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촌 지역 독거노인 말벗 도우미 가정방문의 효과

        김두명(Kim, Doomyung),남은숙(Nam, Eun Sook),배상수(Bae, Sang-Soo),신동수(Shin, Dong-Soo),최용준(Choi, Yong-jun)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6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4 No.4

        이 연구는 농촌 지역 독거노인 자살예방을 위한 말벗 도우미 가정방문 프로그램이 독거노인의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친 영향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실험군은 동년배 노인 말벗 도우미의 격주 1회 가정방문을 받은 독거노인이며 대조군은 주 1회 자원봉사자 전화상담을 받은 독거노인으로,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반복측정 설계를 채택하였다.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은 3개월마다 측정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특성에 차이가 있었으므로 연구자료를 혼합효과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은 지속적으로 우울감이 감소하고 자아존중감이 증가하였다. 특히 6~9개월간 우울감 감소 및 자아존중감 개선 폭이 대조군에 비해 컸다. 대조군도 6개월까지 우울감 감소 및 자아존중감 증가가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동년배 말벗 도우미 가정방문 프로그램은 독거노인의 우울감 감소와 자아존중감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과적인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서는 지역사회 정신보건과 사회복지 부문의 협력, 지역복지 자원의 합리적 배분을 위한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또 서비스 제공자인 동년배 노인의 변화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s of peer support home visiting on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older adults living alone in a rural area. Older adults living alone who had peer support home visits every other week comprised an intervention group, while a control group was composed of those who had a weekly telephone counseling. Repeated measure design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as used. Depression and self-esteem were measured three or four times every three months. Mixed effects model was applied becaus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haracteristics of the intervention and the control groups. The study revealed that peer support improved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the intervention group. Especially, there were more desirable changes in the intervention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In short,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depression and self-esteem among older adults in the rural area. Collaboration between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sectors and rational resource allocation mechanism in a community will be beneficial. In addition,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supporting peer older adults.

      • KCI등재

        동거 및 독거노인의 우울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과 대인관계의 조절효과

        황정우(Hwang, Jung Woo),이강욱(Lee, Kang Uk),김정유(Kim, Jung Yoo),이동하(Lee, Dong Ha),김두명(Kim, Doo Myung)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7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5 No.1

        본 연구는 동거 및 독거노인 각각의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이며, 특히 대인관계의 조절효과는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15,246명의 강원도 내 거주 노인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독거노인의 자살사고가 동거노인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독거노인에서 남성의 자살사고가 여성보다 높았다. 셋째, 노인의 자살사고에 우울과 자살시도 경험이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넷째, 노인의 자살사고에 신체적 건강과 나이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다섯째, 동거노인은 경제적 상태가 이들의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던 반면에 독거노인은 문제음주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여섯째, 독거노인의 우울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에서 이웃과의 연락 빈도가 조절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인간적 접촉을 강화하는 노인자살 예방방안들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자살률이 가장 높은 강원도를 대단위 표집으로 연구한 의미가 있으나 이러한 연구지역 범위를 고려하여 연구결과를 일반화해야 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factors affect on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living together and the elderly living alone, especially how the personal relation has the moderating effects. Data from 15,246 elder living in Gangwon province were analysed.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was higher than the elderly living together. Second, the suicidal ideation of men were higher than women in the group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hird, the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was most strongly affected by depression and suicidal attempt. Fourth, physical health and age affected on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Fifth, the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living together was affected by financial condition, but the elderly living alone was affected by problem drinking. Sixth, the frequency of contacts with neighborhood had moderating effects in the affection of depression on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Finally, strategies of improving human contacts for suicide prevention of the elderly are suggested. This study has regional significance because it was conducted with large sampling in Gangwon province that has the highest ratio of suicide. But we need to generalize the results with caution considering regional limits.

      • KCI등재

        진저요법이 화학요법을 받는 암 환자의 오심과 구토에 미치는 효과 :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남은숙(Eun Sook Nam),이호연(Ho Yeon Lee),이미경(Mi Kyung Lee),박양숙(Yang Sook Park),채공주(Gong Ju Chai),김두명(Doo Myoung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10

        본 연구는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진저요법이 화학요법을 받는 암 환자의 오심과 구토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문헌검색을 위해 CINAHL, PubMed, Cochrane, EMBASE, Web of Science, Google Scholar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였으며, 2009년부터 2018년까지 출간된 연구 396편 중 선정과 배제기준에 따라 최종 선정된 RCT 연구 8편에 대한 질 평가는 Revised Cochrane risk-of-bias tool 2(RoB 2)를 이용하였다. 메타분석은 RevMan 5.4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오심과 구토의 발생빈도는 평균승산비(Odds Ratio, OR), 강도는 표준화된 평균 차이(Standardized Mean Difference, SMD)를 산출하였다. 진저요법이 오심에 미치는 효과로 발생빈도 OR= 0.92[0.65, 1.30], 강도 SMD= -0.12[-0.59, 0.3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하위집단 분석 결과 급성기와 지연기 모두 진저요법의 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저요법이 구토에 미치는 효과로 발생빈도 OR=0.89[0.62, 1.27], 강도 SMD= -0.45[-1.04, 0.13]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하위집단 분석에서도 급성기와 지연기 모두 진저요법의 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질 평가에 따라 민감성 분석 결과 고위험 연구의 효과 크기는 실제 효과에 비해 과장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저요법이 화학요법을 받는 암 환자의 오심과 구토 완화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포함된 연구의 수가 충분치 않아 본 연구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ssess effects of ginger on nausea and vomiting in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through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INAHL, PubMed, Cochrane, EMBASE, Web of Science, and Google Scholar databases were explored. From a total of 396 studies, 8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during the period 2009 to 2018 were selected and qualitatively evaluated using the Revised Cochrane Risk-of-Bias tool 2. Assessment of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nausea and vomiting was achieved by estimating the Odds Ratio (OR) and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SMD), respectively, using the RevMan 5.4. No significant effect of ginger was observed for nausea (OR=0.92 [0.65, 1.30] and SMD=-0.12 [-0.59, 0.35]), and subgroup analyses also revealed no significant effect on both the frequency and intensity in acute phase and delayed phase. Results also show that ginger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vomiting (OR=0.89 [0.62, 1.27] and SMD=-0.45 [-1.04, 0.13]), neither was any significant effect determined in both the acute and delayed phase through subgroup analyses. Sensitivity analysis revealed that the effect size of high-risk studies could have resulted in overestimation. Although the current study detected no significant effect of ginger on nausea and vomiting, the results cannot be generalized due to the limited number of studies included, which needs to be addressed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