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가(儒家)의 존(尊)과 사양(辭讓)

        김도일(Doil Kim) 한국동양철학회 2012 동양철학 Vol.0 No.38

        이 글의 목적은 중국 고대유가(中國古代儒家)의 윤리적 개념인 의(義)가 인간의 어떠한 심리적 과정을 통해 실현되는지를 고찰하는 데 있다. 즉 인간이 의롭게 행동하거나 의에 따라 타인과 관계 맺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심리적인 기초에 대한 질문을 제기하고자 한다. 본고는 이 문제를 특히 『순자(筍子)』의 맥락에서 다룰 것이다. 본 연구는 결국 의(義)를 구현하는 심리적 메커니즘 혹은 태도(attitude)에 대한 탐구이다. 그 태도는 존(尊)으로 대표될 터인데, 이는 상대방을 그 사회적 지위 등에 걸맞게 대접하기 위해 자신의 욕구를 통제하는 심리적 메커니즘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고는 더 나아가 존의 태도가 어떠한 행위로 이어지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특히 주목하는 두 가지 행동 양식은 그간 의(義)와 관련하여 제대로 연구되지 못한 양(讓)과 사(辭)이다. 이 둘은 간략히 말해 “상대방에게 마땅히 속해야 할 것을 양도함”과 “자신에게 걸맞지 않는 공여나 대우를 거절함”이라 할 수 있다. 이 두 행위 양식을 고찰함으로써 존의 성격을 더 깊이 천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과정에서 또한 타인을 존중함과 자기존중의 연관성이 유가적 맥락에서 어떻게 성립되는지도 규명하고자 한다. In this paper, I will explore a central ethical attribute in early Confucian thought, yi (義), with an explanatory focus placed on its relevant human psychology. The main question is what kind of psychological state a person is thought of as having in interacting with other people in accordance with yi. Among relevant early Chinese terms is zun (尊), which will be understood as the attitude of recognizing another person as deserving to hold a certain social status and treating the person in a way that is appropriate to that status. In this paper, I will refer to this attitude as “respect.” My trial to reconstruct the early Confucian concept of respect will proceed in a way that will ultimately ground the attitude in the thought of the early Confucian Xunzi (筍子). In addition, I will explore two types of behavior based on respect. The two types are yang (讓, deferential offer) and ci (辭, deferential declination). These two have traditionally been understood mainly in connection not with yi but with li (禮, the Confucian formal rules of conduct). However, my contention will be that the two types of behavior are to be carried out ultimately out of respect for other people and are therefore grounded in yi. Finally, I will explain how what may be called “self-respect” can share the same psychological foundation as respect and show that another early Confucian Mencius (孟子), unlike Xunzi, understands yi primarily in relation to self-respect.

      • KCI우수등재

        순자(荀子)는 패도(覇道)를 용인했는가?

        김도일(Doil Kim) 한국철학회 2019 철학 Vol.- No.139

        맹자(孟子)와 순자(荀子)는 그들의 상반된 왕도(王道)와 패도(覇道)에 대한 입장과 연관하여 종종 대조된다. 거의 정설이다시피 한 기존 이해들에 따르면, 맹자는 패도를 완강하게 반대한 반면, 순자는 다소 타협적으로 패도를 용인한다. 심지어 순자는 패도의 도덕성을 인정한 것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본고는 과연 순자가 현실과 타협한 사상가인지 따져본다. 비록 순자는 맹자와 달리 패도의 긍정적 측면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평가하지만, 이는 다만 비유가적 혹은 심지어 반유가적 통치 방식이 어떻게 역사적으로 성공하였는지에 대한 분석일 뿐이다. 이러한 역사 인식과 분석이 패도에 대한 도덕적 용인으로 연결된다는 기존의 결론은 성급한 추론이다. 이러한 견지에서 본고는 기존 정설이 오해임을 밝힌다. Mencius (孟子) and Xunzi (荀子) are considered to be disagree with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ir views of wang dao (王道, the way of the true king) and ba dao (覇道, the way of the hegemon). In early Confucian thought, wang dao is the kind of statecraft based on Confucian ideal values or principles, such as ren yi (仁義) and li yi (禮義), whereas ba dao is the kind of statecraft that gains political supremacy by force (力). Unlike Mencius who strongly opposes ba dao, Xunzi is widely understood as taking a flexible attitude toward ba dao in consideration of hardships involved in the implementation of wang dao in the real world. Xunzi’s compromising stance is considered an approval for the moral aspect of ba dao as well as a recognition of the success of ba dao in history, namely its actual success in having achieved domestic integration and having gained international influence. This contrast between Mencius and Xunzi seems to be almost an established view in the academic field of early Chinese thought. This view will be scrutinized in this paper. This paper will question if Xunzi is really a compromiser who accepts ba dao in believing that wang dao, Confucian political ideal, would inevitably face difficulties in its implementation in the real world. This paper will argue that the widely accepted view is a sheer misunderstanding.

      • KCI등재

        先秦儒家의 仁의 확장과 그 혈연적 기초에 대하여

        김도일 ( Doil Kim ) 한국중국학회 2015 중국학보 Vol.73 No.-

        Confucian ideology is often criticized as the main cause of undemocratic qualities of East Asian societies. For example, some assert that since Confucian ideology extends patriarchal notions of family to nations, nations are deterred from effectively establishing public and private spheres (the family state theory).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such criticism stems from a genuine understanding of early Confucian thought. This paper will not aim to deal with this issue directly. Rather, it will handle a more specific question that is germane to the issue: Did early Confucians actually accept the extension of the family system or order to the realm of the nation? If so, to what extent did they accept the idea? The family system or order can be extended to the realm of the nation on the assumption that the family and the nation are of the same nature to a certain degree. Arguably, early Chinese assumed that the idea of the extension was acceptable basically because the nation, like the family, was established on the basis of blood ties. This paper will raise the question of whether early Confucian thinkers also considered blood ties as the basis for the extension from family to nations. To anticipate, this paper will argue that early Confucian thinkers put a considerable limitation on the function of blood relations as the linkage between the family to the nation. This implies that early Confucians, especially Mencius, did not seriously develop the idea of the extension of the family system or order to the realm of the nation. The idea of the extension of family to nations is in fact related to an important issue in early Confucian thought, namely the extension of ren (仁). More specifically, it is related to the issue of whether a ren-person attempts to embrace many more people basically on the basis of the extension of her blood relationships or not.

      • KCI등재

        더불어 행복한 삶을 위한 플랫폼 - 마을교육공동체

        김도일(KIM Doil)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7 장신논단 Vol.49 No.4

        본 논문은 4차 산업혁명시대에 ‘더불어 행복한 마을교육공동체 만들기’라는 목표를 갖고 수행되었다. 이 시대는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로봇 등으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시대이다.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는 이 시대는 한편 성숙하지 못한 우리 시대의 자화상이 그대로 드러나면서 불안을 증폭시키고 있다. 또한 사회적 신뢰를 받지 못하는 교회의 모습 속에 신뢰회복의 길을 모색해야 한다는 자성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결국은 윤리적 판단이 중요해질 4차 산업혁명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지식의 평준화, 플랫폼, 전인교육, 전맥락적 교육, 뉴리터러시 교육이라는 도전이 우리를 압박하고 있는 이 상황 속에서 과연 더불어 행복한 삶을 이루어낼 수 있을까?라는 주제를 다루며 행복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고려야 보아야 한다. 그리고 마을교육공동체를 이루어내는 길은 교회가 균형잡힌 신학적 교회론을 회복하여 마을 속에서 마을교회가 되고 인프라와 인적, 경제적, 사회적 자본을 가진 교회가 마을교육공동체를 형성하는데 기여하여 촘촘한 생명망을 만들어 건강한 생태계를 만드는 데에 있다. 이는 실제 생활 속에서 이루어낼 수 있는 실현가능한 이야기이기에 교회로 하여금 가정, 교회, 마을을 연결하여 4차 산업혁명시대의 도전에 올바르게 응전해야 한다. 결국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교회 즉, 하나님의 나라를 이 땅위에 이루어가는 사명을 다하는 교회가 될 때 이 땅에서 사회의 신뢰를 회복하고 세상을 향한 사명을 다할 수 있으며 더불어 행복한 사회를 형성할 수 있다고 믿는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orm a happy together educating communit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nsis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the internet of things (IoT), and robots. Both expectations and worries surround us, revealing our immaturity as we face the new era. Furthermore, we face even more frustration as the church is not being trusted by society in the mids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Many feel that the church must seek a better way to deal with the challenges brought by the new era to christian education. In the end, ethical decisions will be crucial as we face the egalization of knowledge, platform, holistic education, whole contextual education, and new literacy education. Therefore, we must deal with this question: can we create a happy together educating communit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e need to consider various perspectives to answer this question. We need to define happiness, determine how we can form a happy together community, and find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such community of faith. To seek a balanced theory we first need to reevaluate the theology and essence of what church really is, since the essence of church is the key to being an agency in this secular society. If we reorient the essence of church with a missional church theology, we can build and contribute to a balanced community of faith. Church needs to be a church of community, not a church apart from community. And if the church is reformed to become a church of community, then the church will be a platform that enhances happiness and togetherness in the community. All of us are connected and part of a web of life and therefore the church, which is the people of God, can contribute to the whole community by being part of a healthier ecosystem. In this paper, several real stories are shared which give us hope that we too can make a happy together educational community of faith in the context of real life. When the church fills the gap between micro and macro systems, and becomes a bridge and platform in the community, then the community will be connected among families, churches, and society as a whole. Since many churches already possess social and economic capital, they can be a platform for society. This theory will be a practical response to the challenges tha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rings to our current society. When the church plays the role of being the platform between families and society, the church will regain its trust from society and expand the kingdom of God, forming a happy together educational community.

      • KCI우수등재

        유교 가족주의의 이중성

        김도일(Doil Kim) 한국철학회 2018 철학 Vol.0 No.135

        유가전통(儒家傳統)과 유가정치사상(儒家政治思想)은 한국정치 후진성의 원인으로 줄곧 지목된다. 이 통념에서 주로 지적되는 폐단은 유가적 정치원리가 가족적 질서를 국가 영역으로 확대·적용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공공 영역 확립을 방해한다는 것이다. 이는 소위 “유교 가족주의”의 폐단이다. 본고는 이 폐단이 나올 수밖에 없는 그 사상 내적인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본다. 특히 그 문제점이 파벌과 권위주의의 중첩에 있음을 지적하고, 이를 “유교 가족주의의 이중성”이라고 편의상 명명한다. 본고가 주목하는 요인은 유가정치사상의 특징 중 하나인 “의제(擬制)적 확대”이다. 이 기제가 유가전통의 두 중핵인 인(仁)과 의(義)에 연관되어 어떻게 작동하는지 살펴봄으로써, 파벌과 권위주의의 유교 내적 원인에 좀 더 체계적으로 접근한다. 이를 바탕으로 그 폐단을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이 유가정치사상에 이미 내재하는지, 그리고 만일 내재한다면 어떤 한계를 노정하는지도 또한 고찰한다. The Confucian tradition and Confucian political thought have constantly been criticized as one of the main causes of political backwardness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According to this widely shared opinion, the Confucian political principle has disturbed the establishment of the public domain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as well as in traditional Korean society by expanding and applying the family order to the national realm. This paper examines the internal mechanism of Confucian political thought that inevitably causes such negative effects. In addition, this paper examines whether any internal mechanism that enables Confucian political thought to overcome its own problem is already inherent in the thought, and, if there is any such internal mechanism, what limitations it is originally exposed to. In particular, this paper understands the main problem caused by Confucian familism in terms of the overlapping of factionalism and authoritarianism. This will be called “the duplicity of Confucian familism,” for convenience. This paper attempts to argue that the overlapping of factionalism and authoritarianism is caused by the ill-function of “fictitious extension” in relation to the two core principles of Confucian political thought, namely ren (仁) and yi (義).

      • KCI등재
      • KCI등재

        순자(荀子)에서의 의(義), 리(理), 그리고 존(尊)

        김도일(Doil Kim) 한국동양철학회 2011 동양철학 Vol.0 No.35

        고대유가(古代儒家)에서의 의(義)를 살핀다. 특히, 순자(荀子)의 사상에서의 의를 두 관점에서 톺아본다. 첫째, 의를 통해 궁극적으로 지향되는 것을 살펴봄으로써 그 근본적인 토대를 파악한다. 이는 선진유가(先秦儒家)들, 특히 순자가 의를 통해 구현된다고 본 사회의 이상적인 상태를 이해함으로써 의의 궁극적 지향점을 파악하는 접근이다. 이 과정 중 그 이상적인 상태를 기술할 때 쓰인 개념으로서 리(理)에 주목한다. 둘째, 의를 구현하기 위해 요구되는 인간의 전형적인 태도의 특징을 밝힘으로써, 의가 어떻게 인간관계에서 실질적으로 실현가능하다고 봤는지를 살펴본다. 이 과정에서 순자가 어떻게 인간본성을 이해했고, 어떤 심리적 특성을 중심으로 인간과 동물 간의 경계를 그었으며, 어떠한 의미에서 그 특성이 존(尊)이란 태도의 기반이 된다고 봤는지를 밝힌다. 마지막으로 위의 두 접근을 토대로 의의 성격에 대한 종합적 파악을 시도한다. 이는 어떻게 의의 궁극적 지향점이 존의 태도를 기반으로 한 인간관계 속에서 실질적으로 실현된다고 봤는지에 대한 설명이다. This paper discusses one of the central attributes in early Confucian thought, yi(義),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the thought of Xunzi(荀子). Yi is an ethical attribute that humans should adhere to, follow, act upon, or cultivate within themselves in order to create and maintain the ideal state for humans. Yi is related especially to the realization of an aspect of the ideal state that is expressed in the connotation of li(理), namely, the realization of a state in which every member of the entire human community occupies his or her proper position, plays his or her roles, and thereby is guaranteed attainment of his or her due in terms of various social shares, such as social recognition, wealth, governmental positions, tributes, and other material resources.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focuses on how yi is understood in terms of li. The second part is devoted to discussing the attitudes, such as gui(貴) and zun(尊), that enable humans to realize the aspect of the ideal state for humans that Xunzi thinks is achievable through the realization of li in human society. I suggest the use of the word “respect” to refer to those attitudes conveniently. Respect is the attitude that leads one to control one’s own desires in deference to another person’s desire because of recognition of the other person’s particular social status. In the conclusion, the nature of yi is explained eventually on the basis of the discussions of the previous two parts, particularly, by clarifying how yi is related to both li and respect.

      • KCI등재

        선교적교회론 교육과 기독교교육적 함의: 현대사회의 변화와 위기 상황 대응을 위한 선교적교회론

        김도일(Doil Kim)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21 선교와 신학 Vol.54 No.-

        인류는 현재 급변하는 격동기 속에 서 있다. 이 시대를 격동기로 부를 수 있는 근거는 세 가지의 커다란 변화인데, 문화적으로는 포스트모더니즘, 산업 기술적으로는 제4차 산업혁명, 자연 생태적으로는 코로나-19사태가 그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세 가지 변화가 낳은 전지구적 위기 즉, 빗장을 걸어 잠금 세계와 환경의 악화라는 위기, 사회적 약자에게 더 가혹하게 느껴질 수 있는 전지구적 위기의 시대에 각자도생하는 기독교인들에 대한 담론과 종교개혁 시대 교회의 흑사병 팬데믹 대처의 교훈도 더불어 살펴보았다. 이러한 위기의 상황 가운데서 극복의 대안으로써 선교적교회론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선교적교회론이 태동하게 된 한국적 상황을 다루었고, 선교적교회론을 세상 속에서 펼쳐나갈 때는 필연적으로 이론과 실천의 조화를 이루는 가운데 수행해야 함을 강조하였으며 학문과 실천이 조화를 이루는 가운데 이루어지는 실제 사역 현장의 분석도 시도하였다. 마지막으로 선교적교회론 교육의 기독교교육적 함의를 다루었다. 첫째, 선교적 교회론은 성인뿐만 아니라 전 연령의 교우들에게 교육해야 하며, 이때 선교적 이중언어를 구사할 수 있도록 가르쳐야 함을 주장하였다. 둘째, 한국사회 속 개신교 청년세대들의 현실 인식을 바로 읽어야 함을 논하였다. 셋째, 민주적 공공성을 담보하는 기독교교육을 수행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넷째, 마을 속에서 함께 경쟁하지 않고 살아가기에 대하여 다루었다. 비록 쉽지 않은 상황이지만 한국개신교가 테오리아와 프락시스의 균형을 다시 찾고 선교적교회론을 삶의 현장 속에서 실천하여 이 세상에 하나님의 나라를 세워나가는 일에 실망하지 않고 매진한다면 역사와 민족 앞에 자랑스러운 유산을 남기게 될 것임을 소망하는 가운데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The world we are living indeed is in a turbulent period of rapid change. Modern mankind is standing in the midst of tremendous social change. Culturally, postmodernism, industrial and technologicall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natural ecologically, the Covid-19 Outbreak. This paper shares thoughts on the global crisis created by these three changes, that is, the crisis of deteriorating the world and the environment by locking it up, and the Christians who are closing their eyes in a pandemic that is more severe for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We have also looked at the lessons of dealing with the Black Death pandemic. In the midst of such a crisis situation, while presenting the Missional Ecclesiology as an alternative to overcoming the crisis, this Missional Ecclesiology will help fulfill the will of God if Christians live and act in society with a missional spirit(미션얼). With hope and confidence, the study was conducted. To this end, we dealt with the Korean situation in which the missional ecclesiology was born, and when the missional ecclesiology is unfolded in the world, it was dealt with inevitably that it must be carried out in harmony between theory and practice. An analysis of the actual ministry field was also added. Then, the implications of Christian education in missional ecclesiology education were dealt with. First, it insisted that the missional ecclesiology should educate not only adults but also members of all ages, and at this time, it should be taught so that they can be bilingual as Walter Bruegemann asserted. Second, it was discussed that the perception of the reality of young Protestant generation in Korean society should be read immediately and deeply. Third, it insisted that Christian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to ensure democratic publicity. Fourth, it dealt with living without competing each other in the village. Although it is not easy, if Korean Protestants regain the balance between Theoria and Praxis and practice missional ecclesiology in the field of life, without being disappointed in building the kingdom of God on this earth, they will be proud in front of history and people.

      • KCI등재

        Walking with Emerging Leaders through Mentoring

        김도일(Doil Kim)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08 선교와 신학 Vol.22 No.-

        본 논문은 차세대 리더를 양육하기 위한 한 방법인 멘토링에 관한 것이다. 멘토링은 하나님이 인정하시는 리더로서 자신을 준비하고 있는 청년들을 위한 중요한 양육 수단이다. 그러나 소위 포스트모던 시대로 불리는 이 시대는 기독 청년들을 전방위적으로 압박하고 있다. 이 포스트모던 시대의 분위기는 그들을 영적인 존재로 살아갈 수 없도록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결과적으로 그들은 자신들도 눈치채지 못하는 가운데 점점 더 파편화되어 가고 있으며, 마음의 고향을 잃어버린 채로 불안정적이고 무책임한 존재로 전락되어 가고 있다고 본다. 이러한 모습은 하나님이 본래 그들을 부르신 위대한 소명, 즉 책임적이고 거룩한 존재로서 이 세상에서 부르심에 합당한 삶을 살며 많은 이들을 옳은 길로 인도하는 삶과는 거리가 먼 것이다. 그러므로 이 논문은 다가오는 세대를 짊어지고 나갈 젊은이들이 리더로서 바로 서게 도와 줄 수 있는 길을 모색한 생명 선교의 한 방법을 기독교교육적 시각에서 모색하였다. 차세대 리더를 바로 양육하는 것은 우리에게 주어진 선택 사항이 아니라 필수 사항이다. 그들을 올바른 방향으로 인도하여 한편으로는 책임적이고 능력 있으며 믿을 만한 존재로, 또 다른 한편으로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전파를 위하여 일하는 그리스도의 제자로 양육할 수 있는 멘토링은 생명을 살리고 양육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멘토링은 한 인간을 영적으로 살게 하는 효과적인 수단이며, 그의 영적 여정에서 성장과 성숙을 도모할 수 있게 하는 통전적인 양육 수단이라는 것을 본 논문이 주요 문헌으로 채택한 다음의 책에서 확인하였다. 앤더슨과 리스의 「영적 멘토링」(Spiritual Mentoring), 스탠리와 클린턴의 「연결」(Connecting), 푸의「리더 멘토링」(Mentoring Leaders)은 멘토링의 기독교교육 신학적 이론의 틀을 제공해 주었다. 통전적인 멘토링 시스템에 대한 바람은 현재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시행하고 있는 대학 생활과 신학 생활이라는 두 과목에 대한 조명에서부터 시작되었다. 대학교와 신학대학원에 처음 입학한 신입생들의 학교 생활 적응을 돕는 취지에서 시작된 두 과목은 현재도 나름대로의 기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 두 과목이 멘토링으로서 균형 있게 발전될 수 있다면 차세대 리더를 양육할 수 있는 중요한 통로가 될 수 있다는 확신을 갖게 되었다. 더욱이 미국 덴버 신학교에서 오래 전부터 실시하여 온 멘토링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한 결과 교수와 학생, 그리고 지역 사회의 경건한 크리스천 리더들을 적절하게 연결시켜 멘토링 과정을 통해 양육할 수 있다면 단순한 학교생활 적응 프로그램이 아닌 통전적인 멘토링으로 정착될 수 있을 것이다. 통전적인 멘토링은 학생의 신체적, 정신적, 지적, 감정적, 관계적, 사회문화적, 그리고 영적인 필요를 채워 줄 수 있어야 한다. 이 점을 염두에 두고 이 논문은 바람직한 멘토링 프로그램을 위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것이 현실적으로 정착되면 멘토링을 통하여 차세대 리더인 각 학생의 삶의 양태가 온전히 형성되고 지속적으로 개혁되어 나감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 전파와 하나님 나라를 구현하는 생명 선교적 삶을 추구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 This paper is a study on mentoring as a way of mission for life for emerging leaders. The reason for looking at mentoring is that this method can be a good channel for today’s young adults. Today’s atmosphere can be described as postmodern. This postmodern ethos influences young adults in negative ways as far as their spiritual life is concerned. As a result, they are becoming more insecure, fragmented, lost and irresponsible to God’s call. God calls them to be holy and responsible beings. It is therefore urgent to train these emerging leaders and lead them to the right direction, for our future will be in their hands whether they are ready or not. In order to assist them to become more confident, competent and accountable human beings in general and disciples of Christ in particular, mentoring is the key to enhance wholeness and growth in their spiritual walk. This paper proposes a wholistic mentoring system that will make a difference in the lives of emerging leaders. There have been mentoring programs called College and Seminary Life here at Presbyterian College and Theological Seminary (PCTS). However these courses do not seem to function effectively as they were intended, due to the lack of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components.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core components of mentoring theories by looking at three literatures. It also suggests applicable steps on how the mentoring should be carried out. A suggested mentoring model seeks to be wholistic to accommodate the physical, mental, intellectual, emotional, relational, socio-cultural, and spiritual needs of students. It will touch the lives of young adults at PCTS and transforms their lifestyle as disciples of Christ.

      • KCI등재

        유가(儒家)의 시중(時中)과 법가(法家)의 시세(時勢)

        김도일 ( Doil Kim ) 한국중국학회 2017 중국학보 Vol.80 No.-

        時 혹은 時中은 先秦儒家의 핵심 개념이다. 이는 복잡다기한 정치적 상황에서 자신의 진퇴를 적절히 단행하는 것과 연관된다. 예를 들어, 孟子는 孔子의 탁월함을 바로 시의적절하게 처신하는 능력에서 찾는다. 그런데, 유가를 강력히 비판한 法家 商? 역시 時, 즉 시의적절함을 중시한다. 그는 농업생산력 증대와 전쟁 능력 강화를 기초로 한 국가의 부강은 법치를 통해서만이 가능하다고 보는데, 바로 법치가 그 시대적 상황에 가장 시의적절한 통치 방식이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유가와 상앙의 시의적절성 개념들은 그 해당 문맥 간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완전히 대조된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정 정도의 추상화를 거친다면 그 둘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고는 유가와 법가(특히 상앙)가 정확히 어떠한 맥락에서 각기 시의적절함을 개념화하는지 살펴본다. Early Confucian thinkers place great emphasis on the idea of timeliness(shi 時 or shi zhong 時中), namely conducting oneself in a timely manner, a good example of which is Mencius`s(孟子) high evaluation of Confucius(孔子) in that respect. According to Mencius, other sages could not measure up to Confucius, in that he was the only sage who could behave in accordance with timeliness, especially, in complex political circumstances. A similar idea is also found in other early Chinese texts. In the Tuan zhuan(彖傳) of the Zhouyi(周易), shi zhong is treated importantly. In the Zhong yong(中庸) chapter of the Liji(禮記), shi is presented as a standard for the differentiation between the gentleman(君子) and the petty person(小人). On the basis of the above examples, timeliness has traditionally been regarded as a key concept of early Confucian thought. Interestingly, the early legalist thinker(法家) Shang yang(商?) also puts great emphasis on the idea of timeliness(shi). As well known, he asserts that it is only through the rule of law(法治) that the establishment of a rich and powerful state based on the increase in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war capability becomes feasible. His supporting argument for this assertion is that the adoption of the rule of law is perfectly well timed in the political situation at that time. Strictly speaking, the context in which timeliness is emphasized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fucian idea. Nevertheless, it cannot be denied that Shang yang also regards a very similar idea importantly. It is clear then that the mere fact that the Confucians put emphasis on timeliness is not sufficient to characterize their thought. In other words, it is required to determine exactly in what context each of the schools of thought attaches importance to the idea. This article will deal with this iss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