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규운,김현우,김희정,허태영,정상혁,송용호,Kim, Kyuwoon,Kim, Hyunwoo,Kim, Huijeong,Huh, Taeyoung,Jung, Sanghyuk,Song, Yong Ho 대한전자공학회 2013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0 No.6
컴퓨터의 그래픽 연산장치인 GPU는 그래픽 데이터의 연산뿐만 아니라 일반시스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발전되었으며, 3D 그래픽 관련 알고리즘이나 병렬 실행이 가능한 코드에 대해서는 CPU 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CPU 기반으로 제작된 일반적인 알고리즘을 GPU에서 실행하기 위해서는, GPU 시스템의 아키텍처를 이해하고 병렬처리 능력과 새로운 메모리 구조를 고려하여 코드를 재작성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알고리즘을 성능 예측 모델에 적용하여 GPU 시스템에서 예상되는 성능 예측이 필수적이다. 이를 통해 GPU 기반 어플리케이션 개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사전에 예측하고, 성능에 대한 평가 지표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AES 암호화 알고리즘에 성능예측 모델을 적용하여 작업량이 많은 조건하에서 높은 정확도로 성능 예측을 수행하였다. The graphic processor unit (GPU) has been developed to process not only graphic data but also general system data. It shows a better performance than CPU in algorithm for 3D graphics and parallel program. In order to execute algorithm for CPU on GPU, we should understand about GPU architectures and rewrite program considering parallel processing capability and new memory model of GPU. For this reasons, a performance prediction model for the algorithm and its predicted performance through GPU system are required. These can predict problems in GPU application development or construct a performance evaluation standard for GPU. In this paper, we applied the AES encryption algorithms on our performance model and accomplished performance prediction with high accuracy under a heavy workload.
김규운(Kim, Gyu un),유재춘(Yu, Jae Chun),김건우(Kim, Kun Woo),김동균(Kim, Dong Gyun) 중부고고학회 2021 고고학 Vol.20 No.3
5세기 후엽부터 6세기 중엽까지 신라는 소백산맥을 넘어 한강 상류역까지 많은 산성과 고분군을 조영한다. 강원지역 역시 이러한 흐름과 궤를 같이하는 것으로 보이는 산성과 고분군이 확인된다. 남한강 상류역의 정선과 영월, 단양 일대에서 확인되는 산성과 고분군이 그 예이다. 이와 함께 동해안의 고구려와 신라의 경계, 그리고 신라의 북방 진출과 관련하여 새로운 자료로서 양양 후포매리산성과 고분군에 대한 현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산성의 전체 평면형태와, 규모, 추정 문지 등을 확인할 수 있었고, 성내 채집 유물을 통해 산성의 조영 시기를 5세기 후엽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이는 신라가 소백산맥을 넘어 남한강 상류역에 진출하는 시기, 동해ㆍ삼척지역에 주를 설치하는 시기와 같은 시기로 고구려를 극복하고 북진하는 일련의 과정과 연동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후포매리산성과 고분군이 조영되기 이전까지 동해안의 고구려와 신라의 경계가 양양 포월리고분군와 원포리고분군 사이임을 제시하였다. 이 경계를 무너뜨리면서 후포매리산성을 조영하였고, 이후 북방 진출의 전초기지로 사용하였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비록 채집 유물을 통한 연대 비정이지만 그나마 조영 시기를 추정할 수 있는 최북단의 신라 산성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From around the 6th century to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Silla constructued many fortresses and ancient tombs in the area spanning from the Sobaek Mountain Range to the upper reaches of the Han River. In the Gangwon region, fortresses and ancient tombs that appear to be in line with this trend have also been identified. Examples include fortresses and tombs identified in Jeongseon, Yeongwol, and Danyang areas of the upper reaches of the Namhan River. In addition, investigations were undertaken on the Hupomae-ri Fortress and tombs of Yangyang, as a means of obtaining new data on the boundary between Goguryeo and Silla and Silla s northern expansion in the Donghae region. The overall plan, size, and estimated gate space of the fortress could be confirmed, and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fortress could be estimated to be in the late 5th century, based on artifacts collected in the fortress. It was pointed out that this is the same period as when Silla entered the upper reaches of the Namhan River beyond the Sobaek Mountains and the period when it established a state in the East Sea and Samcheok region, and it was linked with a series of processes of overcoming Goguryeo and advancing northwards. It was suggested that the boundary between Goguryeo and Silla on the east coast was between the Yangyang Powol-ri and Wonpo-ri ancient tombs prior to the construction of Hupomae-ri Fortress and tombs. The construction of Hupomae-ri Fortress acted to tear down this boundary, suggesting the possibility that it may have been used as an outpost for advancing to the north. Although the construction date was estimated based on artifacts collected through ground survey, the findings can still be regarded as meaningful, for they have contributed to establishing the dates of the northernmost Silla fortress.
김규운(Kim, Gyu-un)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5 일본연구 Vol.24 No.-
횡구식석곽에 대한 기왕의 연구사를 면밀하게 검토하고 그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하는 것으로 논문을 시작하였다. 먼저 횡구식석곽이라는 용어 자체에 대한 검토에서 개념상 전혀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독특한 형태를 강조하고 시공간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용어로 그대로 사용하여도 좋다고 결론 내렸다. 그리고 횡구식석곽의 규정에도 저석의 유무, 단장 등 여러 견해가 제시되었으나 역시 기본적으로는 전실, 연도보다 규모가 작고, 관을 매납하 기 위한 곽의 기능을 염두에 둔 것을 횡구식석곽이라 정의하였다. 이러한 횡구식석곽의 분류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평면형태로 전실과 연도의 상관관계를 기준으로 Ⅰ류와 Ⅱ류, Ⅲ류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다시 Ⅰ류는 석곽부와 전실과의 규모 차이를 기준으로 ⅠA형식과 ⅠB형식으로 분류하고, Ⅱ류와 Ⅲ류는 석곽부 축조방식에 따라 각각 ⅡA형식과 ⅡB형식, 그리고 ⅢA형식과 ⅢB형식으로 나누었다. 이 형식들에 대해 출토토기와 형식학적 관점에서 6세기 말에서 7세기 말에 이르기까지 각 형식별로 연대를 비정하였다. 기왕의 견해에는 이 형식들이 석관계와 석실계 등, 각기 다른 계보관계를 가지는 것 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シシヨツカ古墳을 시작으로 자체적으로 영향을 받고 형식변화하는 것으로, 같은 계보관계 속에 있는 것으로 상정하였다. 마지막으로 횡구식석곽이 각 시기별로 어떻게 분포하는지 그 양상에 대해 파악하였다. 6세기 말에서 7세기 전엽에 해당하는 1기에는 ⅠA형식의 횡구식석곽이 처음으로 출현하고 이에 영향을 받아 ⅠB형식의 횡구식석곽이 축조된다. 그리고 河內지역에 집중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2기는 7세기 중엽에 해당하는 시기로 1기에 이어 ⅠB형식이 축조되면서도 ⅡA형식과 ⅡB형식이 이 시기에 집중적으로 축조된다. 그 분포지역은 이전 중심지역이 河內지역을 비롯해 야마토지역으로 확대되며, 일부 서일본지역에서도 축조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3기에는 이전과 달리 거의 완전하게 석곽화가 이루어진 ⅢA형식과 ⅢB형식이 축조되고, 중심 분포지역도 河內에서 야마토로 이동하는 것으로 보았다. This research examines stone chamber tombs, which were built as memorials. It begins with a review of previous research on such structures and concludes by stating that the term stone-chamber tomb refers to a unique type of memorial according to how and when it was constructed. A stone-chamber tomb had a burial chamber of a smaller scale than its passage and functioned as a grave for burying a corpse. The tombs can be categorized in accordance with flat-panel format types. Grave forms are categorized as types Ⅰ, Ⅱ and Ⅲ based on the correlation of the aisle. The tombs were excavated relics from the late seventh century; therefore, they took their perspective and form from the late sixth century.シ シ ヨ ツ カTomb was influenced by changes in the mound format, which is assumed to be from the same lineage. Finally, the cross-fashioned seokgwak shows aspects regarding each period. During the late sixth century to the early seventh century, the first ⅠA-type stone chamber tomb emerg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transverse seokgwak ⅠB-type. In the mid-seventh century, ⅠB-type tombs were built, as well as ⅡA- and ⅡB-types. Prior to the late seventh century, the tombs took on a different format, ⅢA- and Ⅲ-B type structures, and the central distribution area was moved to Yamato in the Kawachi area.
김규운 ( Kim Gyu Un ) 한국고대학회 2014 선사와 고대 Vol.40 No.-
The study on the previous research tendency for stone chamber tombs reveals that the researchers have different views on the importation agents and development phases. In other words, there has been a debate on whether the stone chamber tombs during Hansung Period have been preferentially accepted in central area or rural area according to the investment of tomb sites in Garak-dong and Bangyi-dong identified in Han River area.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its feature of Baekje through structural analysis of stone-chamber tombs at Bangi-dong and Garak-dong, Seoul around Han-river basin, and to review the existence status of stone-chamber tombs at the center of Hanseong Baekje. The central area of Baekje took advantage of stone chamber tombs earlier than rural area. These cultures were also displaced Nakrang involve no cultural or Nakrang wandering people, Nakrang from areas affected by construction of the stone chamber tombs Baekje was supposed to be appearing in the central area Based on this background,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stone chamber tombs were introduced in Baekje during Hansung Period and the small-size rectangular tombs were first accepted in central area of Baekje which then spread out to rural regions being developed into square-shaped tombs in various sizes.
김규운 ( Gyu Un Kim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5 일본연구 Vol.24 No.0
횡구식석곽에 대한 기왕의 연구사를 면밀하게 검토하고 그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하는 것으로 논문을 시작하였다. 먼저 횡구식석곽이라는 용어 자체에 대한 검토에서 개념상 전혀 문제가 없는 것은아니지만, 독특한 형태를 강조하고 시공간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용어로 그대로 사용하여도 좋다고 결론 내렸다. 그리고 횡구식석곽의 규정에도 저석의 유무, 단장 등 여러 견해가 제시되었으나 역시 기본적으로는 전실, 연도보다 규모가 작고, 관을 매납하기 위한 곽의 기능을 염두에 둔 것을 횡구식석곽이라 정의하였다. 이러한 횡구식석곽의 분류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평면형태로 전실과 연도의상관관계를 기준으로 Ⅰ류와 Ⅱ류, Ⅲ류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다시 Ⅰ류는 석곽부와 전실과의 규모 차이를 기준으로 ⅠA형식과 ⅠB형식으로 분류하고, Ⅱ류와 Ⅲ류는 석곽부축조방식에 따라 각각 ⅡA형식과 ⅡB형식, 그리고 ⅢA형식과 ⅢB형식으로 나누었다. 이 형식들에 대해 출토토기와 형식학적 관점에서 6세기 말에서 7세기 말에 이르기까지각 형식별로 연대를 비정하였다. 기왕의 견해에는 이 형식들이 석관계와 석실계 등, 각기 다른 계보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シシヨツカ古墳을 시작으로 자체적으로 영향을 받고 형식변화하는 것으로, 같은 계보관계 속에 있는 것으로 상정하였다. 마지막으로 횡구식석곽이 각 시기별로 어떻게 분포하는지 그 양상에 대해 파악하였다. 6세기 말에서 7세기 전엽에 해당하는 1기에는 ⅠA형식의 횡구식석곽이 처음으로 출현하고 이에 영향을 받아 ⅠB형식의 횡구식석곽이 축조된다. 그리고 河內지역에 집중 분포하는것을 확인하였다. 2기는 7세기 중엽에 해당하는 시기로 1기에 이어 ⅠB형식이 축조되면서도 ⅡA형식과 ⅡB형식이 이 시기에 집중적으로 축조된다. 그 분포지역은 이전 중심지역이 河內지역을 비롯해 야마토지역으로 확대되며, 일부 서일본지역에서도 축조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3기에는 이전과 달리 거의 완전하게 석곽화가 이루어진 ⅢA형식과 ⅢB형식이축조되고, 중심 분포지역도 河內에서 야마토로 이동하는 것으로 보았다. This research examines stone chamber tombs, which were built as memorials. It begins with a review of previous research on such structures and concludes by stating that the term stone-chamber tomb refers to a unique type of memorial according to how and when it was constructed. A stone-chamber tomb had a burial chamber of a smaller scale than its passage and functioned as a grave for burying a corpse. The tombs can be categorized in accordance with flat-panel format types. Grave forms are categorized as types Ⅰ, Ⅱ and Ⅲ based on the correlation of the aisle. The tombs were excavated relics from the late seventh century; therefore, they took their perspective and form from the late sixth century.シ シ ヨ ツ カTomb was influenced by changes in the mound format, which is assumed to be from the same lineage. Finally, the cross-fashioned seokgwak shows aspects regarding each period. During the late sixth century to the early seventh century, the first ⅠA-type stone chamber tomb emerg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transverse seokgwak ⅠB-type. In the mid-seventh century, ⅠB-type tombs were built, as well as ⅡA- and ⅡB-types. Prior to the late seventh century, the tombs took on a different format, ⅢA- and Ⅲ-B type structures, and the central distribution area was moved to Yamato in the Kawachi area.
김규운 ( Kim Gyu-un ) 백제학회 2017 백제학보 Vol.0 No.21
일본열도에서는 7세기를 전후하는 시기에 주요 묘제로서 이전의 횡혈식석실과는 다른 횡구식석곽이 출현한다. 이 횡구식석곽이 어디에서 영향을 받아서 출현하는 것인지 그리고 그 의의는 무엇인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먼저 횡구식석곽의 출현문제에 대해서는 자체발생설로는 설명할 수 없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영향을 받았음을 명확하게 하고, 석실의 형태, 규격, 역사적 배경 등으로 보아 백제로부터 영향을 받아 축조된 것으로 상정하였다. 능산리형석실로부터 영향을 받아 출현하면서도 각 고분별로 재지기술에 의해 축조되었기 때문에 규격성이 떨어지나, 7세기 후엽에 다시 영향을 받으면서 더욱 石槨化가 현저해 지는 방향으로 축조되었다고 보았다. 그렇지만 역시 백제에도 횡구식석곽과 완전하게 같은 형태의 석실이 전혀 없기 때문에 횡구식석곽의 피장자를 그대로 도래인으로 상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물론 이 횡구식석곽이 중점적으로 축조되는 河內지역에는 도래계씨족의 활약 기록이 많기 때문에 도래계씨족이 매장되었을 가능성을 완전히 부정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고고자료로 상정할 수 있는 보통의 도래인과는 거리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횡구식석곽이 처음 출현하는 시기부터 능산리형석실의 규격과 유사한, 어느 정도 규격성을 갖춘 횡구식석곽이 도입된다. 더욱이 改新의 詔가 공표될 즈음 이러한 횡구식석곽을 참고하여 薄葬令이 공표된다. 이에 따라 7세기 중엽에 횡구식석곽이 확산되나 여전히 대형 횡혈식석실은 축조되는 등 그 실효성이 그다지 크지는 않았다. 그러나 7세기 말에는 왕릉에도 채용되고 대형 횡혈식석실이 소멸하는 등 실효성이 커지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횡구식석곽은 백제 능산리형석실 규격과 기술 등에 영향을 받았으나 재지의 축조기술이 접목되어 축조되고, 薄葬令의 시행과 함께 점차 확산되었다. Japanese archipelago in the 7th century different from the Tomb of the previous stone- chamber tombs(hoenggusik seokkwak) has surfaced. Hoenggusik seokkwak on where they are what appears their implications are influenced at review. First, hoenggusik seokkwak itself causes about the emergence of problems that can not explain part because there are more the influence from outside sources said. The form of a stone chamber., standards and historical background to see her conjure up to be affected that is built from Baekje. Baekje`s emergence under the influence, but also for each of the tombs of local techniques because they are built by a lower standards of others. Yet again, by the late seventh century, believing that it is built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standards of more influenced. In total the tombs of the same type of Baekje but also because no is not possible to continue to propose an immigrant from the tomb of varnished of this type. Of course, this hoenggusik seokkwakn`t play way and to be built in priority role immigrants that it has record of immigrants in store not completely deny the possibility. But to be put on antiquities permit a street that with the general immigrant. And to conclude hoenggusik seokkwak was affected by the standards and technology of Baekje, but local technology put together. With the implementation of and a law system is built graduallySpread.
김규운(Kim, Gyuun)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17 서울학연구 Vol.- No.66
백제 한성기의 횡혈식석실 연구에서 주요 관심은 중앙지역의 석실 축조 여부, 그리고 지역별 도입양상 이라는 두 가지의 측면이었다. 백제에서 횡혈식석실이 어디에서, 그리고 어떤 양상으로 출현하는지가 줄곧 문제가 되어 온 것이다. 이 문제들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해 최근 급격하게 증가한 자료들을 정리하고, 현실 평면형태와 규모, 연도 위치를 기준으로 형식분류를 시도하여 4가지의 형식을 도 출하였다. 이 4가지 형식의 석실들의 전개양상을 살펴보면, 우선 장방형인 Ⅲ형식이 남정 리119호와 같은 낙랑고지 석실의 영향으로 백제에 최초로 출현하고 이후 한강유 역과 금강유역 등지에 Ⅲ형식과 Ⅳ형식을 중심으로, 그리고 일부 금강하류지역 에서는 Ⅰ,Ⅱ형식 횡혈식석실이 도입된다. 이 단계에는 같은 형식의 석실이라고 해도 세부적인 양상에서는 차이가 크다. 2단계가 되면 ‘판교동형석실’이라고 명명한 바와 같이 정형성을 갖춘 Ⅳ형식의 석실과 송산리형석실로 이어지는 Ⅱ형식의 석실이 배타적인 분포범위를 보이며 축조된다. 이러한 분석 결과들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지금까지 견해와는 다르게 백제의 횡혈식석실은 중앙에서부터 도입이 되고, 위세품과 같은 맥락으로 각 지역으로 확산, 수용하게 된다. 그리고 이른 단계에는 각 지역별로 재지적인 특징에 맞추 어 다양한 방식으로 축조가 되나, 웅진기 이전에 이미 상당한 규격화가 이루어진 석실이 각 지역에 축조가 되고, 이후 송산리형석실과 금학동고분군 등으로 이어 지게 된다. The study on the previous research tendency for stone chamber tombs reveals that the researchers have different views on the importation agents and development phases. In other words, there has been a debate on whether the stone chamber tombs during Hansung Period have been preferentially accepted in central area or rural area according to the in¬vestment of tomb sites in Garak-dong and Bangyi-dong identified in Han River area.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its feature of Baekje through structural analysis of stone-chamber tombs at Bangi-dong and Garak-dong, Seoul around Han-river basin, and to review the existence status of stone-chamber tombs at the center of Hanseong Baekje. These views briefly to sum up, the analysis results so far differently with a Baekje stone-chamber tombs in Hansung Period of the CPRI is introduced from local bases and in context, such as wisepum to each region and, finally admitted. And in an early stage, in dif¬ferent regional characteristic is built in a variety of ways. Based on this background,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stone chamber tombs were in-troduced in Baekje during Hansung Period and the small-size rectangular tombs were first accepted in central area of Baekje which then spread out to rural regions being developed into square-shaped tombs in various sizes.
김규운(Kim, Gyuun) 한국고고학회 2021 한국고고학보 Vol.- No.119
삼국시대에 특정 양식의 토기의 유통, 확산을 통해 경제권, 문화권 나아가 정치적 영역에 이르기까지 다양한논의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강원 영동지역에서 토기 제작기법의 전수 혹은 공방의 생산시스템 전파, 생산 토기의 유통, 영역의 확장 등 기왕의 접근으로는 해석이 불가능한 양상을 보이는 대가야양식 토기가 출토되었고, 이를 대가야인의 사민으로 상정해 왔다. 사민이라고 하는 해석 자체에 대해서는 크게 이견이 없으나 대가야양식 토기를 면밀히 관찰한 결과 그양상이 간단하지만은 않았다. 같은 대가야양식 토기의 범주에 속하지만 개배는 전형적인 대가야양식 토기로, 중심지인 고령지역에서 생산한 것이다. 반면, 대가야양식의 대부장경호에는 모두 동체 하위에 평행 혹은 격자 타날흔적을 지우지 않고 남기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소가야양식 토기 제작기법을 그대로 이용하고 있는것이다. 이러한 대부장경호는 주로 소가야의 권역, 혹은 토기 문화와 관련 있는 지역이었다가 이후 대가야의영향권으로 들어가는 지역에서 확인된다. 즉, 이 동체부 하위의 타날흔을 통해 대부장경호는 소가야양식 토기의 제작기법으로 대가야양식 토기를 모방생산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결국 두 기종의 생산지가 다르므로 대가야의 멸망에 따른 중심지의 사람이 사민된 것이라는 기존 견해에대한 수정의 필요성을 지적하였다. 사민의 양상을 정리하면 삼척·동해지역은 6세기 이후 실직주 설치를 통해 신라가 거의 직접지배를 통치하는 곳으로 대가야를 멸망시킨 이후 이 지역으로 대가야인을 사민시킨다. 이 사민된 대가야인은 대가야 중심지의 사람이 아니라 외곽의 소규모 지배집단의 사람으로 사민된 이후에도 현지의 지배자급과 비슷한 랭크를 유지하게 된다. 완전히 굴욕적으로 강제이주되는 모습보다 기존의 지위를 어느 정도 보장하면서 새로운지역으로 이동하게 되는 모습을 그릴 수 있었다. 이는 신라의 입장에서도 두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모두 높이는 효과로 이어진다. Daegaya-style pottery was excavated in the Yeongdong region of Gangwon Province, which has been assumed as the result of the migration of Daegaya communities. There is no major disagreement over the interpretation of the immigrants themselves, but a close examination of the pottery reveals a complex picture. The flat cup with cover was produced in the style of Daegaya pottery from the central Goryeong area. On the other hand, the mounted jar was found to have been produced using a technique in which the parallel or checked paddled patterns on the lower part of the vessel had not been erased, which i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Sogaya pottery production. Such examples of Daegaya mounted jars have been found in areas that were once part of Sogaya territory or were associated with Sogaya pottery culture that later fell under the influence of Daegaya. In other words, they were examples of Daegaya-style pottery being imitated using the manufacturing technique of Sogaya-style pottery. Daegaya migrants were settled in the areas of Samcheok and Donghae, which came under almost direct rule of Silla from the 6th century. However, these Daegaya migrants did not consist of the central elite of Daegaya who were completely humiliated in their new surroundings, but rather consisted of small ruling groups from the peripheral areas of Daegaya who were able to maintain a similar status even after moving to the Yeongdong region. This strategy allowed Silla to increase their control over both regions.
김규운(Kim, Gyu-Un) 한일관계사학회 2018 한일관계사연구 Vol.61 No.-
고고자료가 발굴되기 시작한 이래 지금까지 끊임없이 선사・고대 한반도와 일본열도간의 관계,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가 축적되어 왔다. 감히 그 내용과 성과를 정리할 엄두가 나지 않을 정도의 방대한 양이다. 단순한 교류관계를 넘어서 시대구분과 연대 설정 등 서로 떼어놓고서는 설명하기 어려울 정도로 얽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을 고고학적으로 가장 먼저 인식한 것은 일본고고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영국인 윌리엄 고랜드(William Gowland)이다. 일본 유적을 조사하면서 한국과 일본이 역사적으로 연결이 되어 있다는 확신을 가지고 1884년 한국 방문을 통해 가설을 확인하면서 삼국시대 토기를 비롯한 여러 유물을 수집하여 귀국하였으며, 현재 대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일제강점기 고적조사에 의해 고대 한일관계에 대해 자료가 정리되기 시작하였고 일제강점기가 끝난 이후 삼국・고분시대 양지역간의 교류를 살펴볼 수 있는 유물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한일 교류와 관련된 고고학적 연구는 각 분야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져 많은 성과가 축적되어 왔으며, 그 과정들이 박천수와 高田貫太에 의해 정리되었다. 그 가운데 고대 한일관계를 가장 잘 보여주는 고고자료로 한반도에 분포하는 전방후원분과 왜계고분을 비롯하여 須惠器, 왜계갑주, 통형동기의 분포와 연구현황에 대해 정리하였고, 같은 시기 일본열도의 한반도 도래인 연구 방향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고대 한일관계를 바라보는 연구의 문제점에 대해 언급하면서, 개별 유적・유물 간의 상호 비교를 넘어서 전체적인 맥락에서 시대상을 살피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Since archaeological data began to be discovered there has been a constant accumulation of studies on the relationship and interaction between the prehistoric and ancient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islands. The amount of data is too large to seek to organize its contents and achievements. It is true that the relationship is more than interac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first archaeological consideration of this situation was by William Gowland, an Englishman. He was convinced that Korea and Japan were historically connected, and returned to Korea after confirming the hypothesis through his visit to Korea in 1884. He collected and returned various artifacts, including pottery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some of these items are currently housed in the British Museum. The Japanese occupation of historical interest between ancient Korea and Japan started with the investigation also of documentary data regarding the ancient relations, and with the Three Kingdoms tombs after the end of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in examining exchange between the two regions. Relics of Korea-Japan exchange based on analysis and related to archaeological research have provided many achievements in various fields, such as those investigated by Park Cheon-su and put together by Takata Kanta. The distribution and research status of ancient Korean-Japanese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were summarized in classes on ancient Korean and Japanese interaction. We also considered the direction of the research that is appearing. Finally, referring to the problems of research in ancient Korea-Japan relations, Gowland emphasized the need for efforts to look beyond the comparison of individual historical sites and artifacts, and to consider the entire con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