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ward Elementary Teachers with Disabilities Using Q-methodology : 일반 초등교사가 인식한 장애인 초등교사의 이미지: Q-방법론을 활용하여

        김라경(Rah-Kyung Kim),이정은(Chung-eun Lee),이미지(Mi-Ji Lee) 한국직업재활학회 2020 職業再活硏究 Vol.3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교사가 생각하는 장애인 초등교사에 대한 능력, 역할, 교사 자질에 대한 인식과 이미지를 탐구한 연구로써 장애인 초등교사 고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주관성 연구방법인 Q-방법론을 사용하여 일반초등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장애인 초등교사의 이미지 유형 및 유형별 특성을 알아보았다. 일반교사 5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면담을 실시하고, 초등교사의 역할과 자질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일차적으로 약 300개의 Q-모집단을 추출하였다. 특수교육을 전공한 교수 3인에게 모집단의 적절성과 내용 타당도를 확인하여 최종적으로 40개의 Q-표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40개의 Q-표본 진술문은 총 30명의 일반교사에 의해 분류되었다. 일반초등교사가 지각하는 장애인교사의 이미지에 대한 유형을 분석한 결과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제 1유형은 ‘학생을 위해 헌신적이나 제한된 교육자원을 가짐’, 제 2유형은 ‘스스로 전문성 개발을 추구하나 행정업무의 한계가 있음’, 제 3유형은 ‘교실을 안전하게 유지하려고 하나 다양한 학생 관계에 어려움을 겪음’, 4유형은 ‘다문화·세계문화 감수성을 함양하나 학부모 관계에서 미흡함’으로 명명되었다. 네 가지 유형의 가장 긍정적 진술문과 부정문을 중심으로 하여 각 유형의 특성을 설명하고, 마지막으로 질적 자료를 보강하기 위해 각각의 유형을 대표하는 4명의 일반초등교사에게 추가 인터뷰를 요구하였다. 이를 통해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장애인 초등교사 고용증진을 위한 제언 및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대한 제도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age of the ability, roles, qualities, and expectation of elementary teachers with disabilities by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South Korea. Around 300 Q-samples were extracted by analyzing previous research about elementary education teachers and by conduct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of five general education teachers. Final 40 Q-classifications were selected and administered to 30 general elementary education teachers. The types of images of teachers with disabilities by general education teachers were classified into four different types of belief system; (a) showing commitment to students but shortage of educational resources, (b) purs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but a lack of classroom management, (c) keeping safe learning environment but limited communication with diverse students, and (d) cultivating muticultural and global interests but limited relationships with parent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ere explained focusing on the most positive and negative statements of the four types and In order to reinforce the qualitative data representative of each type, additional interviews were requested from four general teachers representing each of the four types.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implications for employment issues for hiring elementary teachers with disabilit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봉사학습을 경험한 예비초등교사들의 특수교육대상학생에 대한 태도 변화연구

        김라경 ( Kim Rah Kyung ),안예지 ( An Yeji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예비초등교사들이 체계적인 봉사학습을 통해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지도하는 과정에서 가지는 경험과 장애에 대한 이들의 태도가 변해가는 과정을 성찰하고 봉사학습의 의의를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는 A교육대학교에 다니는 12명의 예비초등교사들로 12주 동안 주 2시간이상 체계적인 봉사학습을 진행하였다. 봉사학습은 탐색 및 준비단계, 실행 및 성찰단계, 발표 및 기념단계로 진행하였고 수업에서 적극적인 피드백과 토의가 이루어졌다. 예비초등교사의 경험과 변화과정은 탐색 및 준비단계와 실행 및 성찰단계에서 진행된 두 번의 심층그룹 인터뷰와 참여자들이 작성한 5-6회기의 활동일지에 대한 키워드 네트워크 및 질적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탐색 및 준비단계에서 고빈도로 출현한 키워드 중, 네트워크를 주요하게 설명하고 있는 키워드로 ‘생각’, ‘도움’, ‘사람’ 등이 분석되었으며, 네트워크는 배움에 대한 기대감으로 봉사학습을 준비하는 집단과 장애에 대한 자신의 태도를 점검하며 봉사학습을 계획하는 두 개의 집단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실행 및 성찰단계에서도 ‘생각’을 중심으로 ‘수업’, ‘시간’, ‘교사’ 등이 네트워크를 설명하는 키워드로 분석되었고, 장애인에 대한 편견이 깨지고 생각이 변하며 이들을 교육적으로 지원하는 수준과 방법에 대한 성찰이 이루어지는 하위집단이 네트워크를 형성하였다. 마지막으로, 발표 및 기념단계에서는 ‘학습’, ‘장애인’, ‘교사’, ‘활동’ 등의 키워드와 함께 봉사학습이 가지는 교육적 효과와 긍정적 성과를 나타내는 네트워크의 하위집단이 분석되었다. 의의 및 함의: 예비초등교사들의 경험을 통해 장애인식의 변화와 초등 통합교육환경에서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지도하는 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봉사학습 효과의 가능성을 검증하고, 대학에서 봉사학습이 효과적으로 실행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요인들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on service-learning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nd to suggest its practical significance. Method: 12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from A University of Education participated in service-learning for more than 2 hrs./wk. for 12 weeks. Service-learning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1) investigation and preparation, (2 )action and reflection, and (3) demonstration and celebration. Along with the class discussions, feedback was provided to the participants. The process of change was analyzed by keyword network and qualitative analysis on 2 in-depth group interviews and 5 to 6 activity logs. Results: First, the network of stage 1 was mainly described with keywords such as ‘think’, ‘help’, and ‘people’. The network consisted of two groups: (1) expecting service-learning, (2) checking their attitud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Second, the network of stage 2 was described with keywords such as ‘think’, ‘class’, and ‘time’. The network was formed into two groups: (1) overcoming prejudices (2) the adequate support needs. Lastly, at stage 3, keywords such as 'learning', 'people with disabilities', 'teacher', and 'activity' were analyzed. The network was formed appreciating the achievements of service-learning and celebrating the needs of diversity.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service-learning helpe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explore the meaning of disability in society and develop confidence to teach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education. In addition, factors to consider to effectively implement service-learning in university level were discussed.

      • KCI등재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초등 음악과 교과역량 및 성취기준에 관한 델파이 조사연구

        김라경(Kim Rah-kyung),양소영(Yang Soh-yeong),한선영(Han Sun-young)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1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초등 음악과 내용체계 구성을 위해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초등 음악과 교과역량과 성취기준이 발달장애학생의 음악적 교과역량을 함양하고 교수·학습 및 평가에 적절한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5 초등학교 음악과 교과용 도서에 집필진으로 참여한 현장 교사, 특수교육과, 음악교육 전공교수 총 20명을 대상으로 4개의 음악과 교과역량, 하위요소, 23개의 3-4학년군 성취기준과 24개의 5-6학년군 성취기준의 적합도와 중요도에 대한 델파이 조사를 2회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교과역량, 하위요소, 성취기준에 대한 적합도와 중요도에 대한 평균, 분산, 내용타당도 비율(CVR), 합의도와 수렴도를 계산하고, 서술형 응답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였다. 연구결과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초등 3-4학년군 음악과 교과역량에서 1개, 조작적 정의, 하위요소에서 3개의 문항이 적합도와 중요도가 낮았다. 또한 3-4학년군 음악과 성취기준 23개 중 성취기준 13개, 5-6학년군 음악과 성취기준 24개 중 14개가 부적합으로 판명되었다. 이에 최종적으로 음악적 표현, 음악적 감성, 음악적 소통, 음악적 창의성이 교과역량으로 제안되었고, 3-4학년군에서는 17개, 5-6학년군에서는 14개의 성취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의 기본 교육과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대한 문제점과 새롭게 고시될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초등 음악과 교육과정의 방향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 to find out whether the 2015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lementary music, subject competency, and achievement standards are appropriate to cultivate the musical core competency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twice on four music education competencies, sub-elements, 3rd-4th grade achievement standards, and 5th-6th grade achievement standards. The average, standard deviation, content validity ratio(CVR), convergence, and consensus on subject competency, sub-elements, and achievement criteria were analyzed, and 20 expert opinions were collected through content analysis on descriptive responses. As a result of the Delphi survey analysis, it was found that one competency area was inappropriate in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and three competency areas were statistically inadequate in operational definitions and sub-elements. In addition, 13 out of 23 music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3rd-4th grades and 14 out of 24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5th- 6th grades were found to be unsuitable. By adding or modifying the new subject competencies, sub-elem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to the existing ones, the subject competencies of musical expression, musical sensibility, musical communication, and musical creativity were ultimately proposed. Total 17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3rd-4th grade and 14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5th-6th grade were finally presented. Through this study, the direction of the 2022 revised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in elementary music curriculum was presented by seeking ways to improve problems in the current basic music curriculum.

      • KCI등재

        성인 발달장애인 부모들이 가지는 자녀의 주거환경 및 지원서비스에 대한 탐구

        김라경 ( Rah Kyung Kim ),강종구 ( Jong Gu Ka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6 지적장애연구 Vol.18 No.1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성인들의 주거 환경과 지원서비스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발달장애성인 부모 6명을 대상으로 3회에 걸친 포커스그룹 면담을 실시하였다. 포커스그룹 면담 결과로써 첫째, 부모들은 교사와 거주, 긍정적 행동 강화 등으로 시설보다는 그룹 홈을 선호하고 있었지만 재정적 부담, 24시간/7일 거주 가능 등으로 시설을 선택하는 경우들이 있었다. 둘째, 주거환경의 개선방안으로는 접근성, 다양한 선택 등이 언급되었다. 셋째, 발달장애성인들에 대한 지원서비스와 관련해서는 인적 자원 부족, 지원서비스의 부족 등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발달장애성인들의 지원서비의 개선과 관련해서는 소비자 중심의 다양한 서비스의 지원, 활동지원서비스의 확대, 장애인 등급제에 따른 불합리성, 수시로 변경되는 정책 등이 언급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erceptions of parents of adult sons/daught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residential support needs. A total of 6 parents of adult sons/daught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ree focus group interviews. As results, first parents prefer group home to large residential institutions because of living with teachers, 24hour/7days care services, positive behavioral enforcements, and others. Nevertheless, they reluctantly chose institutions as future residences for their adult children with disabilities because of financial burdens, residence of 24hours/7days, and others. Second, the improvement ways for residential environment were mentioned accessibility, various choices, and others. Third, support services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elays shows that the lack of personal resources, the lack of support services, and others. Fourth, the improvement ways for residential environment were mentioned several things such as customized residential service needs, expansion of activity support policy, concerns of Korean Assessment Scale of Disability, and frequent changes in policy.

      • KCI등재

        노인들의 장애노인에 대한 수용 태도

        김라경 ( Kim Rah Kyung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1

        평균수명의 연장과 의료기술 발달 등의 영향으로 노인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노령장애인의 급격한 증가에도 불구하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이들을 위한 서비스제공은 미비하다. 본연구는 노인복지관에 통합된 서비스제공을 위해 노인들의 장애노인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고성별, 연령, 장애유무, 교육수준, 종교유무에 따라 이들의 태도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았다. 노인복지관에 노인들을 대상으로 990개의 설문지를 회부하고 그 중 완성된 705개의 설문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여, 독립표본 t 검증과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들은 장애인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중립적이거나 다소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으나, 장애인을 친구로 사귀고 싶은 의지나 이성으로써의 호감과 같이 장애인과의 개인적 관계와 관련된 항목은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것으로 보여졌다. 성별, 교육수준, 장애유무, 나이는 노인들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종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장애노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의 필요성 및 제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Because of an aging population and the advent of new medical techniques,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older people with disabilities.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services for those people. A survey of elderly people’s attitude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conducted to provide inclusive service programs in a senior welfare center. Total 990 people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and 705 people responded. Th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gender, age, disability, educational level, and religion. The results showed that elderly people’s overall attitude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more negative than toward people without disabilities. However, they felt relatively comfortable interacting with and holding personal relationships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 (i.e., having a relationship and socializing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 Elderly people’s attitud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ir gender, education level, and their own experience with disabilities, but little affected by religion.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discussed in this paper.

      • KCI등재

        베이비부머세대 은퇴에 따른 지역사회 노인복지관의 역할

        김사라(Sa rah Kim),김라경(Rah-Kyung K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8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세대의 은퇴에 따른 노후생활에 대한 준비와 삶에 태도 그리고 이에 따른 지역사회노인복지관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결과, 베이비부머세대는 ‘누구에게도 기대지 않음’, ‘내 삶은 내가 책임짐’, ‘지금까지 삶을 인정받고 싶음’과 같은 노후생활에 대한 욕구를 보였다. 베이비부머세대는 지금까지의 나의 삶은 ‘내가 스스로 개척한 것’이라는 자부심이 있었으며 ‘많은 역할과 책임감을 감당한 삶’으로 표현하였다. 이들의 은퇴 후 삶 역시 사회나 가족으로부터 도움을 받기 보다는 자신도 사회의 책임 있는 구성원으로서 의미 있는 역할을 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베이비부머세대가 지역사회 및 노인복지관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지원이 필요하다. 첫째, 베이비부머세대들이 복지관에 대한 심리적 접근성을 높일 수 있도록 복지관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베이비부머세대들이 자원봉사와 같은 활동을 통해 자신의 전문성을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건강한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베이비부머세대들이 은퇴 후에도 그들의 경제적 활동을 보장을 위한 일자리 창출 등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paration of life expectancy according to the retirement needs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the attitude toward life and the role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the communit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baby boomer generation showed a desire for old age life such as I do not expect anyone , my life is responsible , and I want to be recognized for life so far . The baby boomer eneration has expressed pride that my life so far has been my own pioneering and life with many roles and responsibilities . After their retirement, they want to play a meaningful role as responsible members of society rather than getting help from society or family.In order for the baby boomer generation to actively participate in community and elderly welfare centers, the following support is needed.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awareness of the welfare center so that the baby boomers generation can improve the psychological access to the welfare center. Second, it is necessary for the generation of the baby boomers to contribute their expertise to the community through activities such as volunteering and to lead a healthy old age. Third, it is necessary for the generation of baby boomers to create jobs to guarantee their economic activities even after retirement.

      • KCI등재

        가정폭력 피해자녀의 쉼터 경험이 당시 삶과 쉼터퇴소 후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김사라(Sa-Rah Kim),김라경(Rah-Kyung Kim) 한국가족치료학회 2021 가족과 가족치료 Vol.2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폭력 피해자의 자녀가 쉼터경험이 쉼터 당시의 삶과 쉼터 퇴소 후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자 접근의 현실적 한계를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의도적 표집(purposive sampling) 방법을 사용하여 대상자를 모집하였다. 서울에 위치한 1개의 보호시설에 거주하였던 현재 성인이 된 6명의 가정폭력 피해 자녀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2개의 범주(쉼터에서의 생활, 쉼터 퇴소 후 생활)와, 9개의 하위범주, 28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쉼터에서의 생활이 당시 삶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결과는 ‘생명이 위협받는 삶에서 벗어남’, ‘폭력 바로 바라보기’, ‘새로운 삶이 열리는 공간’, ‘인생의 든든한 지원군이 있는 곳’인 4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쉼터 퇴소 후 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는 ‘노력하면 달라진다는 희망’, ‘마음의 치유’, ‘나를 위한 주체적인 삶’, ‘타인과 심리적 거리두기’, ‘지워지지 않는 흔적’인 5가지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가정폭력 피해가정에 대한 개입 방안에 필요한 기초적인 정보와 자료를 제공하고, 가정폭력 피해자녀들의 외상사건에 대한 회복을 위한 쉼터의 역할에 대한 탐색을 시도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effect on the children of domestic violence victims’ life experience in shelters, both at the time of the shelter experience and after leaving the shelter. Methods: Using the purpose sampling metho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six children who are currently adults who lived in one shelter located in Seoul. Results: Applying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two categories, nine subcategories, and 28 semantic units were derived. Subcategories include “Getting out of life threatened,” “Looking at violence right away,” “A space where a new life opens,” “Where there is a strong supporter of life.”, “Hope that effort will change,” “Healing of the mind,” “Independent life for me,” “Psychological distancing from others,” and “Traces that cannot be erased.”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d basic information and data necessary for intervention measures for families affected by domestic violence and attempted to explore the role of shelters for the recovery of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in trauma cases.

      • KCI등재

        델파이 분석을 통한 고등학교 장애학생 전환능력검사 문항 개발

        최민식(Min-Sik Choi),김라경(Rah-Kyung Kim),송승민(Seung-Min Song),배세진(Se-Jin Bae),박희찬(Hee-Chan Park) 한국발달장애학회 2021 발달장애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성인기 삶을 체계적으로 준비하기 위한 전환능력검사 개발 초기 과정으로서 문항 개발을 통하여 예비조사를 위한 문항을 준비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선행연구 및 관련도구 분석을 바탕으로 장애학생의 전환교육 및 직업교육, 검사 개발에 대한 경험과 이해를 가지고 있는 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4개 영역(자립, 직업, 계속교육, 공통), 15개 하위영역, 139문항에 대하여 2회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환능력검사의 영역, 하위영역, 문항에 대한 중요도와 적합도, 내용타당도 비율(CVR), 수렴도와 합의도를 분석하고, 서술형 응답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였다. 리커트 5점 척도를 활용한 1,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영역의 중요도는 평균 4.75, 적합도는 평균 4.57로 높게 나타났다. 하위영역 역시 중요도 평균 4.70, 적합도 평균 4.47로 높게 나타났으며, 문항의 내용타당도가 낮은 문항은 전문가 의견을 함께 반영하여 수정, 삭제, 추가의 과정을 거쳤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립영역(자기관리, 가정생활, 건강, 돈 관리, 지역사회생활, 여가생활), 직업영역(직업준비, 직업기능, 직업생활), 계속교육영역(기초교육, 평생교육, 대학교육), 공통영역(의사소통, 대인관계, 자기결정)의 4개 영역, 15개 하위영역, 114개의 예비조사를 위한 예비문항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성인생활에서의 성과 및 목표를 고려한 종합적 전환능력검사도구 개발을 위해 타당도를 확보하고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preliminary vali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transition competency assessment to systematically prepare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their adult life.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of related transition tools in four areas (independence, vocation, continuing education, common), a Delphi survey questionnaire(i.e. 139 questions in 15 sub-areas)was developed. Two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on 20 experts who have experience and knowledge of transitio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importance and suitability, content validity ratio (CVR), convergence and consensus were analyzed for areas, sub-areas, and questions of the transition assessment tool and expert opinions were collected through narrative responses. 2 rounds of Delphi survey results using a Likert 5-point scale showed an average importance score was 4.75 and average suitability score was 4.57. The sub-areas were also high with an average importance of 4.70 and a suitability average of 4.47. The low content level of the questions were revised, deleted, and added to the expert opinion. Through this process, preliminary questions were drawn for four areas of independent living (self-management, family life, health, money management, community life, leisure life), vocational areas (job preparation, vocational functions, vocational life), continuing education (basic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university education), common areas (communic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determination), 15 sub-areas, and 114 preliminary questions.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ensure the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transition competence assessment that takes into account the performance and goals of adult life of high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사회구성주의 관점에서 본 지적장애의 개념과 시스템 고찰

        강종구 ( Jong Gu Kang ),김라경 ( Rah Kyung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2 지적장애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사회구성주의 관점을 통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지적장애와 학습장애의 법, 개념, 교육적 함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지난 50년간의 지적장애의 정의와 개념의 변화와 이에 따른 정신지체에서 지적장애로의 용어의 변화의 타당성에 대하여 논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와 외국의 문헌을 검토하였으며 검토된 문헌에 대하여 사회구성주의 관점을 통해 해석하고자 하였다. 검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법인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과 장애인복지법을 검토한 결과 장애인복지법에서는 특수교육법이 지원해 주지 못하는 장애에 대한 보완과 학습장애를 가진 사람들에 대한 지원이 미흡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는 달리 미국 장애인법과 재활법에서는 전장애아교육법에 해당하지 않는 장애(천식, 주의력 결핍 장애 등) 및 21세 이상의 학습장애 성인 등을 지원해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유럽의 경우 지적장애 대신 학습장애나 특수교육적 요구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포괄적인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지적장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둘째 지난 50년간의 지적장애의 용어, 정의와 개념의 변화를 검토한 결과 점차적으로 IQ중심의 심리학적 분류, 교육적 분류, 의학적 분류에서 종합적이며 환경적 사회적 맥락을 고려한 지원적 분류로 변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지적장애 개념을 검토한 결과 지적장애는 1급에서 3급에 해당하는 중증장애로만 분류되어 있기 때문에 지적장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내포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지적장애 용어 자체에 대하여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보건복지가족부에서는 장애의 진단 명칭을 지적장애로 사용하고 있는 데 반해 동일한 대상에 대하여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정신지체라는 용어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어 정부 차원의 교육과 복지가 협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laws, concept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intellectual and learning disabilities using a social constructionist model.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historical overview of how the constructs underlying mental retardation and intellectual disability differ, and to explain why the field is shifting from the term mental retardation to intellectual disabilities. First, unlike the IDEA eligibility system that is based on clinical categories of disabilities, definitions of disability under ADA and Section 504 are broad. These definitions may provide appropriate, reasonable adaptations and accommodations to eligibl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at IDEA cannot cover (e.g., attention deficit disorder, asthma). To the contrary, in order to receive services in Korea, special education law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Welfare of Disabled Persons Act consider the specific categories detailed in the laws. Some European counties favor to use the term "learning disabilities" to prevent bias against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over the last 50 years, the field has moved from the IQ-based medical model of classification to an ecological focus and supports paradigm. This new model focuses on the actual functioning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fic environments. Third,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may have negative attitudes if they are registered as having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current Korean system, the term intellectual disability represents having severe disabilities. The denial of registering as having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Welfare of Disabled Persons Act hinder this population from receiving appropriate services. In order to improve these negative perceptions about using the term intellectual disability, the experts` leadership role is crucial. The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use different terms (MR, ID) for the same disability category, a clear indication of collaboration among Ministries is needed.

      • KCI등재

        발달장애아동 부모교육에 대한 부모와 전문가의 경험과 요구 탐색

        전혜인(Jeon Hae-in),김라경(Kim Rah-kyung),구정아(Ku Jeong-ah)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0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아동 부모교육에 대한 부모와 전문가의 경험과 요구를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부모교육 참여 경험이 있는 발달장애자녀 부모 5명과 부모교육 제공 경험이 있는 전문가 4명을 포함하여 총9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Focus Group Interview)을 실시하였다. 모든 면담 내용은 전사한 후 지속적 비교법을 통하여 질적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3개의 대주제와 8개의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첫째, 발달장애아동 부모가 직면하는 어려움 대주제에서 도출된 소주제는 부모 및 가족의 심리적 스트레스, 자녀 양육기술 및 정보의 부족, 제한적인 부모지원 서비스 및 지역적 편차로 나타났다. 둘째, 발달장애아동 부모교육을 위한 실천적 요구 대주제에서 도출된 소주제는 장애에 대한 인식전환 및 객관화. 장애아동 각 가정에 개별화된 맞춤형 교육, 가정과 연계된 실습중심의 부모교육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 부모교육을 위한 제도적 지원이라는 대주제에서 도출된 소주제는 조기중재의 팀 접근을 통한 부모지원, 체계적인 연계된 복지서비스의 필요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아동 부모교육에 관한 운영 방향에 대하여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parents and experts on parent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wo groups:(a) 5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 experience in parent education, (b) 4 experts with experience in providing parent education. After transcribing all interviews, constant comparative method was used. Based on the qualitative analysis, 3 major theme and 8 sub-themes were derived. First, the sub-themes derived from the major themes of difficulties faced by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ppeared to be a) psychological stress of parents and families, b) lack of child caring skills and information, c) limited parent support services, and regional variations. Second, the sub-topic derived from the large topic of practical demands for parent education is needs of a) change of perception and objectification of disability, b) individualized parent education for each family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c) practices related to each home base. Third, the sub-theme system derived from the main theme of institutional supports for education for parents with disabilities appeared to be a) parent education and involvement in early intervention and b) systematic collaboration among welfare services. The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parent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discussed, and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