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여성의 교육수준에 따른 직무불일치에 대한 연구

        김미희,Mihee Kim 부산대학교 경영연구원 2023 Journal of East Asia Management Vol.4 No.2

        This study examined the degree of job mismatches and how job mismatches affects wages and job satisfaction of women wage workers who graduated from college. The four-year data from the 20th to 23rd (2017-2020) of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KLIPS) were integrated and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female workers graduating from universities in Korea are experiencing serious job mismatches such as education, skill, and major mismatches. The degree was more pronounced as the level of education increased. Second, it was found that it had a negative (-) effect on wag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job mismatch, such as education, skill, and major mismatch. Third, it was confirmed that job satisfaction decreas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job mismatch such as education, skill, and major mismatch.

      • KCI등재

        정량 광유도 형광법(QLF)과 광활성제를 이용한 초기 치아우식증의 진단

        김미희,이상호,이난영,Kim, Mihee,Lee, Sangho,Lee, Nanyoung 대한소아치과학회 2015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건전 법랑질과 우식 병소의 형광 차이를 증진시켜 QLF의 영상학적인 진단강도를 높이고, QLF로 촬영한 이미지 상에서 착색과 우식병소를 감별하기 위해 형광 염색제인 플루오레세인나트륨을 접목하여 사람 치아의 법랑질 표면에 유발된 초기 우식병소를 평가하는데 있다. 치아우식증이나 균열이 없는 최근 발거된 소구치 및 제3대구치를 대상으로 하여 치아의 평활면을 $6mm{\times}3mm{\times}3mm$ 크기로 절단한 후 아크릴 주형에 매몰하였고, 시편 표면적의 1/2에 nail varnish를 도포하여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시편은 무작위로 15개씩 총 6개 탈회그룹(6, 12, 24, 48, 72, 96시간)으로 나누었다. 시편을 각 시간에 맞게 탈회시키고 생리 식염수로 세척한 후 QLF-D를 이용하여 탈회 정도(${\Delta}F$)를 측정하고 0.075% 플루오레세인나트륨을 적용한 후 세척하고 ${\Delta}F$ 값을 측정하여 그 값을 비교하였다. 시편의 중앙 부위를 삭제하고 연마하여 주사전자현미경 상으로 영상을 저장한 후 병소 깊이를 측정하였다. QLF를 이용하여 관찰한 우식병소는 건전 법랑질보다 어둡게, 플루오레세인나트륨을 도포한 후 QLF로 관찰한 우식병소는 건전 법랑질보다 밝게 관찰되었으며 탈회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형광염료는 더 많이 침투하였다. 플루오레세인나트륨을 적용한 후 측정한 ${\Delta}F$ 값은 염색 전과 비교하여 모두 증가하였다(p < 0.05). QLF 수치와 병소 깊이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회귀분석을 통해 선형 방정식을 추출하였다. 따라서 플루오레세인나트륨을 접목시킨 QLF 측정은 임상적으로 초기우식을 감지하고 분류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QLF로 촬영한 이미지에서 우식병소와 착색을 감별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This study used sodium fluorescein to improve imaging diagnostic ability by increasing the fluorescence difference between sound enamel and caries lesions. It also made it easier to discriminate between stain and caries lesions using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QLF). Half of the specimen surface was covered with nail varnish as a control. Specimens were divided randomly in six decalcification groups and decalcified for different lengths of time. Then, ${\Delta}F$ was measured using QLF-D. After applying 0.075% sodium fluorescein, we measured ${\Delta}F$ again and compared it with the initial value. After cutt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specimen, we measured the lesion depth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lesion surfaces observed with QLF were darker than normal enamel, whereas they were lighter than normal enamel after applying fluorescein. Longer decalcification time was associated with greater fluorescent dye penetration. The ${\Delta}F$ measured after applying fluorescein was higher than the initial value (p < 0.05). Due to QLF measurement using fluorescein being more sensitive for diagnosing early decalcification, this approach will enable early diagnosis of dental caries before the cavity formation stage, allowing the treatment of early caries lesions. With QLF and sodium fluorescein, we can easily discriminate between stain and caries lesions.

      • KCI등재후보

        트리샤브라운(Trisha Brown)의 작품 <Man Walking Down the Side of a Building>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에 관한 연구

        김미희,KIM, Mihee 성균관대학교 트랜스미디어연구소 2016 트랜스- Vol.1 No.-

        예술은 정치적인 분위기 및 사회의 제도에 따라 시대를 반영하며 끊임없이 변화해왔다.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정치, 경제, 사회에 큰 변화가 일어남에 따라 문화와 예술에서도 20세기 초기의 모더니즘을 거부하는 반역사적 경향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인 변화로 특히 미국의 무용계에서는 모더니즘을 거부하는 실험의식이 강하고 급진적이며, 전위적 예술성향의 포스트 모던댄스가 생겨났다. 작업의 의도나 표현에 있어 새로운 움직임의 표현을 발견하고 즉흥적인 요소와 실험적 시도의 흐름이 주를 이루었다. 이러한 포스트 모더니즘적 안무특성을 탐구하여 오늘날까지 현대무용 안무 형식에서 나타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트리샤 브라운의 작품 중 포스트모더니즘 특성이 가장 잘 나타난 작품 <Man Walking Down the Side of a Building>을 선택하였다. 작품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 성향을 살펴보면 미국의 포스트모던 댄스를 이끈 트리샤 브라운은 1960년대를 시작으로 포스트모더니즘의 주도적 역할을 했던 미국의 사회적 흐름을 무용작품에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움직임 자체의 표현과 순수한 움직임을 위한 무용을 강조하였다. 미국의 현대무용가들은 신체자체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신체표현이 사실적이고 현실적이며 움직임으로 인해 어떠한 감정표현과 개인의 감성이 배제되어 있다. 일상적인 행동을 무용으로 재창조하고 탁월한 공간사용과 실험적인 안무형태를 형성시켜 무용을 가치 있는 예술로서 각인시켰다. 따라서 브라운의 작품분석을 통해 예술의 한계를 벗어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오늘날 현대무용의 움직임과 안무형태에 본질적인 무용예술의 방향을 제시해주었다고 볼 수 있다. Arts have changed continuously reflecting the times with the political atmosphere and social systems. As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big changes have occurred since World War II, antihistorical tendencies rejecting modernism in the early 20th century have come to appear in culture and arts as well. With these social changes, radical, avant-garde and artistic tendencies with strong experimental spirits, which rejected modernism took place especially in American dancing world. Trends of improvised elements and experimental trials were dominated discovering expressions of new movements in intentions and expressions of wor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choreographic forms of modern dance until today by exploring chore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is postmodernism. To examine post-modernist inclinations in works, Trisha Brown who led American post-modern dance stressed dance for expressions of movements in themselves and pure movements by actively accepting into dance works American social flows which played a major role in postmodernism starting from 1960s. American modern dancers considered body in itself as important one and any emotional expressions and individual sensitivity is excluded as their physical expressions are factual, realistic, and due to their movements. They imprinted dance as valuable art by recreating ordinary behaviors into dance, using space excellently and forming experimental dance shape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rough analyzing brown's works, we proposed a new direction getting out of limits of arts and provided a direction of essential dance alt to movements of modern dance and choreographic shapes.

      • KCI등재

        대학생들의 팀 학습목표 지향성과 팀 창의성의 관계: 팀 성찰, 팀효능감, 그리고 긍정적 집단 정서 분위기의 역할

        김미희(Mihee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10

        급격한 환경변화에 속에서 창의성이 조직 생존을 위한 경쟁우위 요인으로 강조된 이 후, 많은 학자들은 어떻게 하면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관심을 가져왔다. 수많은 조직들이 효율적인 업무처리를 위해 팀 제를 도입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팀 창의성에 대한 관심 역시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팀 창의성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팀 학습목표 지향성을 선행요인으로 고려한다. 특히, 팀 학습목표 지향성과 팀 창의성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서로 다른 팀 프로세스(예, 팀 성찰, 팀 효능감, 긍정적 집단 정서 분위기(PGAT: Positive Group Affective Tone, 이하 PGAT))를 밝히는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분석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서울소재의 한 경영대학에서 개설하는 세 개의 경영학 전공 강좌의 수강생 187명(57개 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을 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팀 학습목표 지향성은 팀 창의성과 정(+)적으로 관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팀 성찰과 팀 효능감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팀 성찰과 팀 효능감은 팀 창의적 성과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으며, 동시에 팀 학습목표 목표 지향성과 팀 창의성 사이를 매개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예측과 달리 PGAT는 팀 학습목표지향성과 팀 창의성과는 통계적으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본 연구 결과는 다양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가진다. This study draws on goal orientation theory and proposes the team learning goal orientation as an antecedent of team creativity. In addition, an Input-Process-Output (IPO) model was adopted, in which the team reflexivity, team efficacy, and positive group affective tone (PGAT) are linking mechanism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team creativity. Using 57 teams from three lectures of the colleg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t the team lev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eam learning goal orientation had positive associations with team creativity, team reflexivity, and team efficacy. In addition, team reflexivity and team efficacy positively predicted the team creativity.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team creativity was mediated by the team reflexivity and team efficacy. In contrast to predictions, PGAT did not show significant relations with both team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team creativity. In conclusion, this study integrated the team-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team creativity literature and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team reflexivity as a cognitive process and team efficacy as a motivational process between the team property and team creativity. These results ha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managing te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