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환영할만한” 은퇴이주자의 탄생: 필리핀, 말레이시아, 태국의 비자정책을 중심으로

        김도혜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 2019 東南亞硏究 Vol.28 No.3

        This study explores how the idea of “welcomed” retiree migrants has been shaped in developing economies in Southeast Asia by analyzing the retirement migration visa programs of selected countries in the region, namely the Philippines, Malaysia, and Thailand. Furthermore, by examining how Korean visa applicants take advantage of each program, this article unpacks how such visa programs are promoted and consumed in the sending countries. Thus, this research has two aims: first, to reveal the processes of how the state actors in the selected Southeast Asian countries established a specific mobility regime that widely opened their borders to foreign retirees, and second, to demonstrate how the visa applicants – Koreans – created unexpected outcomes under this mobility regime. By situating a mobility regime created by the developing states in Southeast Asia within the neoliberal global economic system, this study explores the ways in which the developing countries reconfigured their national territory to welcome foreign retirees. Although the countries in Southeast Asia facilitated the transnational relocation of foreign retirees from Euro-America and Japan, the promotion of retirement migration programs actually led to an increase in Asian migrants (except Japanese), particularly Koreans. By examining how Korean visa applicants and the migration agencies creatively re-interpret the values and purposes of the visas, I reveal how people disrupt the prearranged social relations the state actors set out to manage.

      • KCI등재

        “위험한 필리핀”과 “문제 있는 한인”: 필리핀 한인 피살사건을 둘러싼 한국정부와 언론의 개입, 그리고 한인사회의 구별 짓기

        김도혜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8 디아스포라 연구 Vol.12 No.2

        Based on ethnographic field research conducted in the Philippines, this study explores how the Korean government and media engage in Korean-related crimes in the Philippines and how such engagement affects Korean communities in the country. By analyzing how the Korean government and media respond to growing numbers of Korean-related crimes in the Philippines, this study demonstrates how they reduce the Philippines to a disordered country and the Koreans in the country to “blamable” people. Moreover, through interviews with Koreans in the Philippines, this research elaborates how Koreans pay enormous effort to prove their “innocence.” By illustrating the ways in which the Korean government and media pay close attention to Korean-related crimes in the Philippines, this paper argues that such attention is sustained due to the Korean government’s project to raise its benevolent, “First World” image and the media’s desire to enhance viewing rate. Because of negative images on Koreans in the country as well as the Philippines, Koreans in the Philippines struggle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trouble- making” Koreans. 이 글은 인류학 현장연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 언론을 통해 급속도로 확산된 필리핀 한인피살사건에 대한 담론과 뒤이은 한국 정부의 정책적 개입이 필리핀 한인사회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 언론의 보도 방식과 한국 정부의 개입 양상을 분석하여 어떻게 필리핀이 범죄가 만연한 무질서한 공간으로 규정되고 필리핀의 한국인들이 “비난할만한” 집단으로 재현되는지 밝힌다. 한국 언론은 보도를 통해 필리핀을 한국인 범죄자들의 천국으로 묘사하는 동시에 한국인에 대한 범죄가 한국인 본인들에게도 문제가 있어 생기는 것이라는 담론을 형성하였다. 이런 담론은 경찰력을 해외로 파견, 공적개발원조의 일환으로 활용하여 한국을 선진 수사 기법을 갖춘 “제1세계”로 위치 지으려는 한국 정부의 프로젝트와 절묘하게 맞물렸다. 필리핀과 필리핀 교민사회에 대한 한국사회의 부정적인 이미지는 필리핀 교민사회에 큰 영향을 끼친다. 한국사회의 부정적 인식이 팽배한 가운데 필리핀 한인들이 한국인들을 만날 때 자신들이 언론에서 말하는 “문제 있는” 한인이 아님을 끊임없이 강조해야 하기 때문이다. 필리핀의 한국 교민들이 어떻게 한인피살사건에 대한 한국 언론의 보도를 평가하고 그에 대응하는지 분석해 이들이 자신의 결백함을 증명하기 위해 자신의 계층적 우위를 강조하는 방식으로 한인사회 내부를 구별 짓고 있음을 밝힌다. 이를 통해 한국 언론과 정부의 개입이 결국 필리핀 교민들에게 교민사회 구별 짓기를 통해 자신의 결백함을 증명할 수밖에 없게 만든다고 강조한다.

      • KCI등재

        충돌 혹은 고양(高揚)?: 일-가정 관계가 여성 관리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김도혜,김병조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22 行政論叢 Vol.60 No.4

        As women’s social advancement and labor participation have increased, the work-family conflict experienced by female employees has also escalated. Whereas extant literature has largely explored work-family relationships from a conflict perspective,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dual characteristics of work-family relationships that might either interfere with or enh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family. Based on the direction of influence (work→family vs. family→work) and the nature of the effect (positive vs. negative), the present study classifies the work-family relationship into four subcategories where work interferes with family (WIF), family interferes with work (FIW), work enhances family (WEF), and family enhances work (FEW), and examined their effects on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female managers. The results suggest that work and family enhancement leads to a significant and positive association with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le work and family interfere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further investigation of the role of the diverse nature of the work-family relationship and highlight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dynamics of the work-family relationship. 여성의 사회진출과 노동참여가 활발해지면서 개인이 겪는 일-가정 갈등(Work Family Conflict; WFC)이 늘어나고 있다. 일-가정간 관계(relationship)에 관한 연구는 증가추세이나 다수의 연구는 이를 갈등(conflict)의 관점에서 다루고 있어 일-가정 관계 유형의 다양화와 관점의 다각화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일-가정 관계를 방향(일→가정 vs. 가정→일)과 효과(긍정 vs. 부정)에 따라 일-가정 충돌(Work Interference with Family), 가정-일 충돌(Family Interference with Work), 일-가정 고양(Work Enhancement with Family), 가정-일 고양(Family Enhancement with Work)의 네 가지로 구분하고 각 유형이 여성 관리자의 정서적 조직몰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충돌(interference) 관계는 정서적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고양(enhancement) 관계는 모두 정서적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정-일 고양보다 일-가정 고양이 정서적 조직몰입에 더욱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이론적으로 일-가정 관계 개념의 다각화 필요성을 환기하고 일-가정 관계의 동학(dynamics)의 중요성을 부각하였다. 나아가 직무 외적 요인인 가정(family) 요소가 직무 내적 요인인 정서적 조직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이효과를 확인함으로써 공공부문의 여성관리자를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 유학 선택과정과 초국적 연결망: 한국 지방 대학으로의 유학생 이동을 중심으로

        김도혜,최희정 한국문화인류학회 2019 韓國文化人類學 Vol.52 No.3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has been rapidly increased since the Korean government began its ‘Study Korea Project’ in 2005 to pull more international students to Korean institutions. This article gives attention to the fact that students from post–socialist countries in Asia including Vietnam, Mongolia, Kazakhstan, and Kyrgyzstan have tendency to choose to study in provicial universities. Based on the case studies of A and B provincial universities where these students are relatively concentrated, we aim to show why and how international students choose particular (provincial) universities in Korea. This study examines the ways in which the strategy of korean universities to recruit international students, the social networks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and the socio–economic context of home countries have been combined to create student mobility from particular Asian countries to particular Korean provincial universities. Previous studies on the process of making student mobility to English speaking countries viewed the choice procedure of study abroad as three— phase process—ⓛ decision to study abroad, ② decision on the country of destination, ③ decision on the particular institution. Through the study on the ways in which student mobility from post–socialist Asian countries to Korean provincial universities has been created and strengthened, this study reveals that the three–phase model of study aborad choice procedure does not fully explain the student mobility to South Korea. It is due to the fact that the taken–for–granted important factors such as the ranking system within South Korea, reputation of a university, the quality of program, and the location of a university are not crucial in the choice of institutions for study abroad, in the case of students from post–socialist Asian countries to provincial universities in Korea. Instead, we argue that the transnational network which Korean universities and students from Asian countries have made spur student mobility from particular Asian countries to particular Korean provincial universities. 한국 정부가 2005년 외국인 유학생 유치를 위한 ‘스터디 코리아 프로젝트’(Study Korea Project)를 시작한 이래로 유학생 인구는 해가 다르게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그 규모를 확장해 가고 있는 베트남, 몽골,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등 동남아시아와 중앙아시아의 구 공산권 국가 출신 유학생들이 미국, 지방 대학을 많이 선택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한국 지방 대학을 선택한 특정 아시아 국가 출신 유학생의 사례 연구를 통해 개별 대학이 선택되는 이유와 과정을 밝히고자 한다. 한국 전체 유학생 통계에 비해 이들 국가 출신 유학생들이 현저히 많은 지방 대학 두 곳을 선택하여 유학생 본국의 사회경제적 맥락, 한국 대학의 유학생 유치 전략, 유학생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어떻게 결합하여 특정 국가에서 특정 대학으로 대량 유입이 가능하게 되는지 살핀다. 영미권 서구대학으로 학생 이동성이 구성되는 과정에 대한 선행 연구는 유학 결정 과정이 주로 ⓛ 유학 결정, ② 유학 국가 선택, ③ 학교선택의 세 단계로 구성된다고 본다. 본 연구는 아시아 중저소득 국가에서 한국 지방 대학으로 학생 이동성이 구성되는 방식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러한 단계적 접근이 한국의 경우 유용하지 않다는 점을 밝힌다. 아시아 중저소득 국가 출신 유학생의 경우 한국 대학의 위계 구조나 대학의 명성, 프로그램의 질, 서울(글로벌 대도시) 소재 여부 등 대학 선택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조건들이 결정적인 선택 계기로 작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대신한국 대학과 유학생 주체가 형성한 ‘초국적 연결망’이 특정 대학으로의 유입을 추동하는 주요한 동력으로 작동한다는 점을 밝혀 한국으로의 국제 학생 이동성이 가진 특징을 살핀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정부초청장학생의 한국 유학 의미화와 젠더: 비서구 출신 여성 장학생의 유학 실천 연구

        김도혜,최희정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3 아시아여성연구 Vol.62 No.1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gender in forming transnational mobility of studying abroad, drawing on in-depth interviews with 18 female Global Korea Scholarship (GKS) recipients from India and Islamic countries. It traces the process of complicity between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the female GKS recipients. The government expects to promote South Korea by educating foreign elites with a positive image of South Korea. These women have developed their dreams of studying in South Korea by encountering K-pop and other South Korean cultural products and interpreting them as feministic codes. They actively create new cultural content out of K-culture on online platforms such as YouTube, which corresponds with the ideal GKS recipien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owever, such complicity is not always seamless. Rather than returning to their home country after studying and working as South Korea-friendly elites, female GKS recipients reveal their desire for a “free” life with global mobility partly acquired through GKS. They try to escape the pressure of arranged marriages and other conservative gender roles and expectations in their home countrie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esire of female GKS recipients for freedom and success through self-development needs to be read as a form of resistance to and measures against the realities of conservative gender norms and expectations in their home countries. 이 논문은 한국정부초청장학금을 받고 한국 대학을 선택한 비서구 국가 출신 여성 유학생에 대한 연구로 유학이라는 초국적 이동성이 구성되는 과정에 젠더가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인도와 이슬람 국가 출신 여학생 18명과 면담을 진행해 중매결혼의 압박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여성 청년들의 욕망과 친한파 인재를 통해 한국을 홍보하고자 하는 한국정부의 기대가 공모되는 과정을 살핀다. 구체적으로 여성 청년들은 10대의 나이에 한국문화 상품을 접하고 이를 여성 해방적 코드로 해석하면서 한국유학의 꿈을 키웠으며 문화상품의 단순 소비를 넘어 유튜브 등의 플랫폼을 활용해 새로운 문화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프로슈머로 활동하면서 친한파 외국인을 원하는 한국정부의 인재상과 공모하게 된다. 하지만 한국정부와의 공모는 늘 매끄럽지만은 않다. 정부가 원하는 것처럼 학업 이후 본국으로 돌아가 친한파 인재로 활동하기보다 장학금을 발판삼아 글로벌 이동성을 획득하고자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원하는 곳에서 자유롭게 살고자 하는 여성 유학생들의 욕망을 분석하여 이들의 자유에의 갈망이 갈수록 보수화되는 자국의 젠더 현실에 저항해 지속 가능한 삶을 영위하고자 하는 자구책의 하나라고 주장한다.

      • KCI등재

        교육 수혜자에서 초국적 청년 이주자로 -해외 유학생 연구 동향을 통해 본 한국의 외국인 유학생 연구의 과제와 추진 방향-

        김도혜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9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31

        This article reviews the literatures on international student mobility (ISM) and the lives of international students published in English since 2000 in order to provide several research suggestions to expand the existing studies regarding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By drawing on existing literature review articles, this study classifies the literatures by topics and reveals how the literatures have been developed through several key debates among the researches. International student mobility has been traditionally understood as the form of transnational migration from the global South to the North and identified as one of the ways for class reproduction that privileged middle class households can take advantage of. Nonetheless, by highlighting diversified patterns and directions of student mobility, the recent studies have paid attention to demonstrate how such diverse forms of student mobility were created and what the outcomes of such various patterns of ISM. As student mobility to Korea would contribute to understanding such diversified patterns of student mobility, this study suggests several research agendas. First, because international students to Korea were mostly from neighboring Asian countries, particularly from post-socialist, developing economies, studies on motivations would contribute to highlighting how Korea emerged as a desirable destination for such people from specific Asian countries and how such inter-Asian migration differed from the traditional global South to North migration. Second, based on the fact that most of international students were from developing economies, it suggests more studies on their multiple roles, such as laboring and parenting. Third, as recent studies in Anglosphere spotlighted student migrants not simply as students but as transnational youth migrants, who frequently move various national borders, it suggests studies on how graduates from Korean universities utilized their cultural capital while moving different places.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영어로 발간된 해외의 유학생 관련 연구를 살펴국내 유학생 이주 패턴과 인구학적 특성에 부합하는 연구 주제와 방향을도출하는 데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 학생 이동성과 학생 이주에 관한 연구를 분석한 논문들을 참고하여 주제별로 기존 연구를학생 이동의 원인, 유학생 경험, 유학의 결과에 관한 연구로 나누고 기존연구가 어떤 논쟁을 통해 어떤 방향으로 발전해오고 있는지 살핀다. 이를국내 유학생 연구 동향에 비춰 한국의 외국인 유학생 이주 특성에 맞게 앞으로 진행할 수 있는 연구 과제를 제안한다. 학생 이주는 전통적으로 남반구에서 북반구로의 이주 패턴의 하나로 이해되어 왔고 사회경제 특권층의초국적 계급 재생산 활로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유학 목적지와 이주 패턴, 이주 동기가 다양해지고 있는 오늘날 학생 이주의 특징에 맞춰 최근연구는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유학을 유발시키는 원인, 유학의 경험 및 그결과를 밝히고자 노력하고 있다. 한국으로의 유학 사례는 이러한 연구 경향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 한국으로의 유학은 아시아 간(inter Asian) 이주의 특징을 가지고 있고 특권층의 엘리트 유학으로만 이해되기 어려운측면이 있다. 그러므로 한국이 중요 아시아 출신 유학생 유입국으로 부상하게 된 원인을 한국뿐 아니라 주요 유입국의 정치, 사회, 경제적 배경에 비춰분석하여 한국이 이들 학생 및 가계에 어떤 욕망의 대상이 되는지 살펴볼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아시아 간 학생이주가 전통적인 유학생 연구에비추어 어떤 형태와 특징을 가진 이주인지 밝힐 수 있다. 또한 한국의 외국인 유학생이 주로 중저소득 아시아 국가 출신 유학생이라는 점에 기반하여‘학생’으로서의 경험뿐 아니라 외국인 노동자, 외국인 부모 등 이들이 수행하는 다양한 사회적 역할을 중심으로 분석해볼 수 있을 것이다. 최근 해외의 연구들이 유학생을 학생인 동시에 청년 이주자로 설정하고 이들의 변칙적인 초국적 이주 움직임에 주목하고 있는 현상에 주목하여 한국의 외국인유학생 연구에서도 이들이 한국에서의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어떤 문화자본을 축적하며, 졸업 이후 어디서, 어떻게 자신들의 문화자본을 활용하고있는지 탐색해보는 연구를 진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