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재철의 『조선연극사』를 통해 본 연극 양식(style)의 생성과정과 연극사 기술의 문제의식에 관한 연구

        김남석(Kim, Namseok)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1 No.3

        김재철의 『조선연극사』는 한국 최초의 연극사 관련 저서이다. 그로 인해 『조선연극사』는 후대에 이어지는 연극 개념의 원형을 담보한 저술로 남을 수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김재철의 『조선연극사』는 이후 연극계에서 사용되는 장르 개념의 시발점에 해당하는 저술이기도 했다. 아울러 이 책은 동시대의 연극이자 근/현대 연극의 시발점으로서, 조선/한국 연극의 개념적 기원을 형성하면서, 이후 불거지는 장르 인식과 각종 분석의 바탕을 제공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따라서 『조선연극사』에 대한 접근과 재고(再考)는 한국 연극의 흐름과 분석 맥락을 살피는 전제가 될 것이며, 현재 정체 상태에 빠져있는 연극사 연구의 기틀을 재확립하는 방안을 제공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선연극사』의 전체적인 틀과 세부적인 내용을 분석적으로 살펴보고, 그 의의와 영향력에 대해 논구하고자 한다. Choseonyeongeuksa written by Kim Jaecheol is Korea’s first book on theater history. As a result, Choseonyeongeuksa could become a work that secured the prototype of the concept of theater history, which was later written. In addition, Choseonyeongeuksa by Kim Jaecheol was a writing corresponding to the starting point of the concept of genre used in the theater. In addition, this book is a contemporary play and the starting point of modern theatre, forming the conceptual origin of Korean theatre, and also serving as a basis for perception of genres and various analysis. Therefore, the approach and reconsideration of Choseonyeongeuksa will be the premise to examine the flow and analysis context of Korean theater, and provide a way to reestablish the foundation for the study of theater history, which is currently stagnant.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overall framework and details of Choseonyeongeuksa analytically, and to discuss its significance and influence.

      • KCI등재

        1940년대 동양극장의 사적 전개와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김남석 ( Kim Namseok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科學 Vol.0 No.63

        1939년에서 1940년에 이르는 동양극장의 행보에서 청춘좌가 추락과 재기의 과정을 경험해야 했고, 1940년에서 1941년으로 이어지는 도정에서는 호화선이 인기 하락과 체제 개편의 곤란을 감수해야 했다. 그러나 두 극단은 위기를 겪으면서도 결국에는 재기에 성공했는데, 이것은 동양극장의 저력이 두 극단 혹은 그 이상의 극단이 교호하며 레퍼토리를 충당하는 다수 전속체제에 연원한다는 사실을 증명하고 있다. 이러한 대처 방법이 동양극장의 1940년대 활동을 지지하는 근원적 힘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실제로 일제 강점이 많은 극장(연극 단체)들이 전속극단 체제를 꿈꾸었고, 레퍼토리의 자체 개발과 충족이라는 명제를 염두에 두었지만, 실제로 이러한 전속극단은 극장의 위기를 초래하는 위험이 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하지만 1930년대에 비해 명백하게 기울어갔던 1940년대의 동양극장을 지탱하게 해주고 그 성세를 일정 부분 연장할 수 있었던 핵심 운영체제는 전속극단의 상호교호 공연방식이었다고 해야 한다. 결국 이 교호체제를 현실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방안이 1940년대 동양극장의 운영 기조였던 셈이다. 전속극단의 성과(인기와 흥행)에 균형을 맞추고 인력의 수급을 원활하게 하며 상호 보완적인 효과를 유도한 극장 정책은 이러한 전속극단 체제에서 발원했던 것이다. Between 1939 and 1940, Cheongchunjwa (Theater Group) of Dongyanggeukjang underwent a process of crisis and recovery. During the period from 1940 to 1941, Hohwaseon (`Seonggun`, Theater Group) experienced a decline in terms of popularity and difficulties in restructuring the system at the same time. The two theater groups suffered a crisis, but soon successfully recovered. Because the two theater groups performed programs alternately, Dongyanggeukjang was able to continue to produce repertory theater works. These countermeasures were the driving force of supporting the activities of Dongyanggeukjang in the 1940s. In fac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many theaters hoped to make an exclusive contract with theater groups and to achieve the development and self-production of repertoires. However, exclusive contracts often caused risks. Despite such risks, the way of exchanging performances by the two theater groups helped sustain Dongyanggeukjang and led to success in the theatrical performance of Joseon in the 1940s.

      • KCI등재

        남원 지역 극장의 역사와 특징에 관한 연구

        김남석 ( Kim Namseok ) 한국공연문화학회 2024 공연문화연구 Vol.48 No.0

        남원은 예전부터 전북의 주요 도시 중 하나였지만, 이러한 도시의 성세에 비하여 극장의 수는 넉넉한 편이 아니었다. 일제 강점기 남원에 남원극장이 설립되면서, 근대 극장의 역사가 시작되었지만, 남원극장은 1930년대에서야 정상적으로 가동하는 극장으로 남을 수 있었다. 그리고 대외적으로 널리 알려진 극장은 아니었다. 특히 남원극장이 전국적으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순회공연 루트에 포함되어야 하는데, 사실 남원 지역은 순회공연에 적합한 지역이 아니었다. 이러한 역사적 상황은 남원의 지역 극장을 활성화하는 데에 제약으로 작용했고, 판소리의 융성과 함께 근대적 극장의 부실을 초래했다. 그럼에도 남원에는 점차 제일극장, 정화극장 등이 설립되어 극장의 필요를 충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남원의 극장 상황과 관련 인프라 그리고 극장으로서의 특징과 역사에 대해 논구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구는 상대적으로 남원의 지역 극장에 대한 정리에서 시작된다. Namwon has been one of the major cities in Jeollabuk-do since ancient times, but the number of theaters wa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size of these cities. The history of modern theaters began when Namwongeukjang was established in Namw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owever, it was only in the 1930s that Namwongeukjang was able to equip the theater that could operate normally. Moreover, Namwongeukjang was not a publicly known theater. Namwongeukjang had to be included in the tour route in order to raise national awareness, but in fact Namwon area was not suitable for the tour. These historical and regional circumstances acted as a constraint to revitalize the local theaters in Namwon, and it appeared as a cause of the failure of modern theaters along with the rise of Pansori. Therefore, Jeilgeukjang and Jeonghwageukjang were gradually established in Namwon, satisfying the needs of the locals as a theater. In this study, the situation of the theater in Namwon, related infra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and history of the theater are to be discussed. This thesis starts from the inspection and arrangement of local theaters in Namwon.

      • KCI등재

        음식문화와 문화접변 - 〈반두비〉에 나타난 국내 한국인과 이주 노동자의 식사 장면을 중심으로

        김남석(Kim Namseok)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9 다문화사회연구 Vol.12 No.2

        〈반두비(Bandhobi)〉는 미성년 여고생 민서와, 동남아시아 출신 이주 노동자 카림의 교제 과정을 다루고 있는 영화이다. 민서는 영어 과외비 마련을 위해 가출하여 성인업소에 자원하고, 카림은 체불된 임금을 받기 위하여 불법 체류자의 길을 선택한다. 민서가 경험하는 세상에서는, 영어와 미국인으로 상징되는 권력을 지닌 외국인들이 크게 존중받고 있다. 하지만 그 옆에 나란하게 놓인 가난한 국가 출신 이주 노동자에 대해서는 폄하와 무지의 시각이 여과 없이 노출되고 있다. 민서는 카림을 만나 그와 친분을 나누면서, 한국인들이 가지고 있는 편견과 오만의 시각을 인지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민서와 카림은 여러 차례 식사를 나누면서 상호 간의 불신을 좁히거나 폭발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친분 이상의 이해로 나아가기도 한다. 결국 두 사람은 각자의 길을 선택하는데, 그때에도 두 사람의 선택은 식사 장면으로 상징 요약되고 있다. 〈반두비〉는 한국인과 외국인의 식사 장면을 통해, 문화적 차이, 상대에 대한 편견, 문화적 충격과 포용의 태도를 드러내고 있으며, 결국에는 음식문화가 문화접변의 중요한 현상이라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Bandhobi is a film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a young girl high school student ‘Minseo’ and a South-East Asian migrant worker ‘Karim’. Minseo goes out to work in entertainment establishments for English tutoring. Karim chooses illegal stay, in order to receive unpaid wages. In a world where Minseo is experienced, foreigners with power represented by English and Americans are receiving enormous respect. However, foreign workers from the Third World who came to Korea from a poor country side by side are exposed to the view of disparagement and ignorance. Minseo meets Karim and shares her acquaintance with her, a nd s he real zies t he p rejudices and arrogance of K oreans themselves. In this process Minseo and Karim have several meals together, narrowing mutual distrust, sometimes confronting each other, and in some cases leading to understanding of friendship. In the end the two people choose their own way, and at that time, they are summarized as a symbol of the meal scene of two people. Bandhobi reveals cultural differences, prejudices against opponents, cultural shocks and attitudes of embracing through eating scenes of Koreans and foreigners. Finally, Bandhobi emphasizes that food culture is an important phenomenon of cultural contact.

      • KCI등재후보

        밀양 지역 극장의 역사적 연원과 분포 구도에 관한 연구

        김남석(Kim Namseok)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8 동서인문 Vol.0 No.9

        지금까지 일제 강점기 밀양에 지역 극장이 존재했다는 학문적 연구는 제기된 적이 없다. 하지만 밀양에도 지역 극장이 존재했고, 적어도 1920년대 후반에 두 개의 지역극장이 설립되어 있었다. 그 중 하나가 밀양극장이며, 다른 하나가 조일극장이다. 조일극장은 밀양 구시가에 위치한 극장이었고, 밀양극장은 신설된 철도역 인근에 위치한 극장이었다. 이 두개의 극장은 서로 경합하기도 하고, 상호 보완하기도 하면서, 밀양의 극장 인프라를 형성했다. 그리고 1940년대에는 밀양영화극장이 설립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세 극장의 연원과 자취, 설립 과정과 설립 이유, 그리고 운영 상황과 역사적 의의에 대해 조사 분석한 연구이다. 자료의 부족으로 네 극장의 실체가 상당 부분 해명되지 못했지만, 이러한 연구를 통해 관련 학계의 분발과 조사 보고 활동이 촉진될 것을 기대한다. Until now, there have been no studies on the existence of local theaters in Mirya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owever, local theaters did exist in Miryang and at least two local theaters were established in the late 1920s. One was called ‘Miryanggeukjang’, the other ‘Joilgeukjang’. The latter was located in the old town of Miryang while the former wa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newly built railway station. These two theaters competed with each other but also complemented each other, building thereby the theatrical infrastructure of Miryang. In the 1940s, ‘Miryangyeonghwageukjang’ was established.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genesis of this three theaters, the process of and reason for their establishments, the way they were managed and their historical significance. Although the existence of a fourth theater could not be established due to the lack of data,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pave the way for further research and academic activities related to this topic.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인천 애관(愛館) 연구

        김남석(Kim Namseok)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2 인천학연구 Vol.17 No.-

        이 논문은 인천에 소재했던 애관의 활동 양상과 역사적 의의를 집중적으로 검토하고, 애관의 지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분석하고자 한 논문이다. 애관 1890년대부터 최근까지 존재한 극장으로, 상연 작품의 숫자가 상당하고, 상연 작품 중에 조선연예사와 지역 연예사에서 중대한 의미를 지니는 작품들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인천 애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지의 영역을 상당 부분 남겨 두고 있다. 일부 논문을 제외한다면, 한국연극영화사에서 인천 애관에 대한 관심조차 제대로 표명하지 못하고 있었다. 애관의 주목적은 영화(활동사진) 상설관이었지만, 상설관이라고 해서 영화만 상연한 것은 아니었다. 영화 상영을 주로 하고 연극 공연을 곁들이는 방식으로 공연장이 운영되었다. 동시에 애관은 다목적 극장 공간이었다. 개항장의 중심에 위치했던 애관 주위에는 점차 성당, 불당, 요릿집, 술집 등이 들어서면서 문화와 유흥의 거리를 형성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애관 블록(거리)은 하나의 집약된 문화적 중심지로 기능하기 시작했다. 사람들은 대규모 집회나 상징적 문화 행사 혹은 집단의 중요 행사를 애관에서 개최하기 시작했다. 애관의 경영자 역시 이러한 지역 주민들의 요구를 충족하면서 애관을 준 공공기관, 즉 공공극장(public theater)으로 격상시켜 나갔다. 애관은 분명 일개 개인이 운용하는 사설 기관이었지만, 당시 지역 주민들에게는 공공시설 이상의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이 논문은 애관의 역사와 활동 그리고 기능을 살펴보고, 그 활동 내역과 사적 의미를 바탕으로 애관의 연극영화사적 가치와 지역연예사적 의미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애관에 대한 자료는 개항기와 일제 식민지 시대 신문과 잡지, 그리고 최근에 발표된 관련 논문들로부터 취득했다. 이 연구는 한국 연예역사 복원의 토대가 될 전망이다. This dissertation has been written with a purpose to examine and to understand the works, meaning, and change process of Aegwan(Love Theater) in 1890~40s. For this purpose, this dissertation has been written with a purpose to examine and to understand the structure, the location, the performing works, and the history of Aegwan(Love Theater). Aegwan(Love Theater) is Korean theater for both the film and the drama from 1890s. As yet, the study of Aegwan(Love Theater) isn't progressed. So Aegwan(Love Theater) remains obscurity. This paper intend to examine Aegwan(Love Theater)'s history, activity, feature and works. I study Aegwan(Love Theater) and screening works contained in the magazines and the newspapers in 1890~40s, and film books and conference papers published recently. This study will be a groundwork of the restoration of Korean drama and film history.

      • KCI등재후보

        <바람 부는 시절>에 반영된 ‘서울(경성)’의 형상과 그 의미에 관한 연구 - 서울과 농촌의 대립 구도를 바탕으로

        김남석(Kim Namseok)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20 서울학연구 Vol.- No.79

        임선규의 <바람 부는 시절>은 한국 연극사에서 소실된 대본이었다. 그런데 최근 이 대본이 발견되면서, 관련 연구가 진행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바람 부는 시절>의 공연 대본에 나타난 도시와 농촌의 대비 현상에 대해 논구하고자했다. <바람 부는 시절>의 공간적 배경은 크게 도시와 농촌으로 나눌 수 있다. <바람 부는 시절>의 1장과 2장 그리고 5장과 6장은 농촌을 공간적 배경으로 설정하였다. 이에 대비하여, <바람 부는 시절>의 3장과 4장은 도시(서울)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바람 부는 시절>은 두 공간을 무대 배경으로 수용하였기 때문에, 근대 문물과 소비 성향, 의복, 언어, 계층, 신분, 애정 표현 등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극적으로 유효한 형식 미학적 요소로 표현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형식 미학적 요소를 바탕으로, <바람 부는 시절>에 수용된 도시(서울)의 형상을 정리하고 그 의의에 대한 논구하고자 한다. Im Sunkyu’s Baram buneun sijeol was a script that disappeared from Korean theater history. However, with the recent discovery of this script, relevant research could proceed. This study intends to discuss the contrast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in the script of Baram buneun sijeol. The spatial background of Baram buneun sijeol can be divided into urban and rural areas. Chapters 1, 2, and 5 and 6 of Baram buneun sijeol set the rural background as a spatial background. In contrast, chapters 3 and 4 of Baram buneun sijeol are based on the city(Seoul). Since Baram buneun sijeol accepted the two spaces as the stage background, the differences in modern culture, consumption propensity, clothing, language, class, status, and expression of affection appeared to be extremely effective formal aesthetic elements. Based on these formal aesthetic elements, this study aims to summarize the shape of the city (Seoul) in Baram buneun sijeol and discuss its signific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