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가상현실기술을 활용한 온라인 전시 표현기법 -직지 박물관 360도 VR 영상 온라인 전시 제작을 중심으로-

        김금영(Kim Gum-young)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1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65

        박물관의 온라인 전시는 사회 활동이 크게 제한되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문화유산과 접촉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오프라인 전시 및 답사를 보완하는 디지털 콘텐츠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VR 기술의 상용화에 따른 지역 박물관의 온라인 전시 제작에 관해 연구하였다. 이론적 논의에서는 가상기술이 전통적인 개념의 박물관 전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루브르 박물관, 독일 베를린 자연사 박물관, 넥슨 컴퓨터 박물관, 이탈리아 피렌체 우피치 박물관의 온라인 전시를 사례로 각 박물관은 어떠한 VR 표현기법을 활용했는지 분석해, 청주에 소재한 지역 박물관인 직지 박물관의 360도 VR 영상 온라인 전시제작에 접목해 보았다. 우선 사례분석 결과를 토대로 타 박물관 온라인 전시와 차별화 되는 방법을 모색했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온라인 전시가 실제 전시의 기술적 구현에 머물러 있음을 주지하고, 본 연구는 직지박물관의 전시를 어느 연령대에나 친근하게 다가가고, 무겁거나 지루하지 않도록 직지 캐릭터를 적극 활용하였다. 청주시에서 주최한 직지캐릭터 공모전에서 대상을 받은 ‘직지와 활자씨’를 VR 영상에 적용하기 위해 3D 캐릭터로 재작업하고, 온라인 전시의 도슨트(Docent)로 등장시켜 박물관 입구에서 환영인사를 시작으로 각 전시실을 돌면서 전시실의 주요 문화재들을 어린이들도 알아듣기 쉽고 재미있는 설명으로 콘텐츠를 구상했다. 또한 각종 인터렉티브한 비주얼 이펙트나 사운드 효과를 더해 스토리텔링 형식을 제안해, 단순히 보는 전시에서 색다른 재미를 줄 수 있는 요소를 더해 주었다. 이러한 온라인 전시 기획의 주제는 박물관을 관람하는 관람객의 수용환경 변화와 맞물려 있어, 시각 위주의 전시 경험에서 체험 위주의 전시경험의 요구에 부응하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전시환경의 급속한 변화에 따른 지역 박물관의 VR 기술 활용은 관람객을 모으는 매력적인 동인인 동시에 박물관의 미흡한 전시 콘텐츠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수단이다. 이번 연구를 통해 박물관의 역사 전시라는 딱딱한 주제가 수용자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The focus of the research in this thesis is the creation of online exhibitions that employ commercialized virtual reality (VR) technologies. In this regard, the theoretical section of this thesis includes a discussion of the effects of VR technology on traditional museum exhibitions. On the basis of previous research that included analyses of how the traditional museums of The Louvre, the Berlin Natural History Museum, the Nexon Computer Museum, and the Museo Nazionale del Bargello, Florence, Italy, used VR technology for online exhibitions, we studied Chung-Ju’s Jikji Museum’s creation of its 360-degree VR, online exhibition. On the basis of the case studies, we sought a manner to differentiate the Jikji Museum from other traditional museum online exhibitions and noticed that most online exhibitions are simply established to attain technical realization. Thus, in our research we used the Jikji Museum, which provides friendly characters for all ages, so as not to be tedious and heavy. We reproduced “Jikji and Mr. Hwalja” as 3D characters, which were awarded a grand prize at the Jikji character contest hosted at Chung-Ju City. An online exhibition guide appears at the main entrance of the museum, starting with a welcome greeting then leading the visitors into the showrooms, which are furnished with content that is sufficiently easy for children to understand. In addition, interesting elements with various interactive audio-visual effects are included to produce a storytelling-oriented exhibition. This type of online exhibition is aligned with the changes in the visitors’ accommodation environment, thus satisfying the need for an experience-centered exhibition. The use of VR technology in the current fast-changing exhibition environment is what attracts visitors, and it compensates for the shortcomings of actual exhibition contents. Hopefully, this research will help visitors to take delight in learning about history.

      • KCI등재

        360도 VR 영상의 시각적 표현요소 -국내 가상현실기반 문화재 전시관을 중심으로-

        김금영(Kim, Gum-Young)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2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66

        가상현실기반 전시관은 목적에 따라 하나의 문화유산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고, 다수의 문화유산을 다양한 시각적 이미지로 구현할 수도 있어 기록을 넘어서 아카이브 플랫폼으로서의 의미로까지 확장된다. 그러나 현재의 가상현실(VR) 기술은 HMD(Head Mounted Device) 착용이 불가피하고, 장착의 불편함, 기계의 무게감, 사이버 멀미뿐만 아니라, 낯선 매체에 대한 소비자들의 러닝 코스트(running cost)가 발생하기 때문에 소비자가 가상현실을 소비하기 꺼리게 만든다. 이러한 견고한 진입장벽을 이유로 가상현실 산업의 성장이 더뎌지고 있다. 반면 360도 VR 영상은 별도의 장비가 필요 없고, 사용자가 접근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기존의 미디어와 차별화된 현실감을 동시에 제공하면서 차세대 미디어의 대표 주자로 주목받고 있다. 본 고에서는 360도 VR 영상 제작에 사용되는 표현기법 및 기술을 살펴보고, 360도 VR 온라인 박물관 전시 사례를 기반으로 몰입형 콘텐츠 표현기법이 온라인 문화재 전시에 어떻게 융합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5개 온라인 전시(국립중앙박물관, 서대문자연사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국립과천과학관, 넥슨컴퓨터박물관)의 시각적 표현요소 평가항목을 개발하고, 국내 온라인 전시를 분석하였다. 사용자 경험 평가항목은 정보제공 내비게이션, 다각화한 뷰(view), CG활용 3개의 카테고리에서 5개의 시각 표현요소 평가 질문을 설계하였고, 각 질문을 5단계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현재 온라인 전시는 물리적 공간을 재현하는 것에 대부분 의존하고 있으며, 3D 환경에서는 내비게이션의 구조가 복잡하거나 사용이 불편한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등 3D 공간에서 시각적 표현요소 설계의 미흡함이 중요한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연구는 추가 정보 표현, 다각도 뷰(view)지원, 키맵, 문화재의 인덱스, 동선 방향에 대한 시각적 가이드, CG를 활용한 후반 작업을 통해 관람객이 전시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설계하는 것을 제안한다. 관람객을 배려한 기술의 적용을 통해 온라인 전시는 실제 전시를 보완함과 동시에 독자적인 체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Virtual Reality-based exhibition enables constant information collection for cultural heritage. It may expand its value from the record into the Archive platform as it helps to implement multi-visual images. However, the current VR technologies can’t be realized without HMD, a flawed display, including its inconveniences to mount, its heaviness, and cybersickness making consumers hesitate to use VR. These solid barriers deter the growth of the Virtual Reality industry. 360-degree VR images, however, don’t require extra equipment, are easy to access, and provides a differentiated sense of reality, drawing attention as a next-generation media. This script will cover the visual method and technologies that are used for acquiring 360-degree VR production and will find out how the immersive contents visual method is fused with an online cultural exhibition based on a 360-degree online exhibition case. This study developed 5 factors of visual expression evaluation elements of the online exhibition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analyzed domestic online exhibitions. User experience evaluation consists of three elements, which are Information Provision Navigation, Multi-angle View, and CG utilization. Each questionnaire was evaluated with 5 steps. As a result, current online exhibitions mostly rely on the reproduction of physical space and 3D environments have released a few shortcomings such as the Navigation structure, which is too complicated. In response,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n environment for tourists to be immersed in the exhibition with additional information expression, multi-angle view, a keymap, an index for cultural assets, a visual guide with human traffic flow, and computer graphics. With these technologies, the online exhibition will render a unique experience for tourists and will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the actual exhib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