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UV 분광법을 이용한 중유회 용출액으로부터 바나듐의 선택적 회수 조건

        김다빈,나수빈,한혜철,Kim, Da-Bin,Na, Su-Bin,Han, Hyea-Chul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6 資源 리싸이클링 Vol.25 No.6

        중유 화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중유회를 처리한 용출액(Fly Ash Leach Liquor; FALL)으로부터 V을 선택적으로 회수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UV 분광법을 이용해 수행하였다. Ni, Fe등이 포함된 시료를 분광법으로 V을 정량할 때, Ni, Fe등의 금속이 V 정량에 미치는 범위를 조사하였고 FALL 시료에 5.0M $NH_3$ 사용량과 pH 변화에 따른 금속의 침전율과 교반시간에 따른 금속 침전율의 최적 조건을 조사하였다. $25^{\circ}C$, pH 7.0 (5.0M $NH_3$)에서 선택적인 V의 회수 시점은 교반 시간이 1분 이내일 때로 91.5%의 회수율을 보였다. We studied a selective recovery condition of vanadium (V) from FALL (Fly Ash Leach Liquor) produced at a fossil fuel power station using heavy oil. By applying a spectroscopy to quantify the V in a sample, we identified a concentration range V interfered by on presence of metals such as Ni, Fe Also, the optimal vanadium precipitation rate according to the amount of 5.0M $NH_3$ loaded to the sample, solution pH and stirring time.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maximum selective recovery ratio of V was achieved to be higher than 91.5% when the stirring duration was less than 1 minute at pH 7.0, and $25^{\circ}C$.

      • KCI등재

        생태계교란 생물 관리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김다빈 ( Da Bin Kim ),구경아 ( Kyung Ah Koo ) 한국환경연구원 2021 環境政策 Vol.29 No.4

        생태계교란 생물은 기존 생태계를 교란하거나 교란할 우려가 있는 생물로써, 생태계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으로도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생태계교란 생물의 관리 현황에 있어서 지정 현황 및 기준, 정책 및 제도 측면에서의 문제점과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퇴치사업의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문제점은 미흡한 지정 목록, 관리체계 미비, 관련 법률상에 구체적 규정 부족, 전문성 부족으로 인한 퇴치사업의 실효성 저조 등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대해 정책적 개선방향으로는 1) 생태계교란 생물 지정 기준에 따른 조사·연구 및 모니터링 확대와 교란생물 목록 개선, 2) 생태계교란 생물 전담 조직 및 기구 구성, 3) 전문성 확보를 위한 관련 연구 및 퇴치기술 개발 및 활용, 4) 생태적 기능 및 생활사를 고려하고, 고유생태계 복원까지 이어지는 체계적인 관리체계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도적으로는 1) 모든 분류군의 생태계교란 생물의 퇴치를 포함하는 생물다양성법의 방제에 대한 재정의 또는 새로운 용어 도입, 2) 새로운 정의나 용어에 따라 퇴치계획, 방법, 예산, 사후관리 등에 대한 세부 규정의 마련이 필요하였으며, 3) 각 지자체와 환경청에서 수행하고 있는 퇴치사업에 대해서는 전문가와의 협업과 참여 등 전문성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1) 생태계교란 생물의 생물학·생태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물리적·화학적·생물학적 방법이 모두 고려된 종합적인 퇴치 방법 적용방안, 2) 장기적인 모니터링과 분포 확산 변화 예측을 통한 지속적인 관리방안, 3) 퇴치사업의 효과성 평가뿐만 아니라 고유생태계 복원을 통해 생태계교란 생물의 재도입 방지방안 등 실효성 있는 퇴치사업을 위한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개선방향은 생태계교란 생물의 효과적인 관리 및 퇴치와 교란종으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사회, 경제, 환경적 문제 해결에 이바지할 것이다. Ecosystem disturbing species have caused diverse ecological and socioeconomic problems. This study analyzed issues related to the current management system of ecosystem disturbing species and suggested alternatives to solve the issues. The results identified the following issues: the unsatisfactory list of designation criteria, the insufficient management system, the lack of specificity in the regulations of related laws, and the poor effectiveness of the elimination project due to lack of expertise. To solve these problems, we made three suggestions: 1) The investigation, research, monitoring, and improvement of the list of disturbing species should be expanded in accordance with the criteria for the designation of ecosystem disturbing organisms. 2) An organization dedicated to ecosystem disturbing species should be established. 3) Related research and technologies should be developed and used to secure expertise. 4) A systematic management system that considers the function and life history and leads to the restoration of the native ecosystem should be established. Institutionally, it is necessary to do the following: 1) Redefine or introduce a new term to control disturbing species in the biodiversity act, including the eradication of ecosystem disrupting organisms of all taxa. 2) Prepare detailed regulations for the eradication plan, method, budget, follow-up management, etc. 3) Secure expertise by collaborating with experts and having them participate in the eradication projects carried out by each local government and the environment agency. Our study suggested the application of a comprehensive extermination method that considers all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based on biological and ecological knowledge of ecosystem disturbing species. It also recommended continuous management through the long-term monitoring and prediction of changes in distribution, and the prevention of the re-introduction of ecosystem disturbing species through the restoration of native ecosystems. Our results will contribute to the effective management and elimination of ecosystem disturbing species and help to solve various social, economic, and ecological problems caused by disturbing species.

      • KCI등재

        금관가야 사회의 중심과 주변

        김다빈(Kim, Da Bin) 영남고고학회 2020 嶺南考古學 Vol.- No.88

        금관가야는 김해지역을 중심으로 한 정치체로서 목곽묘, 석곽묘 등 고분축조가 중심이 되는 사회이다. 개별 고분축조집단이 모여 금관가야 고분사회를 이룬다고 할 수 있다. 고분 사회를 구성하는 집단은 중심집단과 주변집단으로 대별할 수 있다. 그중 중심지는 봉황동유적에 해당한다. 봉황동유적은 봉황토성과 봉황대 그리고 주변 일대를 포함하는데, 대성동고분군 축조집단의 거주역으로 비정된다. 봉황동유적은 생활주거지, 고상건물군, 수혈, 패총, 가마, 공방, 선착장, 대형건물지, 특수건물, 제의시설 등 복합시설이 철저한 공간배치를 통해 조성되어 있어 단순히 대성동집단의 주거역이라기 보다는 복합유적으로서 금관가야의 왕성으로 설정할 수 있다. 대성동집단은 철저히 의도적인 배치를 통해왕성의 경관을 조성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금관가야 사회를 구성하는 주변집단은 사회 내 각기 다른 역할을 담당했을 것으로 판단되는데 이는 취락의 공간 구조나 시설, 고분 출토품을 통해 유추해 볼 수 있다. 생산집단에는 여래리, 하계리, 퇴래리, 우계리 등이 해당하고 물류의 유통과 운송, 사회 내 교역을 담당한 집단은 관동리집단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금관가야 사회는 다양한 역할을 하는 집단이 각각 구성원으로서 존재하며 왕성을 이루고 최고 지배층의묘역이 있는 대성동집단에 의해 통제되고 관리되었던 사회임을 알 수 있다. Geumgwan Gaya is a political structure centered on Gimhae, and is a society centered on ancient tombs such as Mokgwakmyo and Seokgwakmyo. It can be said that individual ancient tomb-building groups gather to form an ancient tomb society. The groups that make up the ancient tombs society can be divided into the central and the surrounding groups. Among them, the center is the ruins of Bonghwang-dong. The Bonghwang-dong ruins include the earthen fortifications, Bonghwangdae, and the surrounding area, which are not known as residential areas of the Daesung-dong Ancient Tombs. The Bonghwang-dong ruins can be set up as Geumgwan Gaya s royal castle rather than as a residential area of the Daesung-dong group, as complex facilities such as residential areas, ancient buildings, blood transfusion, shell guns, kilns, workshops, large buildings, special buildings, and ritual facilities are thoroughly arranged. It is believed that the Daeseong-dong group created the landscape of the royal castle through a thoroughly intentional layout. It is believed that the surrounding groups that form the Geumgwan Gaya society played different roles in society, which can be inferred from the spatial structure, facilities, and excavated ancient tombs. The production groups include Yeorae-ri, Hagye-ri, Toegye-ri, and Ugyeri, while the groups responsible for the distribution and transportation of logistics and trade in society belong to the Kwandong-ri group. As such, Geumgwan Gaya s society was controlled and managed by the Daeseong-dong group, each of which had various roles as a member, forming a royal family, and having a graveyard of the highest ruling class.

      • KCI등재

        금관가야 목곽묘 사회의 계층과 특징

        김다빈(Da bin Kim) 한국상고사학회 2016 한국상고사학보 Vol.93 No.-

        묘제 가운데 목곽묘는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오랜 시간 연구되어져 왔다. 목곽묘는 의도적으로 만들어진 행위의 산물로서 사회적인 의미가 투영된 결과물로 해석이 가능하다. 때문에 규모나 부장품등을 지표로 삼아 어느 정도 피장자의 사회적인 위치나 권력을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를통해 상대적인 계층분류를 시도하고자 한다. 금관가야 목곽묘를 대상으로 규모와 구조, 부장유물의 조합을 이용하여 계층을 분류하고, 이렇게 나누어진 계층을 통해 역으로 당시의 목곽묘 사회를 검토 하고자 한다. 시기별 분석결과 Ⅰ기는 목곽묘의 출현기로 4계층, Ⅱ기와 Ⅲ기는 각각 발전기와 전성기로 8계층, Ⅳ기 6계층으로 계층이 증가했다가 다시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김해지역에서 이렇게 빠른 계층분화가 나타나는 배경에는 철 생산의 확대로 인한 경제적인 성장과 해로를 통한 대외교역의 활성화에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금관가야의 목곽묘 사회는 철 생산과 더불어 활발한 대외교역을 통해 정치적, 경제적 기반을 구축하였으며, 동시에 무력적 기반을 갖춘 정치적인 지배층으로 성장한 개방적인 성격의 대성동 집단을 중심축으로 금관가야 목곽묘 사회는 국제무역항을 통해 급속도의 발전을 이루어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A wooden chamber tomb is one of most studied ancient tombs by a number of researcher. It can be interpreted to ba an object conveying the social meaning as a product of intended actions. Thus it is attempted to classify the social ranks of the society by presuming the deceased’s social status and power, based on an analysis of the grave goods and the size of tomb. In this study, social statuses of wooden chamber tombs are determined by the results of an analysis on the tomb size, architectural structure and grave goods. This paper represents the reconstruction of ancient Geumgwan Gaya society based on the newly proposed social rank changes over time. Their temporal changes are as fallows. Phase I is marked by the appearance of wooden chamber tombs and hierarchically four-tiered classes were recognized. Phases Ⅱ and Ⅲ are the stages of the development and the full-fledged wooden chamber tomb culture when social stratification became more sophisticated with eight-tiered classes recognized. Then, in Phase Ⅳ the social ranking system had shrunk with six-tiered classes. What caused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social stratification in Gimhae area was economic growth attributed to the expanded iron production and active maritime trade with foreign countries. The wooden chamber tomb society had established political and financial foundation through the maritime trade as well as large-scale iron production. In particular, the Geumgwan Gaya wooden chamber society with the Daeseongdong group having a great military strength as a regional center, had rapidly evolved.

      • KCI등재

        도서지역 어부림의 가치와 활용 - 경상남도 남해군 물건리 방조 어부림을 대상으로 -

        김다빈 ( Kim¸ Da-bin ),김현희 ( Kim¸ Hyun-hee ),水野一晴 ( Mizuno¸ Kazuharu ),황가영 ( Hwang¸ Ga-young ),공우석 ( Kong¸ Woo-seok ) 한국도서(섬)학회 2020 韓國島嶼硏究 Vol.32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남해안 일대 분포하는 어부림 중 가장 잘 알려진 남해군 물건리 방조어부림을 대상으로 자연 및 인문학적 가치평가와 지역 발전을 위한 공간 자원으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어부림(魚付林)이란 우리나라 남해안 일대 분포하는 전통 마을 숲의 하나로 방풍(防風), 방조(防潮), 방파(防波), 어군(漁群) 등의 기능을 한다. 바다로부터 해안마을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마늘의 안녕을 기원하는 신앙의 공간이며, 휴식의 공간이기도 하다. 더불어 건강하고 오래된 숲은 자연생태학적 가치도 적지 않다. 하지만 아직 어부림에 대한 정확한 정의와 구조, 형태, 기능 등에 대해 그 구분이 명확하지 않아 많은 어부림이 상록수림, 방풍림 등으로 명명되어 있다. 특히 남해군 삼동면 물건리 방조어부림은 우리나라에서 가장많이 알려진 곳으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었으나 물건리 방조어부림의 공간 가치 및 활용방안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구조적으로 살펴본 결과 물건리 방조어부림은 남해군 본섬 동쪽 만에 남북방향으로 긴 띠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길이는 약 1.5㎞, 면적은 약 23,438㎡이다. 물건리 방조어부림은 자연 지형이 전혀 없는 물건리 동쪽 바다에서 불어오는 바람과 태풍 등 자연재해의 위험으로부터 마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인문학적 관점에서 물건리 방조어부림은 마을의 안녕과 풍년·풍어를 기원하던 신앙적인 공간이었으며, 더불어 마을 주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물건리 주민들과 항상 같이했던 친근한 곳으로써 의미가 있었다. 또한 물건리 방조어부림에는 높이 10m 이상의 느티나무(Zelkova serrata), 푸조나무(Aphananthe aspera), 이팝나무(Chionanthus retusus), 말채나무(Cornus walteri) 등의 교목들이 자생하며 건강하고 독립된 생태 숲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체계적인 관리가 없고, 일부 귀화식물 및 생태계 교란 식물의 분포도 확인되어 이에 대한 관리가 요구된다. 물건리 방조어부림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물건리 방조어부림에 대한 재방문 및 추천 의사가 100명 중 90명이 넘을 정도로 긍정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마을 단위에서 물건리 방조어부림을 활용한 마을 발전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로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긴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물건리 방조어부림은 자연과 역사 그리고 문화가 혼재하는 함축된 장소로 보존하고 가꾸어야 할 공간으로써 그 가치와 활용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which examines the windbreaks and fish shelter forest in Mulgeonri, Namhaegun, a popular fish shelter forest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aims to assess its natural and humanistic value and explore its potential utility as a spatial resource for regional development. The fish shelter forest is a traditional village forest that is found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and serves as a windbreak, a breakwater that stops tides and waves, and a fishing bank. It not only protects coastal villages from the sea, but also serves as a resting place and a place of faith where people offer prayers and make wishes. Moreover, old and healthy forests possess significant ecological value. However, as the definition, structure, form, and function of fish shelter forests have yet to be clearly distinguished, many of them are termed as evergreen forests, windbreak forests, etc. In particular, the windbreak and fish shelter forest in Mulgeonri, Samdongmyeon, Namhaegun is the most popular forest of this type in Korea and it has been extensively studied. However, insufficient research exists regarding its spatial value and its possible utility as a resource for regional development. The forest in Mulgeonri, which forms a long strip from the south to the north on the inlet located east of the main island of Namhaegun, is about 1.5 ㎞ long and has an area of approximately 23,438㎡. The forest protects the village from natural hazards such as winds and typhoons that blow from the sea to the east of Mulgeonri. The forest also holds significant value for humans, because it serves both as a spiritual place where residents have wished for peace and good harvests and as a resting place that the residents consider familiar and comfortable. Additionally, the forest is a healthy, independent ecological forest with autochthonous trees that stand 10m tall or more, such as Zelkova serrata, Aphananthe aspera, Chionanthus retusus, and Cornus walteri. However, since there is no organized management of the forest, the presence of some naturalized plants and invasive species has been observed, and measures need to be taken to manage its condition. This survey, which inquired into the possible uses of the forest in Mulgeonri, returned positive findings. Over 90 out of the 100 respondents were willing to return to the forest and to recommend it.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village has a good chance of facilitating its own development by tapping into the resources provided by the forest. In conclusion, the windbreak and fish shelter forest in Mulgeonri has great value and utility as a space that serves as an amalgamation of nature, history, and culture. It should therefore be preserved and tended to in the manner that befits such a unique natural treasure.

      • 수몰지구 기억의 환기를 통한 장소성 구축에 대한 연구 - 충주호 신단양이주계획에서 메모리얼 프로그램 삽입의 제안을 중심으로 -

        김다빈(Kim, Da-Bin),구영민(Koo, Young-Min) 대한건축학회 2020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40 No.2

        This study is an architectural proposal for a new normal cultural space that can derive the locality through memories of Danyang-eup, the location of Danyang-gun, Chungcheongbuk-do, which was submerged due to the construction of Lake Chungju in 1985. In the study, a new city was created by creating a memorial program that can be a place of education about critical local history in Danseong-myeon, where the past and the present are cut off by the New Danyang Migration Plan, where 1,688 structures and 1,231 annexed buildings were demolished and 2,684 households migrated. It intends to present an architectural strategy that connects planning, development, and historical context.

      • KCI우수등재

        조선 시대 고문헌을 활용한 한반도 포유동물의 시 · 공간적 분포 복원

        김다빈(Da Bin Kim),공우석(Woo Seok Kong),구경아(Kyung Ah Koo) 대한지리학회 2020 대한지리학회지 Vol.55 No.5

        본 연구는 세종실록지리지(1454), 신증동국여지승람(1530), 대동지지(1861-1866)에 나온 포유동물 관련 공물 등의 기록으로 당시 포유동물의 분포를 복원하고 그 패턴을 분석하였다. 기록된 조선 시대 포유동물은 쥐목, 식육목, 우제목 등으로 총 24종류였다. 조선 초기에서 후기로 갈수록 포유동물의 종류와 군현의 기록 수는 감소하였다. 24종류의 포유동물 중 모든 문헌에 공통으로 기록된 6종류를 대상으로 분포 변화를 분석한 결과, 조선 후기로 갈수록 포유동물의 공물 기록이 나오는 군현은 백두대간 및 정맥을 따라 일부 지역으로 제한되거나 한반도 북부지역에 축소되었으며, 다양도 또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감소의 원인은 인구 증가에 따른 도시형성과 농경지 확대로 인한 산림 감소 등 포유동물 서식지에 대한 인간 교란의 증가로 추정된다. 작성 원칙의 변화 등과 같은 불확실성 때문에 공물 기록만으로 분포를 복원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나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자료가 부족한 상황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포유동물의 서식지 관리 및 보전을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This study aims to reconstruct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s of mammals using the records of mammal-related tributes and offerings in the historical documents-Sejongsilokjiriji (1454), Shinjeungdonggukyeojisuengram (1530), and Daedongjiji (1861-1866). We identified total 24 mammals in the documents. 8 out of 24 mammals were commonly recorded in all three documents. We used 6 mammals for analyzing the time-spatial changes in their distributions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ir records of counties decreased from the early to the late Joseon and were confined in a few areas along with mountain range of Beakdudaegan, Jungmaek, and the diversity of mammals per a county also decreased in the late Joseon. Population increase related disturbances from the early to the late Joseon could explain the declines of mammal-related tributes records and diversity of mammals. The population increase caused the development of villages and cities, expanding agricultural land, and forest destruction, which led the habitat losses of mammals. The historical documents clearly have a limitation on reconstructing the mammal distributions due to inconsistency in the recording principles, which changed from the early to the late Joseon. However, considering the lack of ecological knowledge on the mammals in ROK, our results would provid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on the further mammal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