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DC초퍼를 이용한 단상유도전동기의 속도제어에 관한 연구
The common strategy of speed control of single-phase induction motors depends mainly upon controlling the applied voltage on the motor. Changing the applied voltage on the motor can be effected by several techniques. Some on these techniques employ auto-transformers or add extra winding, as required, to the main or auxiliary winding. The other approaches use power electronic devise such as TRIAC. Each one of these methods have advantage and disadvantage. Single-phase induction motors are always small and are seldom built in sizes over fractional horsepower ratings. Existing frequency control devices offer a wide range of speed control but are considered expensive with respect to these small motors. A new concept would be to control the input supply frequency to a single-phase induction motor by a single controlled forced commutated device. This approach is the intent of this paper. The paper presents a new drive for single-phase induction motor. This drive employs a bridge rectifier connected with the stator in a non-conventional fashion. The speed of the single-phase induction motor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chopping frequency of the chopper switch. The attractive feature of the drive is that it effects both frequency and dc chopping simultaneously. The drive performance has received both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investigation.
박막형 InGaP/GaAs 이중접합 태양전지 제작 및 특성
본 논문에서는 박막형 InGaP/GaAs 이중접합 태양전지의 제작과 그 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 하였다. AlGaAs 희생층을 포함한 InGaP/GaAs 이중접합 태양전지 epi-layer를 inverted 방식으로 GaAs 기판에 MOCVD 법을 이용하여 성장하였고, 8 ㎛ 두께의 구리 금속 박막과 Si 기판을 carrier로 이용하여 GaAs 기판을 제거한 후 일반적인 반도체 공정을 이용하여 박막형 태양전지를 제작하였다. 사진식각을 위한 소다라임 글라스 마스크를 오토캐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설계하였고, 저항접촉을 위한 열처리 온도, 습식식각등 공정기술을 최적화하였다. GaAs 기판을 습식 식각법으로 제거한 후 FIB로 epi-layer의 단면 구조를 측정하여 태양전지의 손상여부를 확인하였다. 제작한 태양전지의 광전변환 효율은 solar simulator를 사용하여 AM 1.5G, 25℃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Silicon 기판을 carrier로 사용하여 공정한 박막형 InGaP/GaAs 이중접합 태양전지의 VOC는 2.01V, JSC는 10.25㎃/㎠, 광전변환효율은 11.3%로 측정되었으며, 구리 금속박막을 carrier로 사용하여 공정한 박막형 InGaP/GaAs 이중접합 태양전지의 VOC는 1.94V, JSC는 10.23㎃/㎠, 광전변환효율은 10.7%로 측정되었다. 제작한 박막형 InGaP/GaAs 이중접합 태양전지는 일반적인 벌크형 InGaP/GaAs 이중접합 태양전지와 비교하여 무게가 가볍고 쉽게 파손되지 않아 우주용으로 적합하다. 그리고 열전도가 우수한 장점이 있으며 유연한 구조의 태양전지를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기대된다.
악력 및 핀치력 측정방법에 따른 손근육의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에 관한 연구
김경현 서울시립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본 논문에서는 악력(grip strength) 및 핀치력(pinch strength) 측정에 따른 손근육의 근피로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근피로 측정을 위해 4가지(grip, tip, key, palmar) 자세에 따라 손 근육 중 제1배측골간근(first dorsal interosseous muscle : FDI) 및 엄지두덩근(thenar muscle)의 표면 근전도 신호와 중간주파수(median frequency)를 이용하여 근활성도(muscle fatigue) 및 근피로도(muscle fatigue)를 분석하였다. 악력 및 핀치력 측정은 Biometrics사의 Dynamometer 및 Pinchmeter를 이용하여 30초간 등척성 수축시 근전도 신호를 취득하였다. 표면 근전도 신호분석을 위하여 데스크탑 컴퓨터와 표면전극(surface electrode) 2채널, 근전도 신호 증폭기의 하드웨어 시스템과 주파수 평면 해석을 위한 중간주파수(median frequency)와 시간 평면 해석을 위한 RMS(root mean square) 파라미터를 소프트웨어로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Grip 5 [kg]은 중간주파수 평균 slope가 -0.01 [Δ㎐/sec]로 근피로가 거의 없었고 10 [kg]에서는 -0.4 [Δ㎐/sec]로 감소하여 근피로를 잘 보여주었다. Pinch 3가지(Tip, Key, Palmar)자세 모두 1 [kg]은 중간주파수 평균 slope가 -0.07 [Δ㎐/sec] 이었으며 2[kg]에서는 -0.45 [Δ㎐/sec]로 감소하여 근피로가 잘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노동부고시 제2003-24호의 근골격계 부담작업 범위 11가지 중 악력 및 핀치력과 관련 근피로 측정에 의한 기초자료 작성 및 기준시간 설정이 필요함을 제시였으며 선행 연구자들이 제안한 연령별, 성별 등의 순간 최대 악력 및 최대 핀치력의 측정을 통한 기준데이터 제시와 더불어 관련 손 근육의 근피로 측정 및 분석까지 제안하였다. In this thesis muscular activity and muscle fatigue of FDI (first dorsal interosseous muscle) and thenar muscle of hand was analyzed with surface EMG signal based on four kinds of attitudes (Grip, tip, key and palmar) to measure grip strength and pinch strength after hand operation and rehabilitation treatment. The surface EMG signal during 30 seconds was acquired under the fixed strength with dynamometer and pinchmeter. To analyze the surface EMG signal, a desktop computer, 2 channel surface electrode, EMG amplifier/filter was designed software, median frequency for frequency domain analysis and RMS (Root Mean Square) parameter for time domain analysis was designed also. The preceding researchers proposed the standard data by studying on the average of the instant maximum grip strength and the maximum pinch strength followed by each attitude of subjects' hands with hand dynamometers. They showed muscular strength simply in the average force and didn't mention about muscle fatigue. But in this study, the muscle activity and muscle fatigue were considered under the various position.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In Grip 5 [kg], the average slope of median frequency almost never had muscle fatigue as -0.01 [Δ㎐/sec]. In 10 [kg], it showed muscle fatigue well by reducing to -0.4 [Δ㎐/sec]. In three kinds of pinch attitudes (Tip, Key, Palmar), 1 [kg] had the median frequency average slope of -0.07 [Δ㎐/sec] and 2 [kg] had the median frequency average slope of -0.45 [Δ㎐/sec]. Therefore, 2 [kg] showed muscle fatigue well.
폰 프란츠의 아니마 발전 단계론에 의한 박생광의 인물화 분석 연구
박생광은 근대 일본에서 주로 활동하였으며 그로 인해 국내화단에서 왜색이라 배척을 받아온 수묵채색 화가이다. 그러나 말년인 1980년대 자신의 대표적 화풍을 확립하며 한국화 분야에서 새로운 경지를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따라서 그의 회화세계에 대한 연구도 1980년대에 집중되었을 뿐만 아니라 ‘왜색 탈피’와 ‘한국화 정립’이라는 이분법적 시각으로 조명되어져 왔다. 본 논문은 박생광의 1980년대 회화를 초기 화풍과의 단절이 아니라 연속으로 살핌으로써 근, 현대를 거치는 그의 회화의 전체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즉, 근대화 이후 박생광이 어떠한 예술개념을 섭취하였으며 1980년대 한국화에까지 일관되는 특성은 무엇이며 또 어떠한 변화를 보였고 그 의미는 무엇인가의 연구인 것이다. 박생광은 일본 유학기인 1930년대 후반 1940년대 초, 군국주의가 고조되는 암흑기에 일본의 전위단체와 일본미술원에서 활동하며 추상과 초현실주의적 경향의 작품을 통해 범 세계주의적 시각을 보였다. 근대 일본의 전위적인 청년작가들은 근대적 자유주의와 국가주의가 대두되는 불안한 상황 하에서 현실로부터 자아로 침잠하여 예술적 자유, 순수를 지향하였는데, 그 또한 이러한 근대적 예술가 상을 수용하였다. 해방 이후 한국화단은 민족미술 건설의 과제 하에 왜색탈피와 신미술 수립의 기운이 일었다. 그리고 당시 젊은 수묵채색화가들의 양식 실험 속에서 ‘한국화’라는 용어가 제기되었으며, 1980년대는 공식 용어로 정착되었다. 박생광은 동양화에서 한국화로 용어 변화에 부정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화에 대한 논의 속에서 1970년대 후반부터 전통소재를 사용한 ‘한국화 시리즈’를 집중적으로 제작하였으며, 1980년대 자신의 특징적 양식으로 변모되었다. 한국화가 기본적으로 일본화의 상대 개념으로서의 성격이 강했으므로 그도 해방 이후 왜색 탈피를 의식하였지만 1980년대까지 지속적으로 일본화풍을 견지하였다. 특히 그의 유학시기와 관련된 근대 일본화단을 주로 참조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그가 일본 근대화단을 통해 동서대립과 공존방식에 대해 연구했다는 점이다. 일본화는 서양화와 대립개념이면서 서구 예술개념을 포용하는 새로운 가치 개념으로서 ‘회화’라는 포괄적인 범주를 지향하는 근대적 산물이라 할 수 있다. 한국화 역시 일본화와 마찬가지로 자아의 절대적 권리와 규율적 권력으로서 국민 국가개념의 공존이라는 근대화의 양립성을 내포한다. 이와 같이 특수성과 보편성을 동시에 요구받는 모순 속에서 근대 일본화가들 대부분이 그러했듯이 그도 국가, 민족보다는 한 개인의 회화라는 개념을 수용한 것이다. 따라서 박생광은 개인의 예술로서의 회화 공간 속에 민족이라는 집단의 개념을 전제로 하는 전통 이미지를 담아내고자 불화에서 민화, 조각에서 공예까지, 전통 소재가 가지는 상징체계와 형식적 규율을 해체하고 자신의 한국화의 문맥으로서 재구성하였다. 특히 그는 한국 근대기 조선 향토색이의 경전화된 전통의 어휘를 계승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향토색의 소재가 1980년대 화풍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점에서 소재주의와는 뚜렷하게 구분된다. 그는 정통 회화사에서 제외되었던 단청이나 무속화 등을 회화의 영역으로 전화시키는 과정에서 조야한 원색과 묵의 불협화음 등을 해소하기 위해 지속적인 매체 실험을 하였다. 이와 같은 그의 치열한 작가정신을 통해서 1980년대 양식이 확립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그의 '그대로풍'을 도상의 심리분석학적 관점에서 접근한 것으로서 작품은 철저하게 아니마의 단계별 제시에 따르는 도상을 국내․외 다른 작가들의 작품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심도 있는 미술비평적 연구를 시도했다. 그 결과 박생광 예술의 내면심리에서 단계별 아니마적 유형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여성편력적 요인이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폰 프란츠의 아니마 발전단계 이론을 적용하여 그의 인물화를 분석한 것이다. 그것은 ‘이브 유형’, ‘헬렌 유형’, ‘성모 마리아 유형’, 그리고 ‘사피엔치아 유형’이었으며, 그의 '그대로풍'의 시기에 대대적으로 제작된 인물화들이 대략 연대기적 순서로 위의 네 유형에 대입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러한 연구 분석을 통하여 박생광의 예술적 내면심리, 혹은 아니마 상이 작품에 배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Park Saeng-kwang is Indian-ink and colored painting artist who mainly worked in Japan in modern times and so was rejected as Japanese style from domestic artworld. But he was estimated as establishing his typical style in the 1980s, his later period, and exploited a new realm in the field of Korean painting. Thus the researches of his artworld are centered upon the 1980s, and reflected upon as ‘separation from Japanese style’ and ‘establishment of Korean painting.’ In this paper I attempted to explain an entire shape of Park Saeng-kwang's paintings during the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by reviewing his paintings in the 1980s not as a separation from the earlier style but as a continuation with it. That is, it is a study on what concept of art he digested since the modern times, what characteristics is continued until the 1980s Korean painting, and what is the change and meaning. Park Saeng-kwang showed a pan-worldwide vision through the works of abstraction and Surrealism, working at avant-garde groups and Japanese Art Institute at the dark period of high militarism from the late 1930s to the early 1940s when he was studying in Japan. Modern young avant-garde artists in Japan moved from reality to ego, and pursued the artistic freedom and purity under the anxious situation about modern liberalism and nationalism, and he also accepted this modern art style. Korean artworld since the emancipation pursued a separation from Japanese style and an establishment of new art under the task of the construction of national art. And there raised a term of 'Korean painting' in the experiment of style by young colored Indian-ink artists at that time, which was settled as an official term in the 1980s. Even though Park Saeng-kwang was negative to a transition of term from Oriental painting to Korean painting, he devoted himself to mainly producing 'Korean painting series' using traditional subject-matters from the 1970s in a discussion of Korean painting, which was transformed as his typical style. Korean painting was basically directed towards a relative concept with Japanese painting, and he also persistently maintained Japanese artworld until the 1980s beyond his self-consciousness of a separation of Japanese style after the emancipation. In particular, in the contradiction to simultaneously demand specificity and universalism, he also accepted the concept of an individual's painting rather than country or peoples like most of Japanese modern artists. Thus Park Saeng-kwang attempted to contain the traditional images presupposing a collective concept of the peoples in the pictorial space of an individual's art. He decomposed the symbolic system and formal regulation of traditional subject-matters and recomposed them as the context of his Korean painting from Buddhistic painting to civic painting, from sculpture to craft. In this paper, I approached his style, 'Keudaro-pung'(style of as it were) from the standpoint of psychology of icons, and attempted an in-depth art-critical study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icons exactly following von Franz's anima development stage theory with other artists' works domestic and foreign. As a result, I could observe the developmental anima patterns in the inner psychological of Park Saeng-kwang's art, which was evoked by the factors of his addiction to women. He ruptured purity and original amorous desire freely on the canvas, and finally developed into the archetype of shamanism, which illustrates his artistic personality.
The Korean YMCA was established by the name of the Hwangsung YMCA on October 28, 1903. Located in the capital Hansung of th Korean Empire, the association accepted many leaders of the Independence Association fresh from prison in 1904. The YMCA utilized sports activities as the main device to teach people the ideas of Christ, liberty, equality and charily.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Japanese imperial rule, the YMCA was severely suppressed and had to be renamed as the Chosun Central YMCA subordnated to the Japanese YMCA. Nevertheless, the Korean YMCA was the only social organization to sponsor sports activites and support the movement for national liberation. The first gymnasium was built in 1916 and B. P. Barnhart an American took charge of sports program and education. It was around this time that many modern trainers were educated and new sports events like soccer, baseball, basketball, volleyball and judo were introduced. In the middle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YMCA movement spread into rural areas to help the young man train physical strenght and struggle spirit as well. The YMCA basketball team's Japan expedition and baseball team's USA expedition as well as the ssiurm and archery contests in the 1930s helped boost national spirit. When the YMCA's secretary Sin Hung-u assumed the presidency of the Chosun Sports Association, its sports activities reached the peak. In the late Japanese rule, the YMCA activities withered again by the name of the Chosun Federation of the Japanese YMCA. But the agricultural activities with sports programs were continuously held in all parts of the country. At this time the YMCA introduced Danish calisthenics and spread it with Danish agricultural activities. In conclusion, the YMCA in Korea was established by the nationalistic demand and has contributed to boosting national identity and fixing modern sports through its continuous social sports activities during the Japanese imperial rule.
김경현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비장애인 스포츠의 다양한 종목에서 운동선수들의 경쟁 상황에서의 불안요인들이 경기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스포츠 수영종목의 장애인수영선수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경쟁불안의 차이를 분석하고 경쟁불안과 경기력과의 관계와 경쟁불안이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한장애인수영연맹에 등록된 선수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4 인천 장애인전국체육대회에 참가하는 총 98명의 선수를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을 통해 검증된 경쟁상태 불안 검사지(CSAI-2)를 이용하여 수집하였으며, 부실한 응답 설문지를 제외한 총 93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이 연구의 가설에 필요한 통계방법으로 독립표본 t 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경쟁불안의 차이는 성별에서 자기관리 하위요인인 신체상태 불안에서 차이가 나타났고, 성별, 경기력, 경력, 연습량에서 자기관리 하위요인인 상태자신감에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경쟁불안과 경기력과의 상관관계 검정에서는 신체상태 불안은 인지상태 불안과 상태자신감은 경기력, 인지상태 불안, 신체상태 불안과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경쟁불안이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인지상태 불안과 상태자신감이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상태 불안 보다 상태자신감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경쟁불안의 하위요인인 상태자신감 요인이 경기력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으며, 평상 시 자신감이 높은 선수 일수록 시합 결과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장애인 수영종목의 선수 및 지도자들은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훈련 및 기타 방안들을 통해 우수한 경기력을 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진공성형을 이용한 인공심장용 삼엽식 고분자 판막과 하우징 개발에 관한 연구
This paper is about the development of manufacturing and the assessment of artificial heart blood pump using vacuum forming process(VFP). The VFP has many advantages such as reduction of fabrication time and high reproducibility due to relatively easy and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Prior to blood pump that utilizes VFP, polyurethane (Pellethane 2363 80AE, Dow Chemical) sheet was prepared by extrusion. The sheets were heated and formed to mold shape by vacuum pressure. The vacuum formed(VF) blood pump fabrication is composed of two step method. First is the trileaflet polymer valve forming process and the second is the housing forming process. Finally the blood pump is assembled by joining VF housing with vacuum formed trileaflet polymer valve(VTV) using pellethatne solution. The pressure and the flow was measured in in vitro test and animal trial using blood pump assembled by joining VF housing with VTV and blood pump assembled by joining VF housing with bileaflet mechanical valve(BMV). Pressure drop through valve, regurgitation and other related coefficients were evaluated under constant pulsatile flow condition. The percent effective orifice area of blood pump with VTV was inferior to blood pump with MBV, but the increase of plasma free hemoglobin level which reflect blood damage was superior in blood pump with VTV. Blood pump with VTV has high productivity, and superior hemolysis property than blood pump with BMV. Therefore Vacuum forming process to blood pump application was successful. Low manufacturing cost and blood compatible vacuum formed blood pump shows the advantages of vacuum forming process, and such vacuum forming process can reduce the cost of artificial heart or ventricular assist device. These results give feasibility to short term application in animal trial in the near future, and to the clinical artificial heart development program. Blood pump fabrication method that utilizes VFP suggested above, is expected to give great impact in both biomedical and industrial areas.
내용 스키마와 형식 스키마가 한국 EFL 학생들의 듣기 이해와 듣기 불안에 미치는 영향
김경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Abstract)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and concern for the teaching of listening in the second language classroom over the last several decades. Even though it is a foundational skill in acquiring a second language, it was initially ignored as the least important ability among the four learning skills. However, as communication ability becomes more important, listening skill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essential skills that EFL learners have to basically achieve. According to its increasing importance, many researchers and teachers have explored the most effective ways to teach listening. One of the suggestions is providing background knowledge or structural organization regarding on spoken messages (Anderson & Lynch, 1988; Brown & Yule, 1983; Dunkel & Davis, 1994; Rost, 1990; Schmidt-Rinehart, 1994). In the past, as a matter of fact, Korean EFL students in the listening classroom were often required to listen to the target material once and answer questions without being provided with any listening training or supports. In situations like these, it was easy for students to feel overwhelmed, confused, and distracted from attaining a successful listening ability. In the light of these situations, this study explored one of the effective ways to teach listening by decreasing students' listening anxiety. The present study measured the effects of content schemata and formal schemata on Korean EFL learners' listening comprehension and anxiety. In order to reach a conclusion, this study was focused on two approaches using three groups, a content schema group, a formal schema group, and a control group. Firstly, the effects of the content schema and formal schema group according to different types of questions were dealt with. There were 3 different types of questions: the main idea, specific information, and inference types of questions. For the main idea questions, the three groups showed better performances in the posttest than in the pretest.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specific information and inference types of questions. The scores of the content schema and the formal schema groups increased after schema-building activation for both types of questions. On the contrary, the control group showed an irregular changes in both types of questions. This suggests that the content and formal schemata are helpful for different types of questions, especially the specific information and inference-type questions. Secondly, the effects of content and formal schema according to different types of listening texts were investigated. There were two different types of listening texts: dialogue and narrative. Increased performances were shown for both dialogue and narrative types of questions after schema-building activities. More specifically, the content schema group showed a better performance in the dialogue-type question and the formal schema group scored better in the narrative-type question. In order to see the differences between listening anxiety before and after schema-building activation, Foreign Language Listening Anxiety Survey (FLLAS) was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main experiment. The levels of participants' listening anxiety decreased after the two schema activities were used in both experimental groups. While the formal schema group showed a lower degree of anxiety in the posttest, the degree of the control group's anxiety increased in the posttest. To reflect students' perceptions toward English listening, four open-ended questions were added to the post-anxiety survey. Even though most of the students felt that English listen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s of learning a second language, they do not know the best ways to study it and find the most effective ways of listening to spoken English. It is assumed that this study provides teachers and students with many implications for SLA. In order to enhance students'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y, teachers should use a wide variety of schema activities in the classroom and provide them with the appropriate levels of schemata. Moreover, teachers have to make use of various genres of listening texts according to the listening purposes. (국문초록) 한국과 같은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상황에서 제 2언어 학습자들은 영어를 학습함에 있어 여러 가지 부정적인 요인들 때문에 많은 어려움에 직면해오고 있다. 특히, 듣기의 까다로운 특성, 즉, 빠른 속도, 모르는 단어, 익숙하지 않은 억양, 다양한 발음, 친숙하지 않은 주제들은 학습자들의 성공적인 듣기 학습에 방해가 되고 있다. 대부분의 EFL 상황에서 듣기 학습자들은 이러한 방해 요소들에 대한 사전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고, 곧바로 듣기 지문을 듣고 문제를 푸는 형태의 수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학습자들은 듣기에 대한 부담감에 시달리고, 이는 곧 듣기 불안을 야기하고 있다. 제 2언어 학습의 궁극적인 목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성취함에 있어 듣기가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는 요소인 점을 감안해 보았을 때, 듣기는 제 2언어 학습자들이 반드시 극복해야 할 과제이다. 그래서 지금까지 제 2 언어학자들 사이에서 듣기 전 활동 (pre-listening supports)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개의 서로 다른 듣기 전 활동인 내용스키마와 형식스키마 활동이 한국 EFL 학습자들의 듣기 이해와 듣기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은 광주시 M남고 109명의 중위 그룹 학생들이며, 이들은 내용스키마 그룹, 형식스키마 그룹, 그리고 통제 그룹으로 나뉘었다. 내용스키마 그룹의 학생들은 약 3분 동안 주제에 해당되는 영상을 본 뒤, 주제에 관해 자신의 생각이나 경험 등을 질문하고 답하도록 5분의 시간이 주어졌고, 내용스키마 활동이 끝난 뒤, 이들은 약 5분 동안 지문에 해당되는 어휘 활동을 하였다. 이 어휘 활동은 세 그룹 ― 내용스키마 집단, 형식스키마 집단, 그리고 통제 집단 ― 에게 동일하게 가해지는 처치로써, 이 어휘 활동은 학생들의 듣기 지문에 대한 인지적, 심리적인 부담감을 덜어주고자 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형식스키마 집단은 약 3분 동안 수사학적인 구조를 연구자와 함께 공부 한 뒤, 약 5분 동안 짝을 지어 해당 듣기 지문의 수사학적 구조를 알아내는 활동을 하였다. 이 그룹도 내용스키마 그룹과 마찬가지로, 스키마 활동이 끝나고 약 5분 동안 어휘 활동을 하였다. 통제 그룹에게는 스키마 활동은 주어지지 않았으나, 내용스키마 집단과 형식스키마 집단과 같이 어휘 활동이 똑같이 주어졌고, 나머지 8분 동안 미국에서 인기 있는 재미있는 광고 영상을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첫 번째로, 2개의 서로 다른 스키마가 다른 문제 유형 ― 주제고르기, 특정 정보 알아내기, 유추하기 ― 에 미치는 영향, 두 번째로, 2개의 서로 다른 스키마가 다른 지문 유형 ― 대화 형태의 지문, 담화 형태의 지문 ― 에 미치는 영향, 세 번째로, 두 개의 서로 다른 스키마가 학습자들의 듣기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듣기 후 불안 설문지에는 듣기 학습이나, 본 수업에서 하였던 듣기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하는 주관식 문제를 추가시켰다. 먼저, 실험은 총 5주에 걸쳐 실시되었고, 첫 번째 주에는 사전 듣기 평가와 사전 듣기 불안 설문이 이루어졌고, 사전 듣기 평가 결과로 One-way ANOVA 분석을 통해 세 집단의 동질성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 주, 세 번째 주, 그리고 네 번째 주에는 각 각 한 개의 듣기 지문에 대한 스키마 활동과 듣기 평가가 이루어졌으며, 다섯 번째 주에는 마지막 듣기 지문과 사후 듣기 불안 설문이 이루어졌다. 사전 점수와 사후 점수간의 상관성이 스키마 활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사전 점수를 covariate로 처리하여 수집된 자료는 ANCOVA로 분석되었다. 먼저 문제 유형별 분석에서, 주제 고르는 문제에서는 세 집단의 점수가 모두 향상되었고, 특정 정보 문제와 유추 문제에서는 두 실험 집단의 점수가 향상된 것을 보인 반면, 통제 집단은 특정 정보 고르기 문제에서는 점수가 떨어졌으나, 유추하기 문제에서는 점수가 살짝 상승함을 보였다. 두 번째로, 지문 유형별 분석에서, 대화(dialogue) 형태의 지문에서는 내용스키마 집단이, 담화(narrative) 형태의 지문에서는 형식스키마 집단이 우세함을 보였다. 하지만, 통제집단의 경우, 대화 형태의 지문에서는 점수가 향상된 반면, 담화 형태의 지문에서는 점수가 하락되는 등 불규칙한 변화를 보였다. 세 번째로, 듣기 불안에 대한 분석에서, 두 개의 실험집단은 사전 듣기 불안에 비해 스키마 활동 이후 이루어진 사후 듣기 불안에서 불안 정도가 감소함을 보였으며, 그 중에서도 형식스키마 집단의 불안 정도가 더 감소함을 보였다. 지문의 수사학적인 구조를 직접적으로 학습하였다는 점에서 형식스키마 집단의 불안 정도가 더 많이 감소하였음을 유추할 수 있다. 이에 반해, 통제 집단의 불안 정도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친숙하지 않은 주제, 평소 듣기 지문과는 다른 장문의 듣기, 어려운 단어 등이 통제 집단의 학습자로 하여금 불안을 야기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듣기, 듣기 수업, 본 수업에서 사용된 활동 등에 대한 생각을 물어보는 질문에서 학생들의 듣기에 대한 공통적인 생각은 ‘어렵다’, ‘어떻게 공부해야 할지 모르겠다’ 등이었고, 본 수업에서 사용된 활동에 대한 생각에서는, ‘색다르다’, ‘더 잘 들린다’, ‘이렇게 듣기 수업하면 듣기 성적이 오를 것 같다’ 등의 의견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분석으로, 본 연구에서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스키마가 학생들의 듣기 이해와 듣기 불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이끌어냈고, 특히 ‘특정 정보 고르기‘ 문제의 경우 스키마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알 수 있었으며, 대화(dialogue) 형태의 지문에서는 배경지식을 투여하는 것이, 담화 형태 (narrative)의 장문 듣기에서는 수사학적인 구조를 노출시키는 것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알 수 있었다. 실험의 대상이 모두 남학생이었다는 점, 장기간에 걸쳐 연구되지 않았다는 본 연구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제 2언어 학습의 궁극적인 목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성취함에 있어 듣기가 말하기에 선행한다는 주장에 따라, 학습자들의 듣기 이해 능력을 향상시키고 듣기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과 같은 EFL 상황에 있는 교사와 학생들에게 교육학적인 시사점과 듣기 수업에 대한 적절한 방향을 제시해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개의 스키마만 적용되었으나, 상황과 지문의 특성에 따라 다른 스키마가 적용될 경우에도 학습자들의 듣기 이해 능력 신장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