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공동체 활동 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및 학습만족도의 차이

        김누리(Kim, Nooree),장선영(Jang, Seonyoung),송청락(Song, Chungrak)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에서 활발하게 운영 중에 있는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학습공동체 활동 유형에 따라 자기결정성 및 학습만족도에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내에 있는 S대학에 재학생 중 692명의 ‘경험학습공동체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율형과 의무형 집단에 속한 학생들을 실험집단으로 설정하고, 활동 전 후로 자기결정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활동 후에는 추가로 학습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결정성 지수가 떨어졌다. 자율형 집단과 의무형 집단 각각을 구분하여 실험전•후를 비교한 결과 역시 두 집단 모두 평균값이 하락하였다. 특히 의무형 집단의 경우 하락의 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만족도에 있어서는 의무형 집단에 비해 자율형 집단이 높은 평균값을 보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첫째, 학생들의 자율성이 활동 전후와 비교하여 하락한 것은 프로그램 활동에 대한 보상체제를 외적보상체계에만 의존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간주되며 이를 지양하고 내적보상을 제공하는 방안을 모색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교수자와 학습자 멘토들에게 학습공동체 활동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습공동체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의 학습만족도 제고를 위하여 학습 주제 및 학습활동에 흥미와 관심을 모을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 적용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two types of learning community (an autonomy group and a compulsory group) on self-determin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692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udents belonged to a compulsory group have had considered their grades during studying. In contrast, the students that belonged to an autonomy group could study without any restriction. Both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and were analyzed in terms of covariance analysis, t-test, and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ree things as follows: Firstly, self-determination index of a comparative group is higher than one of a controlled group in significance level. Secondly, self-determination index of the students belonging to both a compulsory group and an autonomy group decreased after participating in learning communities. Thirdly, degree of learning satisfaction of an autonomy group is higher than ones of a compulsory group in significance level. Implications that emerged from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A successful learning community requires supports to stimulate and sustain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Additionally, continuing monitoring and providing appropriate feedback from instructors and mentors are also needed for effective learning communities. Other considerations are discussed in detail.

      • KCI등재

        교수자의 형성평가 피드백, 학업적 자기조절, 피드백 수용성, 피드백 활용능력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준호(Kim, Junho),최현준(Choi, Hyunjun),김누리(Kim, Noor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0

        본 연구는 대학 수업에서 교수자의 피드백 제공 여부에 따라 학생의 학업적 자기조절, 피드백 수용성, 피드백 활용능력,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학생의 특성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으로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J지역 M대학의 ‘유체역학’ 전공 교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학생들로 이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였다. 교수자는 실험집단에 매주 형성평가를 실시 후 학생 개인별로 정교화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이를 중심으로 집단 간 차이검증, 변인별 상관관계, 실험집단을 중심으로 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학업적 자기조절, 피드백 수용도, 피드백 활용능력과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모든 변인에서 피드백을 제공한 집단의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피드백 제공여부, 학업적 자기조절, 피드백 수용도, 피드백 활용능력과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피드백 제공여부는 피드백 수용도와 피드백 활용능력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교수자의 피드백 제공여부와 피드백 수용, 피드백 활용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하여 교수자의 피드백 제공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지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tudent s academic self-regulation, feedback acceptability, feedback utilization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teacher provides feedback in university class, and specifically check how it aff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tudents who were taking Fluid Mechanics classes at M university in J district and classified them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Formation evaluations were conducted weekly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individualized elaboration feedback was provided. In order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study,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group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academic self-regulation, feedback acceptance, feedback utilization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averag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 in all variable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eedback provision, academic self-regulation, feedback acceptability, feedback utilization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feedback provision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feedback acceptance and feedback utilization ability. Lastly, it was found that the ability to provide feedback, accept feedback, and utilize feedback have an effect on the student s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how to provide teacher’s feedback should be presented.

      • KCI등재

        대학생의 학업정서 유형에 따른 잠재집단별 창의적 효능감, 창의적 사고와 학습 몰입의 차이

        효원(Kim, Hyowon),김누리(Kim, Nooree)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0 창의력교육연구 Vol.20 No.4

        이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정서에 따라 유사한 특성을 갖는 잠재집단이 도출되는지를 탐색하고, 분류된 잠재집단에 따라 그들의 창의적 자기효능감, 창의적 사고, 학습 몰입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2개 대학의 창의적 문제해결 교양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업정서, 창의적 자기효능감, 창의적 사고, 학습 몰입을 측정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대학생의 학습상황에서 느끼는 정서, 창의적 효능감, 학습 몰입은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학업정서 유형의 잠재집단 수는 3개였고 이는 ‘중간 정서 집단, 높은 긍정정서 집단, 높은 부정정서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학업정서 유형의 잠재집단에 따라 그들의 창의적 효능감, 창의적 사고, 학습 몰입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창의적 사고를 제외하고 잠재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group with similar responses using the academic emo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creative self-efficacy, creative thinking, and learning flow for each groups. To this end, academic emotion, creative self-efficacy, creative thinking, and learning commitment were measured for students participating in creative problem solving liberal arts classes at two universities, an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As a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the academic emotion, creative efficacy and learning flow felt in the learning situ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ll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the data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who participated in the creative problem-solving classes for their academic emotion, which were classified into middle emotional group, high positive emotional group, and high negative emotional group . Final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their creative efficacy, creative thinking, and learning flow according to the potential group of students academic emotion type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latent groups excluding creative thinking. Based on these findings,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협력학습에서 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과 협력적조절능력 수준에 따른 팀효능감, 팀상호작용 및 만족도의 효과 검증

        효원(Kim, Hyowon),희정(Kim, Heejung),김누리(Kim, Noor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s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problem solving and co-regulation level on team-efficacy, team-interaction and team activity satisfaction in collaborative learning. 296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2 universities in Jeolla Provi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high, moderate, low problem solving and co-regulation level in team-efficacy, team-interaction and team activity satisfaction. Second, the results shows th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university students problem solving and co-regulation level in team-efficacy and team activity satisfaction. That is to say, high problem solving level students were more higher team-efficacy when they perceive high and low co-regulation level than moderate level. also, similar pattern appeared in team activity satisfaction. However, low problem solving level students were more higher team-efficacy when they perceived moderate co-regulation level, while lower team activity satisfaction. It promotes the use of instructional designs and strategies for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experience in collaborative learning. 본 연구는 팀 기반 협력학습 시 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과 협력적조절능력 수준에 따라 팀효능감, 팀 상호작용과 만족도에 어떤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라도 소재 2개 대학교에서 2017년 2학기에 수업을 수강 하여 팀 기반 협력학습 과제를 수행한 학생 29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 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해결능력과 협력적조절능력에 따라 팀효능감, 팀 상호작용과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문제해결능력과 협력적조절능 력의 상호작용 효과는 팀효능감과 만족도에서 확인되었다. 문제해결능력이 높은 집단의 경우 협력학습에 대한 효능감은 협력적조절능력이 높을 때와 낮을 때가 보통일 때보다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협력학습에 대한 만족도 또한 이와 유사한 양상을 띄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문제해결능력이 낮은 집단의 경우는 협력적조 절능력이 보통일 때 협력학습에 대한 효능감이 가장 높았으나 협력학습에 대한 만족도는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대학생의 효과적인 협력학습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코로나19 시기 대학생의 학습경험 유형 및 특징 분석

        효원(Hyowon Kim),김누리(Nooree Kim),육진경(Jinkyoung Yo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4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비자발적 원격수업이 실시된 2020년과 2021년을 중심으로 대학생의 학습경험에 따라 유사한 특성을 갖는 잠재집단이 도출되는지와 변화양상을 탐색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기도와 전라남도 소재 2개 대학의 1~4학년을 대상으로 2020년과 2021년에 실시된 K-NSSE(학부교육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최종적으로 2020년에는 327명, 2021년에는 461명에 대한 자기주도학습전략, 유의미학습,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여 유형화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집단 간 학습성과(핵심역량과 전공능력) 차이가 나타나는지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여 확인하였다. 결과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학습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자기주도학습전략, 유의미학습,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그리고 학습성과인 핵심역량과 전공능력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학습경험에 기초한 잠재집단을 탐색한 결과 2020년과 2021년 모두 ‘낮은 수준 학습경험형’, ‘중간 수준 학습경험형’, ‘높은 수준 학습경험형’의 3개 집단이 도출되었다. 셋째, 학습경험이 낮은 집단의 특징을 확인한 결과, 2020년은 새로운 원격교육 환경에서 인지적 어려움을 보인 반면, 2021년에는 원격교육 환경에 적응하면서 인지적 학습경험은 향상되었으나 학습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낮아진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2020년과 2021년 도출된 잠재집단에 따른 학습성과의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핵심역량과 전공능력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로 지속된 원격수업 환경에서도 자기주도학습전략 및 학습기술, 학습동기가 학습성과를 높이는데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대학생의 학습회복과 학습성과를 높여주기 위한 다양한 교육적 지원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 whether latent classe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are derived according to the learning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and their changes, focusing on 2020 and 2021, when involuntary distance classes were conducted due to COVID-19.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results of the K-NSSE survey conducted in 2020 and 2021 targeting the first to fourth graders of two universities located in Gyeonggi-do and Jeolla-namdo were used. Finally,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meaningful learning,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motivation for 327 people in 2020 and 461 people in 2021. Also, one-way ANOVA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the differences in educational outcomes between groups. Results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meaningful learning,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core competencies and major skills, which are learning outcomes, all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in the learning situation of college students. Second, three latent groups were derived in 2020 and 2021 years : an ‘high-level learning experience’, a ‘medium-level learning experience’, and a ‘low-level learning experience’. Third, It was found that cognitive difficulties were shown in 2020 in the low-level learning experience type, while motiv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were lowered in 2021. Final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learning outcomes between groups derived in 2020 and 2021,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core competencies and major skill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learning techniques, and learning motivation are important variables in improving students' learning outcomes even in the remote learning environment that has continued due to COVID-19. Also, it was suggested that various educational supports are needed to improve the learning recovery and learning outcomes of college students.

      • KCI등재

        상호동료 교수법을 활용한 대학의 공학계열 수업의 효과성 탐색

        준호 ( Junho Kim ),최현준 ( Hyunjun Choi ),김누리 ( Nooree Kim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상호동료 교수법을 활용한 대학의 공학계열 수업이 학습자에게 어떤 효과가 있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 전남의 M대학의 ‘유체역학’ 수업 수강생 54명을 대상으로 실험, 통제집단을 구분하였고, 실험집단에는 상호동료 교수법을 적용하여 한 학기 동안 수업을 운영하였다. 상호동료 교수법 활용에 대한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전, 사후 검사로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업참여, 교과목 흥미를 측정하였고 학기말 최종 학업성취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내용: 상호동료 교수법의 활용 여부에 따라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업 참여, 교과목 흥미,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결론 및 제언: 상호동료 교수법의 활용한 집단은 통제집단보다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업 참여, 교과목 흥미의 평균은 높았지만 학업성취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실험집단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업 참여, 교과목 흥미는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습자의 학습성과를 높이기 위해 이와 같은 학습자 중심 수업이 적극적으로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university engineering courses using the mutual peer tutoring method on learners.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divided into 54 students taking a ‘fluid mechanics’ class at M university in Jeonnam, and the class was run for one semester by applying the mutual peer teaching method to the experimental group. Academic self-efficacy, class participation, and subject interest were measured through pre- and post-tests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experimental group’s use of the mutual peer teaching method, and final academic achievement at the end of the semester was measured. The group using the mutual peer tutoring method had higher averages of academic self-efficacy, class participation, and subject interest than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It was found that academic self-efficacy, class participation, and subject interes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refore, such learner-centered classes should be actively operated to enhance learners’ learning outcomes.

      • KCI등재

        협동학습 선호와 창의성의 종단적 인과관계와 성별에 따른 차이 분석

        함영난(Youngran Ham),김누리(Nooree Kim)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3 창의력교육연구 Vol.23 No.1

        본 연구에서는 협동학습 선호와 창의성의 종단적 인과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으로 성별 간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제공한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2013의 2차, 3차, 5차 자료(초6, 중1, 중3)를 사용하였고, 분석 대상은 청소년 5,946명(남학생 2,892명, 여학생 3,054명)이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6 시기의부모와의 상호작용과 학업지원은 협동학습 선호와 창의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협동학습 선호와 창의성의 자기회귀효과는 정적으로 유의하고, 남녀 집단간 경로차이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협동학습 선호가 높은 청소년일수록 동일 시점의 창의성이 높아지고, 남녀 집단 간 경로차이도 유의하였다. 반면, 이전 시점의 협동학습 선호가높은 청소년일수록 다음 시점의 창의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남학생 집단에서만 이전 시점의 창의성이 높은 청소년일수록 다음 시점의 협동학습 선호가 높아지는 것으로나타났고, 남녀 집단 간 경로차이도 유의하였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학습자의 협동학습 선호와 창의성의 분석결과는 학습양식을 활용한 청소년의 창의성 제고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 multi-group analysis across gender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operative learning preference and creativity. In this study, the 2nd, 3rd, and 5th data of KELS 2013 provided by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ere used. The sample was 5,946 student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arent-child interaction and academic support in the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cooperative learning preference and creativity. Second, the self-regression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preference and creativity and the difference in path between groups were significant. Third, cooperative learning prefer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reativity at the same time point, and the difference in path between groups was also significant. The longitudinal analysis results of cooperative learning preference and creativity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information to help enhance youth creativity using learning style preferences.

      • KCI등재

        홀로그램 학습 자료를 활용한 대학 수업의 효과성 탐색

        최현준(Choi, Hyunjun),김누리(Kim, Noor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4

        본 연구는 가장 진보된 실감형 학습자료인 홀로그램을 이용한 대학 수업에서 학습자의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홀로그램을 활용한 수업의 경우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 은 J지역 M대학의 디지털공학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학생 58명으로 이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실험집단에는 홀로그램 학습자료를 제공하였고 통제집단에는 홀로그램을 찍은 사진자료를 제공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의 학습 몰입,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의 평균이 통제집단 보다 높았고, 학습몰입, 학습만족도는 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또한 홀로그램 학습자료를 제공한 집단에서의 현존감, 사용성 태도, 학업성취도는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지만 학습몰입, 학습만족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사용성 태도는 모든 변인에 긍정적이고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홀로그램 학습자료를 제공한 집단에서 현존감과 사용성 태도는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대학생의 효과적인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과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learners learning flow, learning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in hologram, which is a representative mixed reality learning material. The sample of this study were 58 students who were taking digital engineering classes at M university in J district and classified them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group provided hologram learning materials and the control group provided hologram photographs. As a result, the mean of learning flow, learning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between learning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In addi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e of presence and the achievement in the group that provided the hologram learning materials, but not the learning flow and the learning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usability attitud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variables. Finally, in the group that provided the hologram learning materials, the existing sense and usability attitude were found to affect learning flow,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uggestions of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nd research for effective teaching of university students were suggested.

      • KCI등재

        도시재생 프로그램 활동에서 대학생의 창의적 신념, 협력적 조절, 창의적 산출물의 관계

        박혜리(Hyeri Park),최현준(Choi, Hyunjun),김누리(Kim, Nooree)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1 창의력교육연구 Vol.21 No.2

        이 연구는 도시재생 아이디어 캠프 프로그램 활동이 대학생의 창의적 신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캠프에 참가한 전남 소재 M대학, 경기도 소재 A대학과 L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35명에게 양일간 진행된 프로그램 참여 전 사전검사로 창의적 신념(창의적 효능감, 창의적 마인드셋)과 사후검사로 창의적 신념 검사와 협력적 조절, 창의적 산출물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창의적 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 창의적 마인드셋은 향상되지 않았다. 성장 마인드셋은 협력적 조절, 창의적 산출물과 강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성장 마인드셋과 협력적 조절은 창의적 산출물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urban regeneration idea camp program on university students creative beliefs. The 35 students from M University in Jeonnam, University A and University L in Gyeonggi-do who attended the camp were asked to complete the creative self-efficacy, creative mindsets, co-regulation scales. Groups’ creative products were evaluated by all three rater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creative self-efficacy significantly improved,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 effects with the creative mindsets. The growth mindsets ha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co-regulation and creative performance. Additionally, growth mindsets and co-regulat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groups’ creative performance. Based on these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