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국 청소년의 고혈압과 관련된 식사 및 생활양식요인 분석

        김길례(Kil Lye Kim),손숙미(Sook Mee Son),김혜경(Hye Kyeong Kim)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11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Vol.16 No.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dietary and lifestyle factors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in Korean adolescents. Study subjects were 12~19 years (n = 521)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the 200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e hypertensive group (HG, n = 102) and normotensive group (NG, n = 419) by ``2007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growth standard``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blood pressure and physical measurement, nutrients intakes, eating behaviors and health related factors were analyzed. HG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in weight, waist circumference and BMI than NG. The amount of nutrient intakes was not different between NG and HG.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Q) for phosphate was higher in HG compared with NG. In both male and female HG, INQ for iron was higher but INQ for vitamin B1 was lower than NG. HG revealed higher consumption frequencies of snack, yoghurt, and ice cream compared with NG. In eating and behavioral factors, ``dinner with family``, ``eat proper amount``, ``keep Korean traditional diet``, alcohol drinking, and mean alcohol intak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By logistic regression method, risk factors for hypertension revealed in this study were gender (male), age (15~19 years), BMI (≥ 85 percentile), and not keeping Korean traditional diet. These results suggest that education program for hypertension prevention in adolescents should include eating habits improvement and lifestyle modification as well as weight control. (Korean J Community Nutr 16(4) : 439~453, 2011)

      • KCI등재

        커피전문점 음료의 당류 줄이기에 대한 대구시민의 인식 및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길례(Kilye Kim),이연경(Yeon-Kyung Lee) 한국영양학회 2021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4 No.4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당류 섭취 저감화 정책 마련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대구시민의 커피전문점 이용현황과 커피전문점 음료의 당류 줄이기에 대한 인식 및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 전체 1,157명 중 남성이 49.5%, 여성이 50.5%이었으며, 연령대는 19–29세 30.8%, 30–39세 30.9%, 40–49세 38.4%였다. 전체 48.7%가 단 음식을 선호하였고, 25.9%가 평소 달게 먹었으며, 연령대가 낮을수록 단 음식 선호와 달게 먹는 비율이 높았다. 커피전문점 이용현황은 단 커피 (음료) 구입 비율은 여성과 낮은 연령대에서 높았고 (p < 0.05, p < 0.001), 커피에 시럽이나 설탕 첨가 비율은 남성과 높은 연령대에서 높았다 (p < 0.001, p < 0.01). 사이드메뉴는 여성과 30대에서 많이 구입하였으며 (p < 0.001, p < 0.05), ‘가끔 구입한다’가 63.4%였고, 조각케이크 구입이 62.3%로 가장 많았다. 커피전문점 음료의 당류 줄이기에 대한 인식은 일부 당류 줄이기 커피전문점에 대해 42.1%가 인지하였고, 커피전문점 음료의 당류 줄이기가 필요한 것으로 57.9%가 인식하였으며, 커피전문점에서 당류 줄이기를 고려한 음료 구매 경험은 22.3%로 낮은 수준이었다. 여성은 남성보다 당류 줄이기 고려한 음료 구매 경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고 (p < 0.05), 30대, 40대, 20대 순으로 당류 줄이기 커피전문점 인지율과 당류 줄이기 고려한 음료 구매 경험 비율이 높았다 (p < 0.01, p < 0.01). 커피전문점에서 제공하는 음료의 당류 줄이기 방법에 대해 효과성과 이용의사가 높은 방법은 ‘주문 시 단맛 선택 안내’, ‘당류 저감 음료 이벤트 제공’, ‘당류 저감 음료 개발 판매’이었으며, 효과성과 이용의사가 가장 낮은 항목은 ‘음료 저용량 사이즈 판매’였다. 커피전문점 음료의 당류 영양표시에 대해 59.7%가 인지하였고, 커피전문점 음료의 당류 영양표시 필요성은 68.8%가 인식하고 있었다. 커피전문점에서 음료 구매 시 35.6%가 당류 영양표시를 확인하였으며, 영양표시 확인 후 당류 함량이 많은 경우 대체 구입하거나 구매하지 않는 비율은 77.2%이었다. 당류 줄이기 커피전문점에 대한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커피전문점 음료의 당류 줄이기 필요성 인식’과 ‘당류 줄이기를 고려한 음료 구매 경험’은 행동의도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달게 먹는 식습관’은 행동의도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대구시 성인들의 커피전문점 음료의 당류 줄이기와 당류 영양표시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실천은 낮은 수준이었다. 그러나 커피전문점에서 제공하는 음료의 당류 줄이기 방법 중 ‘주문 시 단맛 선택 안내’와 ‘당류 저감 음료 이벤트 제공’, ‘당류 저감 음료 개발 판매’에 대해 효과성과 이용의사가 높게 나타났으며, 향후 당류 줄이기 커피전문점에 대한 행동의도는 긍정적이었고, 커피전문점 음료의 당류 줄이기 필요성 인식은 행동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커피전문점의 음료를 통한 당류 섭취를 줄이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 혹은 지자체 단위에서 지역주민들의 당류 줄이기에 대한 필요성 인식 형성과 당류 줄이기 실천 방법에 대한 성별, 연령대별 차별화된 맞춤형 교육 및 홍보가 필요하며, 커피전문점에서도 고객의 요구가 반영된 당류 저감화를 위한 노력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establishing a sugar reduction policy at coffee shops by analyzing the factors that affect a coffee shop user"s percep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of reducing sugar intake.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involving 1,274 Daegu citizens aged 19-49 years, who had visited coffee shops within the last month. Results: When visiting a coffee shop, the purchase of sweet drinks was higher in the younger age group, and the addition of syrup or sugar was higher in the older age group. Of the total respondents, 42.1% were aware that some coffee shops accommodate reduced sugar requests, 57.9% perceived the need to reduce sugar in coffee shop beverages and 22.3% had purchased beverages intending to reduce their sugar intake. In addition, 59.7% knew about sugar nutrition labeling, and 68.8% perceived the need for nutrition labeling for sugar. When purchasing beverages, 35.6% checked the nutrition labeling, and 77.2% purchased alternative drinks when the sugar content was high. Guiding the choice of sweetness levels in coffee shop orders was seen to have the highest effectiveness and intention to reduce sugar intake. Moreover, the perceived need to reduce sugar intake had the most positive effect on the behavioral intention to reduce sugars in coffee shop beverages (β = 0.558, p < 0.001). Conclusion: Although the overall awareness and practice of reducing the sugar intake in coffee shop users were low, the behavioral intention to reduce sugars was positive, and this was most affected by the perception of the need to reduce sugar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differentiated education and promotion for each age group for recognizing the necessity and outlining methods for reducing sugar intake. Furthermore, coffee shops should reflect customer"s sugar reduction needs.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사회인지론에 근거한 성인의 당류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길례(Kilye Kim),이연경(Yeon-Kyung Lee) 한국영양학회 2024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7 No.1

        본 연구는 사회인지론을 기반으로 성인의 당류 섭취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여 성인의 당류 섭취 저감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대구시민 만 19–49세 성인 1,022명 (남자 502명, 여자 520명)을 대상으로 2019년 10월에 온라인 업체를 통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당류 급원식품 1일 총 섭취빈도는 4회였으며, 음료류 (1.87회)가 가장 높았고, 품목별로는 단 커피음료 (0.81회)가 가장 높았다. 당류 급원식품 섭취빈도가 높을수록 남녀 모두 당류 섭취 줄이는 것에 대한 부정적 결과기대가 높았고, 가정환경과 사회환경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 자기효능감과 당류 섭취를 줄이는 행동수행력의 실천이 낮았다. 회귀분석 결과, 당류 급원식품 섭취빈도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지론 요인으로는 남녀 모두 환경적 요인인 가정환경으로 나타났으며, 당류 섭취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남성의 경우 인지적 요인인 당류 섭취 줄이는 것에 대한 긍정적 결과기대, 여성의 경우 행동적 요인인 행동수행력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인 대상 당류 섭취 줄이기를 위해서는 당류 섭취 저감화에 대한 긍정적 결과기대를 높이고, 평소 달게 먹는 식생활을 개선할 수 있는 식생활 교육 및 가정환경 변화를 포함한 영양중재도 함께 이루어져야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sugar intake in adults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Methods: An online survey regarding the intake frequency of sugar-source food, factors related to sugar intake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perceptions of sugar intake, and health-related factors was conducted in October 2019 with 1,022 adults (502 men and 520 women) aged 19–49 years. The intake frequency of sugar-source food was divided into tertiles using percentiles based on the daily frequency. Results: The daily intake frequency of sugar-source foods was 4 times, with beverages (1.87 times/day) and sweetened coffee (0.81 times/day) being the highest among the food groups and types, respectively. The group with a high intake frequency of sugar-source food had a high negative outcome expectation for reducing sugar intake, and was in a home and social environment with easy access to sweet food. Women in this group showed low self-efficacy and poor behavioral capability in reducing sugar intake. Self-control had the lowest average score among the factors of social cognitive theory (2.56/5 points), followed by nutrition knowledge related to sugar (5.42/10 points).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the social cognitive factor affecting the intake frequency of sugar-sourced foods was found to be home environment for both men and women. On the other hand, factors contributing to reducing sugar intake were positive outcome expectations for men and behavioral skills for women. Conclusion: Dietary education and nutritional interventions for adults, including changes in the home environment with easy access to sweet foods, can reduce sugar intake and raise positive expectations for reduced sugar intak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