the character wandering around the ‘maze’. 「River」contains a story of one day when an old university student Kim, tax office worker Lee, and boarding-house owner Park go to a wedding in a rural area. Through the association technique showing the characters' consciousness and repetitive time structure in spite of the successive time of narrative, this work shows that the direction of life is stagnant without moving forward. In the layer of narrative, the time is moved from day to night and space is moved from Seoul to rural area while the life of the main characters in the flow of objective time does not flow at all. Its main characters continuously living their lives in the structure with no successiveness of time or directivity could be the tragic vision of life and time, which was intentionally shown by Seo Jeong-In.

      • KCI등재

        수용자 중심의 글쓰기 교육 방향과 실제* - 부산외국어대학교 글쓰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김민옥(Kim, Min- Ok) 한국문학회 2018 韓國文學論叢 Vol.78 No.-

        2000년대 이후 거의 모든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글쓰기 수업은 그동안 다양한 형태로, 수많은 모델을 제시하면서 대학 교육의 기초를 다지는 작업을 충실히 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교육 현실과 학생 수준에 맞는, 적용 가능한 글쓰기 모델은 끊임없는 한계에 부딪 혔다. 여전히 각 대학의 글쓰기 교수자가 대학 실정과 학생 수준에 맞는 교육 방법에 대한 치열한 고민을 하고 있는 것이 이를 반증한다.특히, 수업의 대상인 학생 중심의 글쓰기 교육을 진행한다고 하지만 학생들은 여전히 글쓰기 수업에 대한 반감을 보이고 있으며, 글쓰기 수업의 구체적 효과에 대한 타당성 있는 분석이 미미한 것도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외국어대학에서 진행한 <나를 바꾸는 글쓰 기> 수업 사례를 바탕으로 수용자 중심의 글쓰기 교육 방향을 제시하고, 글쓰기 교육이 지향해야 하나의 방향과 수업의 구체적 방식을 통해 수용자 중심의 글쓰기 교육의 효용성을 알아보았다. 수용자 중심의 글쓰기를 지향하기 위해서는 강의 첫 주와 마지막 주에 학생들의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글쓰기 자가 진단을 실시하는 반드시 실시해야 한다. 사전 조사를 통해 학생들의 수준을 미리 측정한 후수업 계획과 목적을 분명히 해야 하고, 사후 조사를 통해서는 학생들 스스로가 글쓰기 능력 향상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교육 효과성 분석을 실시해야 한다. 실제 수업 진행시에는 사고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텍스트 읽기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인식하고 텍스트 주제와 관련된 동영상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수업 집중도를 향상시켜야 하며, 이를 텍스트 읽기와 연계하여 사고력 확장으로 이어지게 하면서 학생들의 능동적인 수업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연습 문제를 활용하여 학기 초에는 짧은 글 위주로 실습을 진행하고, 실습 이후에는 교수자가 반드시 피드백을 진행하면서 자신이 쓴 글의 문제점을 학습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조언하여, 학생들 스스로 글쓰기 능력이 향상되고 있음을 눈으로 확인시켜 주는 방법이 요구된다. Writing classes done in almost every college after 2000s have strengthened the basics of college education by presenting numerous models in various forms. Nevertheless, writing models that are applicable and suitable for Korea s education situation and students levels have kept facing limit. This means writing instructors in colleges seriously contemplate educational methods suitable for colleges situation and students level. Especially they try to perform student- oriented writing instructions, but students still feel against writing classes, and there is lack of valid analysis on specific effects of writing classes.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learner- oriented writing education based on the case of <Writing That Changes Me> done in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and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learner- oriented writing education through ultimate direction and specific methods of lecture that writing education should pursue. To pursue learner- oriented writing, it is necessary to perform self- diagnosis of writing for measurement of students levels at the first week and the last week of course. Through preliminary survey, students levels should be measured, and the plan and purpose of the course should be clarified. Through post- survey, students should comprehend their own writing ability improvement,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should be analyzed. In the actual class, it is effective to improve students class concentration by using videos about text subjects rather than limiting the methods of improving thinking ability within text reading, and to induce students active class participation by connecting video utilization with text reading to expand thinking ability. It is also effective to perform short writing practice using exercises in the beginning of semesters and to make students confirm their improvement of writing ability as instructors give feedback after the practice, so that students can realize problems of their writing.

      • KCI등재

        서정인의 <강>에 나타난 공간 구조의 특징과 의미

        김민옥(Min-Ok, Kim) 어문연구학회 2014 어문연구 Vol.81 No.-

        본고는 서정인 소설 <강>을 텍스트로 선정하여 공간 구조의 특징과 의미를 살피고 작가 의식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소설에 나타난 공간 구조의 특성과 공간의 의미를 파악하여 서정인 소설의 특징을 밝히는 작업이 서정인 문학 세계를 확인해 볼 수 있는 중요한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맘그렌이 제시한 서사적 공간 이론을 거시적 차원에서 원용했고 미시적 차원에서 서사 구조를 분석한 후 점, 선, 면의 공간성 개념을 적용하였다. 서정인은 <강>에서 서사의 부재 속에서도 다양한 인물들이 보이는 초라한 모습을 통해 삶에 대한 쓸쓸한 인식을 제시하면서도, 이 모든 것이 통합되는 서사 공간과 서술 공간을 마련하여 이들에 대한 연민과 위안의 시선을 보내는 작가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삶을 적극적이거나 능동적으로 살아가지 못하는 소시민의 무기력하고 쓸쓸한 모습을 객관적인 시선으로 차분하게 그려내면서도 이들에 대한 연민과 위안의 시선을 소설 공간 안에 담아내고 있는 것이다. This study selected Seo Jeong-In's novel <The Riv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patial structure's characteristics and its meanings and to contemplate the author's awareness seen in the novel, because the investigator thought that the work identifying Seo Jeong-In's novel's characteristics by recognizing the spatial structure's characteristic and its meaning would be an important method to identify the author's literature worl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quoted Malmgren's narrative space theory from the macroscopic term, and analyzed the novel's narrative structure from the microscopic term, and then applied the spatial concepts of points, lines, and planes to the novel. Additionally, in order to discuss the narrative space, this study divided into the narrative space's layers into the 'narratival space' and the 'narrational space' and tried to analyze the novel. The work comprehensively investigating the 'narratival space's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and those of narrational space will become a methodology to view an author's works from a consistent viewpoint. Looking into the narratival space's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the narratival space in the novel <The River> minimized the narration caused from the absence of conflicts and the successive list of actions, but as the actions were gradually being developed in the latter half, the meanings were gradually created. Besides, the start point was oppositively juxtaposed with the arrival point around the life line being compared to the river, and the both points were gradually integrated into a point. The bus reflecting the plane's spatiality is a symbolic space that controlled the figures' consciousness through its conflicting attributes of stop and movement and showed the excluded people's stagnant life appearances. The 'inn' can be said as a symbolic space that the horizontal life that the figures had gone through on earth was integrated with the vertical eyes being symbolized as the embracement, that is, the earthly life was integrated with the heavenly world. The spaces showing the life's spatiality were the road and the river. The road space exercised the narrative space implying this novel's format and its theme through the flow being expressed as a line. The river can be considered as another form of road, and implies the time flow for figures to live through. The 'road' and the 'river' were the narrative spaces revealing the fact that it was the life that the vulgar, common figures coexisted and flew toward one point. Looking into the narrational space's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various minds of people being familiar with the life frustrations and disappointments were appeared in mix with several figures' voices. Such a mixing description freely moved through main figures' views and minds and gradually focused on them in order, and that was repeated in the circle shape and was eventually integrated into the starting point. That takes the function giving the even view to each figure, not appearing the narrator in front as much as possible. Besides, such intentional, elaborate narrative tool's strategies present exceptional senses of tense and balance to this novel which was absent any tangible narration. Besides, the narrator made the past into the present time utilizing the technique making the time as a space and integrated the physical time into a point which some snow fell, leading to see Mr. Kim living in an alienated life from the real world and various figures' appearance in pitiful eyes. Like that, while he suggested the tragic consciousness on the life through various figures' miserable appearances, Seo Jeong-In revealed the author's awareness sending his pitiful and comforting view toward them by utilizing the spatial structure integrating the all narrations and the descriptive technique distributing the even view to the all figures.

      • KCI등재

        초기 온라인 커뮤니티 형성과 통신문화의 변화

        김민옥(Kim, Min Ok),조관연(Cho, Gwan Yeon)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8 No.1

        한국의 온라인 커뮤니티들은 현재의 독특한 인터넷 문화 형성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소홀하다. 본 글은 1980년대 말에서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한국에서 존재했던 초기 온라인 커뮤니티의 형성과 그 문화적 특징을 총체적 입장에서 살펴본다. 전 세계적으로 비교해보면 한국의 온라인 커뮤니티는 독특한 위상을 가지고 있다. 현재 한국처럼 온라인 커뮤니티가 활성화된 국가가 드물며, 이 안에서 벌어지고 있는 상호작용의 양태에도 독특한 점들이 많다. 1998년대 말의 초기 사설 전자게시판은 이런 온라인 커뮤니티 문화형성에 가장 크게 기여하였다. 이들 초기 구성원의 자유와 평등, 연대, 공유 그리고 사회적 책임감과 엘리트 의식은 온라인 커뮤니티 문화 형성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 이들의 온라인 커뮤니티 문화는 1990년대 초반 대형 통신회사들이 운영하던 온라인 커뮤니티에도 상당 부분 이식되었지만, 후에 대중의 익명성과 소비주의 그리고 사회 구조 변화로 인해 온라인 커뮤니티 문화는 중층적이고 복합적으로 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기 온라인 커뮤니티 문화는 지금까지 하나의 가치와 규범으로서 온라인 커뮤니티안에서 작용하고 있다. Although online communities have significantly affected the formation of today’s unique internet culture in Korea, relatively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such communities. This paper explores the formation of the early online communities which existed in Korea from the late 1980s to the mid-1990s and its cultural characteristics in an overall view. The online communities of Korea have a unique position when compared to those of other countries across the world. There are few counties that have online communities as active as Korea, which has many unique aspects in the interaction of such communities. The early private electronic bulletin boards in the late 1980s have largely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the online communities. Freedom, equality, bonding, sharing, social responsibility and elitism of the early members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formation of the culture of the online communities today. The culture of the online communities has transferred in large part to the online communities operated by large telecommunication companies in the early 1990s. However, the culture changed later in a multi-layered and complex manner due to the anonymity and consumerism of the public and the change in social structure. Nevertheless, the culture of the early online communities still acts as a value and norm within online communities.

      • KCI등재

        오정희의 「유년의 뜰」에 나타난 나무의 수사적 특성

        김민옥 ( Kim Min-ok ) 현대문학이론학회 2023 現代文學理論硏究 Vol.- No.94

        이 논문은 오정희의 「유년의 뜰」에 나타난 나무의 상상력에 주목하여 그 의미망이 여성적 존재의 삶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다는 점을 분석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유년의 뜰」은 주요 인물의 삶의 내력이 나무와 겹쳐지면서 서사가 진행되고 나무의 변화와 인간 존재의 성장 과정을 겹치면서 작품 속 인물들의 욕망, 금기, 가능성의 세계를 제시하고 있다. 여름 나무로 형상화된 감나무는 감 열매의 크기로 노랑눈이의 육체와 정신의 성장이라는 의미망을 형성하고, 그 잎의 무성함과 수없이 많이 열린 열매를 통해 부네의 만개한 여성성을 드러내며, 감나무 열매 먹기에 대한 금기를 통해 여성성에 대한 억압적 측면을 제시하면서 금기와 욕망의 이중적 의미망을 형성한다. 부네의 죽음 전후로 가을나무와 겨울나무로 변화하는 감나무의 변화는 노랑눈이의 여성적 삶에 대한 인식과 맞물리면서 진행되는데, 부네의 죽음 이후 거울 앞에서 자신의 몸을 비춰 보는 모습은 ‘똑바로 선 나무’의 형상을 띤다. 똑바로 선 나무의 수직적 축이 우주적 축이라면 노랑눈이의 몸은 그 자체로 우주라는 점을 드러내며, 이를 통해 여성 정체성에 대한 인식을 보다 명확히 하게 되는 것이다. 앙상한 가지에서 생살을 보이는 겨울 감나무의 모습은 존재와 부재의 속성을 동시에 지니면서 ‘거꾸로 선 나무’로 변화한다. 이는 구역질을 하기 위해 똥통 속으로 몸을 굽히고 있는 노랑눈이의 몸으로 형상화되고 있다. 똥통 속으로 내려오는 한 줄기 빛, 끓어오르는 똥통의 상승적 이미지와 어울려 ‘거꾸로 선 몸-나무’는 봄의 나무로 재탄생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이는 노랑눈이에게 펼쳐질 가능성의 세계를 제시하는 기능을 한다. This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imagination of trees in Oh Jung-hee’s “Childhood Garden” by focusing on how their meaning networks are closely related to the lives of feminine beings.Childhood Garden presents a world of desires, taboos, and possibilities for the characters in the work, as the narrative progresses as the life histories of the main characters overlap with the trees, and the changes in the trees and the growth process of human existence overlap. The summer persimmon tree symbolizes Bunet’s femininity through its lushness, and the size of its fruit reveals both taboo and desire. The tree acts as a symbolic rhetoric for the body, but it also has a dual function of taboo and desire. The persimmon tree, represented as a summer tree, forms a semantic network of the growth of Yellow-eye’s body and mind through the size of its persimmon fruits, reveals Bunet’s full-blown femininity through the lushness of its leaves and the numerous open fruits, and forms a double semantic network of taboo and desire by suggesting the repressive aspect of femininity through the taboo against eating persimmon fruits. The transformation of the persimmon tree into an autumn and winter tree before and after Bunet’s death coincides with Yellow-eye’s perception of feminine life, and after Bunet’s death, her reflection in the mirror takes on the form of an upright tree. If the vertical axis of the upright tree is the cosmic axis, then Yellow-eye’s body reveals itself to be the universe, which further clarifies her perception of female identity. The figure of the winter persimmon tree, which shows life from its spindly branches, is transformed into an ‘upside-down tree’ with the attributes of presence and absence at the same time. This is symbolized by the body of a yellow-eyed dog bending down into a cesspool to vomit. Combined with the ray of light descending into the cesspool and the uplifting image of the boiling cesspool, the ‘inverted body-tree’ suggests the possibility of rebirth as a spring tree, which in turn suggests a world of possibilities for Yellow-eye.

      • KCI등재

        전상국의 「동행」에 구현된 공간 배치 전략과 연민의식

        김민옥(Kim Min-Ok) 한국문학회 2021 韓國文學論叢 Vol.88 No.-

        이 연구는 전상국의 「동행」에 나타난 공간 배치 전략과 연민의식을 살피고자 하는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전상국 소설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은 대부분 고통의 감정을 표출하고 있으며, 이 고통은 고통 그 자체로 머무는 것이 아니라 혐오, 자기처벌을 거쳐 연민의식으로 확장되는 양상으로 드러나는 경우가 많고, 또한 작가가 직조해 낸 공간 구조와 이 연민의식이 얽혀서 소설적 의미망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작품 속에 드러난 공간 배치 전략과 연민의 감정이 어떻게 연결되며 어떤 과정을 거쳐 그 의미를 형성하는지 파악한 다음, 이것이 작가의식을 어떤 방식으로 드러내는지 규명하기 위해 루드비히의 공간 이론과 고통을 핵심 감정으로 삼는 누스바움의 연민론을 방법론으로 적용하였다. 「동행」은 눈길을 따라 ‘개울→산비탈→고갯마루→내리막길(갈림길)’로 공간 이동이 이루어지는데, 고갯마루를 정점에 두고 상승과 하강 곡선을 이루며 동행하는 여정에서 두 인물의 고통이 발현되며 그 고통을 통해 공감하고 연민에 이르는 과정이 드러나고 있다. 육체적 고통이 전제된 ‘개울’과 ‘산비탈’의 공간 배치는 형사의 관찰자적 시선을 자연스럽게 형성하고 비좁고 상승하는 조율된 공간을 형성하여 주인공의 고통을 발현시키고 강화하고 있다. 고갯마루에서는 억구의 고통에 대한 형사의 공감이 수치심과 자기처벌의 의미를 지닌 ‘광’과 ‘담’의 상징적 공간 배치를 통해 형성되고 있다. 내리막길은 눈이 내리는 설정과 맞물려 고통을 전제한 ‘개울-산비탈’과 대조적인 의미를 형성하면서 연민의식이 실현되는 공간으로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주인공들의 목적지인 ‘와야리’까지 향해 나아가는 눈길의 공간 배치는 상승과 하강의 대립을 전제하면서 넓은 곳에서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보이다가 다시 넓어지는 특성을 보이면서 인물들의 고통을 발현하고, 자기처벌을 공유하도록 만들면서 눈의 의미망을 형성하여 공감을 통해 연민의식에 이르는 또 다른 ‘길’을 만들고 있는 것이다. This thesis started with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spatial arrangement strategy and compassion in Jeon Sang-gu’s 「Companion」. Most of the protagonists in Jeon Sang-guk’s novels express emotions of pain, and this pain does not remain in the pain itself, but rather expands through disgust and self-pity to a sense of compassion. This is because the spatial structure and this sense of compassion are intertwined to form a novel meaning network. In this study, Ludwig’s space theory and suffering are the key to understand how the composition and compassion of space revealed in the work are connected and through what process they form their meaning, and to analyze how this concretely reveals the artist s consciousness. Nussbaum’s compassion theory was applied as a methodology. In 「Companion」, the space moves from ‘Stream → Mountain slope → Pass crest → Downhill(crossroads)’. The process of becoming empathetic and compassionate through the pain is being revealed. The spatial arrangement of the ‘stream’ and ‘mountain slope’, which presupposes physical pain, naturally forms the detective’s observer’s gaze and creates a narrow and ascending coordinated space to express and reinforce the suffering of the protagonist. At the top of the hill, the detective’s sympathy for the suffering of the scourge is being formed through the symbolic spatial arrangement of ‘gwang’ and ‘dam’, which have the meaning of shame and self-punishment. It can be seen that the downhill road is arranged as a space where a sense of compassion is realized while forming a contrasting meaning with the ‘stream-mountain slope’ that rises to the top of the pass in conjunction with the setting of snow. In the end, the spatial arrangement of the eyes leading to the main character’s destination, ‘waya-ri’, assumes the confrontation between ascending and descending, showing a gradually narrowing shape in a wide place and then widening again, expressing the suffering of the characters, causing pain and self-esteem. While sharing punishment, they are creating another ‘path’ to compassion through empathy. In this way, Jeon Sang-guk suggests that, above all else, compassion is required to save human beings who are vulnerable to suffering through 「Companion」. In other words, human beings, who are fundamentally vulnerable to each other’s pain, can move forward with compassion by sharing each other s pain, revealing the author’s consciousness that pain and wounds can be healed through compa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