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소전의 운영 사례와 교무금 제도 -선교사 서한과 『경향잡지』를 중심으로-

        김덕헌 (재)한국교회사연구소 2023 敎會史硏究 Vol.- No.63

        『조선교회 관례집』은 공소전에 대해 공소 신자들이 후원의 형태로 바친 일정한 금액의 봉헌금이라고 규정하고, 선교지 후원과 재원 창출 등의 목적으로 오래전부터 조선에 형성된 관습에 의한 것이라고 정의한다. 『조선교회 관례집』의 공소전 규정은 『대구대목구 지도서』(1914)와『서울대목구 지도서』(1923)를 통해 더 명확해지는데, 두 지도서는 공소전이 신자들이 모은 봉헌금이며 사제가 관할구역의 수입으로 여겨 관할구역을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고 규정한다. 이후 공소전은 교회 운영을위한 재원으로 자리 잡고 1931년 한국의 첫 지역 공의회를 통해 공포된『한국교회 공동 지도서』를 통해 교무금 제도로 정착한다. 그런데 관례집이 공포되고 그 규정이 대구대목구와 서울대목구의 지도서에 수용되며『한국교회 공동 지도서』를 통해 공포되기까지 공소전이 어떻게 운영되어 왔는지는 잘 드러나지 않았다. 공소전의 운영 사례는 공소전 제도의 변화와 교무금 제도 형성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기에 공소전이 교회 안에서 어떻게 사용되었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 논문은 교무금 제도의 기원인 공소전에 대한 연구의 후속 작업으로, 공소전이 교회의 성장 과정에서 어떻게 사용되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관심에서 시작되었다. 그리고 그 운영의 실제를 파악하기 위해 제2장에서 선교사들의 서한을 통해 공소전 운영 사례를 살펴본다. 선교사들의 서한에 의하면 공소전은 첫째 학교 관련 경비, 둘째 애긍 사업, 셋째 복사를 위한 경비 등의 명목으로 사용되었다. 『한국 천주교 사목 지침서』는 교무금 납부의 의무와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제3장에서는 교무금 제도의 정착 이후 한국교회가 신자들에게 교무금 제도를 어떻게 교육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경향잡지』를 살펴본다. 교회는 성장 과정에서 각종 사업을 위한 경비가 필요했고, 공소전은 부족한 경비를 충당하는 데에 사용되면서 교회의 중요한 수입원으로 자리 잡았다. 이후 교회는 공소전의 의무화 규정을 마련하였고, 『한국교회 공동 지도서』 공포 이후 교무금 납부의 중요성을 『경향잡지』를 통해 신자들에게 강조한다. 나아가 교무금이란 교회 유지를 위하여 의무적으로 헌금할 바임을 강조함으로써 그 정신이 오늘날 사목 지침서에 명시되어 이어오게 된다.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Pecunia Kongso(公所錢)’ was voluntarily raised by christians and saved as a Gongso’s fund or used for missionaries’ visit expenses. 『Coutumier de la Mission de Coree』(1887) defines ‘Pecunia Kongso(公所錢)’ as an offering money given by believers for support and custom that was formed in Joseon a long time ago to support mission fields. The regulations of the 『Coutumier de la Mission de Coree』 become clearer through the 『Directorium Missionis Taikou』(1914) and the 『DIrectorium Missionis de Seoul』 (1923), both of which state that ‘Pecunia Kongso(公所錢)’ is donations collected by believers and priests are to be considered as revenue for the jurisdiction and must be used for the jurisdiction. Afterwards, ‘Pecunia Kongso(公所錢)’ was established as a financial resource for the operation of the church, and established as a church fund system through the 『DIrectorium commune Misiionum Coreae』. However, it has not been clearly revealed how the ‘Pecunia Kongso(公所錢)’ was operated until the 『Coutumier de la Mission de Coree』 was promulgated, its regulations were accepted into the 『Directorium Missionis Taikou』 and the 『DIrectorium Missionis de Seoul』, and it was promulgated through the 『DIrectorium commune Misiionum Coreae』. It can be assumed that the operating practices of the ‘Pecunia Kongso(公所錢)’ had an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system of ‘Denarius Cultu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Pecunia Kongso(公所錢)’ was used within the church. This study is a follow-up work on the origins of the ‘Denarius Cultus’ and aims to understand how the ‘Pecunia Kongso(公所錢)’ was used in the church. In Chapter 2, How ‘Pecunia Kongso(公所錢)’ was used through the missionary’s letters. According to the letters, the first issue is school-related expenses. Second, love business. Third, it was used for expenses for priest’s companions. Chapter 3, examines how the Korean church educated its believers about the system of ‘Denarius Cultus’ through 『Kyunghyang Magazine』. The church needed various expenses in the process of growth, and ‘Pecunia Kongso(公所錢)’ was used to cover insufficient expenses and became an important source of income for the church. And then, the church established mandatory regulations ‘Denarius Cultus’, and after the promulgation of the 『Directorium commune Missionum Coreae』, the importance of paying ‘Denarius Cultus’ is emphasized to believers through 『Kyunghyang Magazine』.

      • KCI등재

        고종 친정 초기 지방관 임용과 당파 정치: 함경도 지방관 임용에 대한 사례 연구

        김덕헌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9 한국문화 Vol.0 No.85

        This study reveals that the faction arrangement worked on personnel administration of the local officials of the King Kojong's period through the north-east area's local officials, which shows the faction politics and policies. King declared direct rule and tried to eliminate the political group that were the base of Daewongun, which explicitly excluded the political group that Daewongun exerciesd in consideration of the faction. However, the faction politics of King has hardly been discussed so far. So why has this policy not been noticed so far, and What kind of faction politics played and what was the specifics? Until now, researchers have figured out the period of King Kojong in the framework of the Sedo politics, and understood that the influence of the faction was weakened. In addition, there were not many data showing specific cases of personnel administration in consideration of factions. However, the north-east area's register of officials to be examined in this study specifies local officials's faction and families of origin in relation to local officials. It is presumed that the register of officials were made by the government, it is difficult to preserve which has recorded the official's faction and their families records. At that time, the fact that the family members and the factions were important indicators of the appointment were all recognized, but it should never have been officially revealed. Therefore, this study will focus on such records and discuss the faction politics in the appointment of local officials in north-east area. First of all, this study focused on the analysis of the register of officials, and then reviewed the data such as the mu-bo(武譜), and the um-an(蔭案) in relation to the history of local officials to identify the complex background surrounding local officials employees. It is presumed that there was a complicated policies in the appointment of office, but this is not revealed in the officially. In the register of officials which was not noted in the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there was a faction appointment in the office in the 19th century. Therefore, this register of official is an important source to understand of faction politics and policies of King. The study could be a new starting point for discussing political history and political culture in the late 19th century by capturing the faction politics which was revealed through the case of the register of official.

      • KCI등재
      • 유도전동기 위치제어를 위한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퍼지-슬라이딩 모우드 제어기

        김덕헌 가톨릭상지전문대학 1997 논문집 Vol.27 No.1

        Recently, sliding mode control has been widely used in induction motor servo drives. It provides attractive features such as fast dynamic response, insensitivity to variations in plant parameters and external disturbance. However, one difficult problem for which the sliding mode controlled servo system has not yet been popular is due to chattering and long settling time. This paper presents a new fuzzy-sliding mode controller for a vector-controlled induction motor servo system not only to shorten the settling time but to practically eliminate the chattering problem. In conventional sliding mode strategy, the reference trajectory is linear function on a phase plane. Consequently, the variables are exponential function of time, which means that the slate may reach the origin very slowly. To shorten the flight lime, reference trajectory of fuzzy-sliding mode controller is nonlinear function on a phase plane. The basic idea of design method of fuzzy controller is described based on sliding mode control. The control is composed of equivalent control and switched control. To determine the switched control signal current, we use fuzzy logic method for chattering elimination. However, a systematic method for tuning the normalization parameters of fuzzy logic controller is not developed yet. In this paper, an auto-tuning method for fuzzy controller based on the genetic algorithm is presented. To optimize the well-chosen objective function(fitness function), normalization parameters are transformed into binnary bit-strings which are Processed by the genetic algorithm. The servo system with the proposed control staregy was analyzed by simulation.

      • KCI등재

        최대 EDP를 이용한 경로설정 및 경로 충돌 그래프를 이용한 파장할당 문제 해결 방안

        김덕헌,정민영,이태진,추현승,Kim Duk Hun,Chung Min Young,Lee Tae-Jin,Choo Hyunseung 한국통신학회 2005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0 No.7B

        경로설정 및 파장할당(RWA: Routing and Wavelength Assignment) 문제는 파장 분할 다중화 기술에 기반한 차세대 광 인터넷 백본망에서 주목되는 기술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광 인터넷 망에서 연결요구에 대해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여 선택된 경로에 효율적으로 파장을 할당하는 RWA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경로 충돌 그래프 개념과 송신노드-수신노드 간의 MAX_EDP(Maximum Edge Disjoint Paths: 최대 링크 비 중복 경로) 알고리즘을 이용한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이에 대한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과 기존의 BGAforEDP 알고리즘과의 성능분석을 통해 효율성을 검증한다. 모의 실험결과 제안된 방식이 기존의 방식보다 고정된 네트워크 토폴로지(NSFNET)에서는 최대 20$\%$, 랜덤 토폴로지에서는 최대 32$\%$정도의 성능향상을 보인다. Routing and wavelength assignment problem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optical transport networks based on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WDM) technique.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approach using path conflict graphs and an algorithm for finding all edge disjoint paths. And then we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with that of bounded greedy approach for EDP(BGAforEDP). The proposed one outperforms up to about 20$\%$ in the fixed traditional topology(NSFNET) and about 32$\%$ in random topologies over the BGA for EDP algorithm.

      • KCI등재

        한국 교회 교무금 제도의 기원인 공소전에 대한 고찰

        김덕헌 (재)한국교회사연구소 2022 敎會史硏究 Vol.- No.61

        보편교회법은 신자들이 교회의 필요를 지원할 의무가 있다고 밝히지만, ‘교무금’에 대해서는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다. 통상적으로 교무금 제도는 ‘공소전’(公所錢, pecunia Kongso)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공소전은 공소 회장 또는 본당 신부의 관리 아래 공소 기금으로 적립되거나 신부들의 순방 비용으로 사용된 헌금을 말한다. 공소전이 교무금 제도로 정착된 것은 1931년 9월 한국의 첫 지역 공의회의 결정에 의해서이며, 1932년 반포된 『한국 교회 공동 지도서』에서 교무금에 대한 세부 내용을 규정함으로써 공소전은 비로소 교무금 제도로 정착된다. 공소전은 현행 교무금 제도의 기원으로써 교회사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으나 공소전이 어디서 유래하였으며, 어떤 과정을 거쳐 현재의 교무금 제도로 정착되었는지 등을 다룬 연구는 사실상 거의 전무하다. 리델 주교에 계승하여 조선대목구장에 오른 블랑 주교는 1884년 9월 대목구 성직자들의 연중 피정 기회를 이용하여 시노드를 개최하였고, 그 결정 사항은 블랑주교가 1887년 9월 21일 공포한 『조선교회 관례집』이라는 지도서 안에 수렴되어 제시되었다. 『조선교회 관례집』은 크게 세 개의 장으로 구분되는데, 제2장에서 ‘공소전’을 조선교회 신자들이 후원의 형태로 선교사들에게 바친 돈이라고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이 조선교회에서 자생적으로 생긴 것인지 아니면 외부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1803년 9월 중국 사천에서 시노드가 개최되었는데, 포교성성은 1822년 6월 29일 사천 시노드 교령을 승인하였다. 사천 시노드 교령은 신자들이 바치는 자선금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다. 물론 이 자선금을 ‘공소전’이라고 명시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사천 시노드를 통해 선교사들에게 봉헌되는 자선금이 교회의 애덕 사업과 사목활동을 위해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것은 추후 한국 교회의 공소전 규정이 마련되는 데에도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드망즈 주교는 1912년 1월 25일부터 지침서 작업에 착수하여 5월 26일 성령 강림 대축일에 『대구대목구 지도서』(Directorium MissionisTaikou)를 공포하였다. 이 지도서에는 『조선교회 관례집』의 규정보다 더 상세해진 공소전에 대한 규정이 언급된다. 이 규정은 1923년 『서울대목구 지도서』(Directorium Missionis de Seoul)에 수렴되면서 공소전이 한국 교회 안에서 정착되어 가는 과정이 확인된다. 1932년 9월 26일 『한국 교회 공동 지도서』가 공포되는데, 여기에서 각별히 주목되는 것은 공소전이 비로소 교무금으로 정착된다는 것이다. 공의회 교령은 교무금과 관련된 전체 주교들의 공통 규정을 제시하기로 결정하며, 교무금 모금은 오직 주교가 지정한 방법에 따라야 함을 명시하고 있다. 각별히 『한국 교회 공동 지도서』는 교무금의 세부 지침을 마련함으로써 교무금은 교구의 재정 보조와 본당 사목활동비로 사용되는 한국 교회의 고유한 문화로 자리 잡게 되는 것이다. Canon law states that christians have a duty to support the needs of the church, but it does not mention of 'denarius cultus'. It is known that the 'denarius cultus' system originates from 'pecunia Kongso'(公所錢). In September 1931, Korea's first council established 'pecunia Kongso' as a 'denarius cultus'. 'pecunia Kongso' is an important meaning as the origin of the 'denarius cultus', but there are few studies on its origin. 『Coutumier de la Mission de Coree』 states that 'pecunia Kongso' is money that believers donated to missionaries in the form of donations. However, it is not clear whether this originated from the Korean church or whether it was influenced by outsiders. In September 1803, a synod was held in Sichuan, China, and the Ministry of Propaganda approved the Sichuan Synod Decree on June 29, 1822. The Sichuan Synod Decree mentions refers to the donations offered by christians. Of course, The Sichuan Synod Decree did not specify this money as a 'pecunia Kongso'. However, through the Sichuan Syno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haritable funds were used for charity work and pastoral activities of the church. On May 26, 1912, F. Demange published the 『Directorium MissionisTaikou』, which include more detailed regulations are mentioned than those of the 『Coutumier de la Mission de Coree』. As this regulation was accepted in the 『Directorium Missionis de Seoul』 in 1923, the process of 'pecunia Kongso' being settled in the Korean church is confirmed. On September 26, 1932, the 『Directorium Commune Missionum Coree』 was published, and 'pecunia Kongso' was established as a 'denarius cultus'. The 『Directorium Commune Missionum Coree』 provides detailed guidelines for 'denarius cultus', establishing as a culture in the Korean church that uses the 'denarius cultus' as financial aid for the diocese and for pastoral activities in the parish.

      • KCI등재

        19세기 후반 당파 정치와 당파 기록물의 이중성 ― 승정원일기(초)와 조보(초)의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김덕헌 ( Kim Deok-heo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9 大東文化硏究 Vol.105 No.-

        이 연구는 19세기 후반 정치 운영의 실상을 보여주는 승정원의 비공식 기록물을 찾아내어 이 시기의 관직 임용에 당파적 안배가 여전히 작용한 사실을 밝힌다. 이와 함께 공식적으로는 이 같은 사실을 드러내지 않으려했던 이 시기의 정치 행위와 문화를 주목한다. 이를 위하여 이러한 사실을 담고 있는 『승정원일기』의 초고와 『조보』의 초고와 같은 비공식적 기록물을 공식적 기록물과 비교하고 그 차이와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분석 작업 자체에 중점을 두었는데, 이것은 이 시기 정치사 및 정치문화 연구에서 텍스트 활용 및 비판과 같은 기초 연구가 충실하지 못하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관직 임용에서 당파적 안배가 중요했음에도 불구하고 공식적으로 배포하는 기록물에는 이것을 일체 드러내지 않은 것은 이 시기의 두드러진 특징이다. 특히 이것이 이 시기의 『실록』과 『승정원일기』의 인사 기사에 당파를 일체 언급하지 않는 것과 같은 맥락에 놓여 있는 것은 흥미롭다. 선행 연구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일련의 비공식 기록물은 19세기 후반 관직 안배에서 출신 가문만이 아니라 소속 당파도 뚜렷하게 인지하는 정치적 역학 관계에 주목해야 함을 알려준다. 이와 함께 이러한 사실을 공식적으로는 철저하게 은폐하는 경향도 주목되는데, 이러한 정치 문화는 역사 연구에서 중요한 논제임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관심을 모으지 못했다. 이렇듯 이 연구는 기록물 생산에서 드러난 이중성을 포착함으로써 추후 19세기 후반 정치사와 정치 문화를 새롭게 논의하는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found unofficial records of Seungjeongwon, which show the reality of political operations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revealed the partisan arrangement still played a major role in the office appointment in this period. Also focuses on the politics and politic culture of this period which it did not officially reveal. To do this unofficial records such as the draft of Secretary's Diary and the draft of Chobo which contain this fact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public records. This study focused on the analysis work, this is because studies on text use and criticism in political and political culture in this period are not faithful. It is a prominent feature of this period that it is not revealed in official records, although partisan appointment was important in official appointment. This is similar to not mentioning a single faction in Silok and Seungjeongwon Diary's personnel articles at this time. The unofficial records which was not noted in the preceding study, indicates that not only the family but also political partisan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late 19th century government administration. This political culture has not received any attention even though it was an important thesis in history research. This study will discuss political history and political culture of the late 19th by revealing the duality of records production.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