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현대 주방가구의 친환경디자인 사례 연구

        김미경(Mikyoung Kim),김명태(Myeoung-Tae Kim) 한국가구학회 2016 한국가구학회지 Vol.27 No.3

        One of the conspicuous changes in kitchens is that kitchen space is more economically constructed than ever before giving more considerations to functionality. At the same time, eco-friendliness begins enjoying more attention for health and well-being reasons. Which is more important between functionality and eco-friendliness is a matter of personal taste and judgement. But eco-friendliness has become one of the more critical criteria for users to choose kitchen furniture. This paper examines the design trends of Contemporary kitchen furniture from the perspective of functionality and eco-friendliness. Results show that, as has been expected, many of kitchen furniture items manufactured by major furniture businesses have been found more functional and more eco-friendly than before the research period. I expect this trend to continue long into the future.

      • 유전자 알고리즘 기반의 에너지 인식 트래픽 분산 기법

        김미경 ( Mikyoung Kim ),박준호 ( Junho Park ),성동욱 ( Dongook Seong ),유재수 ( Jaesoo Yoo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7 No.2

        최근 한정된 에너지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연구로써 이벤트 발생 여부에 따른 노드의 가변센싱 및 전송 기법의 경우, 특정 노드에서 네트워크 혼잡을 야기하여 전송 패킷의 손실 및 전송 모듈의 과다 사용으로 인한 네트워크의 수명이 감소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유전자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네트워크 패킷을 주변 노드로 분산시키는 TARP 가 제안되었다. 하지만 TARP 의 경우, 유전자 알고리즘의 핵심 단계인 적합도 평가에서 사용되는 적합도 함수에 인접 노드의 평균 데이터전송량 및 데이터 분산만을 고려하여 트래픽을 분산하기 때문에, 전체 네트워크 수명에 대한 추가적인 고려가 필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유전자 알고리즘 기반의 에너지 인식 트래픽 분산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적합도 평가에서 잔여 에너지량 및 단일 노드의 데이터 전송량을 추가적으로 고려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트래픽 분산을 수행하여 네트워크 수명을 증가시킨다. 제안하는 기법의 우수성을 보이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존의 트래픽 분산 기법(TARP)과 제안하는 기법과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기존 기법에 비해 평균 27% 이상의 네트워크 수명의 향상을 보였다.

      • KCI등재

        현상학적 공간개념을 통한 빛의 오브제적 특성에 관한 연구

        김미경 ( Mikyoung Kim ),윤성호 ( Sungho Yo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1

        (연구배경 및 목적) 현상학은 의식과 신체를 분리하는 이원론적 전통 철학에 대한 비판에서 비롯하여 지각되는 모든 현상에 대한 근원적 앎을 찾는 것에 목적이 있다. 프랑스 철학자인 메를로-퐁티(Merleau-Ponty)는 인간 중심의 사고에서 신체를 육화된 정신으로 명시하고, 신체와 세계의 상호 교착에 의해 발생되는 현상적 장의 이론을 주창한다. 현상적 장에서 인간과 세계는 유기적인 체계를 이루어 하나의 몸으로 인식된다. 이는 신체 중심의 지각으로 인해 끊임없이 변형된 방식으로 주어지고 인식되어 공간성을 이루는데, 이러한 현상학적 공간개념은 신체의 개입을 통해 공간 경험을 제시하는 현대 공간의 개념과 같은 맥락으로 파악되어 진다. 현대의 공간에서 빛은 진보적 매체의 발달과 더불어 조형적 요소로의 새로운 가능성으로 인해 오브제로의 역할을 가진다. 따라서 본 논문은 오브제화된 빛에 대하여 매개적 요소로서의 가치를 규명하고 이러한 빛을 체험함에 있어 신체지각에 의한 현상학적 해석을 통해 공간과 인간의 관계적 의미에 대하여 파악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먼저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을 통해 현상학적 공간의 개념에 대하여 고찰하고, 오브제와 빛의 의미 확장을 통해 오브제로서의 빛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오브제적 빛의 정의와 현상적 의미에 관하여 규명하였다. 또한 오브제적 빛과 연계되는 인간의 지각적 근거를 바탕으로 표현특성과 관계특성을 도출하고, 이와 같이 도출된 특성을 근거로 최근 10년간 빛을 소재로 실험 및 연출한 오브제적 빛의 사례에 적용, 분석하였다. (결과) 사례 분석 결과 표현의 특성에 따라 인간과 공간사이의 관계가 각각 상응됨을 알 수 있었다. 신체 중심으로 지각되는 지향성, 공간성, 가변성은 표현 의도에 따라 복합적으로 나타나지만 결과적으로 오브제적 빛의 목적에 의해 주체적, 상황적, 연속적인 인간의 지각방식에 결부되어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오브제적 빛은 그 표현의 의도를 인간에게 명확히 전달하고 체험적 가치를 가지는 상징적 매개체로서의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는 현상학적 공간개념의 분석을 통해, 오브제적 빛의 표현 특성이 인간과의 관계적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며 그 의미가 상통하는가에 대하여 증명함으로서 상징적 매개체로서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다. 따라서 현상학적 측면에서의 오브제적 빛은 공간을 구현하며 물질적인 한계를 초월한 현상적 감각 자극을 통해 인간에게 체험적 효과를 제시하고 그로 인해 공간에 개입한 인간은 오브제적 빛이 제공하는 공간의 상황적 지각을 통하여 공간의 새로운 가치를 찾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Phenomenology aims for fundamental knowledge on every phenomenon perceived and stems from criticism on dualistic traditional philosophy, which separates the consciousness and the body. French philosopher Maurice Merleau-Ponty proposed the theory of phenomenological base, which clarifies the body from human-oriented thought as the mind that is incarnated and generated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the world. From the phenomenological view, humans and the world comprise a single body by forming an organic system. This system forms extensity by given and recognized in style that is continuously changed by body-oriented knowledge, and phenomenological space is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as modern space, a concept that suggests space experience with the intervention of the body. Light in modern space plays the role of objet owing to its new potential as a plastic factor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progressive media.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value of objective light as mediation factor, as well as shed light on the relational meaning with phenomenological interpretation of body awareness with respect to humans and space. (Methods) This study contemplated the phenomenological space concept with the phenomenology of Merleau-Ponty, and clarifies the phenomenological significance of the definition of objective light by suggesting the potential of objective light, along with its extension. This study drew on expression and relational characters based on knowledge support of humans connected to objective light. These characters were analyzed after being applied to examples of objective light experienced and expressed with light in the last 10 years based on deduced character.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space corresponded to expressive characters. The directivity, extensity, and variability surrounding the body were revealed to be complex and depending on expression intention. The body is shown to be joined to the autonomous, situational, and continuous manner of perception of humans with respect to the purpose of objective light. Therefore, objective light has significance as symbolic mediation that clearly conveys the intention of expression and contains experiential value. (Conclusions) This study establishes symbolic mediation as theoretical base through analysis of phenomenological space and discussion of how the expression character of objective light influences relational character. The study further proves if the significance is understood. Objective light in the phenomenological view realizes space and affects the human experience through its phenomenological sensory stimulation beyond material limits. As a result, new value of space can be discovered by human intervened the space with situational perception of space provided by objective light.

      • KCI등재

        브랜드 안전과 조절초점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김미경(Mikyoung Kim),이진균(Jin Kyun Lee) 한국광고홍보학회 2021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3 No.3

        최근 프로그래매틱 광고 등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소비자 노출은 극대화된 반면 브랜드가 기업의 의도와 달리 부정적 맥락에 배치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함께 브랜드 안전에 대한 업계의 관심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 관점에서 브랜드 안전 정도(고/저)와 조절초점(향상초점/예방초점)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실험 연구 결과 브랜드 안전이 낮은 경우보다 높은 경우 광고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브랜드 안전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소비자 조절초점의 조절적 역할이 발견되었다. 구체적으로 예방초점 성향의 소비자는 브랜드 안전이 낮은 경우보다 브랜드 안전이 높은 경우 광고에 대해 호의적 태도를 보였다. 반면 향상초점 성향의 소비자는 브랜드 안전 정도에 따라 광고태도에 미치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브랜드 안전에 관심이 많은 기업들에게 자동화 광고 배치 등의 상황에서 주도적 브랜드 관리의 필요성 및 소비자 개인 특성의 이해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With the advance of digital technologies, brands are often placed in the inappropriate contexts. While marketers are increasingly paying attention to the issue of brand safety,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and how the level of brand safety interacts with consumer regulatory focus to influence attitude toward the ad and purchase intention. The results showed that high level of brand safety condition leads to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 ad and greater purchase intention than low level of brand safety condition. Moreover, the effect of brand safety on attitude toward ad is moderated by consumer regulatory focus. The effect of brand safety on attitude toward the ad is more pronounced among prevention-focused consumers(versus promotion-focused consumers).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과 청소년 심리의 연관성 고찰: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를 중심으로

        김미경 ( Mikyoung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과 청소년 심리의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부문의 연관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시 동작구의 D 중학생 200명과 Y 고교생 10명을 표본으로 삼아 D 중학생 2회기, Y고교생 26회기로 예방프로그램을 이수시킨 후, SPSS 25.0 방식을 채택하여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를 예방프로그램 이수 전후를 기준으로 조사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아존중감 검사의 경우 D 중학생 집단의 평균 점수는 20.2점에서 25.14점으로 상승하였고 Y 고교생 집단의 평균 점수도 18.1점에서 30.3점으로 상승하는 등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 부문 모두 유의미한 상승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상승의 폭은 상대적으로 Y 고교생 집단이 높았는데 이는 두 집단간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을 이수한 횟수의 편차가 주된 요인이다. 그러므로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다는 결론을 이끌었다. 본 연구는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의 구체적 방향성을 논하지 못한 한계가 있으며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link between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and the self-respect and satisfaction of youth psychology.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goal, 200 middle school students and 10 high school students from Dongjak-gu, Seoul, completed the preventive program in the second and 26 high school students from D middle school and Y high school, and the SPS 25.0 method was adopted to compare and analyze self-esteem and satisfaction in life based on before an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eventive program. As a result, the average score of the D middle school group rose from 20.2 points to 25.14 points, and the average score of the Y high school group also rose from 18.1 points to 30.3 points, resulting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both the self-respect and life satisfaction categories. The rise was relatively high among high school students, mainly due to the variation in the number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between the two groups.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and teenagers’ self-respect and satisfaction with life.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not discussing the specific direction of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 KCI등재

        누가 모바일 광고의 어떤 정보에 반응하는가

        김미경(Kim, Mikyoung),이성미(Lee, Sungmi) 한국광고홍보학회 2017 광고연구 Vol.0 No.114

        모바일 및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많은 기업들이 모바일 광고를 집행하고 있다. 특히, 1인 매체인 스마트폰을 통한 광고는 노출도가 높아 기업들이 선호하는 광고유형이나 그 효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모바일 광고에 대한 기존 연구는 모바일 사용자의 개인적 특성보다는 사용자의 환경, 상황, 메시지 특성과 같은 외적 요인이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이 맞춰져 왔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에 주로 연구되어 왔던 모바일 광고 속성을 비롯한 외적요인 이외에 소비자의 개인적 특성이 모바일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소비자의 인지 양식(cognitive style) 중 이미지 선호 성향에 따라 모바일 광고에 대한 태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29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소비자의 이미지 선호성향에 따라 광고의 정보적 가치와 오락적 가치에 대한 인식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와 같이 지각된 광고의 정보적 가치와 오락적 가치는 모바일 광고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소비자의 이미지 선호 성향이 높을수록 모바일 광고의 오락성과 정보성이 가치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지각된 광고의 정보적 가치와 오락적 가치가 콘텐츠 성향이 모바일 광고 태도에 대한 영향을 매개하는 것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모바일 광고 제작 시 타깃 소비자가 선호하는 콘텐츠를 최적화시켜 광고를 실시하여야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rapid development of mobile devices has resulted in increasing use of mobile devices to deliver advertising. Although increasing number of companies have adopted mobile advertising, the effects of mobile ad are questionable. Previous studies on mobile advertising have focused on external factors rather than consumer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effectiveness of mobile ad.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s regarding mobile advertising and cognitive style, this study explores how consumers’ content preference influences their responses to mobile advertising. A survey of 296 participants was conduc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content preference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consumers’ perceived informative value and perceived entertainment value of mobile ad. Moreover, the results reveal that perceived informative value and perceived entertainment value mediate the effects of content preference on attitude toward mobile ad.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also provided in this study.

      • KCI등재
      • KCI등재

        조직공정성이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조직지원인식의 매개변수 역할을 중심으로

        김미경 ( Kim Mikyoung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22 地方行政硏究 Vol.36 No.2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조직공정성이 조직지원인식을 매개하여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 방법은 경기도 소방공무원 1,516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분배적 공정성은 직무만족과 조직지원인식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지원 인식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분배적 공정성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는 부분 매개 역할을,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절차적 공정성은 직무성과, 조직지원인식에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지원 인식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절차적 공정성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는 완전 매개 역할을,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소방공무원의 직무만족과 직무성과를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impacts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through the mediation of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POS) for firefighting officials. The study method entailed an analysis of 1,516 firefighting officials in Gyeonggi-do wit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utilizing the AMO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revealed that distributive justice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POS. In addition, the POS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ive justice and job satisfaction, an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ive justice and job performance. Second, it was found that procedural justice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job performance and POS. Moreover, the POS reveal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dural justice and job satisfaction, an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dural justice and job performanc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esented the practical implications for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of firefighting officials.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정서조절과 진로미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

        김미경(Kim MiKyoung),안윤정(An YoonJung),김경아(Kim Kyoung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9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진로정서조절이 진로미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진로 정서조절과 진로미래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충남 등 4년제 대학교 530명을 대상으로 2018년 6월 1일부터 6월 22일까지 3주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494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방법은 빈도분석,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성별에 따라 진로정서조절의 자기 명료화와 진로주의집중 및 실천, 진로탄력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경제적 수준에 따라 진로정서조절의 직업 환경 불확실성 감소, 자기명료화, 긍정심리증진, 진로 미래의 부정적 진로전망, 일과 삶 균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정서조절, 진로탄력성, 진로미래의 상관관계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하위변인 간에도 전반적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지만, 나머지 요인들과 회피와 부정적 진로전망 변인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대학생의 진로정서조절은 진로미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대학생의 진로정서조절과 진로미래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진로정서 조절이 진로미래를 높이는 예측변인임을 확인하였고, 대학생들의 긍정적 진로미래를 위한 정서조절능력과 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로교육과 상담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career emotion regulation on CFI-R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emotion regulation and CFI-R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530 students at University located in Seoul, Kyonggi and Chungnam, from June 18 to June 22, 2018 and finally 494 data were used for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 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etc.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clarity, the concentration and practice of career emotional regulation, career resilience according to their gend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economic standard, the decrease in the uncertainty of job environment, self-clarity, improving positive psychology of career emotion regulation and the negative career outlook, the work and life balances of CFI-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from the results of analyzing correlation between career emotion regulation, career resilience and CFI-R,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in all variables. There was a general static correlation between the sub-variables, but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remaining factors and the avoidance and negative career outlook variables was negative. Third, the career emotion regulation of university student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FI-R. Fourth, the career resilience prove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to career emotion regulation and CFI-R of university students. We confirmed that the career emotion regul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s a predictor to increase the CFI-R, and suggested the necessity of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to improve the emotion regulation ability and resilience for the positive CFI-R of university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