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원 없는 재난 서사 : 네빌 슈트의 『해변에서』와 모데카이 로쉬월드의 『레벨 7』

        김령희(Younghee Kim) 한국영미어문학회 2021 영미어문학 Vol.- No.140

        This paper outlines the characteristics of nuclear apocalypse narratives and examines how the possibility of a bright future is called into question in some novels dealing with the ultimately catastrophic conditions. To this end, I have analyzed Nevil Shute’s On the Beach and compared it with another nuclear fiction, Level 7 by Mordecai Roshwald, identifying the way people accept their destiny without salvation faced with the end of the world. On the Beach portrays the impacts of nuclear threats on the southern hemisphere’s collateral damage, suggesting no one is untouchable by nuclear war and revealing the grim reality of uncontrolled technology that looms humanity. This study attempts to delve into the novel’s crucial distinctions in more detail and underscore the characters’ tragedy, magnified by Shute’s solid writing style that excludes exaggeration and rhetoric.

      • KCI등재
      • KCI등재

        아늑한 파국은 없다: 존 윈덤의 『트리피드의 날』에 나타난 기술문명 비판

        김령희(Younghee Kim) 한국영미어문학회 2023 영미어문학 Vol.- No.149

        This study investigates John Wyndham’s The Day of the Triffids(1951), an iconic piece of post-apocalyptic literature, by focusing on the array of disasters portrayed within the narrative. It explores the inversion of established dominance-subordination dynamics stemming from a botanical retaliation and humanity’s downfall due to unbridled greed and uncritical trust in technology. The analysis delves deeper into the circumstances leading to widespread human blindness triggered by malfunctioning artificial satellites armed with chemical weapons. This event displaces humans from their position as nature’s exploiters, thereby overturning the nature-human relationship. Further, the study illuminates how Triffids, carnivorous plants resulting from haphazard genetic modification experiments and used to serve capitalist interests, steadily infiltrate England’s sophisticated society, pushing humanity towards extinction. Despite the ‘cozy catastrophe’ tag, The Day of the Triffids is far from comforting, and it graphically communicates the disastrous consequences of human arrogance and blind reliance on technological civilization. This research explores the gradual encroachment of British civilization by the Triffids, scrutinizes the reversal of the nature-human relationship as most of the populace loses sight, and examines how such a fictional disaster can offer realistic societal contemplation.

      • KCI등재

        종말서사에 나타난 경계의 소멸과 문명의 교체 : 조지 R. 스튜어트의 땅은 영원하다 를 중심으로

        김령희(Kim Younghe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6

        이 연구는 종말서사의 대표작이라 평가되는 조지 R. 스튜어트의 땅은 영원하다 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 북미 대륙을 강타한 팬데믹의 여파가 세상의 모든 경계를 서서히 허물어뜨리는 과정을 살펴보고, 종말의 위기에 처한 소수의 인류가 경계 너머에서 새로운 삶을 구축하는 방식을 고찰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한다. 또한 구세대의 성인들로 대표되는 팬데믹 이전의 문명이 대격변 이후에 출생한 젊은이들로 대표되는 포스트-팬데믹 문명으로 교체되는 과정을 분석하는 것을 부차적인 목표로 삼는다. 스튜어트는 지리학자인 이쉬의 시각을 통해 대부분의 인간이 사라진 세상이 인간의 부재로 인해 변화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수 천 년 이상 동안 인간이 영향력을 행사했던 다양한 요소에서 경계와 구분은 흐릿해지고, 자연은 인류가 기거하기 이전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과거 문명의 잔해에 의존하던 구세대는 원시적이지만 건강하고 창의적인 방식으로 새로운 문명을 창조하는 젊은 세대에게 자리를 내어준다. 스튜어트는 재난의 원인이 아니라 재난 이후의 세계에서 살아남은 인간들이 문명을 재건하는 과정에 중점을 두고, 인류의 문명이 탄생과 성장, 그리고 소멸의 과정을 되풀이함을 기술한다. 일순간에 세상의 패러다임을 바꾸어버린 팬데믹으로 인해 우리 사회가 그 어느 때보다 죽음에 대한 공포로 가득한 현 시점에서 유사한 공포와 그것의 극복 과정을 다루고 있는 스튜어트의 종말 서사는 우리로 하여금 허구를 통해 그 공포에 직면함으로써 그것에 대처할 수 있게 도와줄 것이다. This study on George R. Stewart’s Earth Abides aims to scrutinize its depiction of a fictional pandemic’s aftermath in North America and the process by which it gradually breaks down all global boundaries. It also explores how a few survivors build a new life out of the remains of the previous civilization. The study also aims to analyze the civilizational clash between the older generation and the younger generation, which was born after the cataclysm. Using the perspective of only one character, Ish, Stewart details what befalls the world in the absence of human activities. In various areas where humans once exerted influence for thousands of years, boundaries and divisions begin to blur, and nature moves closer to its pre-human state. The older generation, which has been surviving by using the remnants of the previous civilization, begins to give way to the younger generation, which sets about establishing a new civilization in a healthy and creative way, though it may seem primitive. Stewart, who does not mention the cause of the disaster, focuses, instead, on how civilization is rebuilt by a tiny new human society and describes how human civilization repeats the process of birth, growth, and extinction. The recent COVID-19 pandemic changed our world’s paradigm in one instant, and we are now facing the fear of death more strongly than ever before. Stewart’s apocalyptic narrative, which describes a similar fear, could help us cope with this fear by confronting it through fiction.

      • KCI등재

        과학소설(SF) 대상 학습자 참여형 교양교육 교과목의 설계와 검토

        손나경(Nagyung Sohn),김령희(Younghee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2

        본 연구는 계명대학교 교양교과목 “과학소설(SF)로 떠나는 상상여행”이 강좌의 3가지 목표를 성취함에 있어서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와 상호소통을 유도하는 수업이 될 수 있도록 수업을 어떻게 구조화하였는지를 다룬다. “과학소설로 떠나는 상상여행”은 계명대학교 인문대학에서 코어 사업의 일환으로 개설된 교양이며 동시에 대규모 강좌라는 점에서 학생들의 적극적인 수업참여 유도를 위해 다각적인 접근법이 필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18년-19년까지 3학기 동안의 수업진행을 대상으로 하여 본 강좌의 16주간의 수업진행이 강좌의 목표에 부합하는 결과를 내기 위해 학습자들이 교육의 단순 수혜자에서 벗어나 적극적인 생산자로 참여할 수 있도록 토론, 레포트, 시험 등을 어떻게 구성하였는지를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본 수업에 대한 자체 평가와 함께 추후 어떤 점을 보완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살펴보기 위하여,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와 교육적 효과에 대한 반응을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본 강좌에 대한 만족도나 수업참여도는 높았으나 수업활동의 빈도나 강도에 대해 힘들어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본 강좌의 향후의 방향성과 추후 지속적인 연구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 생각하게 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structuralization of “The Imaginary Journey to Science Fiction,” a liberal arts course of Keimyung University, to encourage learn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 and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in achieving the three goals of the course. “The Imaginary Journey to Science Fiction” is a massive scale course, established as part of CORE of Humanities and International Studies College of Keimyung University, which makes it need diverse approaches of inducing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its classes and activities. This study deals with how to organize discussions, presentations, quizzes and tests, and assignments to help students be active participants, not as simple recipients of information. This also deals with the students’ responses to the class activities in order to make self-assessment on teaching methods and educational effects. Students’ estimation of this course has been far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liberal arts courses of Keimyung University. Still, they also express difficulties in completing all the class activities. From the result of the students’ estimation, we’ve come to realize we need further checks on this course and its modification.

      • KCI등재

        대형 온라인 강좌의 설계와 운영 방안 모색: 재학생, 고등학생, 일반인 대상의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장진영 ( Jinyoung Jang ),김령희 ( Younghee Kim ),손나경 ( Nagyung Sohn ),신효정 ( Hyojung Shin ),정현숙 ( Hyunsook Jeong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23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5 No.1

        21세기 들어 온라인 테크놀로지의 활성화로 온라인 강좌와 웹기반 커뮤니케이션의 사용이 고등교육 분야에서 증가되어 왔다.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온라인 교육의 특성은 대학 캠퍼스를 국내외로 확대하고 대학교육의 수혜자도 일반인과 타대학 학생으로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또한 학령인구의 감소, 대학 구조의 재편과 같은 변화도 온라인 교육에 대한 인식을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K대학교 재학생, 고등학교 3학년 학생,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온라인 강좌에 대한 만족도, 대형 온라인 강좌를 필요로 하는 영역, 현재 개설된 대형 온라인 강좌의 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니즈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K대학교 재학생의 온라인 강좌에 대한 만족도는 높게 나타나고 있다. 다만, 각각의 온라인 강좌에 대한 만족도는 높으나 온라인 강좌의 체계 통일성을 높여야 함과 온라인 강좌를 원활하게 수강할 수 있는 환경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고등학생의 경우 자연과학에 대한 선호도에서 일반인과 재학생에 비해 상당히 높게 나오고 있는데 수학, 물리와 같은 과목을 선수과목으로 하고 온라인 강좌로 만들어서 전공 수업에 대비하게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일반인의 경우 인문학 분야에 대한 선호도가 고등학생과 재학생에 비해 상당히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교양함양이라는 강의 목적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The advancement of online technology in the 21st century has increased online courses and web-based communication in higher education. This type of education is not limited by time or location and has made it possible to expand university campuses globally and broaden the reach of university education to the general public and students from other universities. Changes such as a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and a reorganization of the university structure have also created an opportunity to change the perception of online education. In this paper, we conducted surveys on K University students, high school seniors, and the general public to assess their satisfaction with online courses, identify areas that require massive online courses, and determine students’ needs for the operation of massive online courses. The survey showed that K University students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online courses. However, improvements are needed to ensure a smooth online course-taking environment, increase system uniformity, and enhance the overall online course environment. High school students have a strong preference for natural science and should be offered online courses in subjects such as mathematics and physics as prerequisites to prepare for their major classes. The general public prefers the humanities, which is evident in the purpose of the liberal arts lec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