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신 산업동향을 고려한 공업단지 사용량 원단위 분석 연구

        김기범,유영준,최우진,구자용,Kim, Kibum,Yu, Youngjun,Choi, Woojin,Koo, Jayong 대한상하수도학회 2017 상하수도학회지 Vol.31 No.5

        This study derived the unit of industrial water usage reflecting the latest industry trends. Available for establishing plans such as the master plan for water supply system and analyzed changes in the basic unit by a comparison with the current basic unit values. This study analyzed 4,038 samples with a sampling error of less than 1.5 % at the 95 % confidence level after removing outliers according to a log-normal distribution. As a result, the unit of industrial water usage per site area in the whole manufacturing industry was 7.11 m3/1,000m2/d. The ten industrial categories (C10, C13, C20, C21, C22, C25, C27, C30, C32, C33) showed a similar unit value compared to before, and the four industrials categories (C11, C17, C22, C31) showed a more unit value than before. With regard to the nine industrial categories (C14, C15, C16, C18, C19, C24, C26, C28, C29), the unit value decreased. Cases that companies examined before were the same as the companies examin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The result that the changes in the unit industrial water usage were reasonable was obtained. However, in some industrial categories (C17, C14, C24, C29), the unit value was changed by a small number of companies with large-scale water use or unit value of sampling had a large deviation. It was considered necessary to survey them periodically. The unit of industrial water usage derived by the survey in this study reflects the current industrial trends in 2016. Water use in manufacturing companies has continuously changed by the development of manufacturing technologies and simplification of manufacturing processes. In order to deal with this,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survey the usage of industrial water periodically from a long-term perspective.

      • IPv6 모바일 Ad-hoc 네트워크에서의 자동주소지정을 위한 중복주소탐지

        김기범(Kibum Kim),김기천(Kichun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A

        All IP,NGN(Next Generation Network)으로 대변되는 차세대 네트워크의 특징 중 하나는 이동성이며, 노드의 이동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전체가 이동하는 모바일 네트워크로 진화하고 있다. 차세대 네트워크의 하위 구조를 이루게 될 MANET에 IPv6를 적용하기 위해, 보다 확장성 있고, 유연하며, 빠르고 가벼운 IPv6의 자동 주소 지정 및 중복 주소 탐지에 관해 논의한다.

      • 자기누설탐상법을 이용한 상수도강관의 부식깊이 예측 모델 개발 및 검증

        김기범 ( Kim Kibum ),서지원 ( Seo Jeewon ),김재학 ( Kim Jaehag ),구자용 ( Koo Jayong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광역 및 공업용수도로 사용되고 있는 대구경 상수도강관의 내부 및 외부 부식깊이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기존 상수도관의 부식깊이 예측 모델로 다수 활용된 two-phase model은 관 연령만을 고려한 모델이라는 한계가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환경요인을 고려하여 기존보다 더 정확한 부식깊이 예측을 위하여 약 400개의 전국 광역 및 공업용수도 관로 시편의 부식깊이 분석결과와 부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다양한 환경요인을 조사하였다. 부식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들은 퍼지기법과 수량화Ⅱ류 기법을 이용하여 점수화한 뒤 하나의 새로운 변수로 구성하고자 하였다. 부식깊이 예측 모델은 수량화Ⅱ류 기법을 이용하여 토양부식성 및 수질부식성 인자들을 점수화한 뒤, 다른 환경 요인들과의 퍼지화를 통해 최종적으로 two-phase model에 포함되는 새로운 변수를 구성하는 형태로 개발하였다. 개발한 모델은 자기누설탐상법을 이용하여 조사된 광역상수도에 적용하여 실제 부식깊이와의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외부부식에 대한 영향인자로 관대지전위차, 토양비저항, 함수율, 염화물 및 황화물 농도, 관경, 경과년도, 지형조건, 매설심도 등 총 8개의 인자를 고려하여 상관계수 0.7020인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내부부식에 대한 영향인자로는 LI지수, pH, 수종에 경과년도 및 관경 등 총 5개 인자를 고려하여 상관계수 0.6332인 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자기누설탐상법을 이용하여 조사된 연구대상관로에 개발한 모델을 적용한 뒤 자기누설탐상법을 통해 조사된 부식깊이와 비교·검증한 결과, 자기누설탐상법을 통해 하인된 금속손실(부식깊이) 106개 중 85개가, 부식깊이 예측 모델의 95 % 신뢰구간 범위 내 적중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델은 자기누설탐상법을 이용한 조사·진단 결과의 이상값을 고려할 시 매우 높은 예측 수준임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대구경 상수도강관의 부식 깊이 예측 모델은 다양한 부식영향 인자가 고려되어 기존 모델 대비 실제 부식깊이와의 상관성이 높게 나타남이 검증된 모델로서, 실제 현장에서 활용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 이동 Ad Hoc 네트워크에서의 멀티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 동향

        김기범(Kibum kim),김기천(Kichun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Ⅲ

        이동 Ad Hoc 네트워크는 사전에 계획되지 않은, 필요에 의해서 발생하는 단일 혹은 멀티 홈 무선 네트워크이다. 기간망 구조를 활용하지 않는 이동 Ad Hoc 네트워크에서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이동 단말들에게 라우팅 기능이 전가되며, 이동 단말의 움직임에 따라 동적으로 네트워크 토폴로지가 변경되는 특성을 갖게 된다. 이러한 특성은 유선 네트워크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동 Ad Hoc 네트워크에 직접 적용하는데 큰 장애요소가 된다. 현재 제안되고 있는 이동 Ad Hoc 네트워크의 라우팅 프로토콜들은 기본적으로 이동 Ad Hoc 네트워크의 특성을 고려하여 설계되었으며, 각기 효율적인 라우팅 알고리즘을 제안하여 이동 Ad Hoc 네트워크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제어 패킷 부담, 전력 소무 부담 등을 최소화 하기 위한 연구를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Ad hoc 네트워크의 특징 및 응용과 현재 까지 제안되어 온 멀티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을 살펴보고, 특징을 분석하여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 하였다.

      • 자산관리시스템의 구성과 활용방안

        김기범 ( Kim Kibum ),구자용 ( Koo Jayong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우리나라의 상수도는 1970∼1980년대의 도시화 및 경제개발 시기에 집중적으로 확장되었는데 2020년 현재, 집중적으로 건설된 많은 상수도시설물은 노후화되는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많은 수도사업자는 수도요금의 현실화, 장기적 관점의 시설물 투자 계획 등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재정계획의 부재로 인하여 노후 상수도시설물에 재투자할 여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재투자할 여력이 부족한 수도사업자는 노후시설물의 개량 및 갱신의 시기를 실기하여 노후시설물이 점진적으로 누적되는 구조가 고착화될 수도 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또한 최근 발생한 일련의 상수도 사고들로 인하여 상수도 서비스와 관련된 소비자의 요구사항은 과거에 비해 더욱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술한 문제들은 우리나라에만 국한된 문제는 아니며, 기존의 관리방법으로는 상수도 시설물의 유지관리에 한계가 도래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갈수록 증가하는 상수도시스템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시기적절하게 노후시설물을 신규시설물로 개·대체하기 위한 방안으로 선진 외국에서는 상수도시설물에 대한 자산관리(Asset management for waterworks)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도입하고 있다. 상수도시설의 자산관리란 상수도 본연의 목표인 안전한 수질, 충분한 수량, 적정한 수압의 달성을 위하여 상수도시설물 전 생애에 걸친 위험요소를 관리함과 동시에 소비자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최소의 비용으로 제공하기 위한 관리체계로 정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수도시설의 자산관리는 상수도시설을 경제적이면서 최적의 효율로 관리하기 위한 선제적 관리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진 외국의 자산관리 체계 및 자산관리시스템 개발 사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상수도시설 현황 및 수도사업자의 여건에 적합한 자산관리시스템을 구성하는 방안이 무엇인지, 구성된 자산관리시스템을 어떻게 활용하는 것이 합리적인지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기반시설 관리 기본법의 제정 및 시행에 따라 상수도시설물에 대해 강화된 유지관리 체계에 적절하게 대응함과 동시에 우리나라에 상수도시설 자산관리를 도입하여 정착시키기 위한 방안이 무엇인지 논의하고자 한다.

      • KCI우수등재

        웹 기반 개인화 보조시스템 성능 평가를 위한 실험적 연구

        김기범(Kibum Kim),김선호(Seonho Kim),원성현(Sunghyun Weon) 한국전자거래학회 2004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9 No.3

        최곤 인터넷 상에서 개인화(personalization)된 데이터를 얻기 위하여 직접 조작(direct manipulation)과 소프트웨어 에이전트(software agent)라는 두 가지 요소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이 두 가지 기술은 사용자들이 서로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자신들의 일을 수행하더라도 신속하고, 효율적이고 쉽게 임무를 종료시킬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들 개인화 기술들에 대한 논쟁의 핵심은 사용자들에게 시스템 제언 권한을 얼마나 많이 부여하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직접 조작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에 대한 제어와 예측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는 달리, 소프트웨어 에이전트의 사용은 인공지능 기술을 채택하여 사용자의 개인화된 선호 경향을 획득하거나 기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 두 가지 사용자 웹 개인화 데이터 추출 도구를 평가한다. 그들 중 하나인 WebPersonalizer는 에이전트 기반 사용자 개인화 도구이고, 다른 하나인 AntWorld는 직접 조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협동적 추천 도구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웹상에서의 개인화 보조자로써의 이들 두 가지 서로 반대되는 기술의 장단점을 실험적으로 규명하고, 향후 전자상거래시스템과 같은 웹 시스템 개발자들이 개인화 데이터 추출을 위하여 어느 기법을 적용하려고 할 때 참고할만한 실험 결과를 제공한다. At this time, the two main techniques for achieving web personalization assistant systems generally concern direct manipulation and software agents. While both direct manipulation and software agents are intended for permitting user to complete tasks rapidly, efficiently, and easily, their methodologies are different. The central debate involving these web personalization techniques originates from the amount of control that each allows to, or holds back from, the users. Direct manipulation can provide users with comprehensible, predictable and controllable user interfaces that give them a feeling of accomplishment and responsibility. On the other hand, the intelligent software components, the agents, can assist user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by monitoring or retrieving personal histories or behaviors. In this empirical study, two web personalization assistant systems are evaluated. One of them, WebPersonalizer, is an agent based user personalization tool; the other, AntWorld, is a collaborative recommendation tool which provides direct manipulation interfaces. Through this empirical study, we have focused on two different paradigms as web personalization assistant systems: direct manipulation and software agents. Each approach has its own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We also provide the experimental result that is worth referring for developers of electronic commerce system and suggest the methodologies for conveniently retrieving necessary information based on their personal needs.

      • KCI등재

        이산화탄소 변환 과정이 포함된 인공 광합성 시스템

        김기범(Kibum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1

        본 논문은 이산화탄소 고정 과정이 포함된 인공 광합성 과정을 모사하기 위하여 지구상에 흔히 존재하는 촉매 재료를 이용해 개발한 광화학 반응 시스템(인공나뭇잎)과 시스템 에너지 포집 및 변환 능력에 대한 성능을 조사하기 위한 기초 연구 결과를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스템은 태양광 전지의 전면부에 산화코발트를 도핑 하여 물의 전기분해로 인한 산소 발생이 태양전지 표면에서 직접 발생하도록 하였고, 후면 기판 표면에는 이산화탄소 변환 반응을 위한 효율적인 촉매로 MoS₂를 도핑 하여, 전선이 없는 구조로 구성하였다. 직접 태양광 연료 변환 시스템은 약4.5%로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와 수소로 변환하여 지속 가능한 연료(합성가스)의 형태로 생산하며, 이는 음극에서 촉매 변환 효율이 75%이상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물의 광분해뿐만 아니라 태양광에 의해 유도된 이산화탄소 전환 과정을 하나의 시스템에서 동시에 실현하여 자연적 광합성 과정을 좀 더 성공적으로 모사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에 기여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n integrated photochemical reaction system (i.e., an artificial leaf) that uses earth-abundant catalysts for artificial photosynthesis with a carbon dioxide (CO₂) fixation process.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energy capture and conversion capabilities. A wireless configuration was achieved by directly doping cobalt oxide as an oxygen-evolving catalyst for water splitting reaction on the illuminated surface of photovoltaic (PV) cell, as well as molybdenum disulfide (MoS₂) as an efficient catalyst for CO₂ reduction on the back substrate surfaces of the PV cell. The system produces hydrogen and carbon monoxide (CO) as sustainable fuels (i.e., synthesis gas) at around 4.5% efficiency, which implies more than 75% catalytic efficiency at the cathode. The process of solar-driven CO₂ conversion and water-splitting reaction is contained in one system, which is one step closer to the successful realization of artificial photosynthesis.

      • KCI등재

        인공지능 생성 미디어아트의 시각 표현에 나타난 불확정성에 관한 연구

        김기범 ( Kibum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포스트모더니즘 해체주의 특성이 반영된 미디어아트는 디지털 매체 기술의 발전과 함께 그 영역을 넓히고 있으며 이는 실험적이고 도전적인 불확정성의 시각 표현의 시대가 열린 것을 의미한다. 특히, 최근 인공지능을 활용한 불확정성 시각 표현의 미디어아트가 현대 미술의 주요한 영역에 자리 잡아 가고 있으므로 이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해체주의의 특성과 첨단기술이 결합한 인공지능 생성 미디어아트에 나타난 불확정성 시각 표현 양식의 특징을 이론적 문헌 연구를 고찰하고 사례 분석을 통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 이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확정되지 않은 형상의 이상 결합, 무작위 변형과 왜곡, 무한한 동적 변환 등의 시각적 경험을 제공하는 창작 도구로써 실험적이고 도전적인 불확정성의 시각 표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인공지능 미디어아트가 앞으로 형이상학적 현상이나 해체주의 개념들을 시각화하는 창의적 도구로써 사용될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었다. Media art that reflects the features of postmodernism and deconstructivism expand its scope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technology, it infers to the beginning of an era of experimental and challenging visual expressions for indeterminacy. In particular, as media art of visual expression of indeterminacy using AI is taking root in a major area of contemporary art, thereby we need to look into it more in depth.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features of the visual expression style of indeterminacy revealed in AI media art that combines the characteristics of deconstructionism and advanced technology through theoretical literature studies and empirical studies through cas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xperimental and challenging visual expression of indeterminacy was confirmed as a creative tool that provides visual experiences such as unconfirmed and ideal combinations of shapes, random transformations and distortions infinite dynamic transformations. In this context, it was possible to predict the possibility that AI media art could be used as a creative tool to visualize metaphysical phenomena or deconstructionist concept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