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ward Elementary Teachers with Disabilities Using Q-methodology : 일반 초등교사가 인식한 장애인 초등교사의 이미지: Q-방법론을 활용하여

        김라경(Rah-Kyung Kim),이정은(Chung-eun Lee),이미지(Mi-Ji Lee) 한국직업재활학회 2020 職業再活硏究 Vol.3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교사가 생각하는 장애인 초등교사에 대한 능력, 역할, 교사 자질에 대한 인식과 이미지를 탐구한 연구로써 장애인 초등교사 고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주관성 연구방법인 Q-방법론을 사용하여 일반초등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장애인 초등교사의 이미지 유형 및 유형별 특성을 알아보았다. 일반교사 5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면담을 실시하고, 초등교사의 역할과 자질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일차적으로 약 300개의 Q-모집단을 추출하였다. 특수교육을 전공한 교수 3인에게 모집단의 적절성과 내용 타당도를 확인하여 최종적으로 40개의 Q-표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40개의 Q-표본 진술문은 총 30명의 일반교사에 의해 분류되었다. 일반초등교사가 지각하는 장애인교사의 이미지에 대한 유형을 분석한 결과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제 1유형은 ‘학생을 위해 헌신적이나 제한된 교육자원을 가짐’, 제 2유형은 ‘스스로 전문성 개발을 추구하나 행정업무의 한계가 있음’, 제 3유형은 ‘교실을 안전하게 유지하려고 하나 다양한 학생 관계에 어려움을 겪음’, 4유형은 ‘다문화·세계문화 감수성을 함양하나 학부모 관계에서 미흡함’으로 명명되었다. 네 가지 유형의 가장 긍정적 진술문과 부정문을 중심으로 하여 각 유형의 특성을 설명하고, 마지막으로 질적 자료를 보강하기 위해 각각의 유형을 대표하는 4명의 일반초등교사에게 추가 인터뷰를 요구하였다. 이를 통해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장애인 초등교사 고용증진을 위한 제언 및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대한 제도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age of the ability, roles, qualities, and expectation of elementary teachers with disabilities by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South Korea. Around 300 Q-samples were extracted by analyzing previous research about elementary education teachers and by conduct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of five general education teachers. Final 40 Q-classifications were selected and administered to 30 general elementary education teachers. The types of images of teachers with disabilities by general education teachers were classified into four different types of belief system; (a) showing commitment to students but shortage of educational resources, (b) purs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but a lack of classroom management, (c) keeping safe learning environment but limited communication with diverse students, and (d) cultivating muticultural and global interests but limited relationships with parent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ere explained focusing on the most positive and negative statements of the four types and In order to reinforce the qualitative data representative of each type, additional interviews were requested from four general teachers representing each of the four types.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implications for employment issues for hiring elementary teachers with disabilit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성인 발달장애인 부모들이 가지는 자녀의 주거환경 및 지원서비스에 대한 탐구

        김라경 ( Rah Kyung Kim ),강종구 ( Jong Gu Ka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6 지적장애연구 Vol.18 No.1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성인들의 주거 환경과 지원서비스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발달장애성인 부모 6명을 대상으로 3회에 걸친 포커스그룹 면담을 실시하였다. 포커스그룹 면담 결과로써 첫째, 부모들은 교사와 거주, 긍정적 행동 강화 등으로 시설보다는 그룹 홈을 선호하고 있었지만 재정적 부담, 24시간/7일 거주 가능 등으로 시설을 선택하는 경우들이 있었다. 둘째, 주거환경의 개선방안으로는 접근성, 다양한 선택 등이 언급되었다. 셋째, 발달장애성인들에 대한 지원서비스와 관련해서는 인적 자원 부족, 지원서비스의 부족 등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발달장애성인들의 지원서비의 개선과 관련해서는 소비자 중심의 다양한 서비스의 지원, 활동지원서비스의 확대, 장애인 등급제에 따른 불합리성, 수시로 변경되는 정책 등이 언급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erceptions of parents of adult sons/daught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residential support needs. A total of 6 parents of adult sons/daught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ree focus group interviews. As results, first parents prefer group home to large residential institutions because of living with teachers, 24hour/7days care services, positive behavioral enforcements, and others. Nevertheless, they reluctantly chose institutions as future residences for their adult children with disabilities because of financial burdens, residence of 24hours/7days, and others. Second, the improvement ways for residential environment were mentioned accessibility, various choices, and others. Third, support services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elays shows that the lack of personal resources, the lack of support services, and others. Fourth, the improvement ways for residential environment were mentioned several things such as customized residential service needs, expansion of activity support policy, concerns of Korean Assessment Scale of Disability, and frequent changes in policy.

      • KCI등재

        장애대학생의 대학지원만족과 자기결정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라경 ( Kim Rahkyung ),장세영 ( Jang Seyo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성별, 장애유형, 장애정도 등과 같은 고정적인 요인을 통제한 후 대학지원에 대한 만족과 장애학생들의 자기결정력이 장애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장애학생지원센터의 담당자를 통하여 온라인형식으로 작성된 설문을 의뢰한 결과 장애대학생 236명이 응답하였고 이 중 응답 중 분석 가능한 194명의 설문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pearson 적률상관관계와 장애대학생의 개인적 특성(성별, 장애정도, 장애종류, 경제상태)을 통제변수로 사용한 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대학생의 대학지원만족, 자기결정성, 대학생활적응은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장애대학생의 대학지원만족에서는 장애학생지원센터를 통한 교수학습지원, 학습보조도구 및 학습도우미 지원, 수업등록 지원과 같은 교수학습과 자기결정성 중에서는 유능성과 관계성이 가장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서 유능성은 대학생활 중 습득한 기술과 형상된 능력을 통하여 자신감을 고취시켜 대학생활적응을 높일 수 있고, 관계성이 높을수록 교우관계 및 대인관계에서 긍정적 효과를 통하여 대학생활적응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대학이 장애대학생에게 적절한 교수학습을 지원한다면 자신의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기 때문에 대학생활적응에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와 비교하고 장애대학생의 성공적인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amo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tudy focused on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support and the level of self-determination, after controlling fixed factors such as gender, types of disability, and degree of disability. After creating an online surve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disseminating it through the staff of the Disability Support Center, a total of 236 responses were received, of which, 194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fter controlling for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sult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suppor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self-determination and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In the area of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support, teaching-learni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adapt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area of self-determination, compet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djust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crease their self-confidence and have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skills, abilities, and companionship. Additionally, if a university supported appropriate learn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ir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also improved. We compared the above results with those from previous studies and discussed ways for successful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사회적기업 장애인근로자의 근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별 특성 및 지원종류에 대한 연구

        김라경(RahKyung Kim) 대한경영학회 2021 大韓經營學會誌 Vol.34 No.9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을 고용한 사회적기업의 근무환경과 장애인근로자들의 근무만족도를 조사하고, 이들의 근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별 특성과 지원종류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적기업에 근무하는 총 165명의 장애인근로자가 설문에 참여하였다. 자료처리는 기술통계(평균, 분산, 빈도, 백분율), 독립표본 T검증 및 분산분석(ANOVA), 선형회귀 분석을 통해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체적으로 장애인근로자들의 사회적기업에 대한 근무만족도는 보통이상의 만족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근로자의 개별적인 특성인 성별이나 장애정도에 따른 근무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장애유형에 따라서 근무만족도에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발달장애를 가진 근로자들이 다른 유형의 장애를 가진 근로자에 비하여 보수와 수당 면에서 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지체장애를 가진 근로자들이 다른 장애유형의 장애인근로자에 비하여 동료근로자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셋째, 기업에서의 근무형태(상용근로자 및 임시·일용근로)와 현 직장 근무기간에 따른 근무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사회적기업의 지원의 종류 중 근무환경(장애인 편의시설, 작업장 환경)개선지원, 직업생활 및 고충처리 상담지원, 기숙사지원은 장애인근로자의 전체 근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사회적기업은 장애인근로자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는 유익한 일자리로써의 가능성을 볼 수 있었으며, 근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장애인근로자의 개별적 욕구를 반영할 수 있는 근무환경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정책과 지원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work satisfaction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in social enterprises and to find out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support that affect their work satisfaction. A total of 165 employees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Descriptive statistics(e.g. mean, frequency, percentage) and inferential statistics(e.g. T-test, ANOVA,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overall, the work satisfaction level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in social enterprises was above average.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der, degree of disabilities, employment period, and types of jobs(regular or temporary/daily workers). Work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significantly more satisfied in terms of remuneration and allowance than workers with other types of disabilities, and work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ere significantly more satisfied with relationships with fellow workers than workers with other disabilities. Third, it was found that support systems such as improvement of the workplace environment, counseling and consultation, and dormitory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overall job satisfaction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Social enterprises have the potential to provide quality jobs to workers with disabilities, and effective policies and support need to be prepared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tailored to individual needs to increase work satisfaction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within social enterprises.

      • KCI등재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초등 음악과 교과역량 및 성취기준에 관한 델파이 조사연구

        김라경(Kim Rah-kyung),양소영(Yang Soh-yeong),한선영(Han Sun-young)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1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초등 음악과 내용체계 구성을 위해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초등 음악과 교과역량과 성취기준이 발달장애학생의 음악적 교과역량을 함양하고 교수·학습 및 평가에 적절한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5 초등학교 음악과 교과용 도서에 집필진으로 참여한 현장 교사, 특수교육과, 음악교육 전공교수 총 20명을 대상으로 4개의 음악과 교과역량, 하위요소, 23개의 3-4학년군 성취기준과 24개의 5-6학년군 성취기준의 적합도와 중요도에 대한 델파이 조사를 2회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교과역량, 하위요소, 성취기준에 대한 적합도와 중요도에 대한 평균, 분산, 내용타당도 비율(CVR), 합의도와 수렴도를 계산하고, 서술형 응답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였다. 연구결과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초등 3-4학년군 음악과 교과역량에서 1개, 조작적 정의, 하위요소에서 3개의 문항이 적합도와 중요도가 낮았다. 또한 3-4학년군 음악과 성취기준 23개 중 성취기준 13개, 5-6학년군 음악과 성취기준 24개 중 14개가 부적합으로 판명되었다. 이에 최종적으로 음악적 표현, 음악적 감성, 음악적 소통, 음악적 창의성이 교과역량으로 제안되었고, 3-4학년군에서는 17개, 5-6학년군에서는 14개의 성취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의 기본 교육과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대한 문제점과 새롭게 고시될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초등 음악과 교육과정의 방향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 to find out whether the 2015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lementary music, subject competency, and achievement standards are appropriate to cultivate the musical core competency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twice on four music education competencies, sub-elements, 3rd-4th grade achievement standards, and 5th-6th grade achievement standards. The average, standard deviation, content validity ratio(CVR), convergence, and consensus on subject competency, sub-elements, and achievement criteria were analyzed, and 20 expert opinions were collected through content analysis on descriptive responses. As a result of the Delphi survey analysis, it was found that one competency area was inappropriate in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and three competency areas were statistically inadequate in operational definitions and sub-elements. In addition, 13 out of 23 music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3rd-4th grades and 14 out of 24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5th- 6th grades were found to be unsuitable. By adding or modifying the new subject competencies, sub-elem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to the existing ones, the subject competencies of musical expression, musical sensibility, musical communication, and musical creativity were ultimately proposed. Total 17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3rd-4th grade and 14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5th-6th grade were finally presented. Through this study, the direction of the 2022 revised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in elementary music curriculum was presented by seeking ways to improve problems in the current basic music curriculum.

      • KCI등재

        봉사학습을 경험한 예비초등교사들의 특수교육대상학생에 대한 태도 변화연구

        김라경 ( Kim Rah Kyung ),안예지 ( An Yeji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예비초등교사들이 체계적인 봉사학습을 통해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지도하는 과정에서 가지는 경험과 장애에 대한 이들의 태도가 변해가는 과정을 성찰하고 봉사학습의 의의를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는 A교육대학교에 다니는 12명의 예비초등교사들로 12주 동안 주 2시간이상 체계적인 봉사학습을 진행하였다. 봉사학습은 탐색 및 준비단계, 실행 및 성찰단계, 발표 및 기념단계로 진행하였고 수업에서 적극적인 피드백과 토의가 이루어졌다. 예비초등교사의 경험과 변화과정은 탐색 및 준비단계와 실행 및 성찰단계에서 진행된 두 번의 심층그룹 인터뷰와 참여자들이 작성한 5-6회기의 활동일지에 대한 키워드 네트워크 및 질적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탐색 및 준비단계에서 고빈도로 출현한 키워드 중, 네트워크를 주요하게 설명하고 있는 키워드로 ‘생각’, ‘도움’, ‘사람’ 등이 분석되었으며, 네트워크는 배움에 대한 기대감으로 봉사학습을 준비하는 집단과 장애에 대한 자신의 태도를 점검하며 봉사학습을 계획하는 두 개의 집단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실행 및 성찰단계에서도 ‘생각’을 중심으로 ‘수업’, ‘시간’, ‘교사’ 등이 네트워크를 설명하는 키워드로 분석되었고, 장애인에 대한 편견이 깨지고 생각이 변하며 이들을 교육적으로 지원하는 수준과 방법에 대한 성찰이 이루어지는 하위집단이 네트워크를 형성하였다. 마지막으로, 발표 및 기념단계에서는 ‘학습’, ‘장애인’, ‘교사’, ‘활동’ 등의 키워드와 함께 봉사학습이 가지는 교육적 효과와 긍정적 성과를 나타내는 네트워크의 하위집단이 분석되었다. 의의 및 함의: 예비초등교사들의 경험을 통해 장애인식의 변화와 초등 통합교육환경에서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지도하는 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봉사학습 효과의 가능성을 검증하고, 대학에서 봉사학습이 효과적으로 실행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요인들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on service-learning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nd to suggest its practical significance. Method: 12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from A University of Education participated in service-learning for more than 2 hrs./wk. for 12 weeks. Service-learning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1) investigation and preparation, (2 )action and reflection, and (3) demonstration and celebration. Along with the class discussions, feedback was provided to the participants. The process of change was analyzed by keyword network and qualitative analysis on 2 in-depth group interviews and 5 to 6 activity logs. Results: First, the network of stage 1 was mainly described with keywords such as ‘think’, ‘help’, and ‘people’. The network consisted of two groups: (1) expecting service-learning, (2) checking their attitud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Second, the network of stage 2 was described with keywords such as ‘think’, ‘class’, and ‘time’. The network was formed into two groups: (1) overcoming prejudices (2) the adequate support needs. Lastly, at stage 3, keywords such as 'learning', 'people with disabilities', 'teacher', and 'activity' were analyzed. The network was formed appreciating the achievements of service-learning and celebrating the needs of diversity.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service-learning helpe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explore the meaning of disability in society and develop confidence to teach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education. In addition, factors to consider to effectively implement service-learning in university level were discussed.

      • KCI등재

        노인들의 장애노인에 대한 수용 태도

        김라경 ( Kim Rah Kyung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1

        평균수명의 연장과 의료기술 발달 등의 영향으로 노인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노령장애인의 급격한 증가에도 불구하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이들을 위한 서비스제공은 미비하다. 본연구는 노인복지관에 통합된 서비스제공을 위해 노인들의 장애노인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고성별, 연령, 장애유무, 교육수준, 종교유무에 따라 이들의 태도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았다. 노인복지관에 노인들을 대상으로 990개의 설문지를 회부하고 그 중 완성된 705개의 설문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여, 독립표본 t 검증과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들은 장애인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중립적이거나 다소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으나, 장애인을 친구로 사귀고 싶은 의지나 이성으로써의 호감과 같이 장애인과의 개인적 관계와 관련된 항목은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것으로 보여졌다. 성별, 교육수준, 장애유무, 나이는 노인들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종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장애노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의 필요성 및 제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Because of an aging population and the advent of new medical techniques,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older people with disabilities.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services for those people. A survey of elderly people’s attitude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conducted to provide inclusive service programs in a senior welfare center. Total 990 people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and 705 people responded. Th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gender, age, disability, educational level, and religion. The results showed that elderly people’s overall attitude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more negative than toward people without disabilities. However, they felt relatively comfortable interacting with and holding personal relationships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 (i.e., having a relationship and socializing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 Elderly people’s attitud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ir gender, education level, and their own experience with disabilities, but little affected by religion.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discussed in this paper.

      • KCI등재

        Improving Educational Outcomes for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pplication of the Illinois Work and Well-Being Model : 일리노이 진로-웰빙(Illinois Work Well-Being) 모형을 활용한 장애대학생 교육성과 증진 방안

        김라경(Rahkyung Kim),Chelsea E. Greco,David R. Strauser 한국발달장애학회 2021 발달장애연구 Vol.25 No.3

        선행연구에서 중등이후의 고등교육이 장애인고용에 있어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장애대학생이 대학교육 이후 고용으로의 전환을 촉진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이어주는 진로-직업 모형이 부족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리노이 진로-웰빙 모형을 소개하여 장애대학생의 진로와 직업을 개발하고, 이들의 대학교육 이후 고용서비스로 연계 활용하는 방법을 안내하는 데 있다. 본 모형의 주축을 이루는 3가지 ‘개념(Contextual)’, ‘진로발달(Career Development)’, ‘참여(Participation)’ 영역과 이 3가지 영역과 연관된 요소(factors)들을 소개하고, 개인의 장애가 사회적 환경에 의해 발생되는 요인들과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본 모형을 바탕으로 하여 장애대학생들의 국제기능, 장애, 및 건강분류((ICF)를 바탕으로 한 가정, 직장, 사회, 지역사회 등의 참여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장애대학생 취업과 진로발달에 있어 재활서비스 및 정책 및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Research suggests that postsecondary education positively impacts the employment outcome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However, there is a lack of career model supports to facilitate transition to employment for this popu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Illinois Work and Well-Being Model as a multi-domain conceptual framework that can be used to guide career development and employment service and research regarding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literature was utilized and explained to develop a theoretical based conceptual model. The model’s contextual, career development, and participation domains and associated factors are introduced and synthesized. Interaction of contextual and career development domains to facilitate Participation domains in the areas of home, work, society and community are emphasized in the model. Future research needs,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regard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중도장애인의 거주 형태에 따른 여가활동 비교 연구: 지원 아파트와 그룹홈 비교

        김라경 ( Rah Kyun Kim ),( Stacy K Dymond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2 No.2

        본 연구는 중도장애인의 집과 지역사회에서의 여가활동 참여 실태를 살펴보고, 거주환경(그룹홈과 지원 아파트)에 따라 여가활동의 참여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도장애인의 여가활동 참여 실태 조사를 통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거주환경에 따라 참여하는 여가활동의 종류의 차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거주 환경에서의 지원의 필요성에 대한 기초 자료 및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미국 26개의 주 8명 이하가 거주하는 성인 장애인 그룹홈과 지원 아파트 중 단순비례층화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총 500명의 그룹홈과 시설, 500명의 지원된 아파트에서 근무하는 거주 서비스 지원 전문가들에게 설문지가 보내졌으며, 그 중 완성된 280개의 설문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도장애인들이 제한된 종류의 여가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며, 그 특성이 수동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형태에 상관없이 TV시청이 집에서 하는 가장 빈번한 여가활동인 것으로 드러났고, 지역사회에서 하는 여가활동으로는 쇼핑(54.7%)이 가장 빈번한 여가활동로 나타났다. 그룹홈에 사는 중도장애인이 지원 아파트에서 사는 중도장애인에 비하여, 집에서는 보드게임, 미술/공예 활동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빈번히 하였으며, 외식/커피숍, 공원산책 역시 더 빈번히 하였다. 지원 아파트에 사는 중도장애인은 그룹홈에 사는 중도장애인에 비하여 컴퓨터 사용(이메일/인터넷)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빈번히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Despite the importance of leisure activity, little attention has been directed to determining how adults with severe disabilities residing in group homes and supported apartments spend their leisure time at home and in the communit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eisure activities engaged in most frequently by adults with severe disabilities who live successfully in the community. Participants included residential specialists from across the United States who worked at small community residences (i.e., 8 or less residents) that included adul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survey was mailed to 1,000 residential specialists using a random 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procedure; 280 completed survey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Watching TV was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activity at home while shopping was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activity in the community.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who lived in group homes played board games, participated in arts and crafts, ate out/had coffee, and went to the park significantly more frequently than residents living in supported apartments. In contrast,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who lived in supported apartments used the computer/internet/email significantly more frequently than individuals living in group ho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