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경철(Kim Kyoung-Chul),홍정선(Hong Jeong-Su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0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 No.-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의 영어교육 실시와 적합한 영어교육 방법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현재 유치원에서의 영어교육 실시현황을 알아봄으로써 유아교육과 유아 영어교육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설정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서울ㆍ경기 지역의 공사립 유치원에 근무하는 유치원 교사 114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 영어교육은 시대적 요구와 흐름에 따라 실시되어야 하며, 올바른 실시를 위해 준비가 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조사된 기관의 과반수 이상의 유치원에서 유아 영어교육을 실시하고 있었으며, 대부분 사립유치원이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적합한 유아 영어교육은 한국인 영어 교사가 담당하여, 다른 영역의 수업과 유사하게 실시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basic information of which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nglish Education in Kidergarten should advance by investigating teachers' awareness and practice of English Education in Kindergarten. This study examined the results of the survey which was done by 114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Kyoung-gi province. As a result of the study,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d that English Education in Kidergarten should be carried out keeping the pace with needs and trends of the time and be prepared for its right practice. More than a half of the kindergartens which was investigated carried out English Education and most of them was private kindergarten. And teachers recognized that appropriate English Education in Kindergarten should be carried out similarly to the activities of other domains by Korean teacher.
바퀴구동 로봇을 이용한 농업용 자동 호스 릴 장치 개발
김경철(Kim, Kyoung-Chul),고민혁(Ko, Min-Hyuc),유범상(Ryuh, Beom-Sah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3
본 논문은 바퀴구동 로봇을 이용한 농업용 자동 호스 릴 장치 개발에 대한 연구이다. 다양한 농작업 중에서 방제는 농작물의 생육과 직결되는 중요한 작업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급 호스에 대한 자동화를 위하여 바퀴 구 동 로봇을 이용하여 구동이 가능하고 장력 검출을 통하여 공급 호스가 자동으로 풀리고 감길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 하였다. 바퀴 구동 로봇에 대한 조향 성능에 대한 기구학적인 해석을 통하여 협소한 농장에서도 원활한 동작이 가능 한 형태를 고안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자동 호스 공급 장치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호 스에 걸리는 장력을 검출하는 방식과 호스의 정렬을 위한 기구를 고안하였다. 개발되어진 시스템에 대한 성능평가와 농장에서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개발되어진 시스템은 최고 주행 속도 2.5㎧, 주행 정밀도 ±0.18° 그리고 주행 안전 속 도 2㎧를 갖는다. 개발되어진 시스템은 농업 인구의 고령화 및 인력 부족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This paper is a study for developing an agriculture automatic hose reel of mobile robot. One of the important works in farming is pesticide spraying because it is related to the growth of crops. Therefore, we develop an automatic reel hose and mobile robot. Conducting kinematic analysis of steering performance, the mobile robot is designed to move smoothly even in a small space, and that is verified by simulation. To increase supplying accuracy of the automatic hose reel, the mobile robot use detecting tension mechanism on a hose and a device for the hose deployment. We conduct performance and on-farm evaluation. This system has been maximum speed of 2.5㎧, driving accuracy of ±0.18° and driving safety speed of 2㎧. The system would solve an aging population and shortage of workforce in agriculture.
김경철 ( Kyoung Chul Kim ),김동원 ( Dongwon Kim ),유승화 ( Seung Hwa Yu ),홍영기 ( Young Ki Hong ),이시영 ( Siyoung Lee ),김현종 ( Hyunjong Kim ),김국환 ( Gookhwan Kim ),이명훈 ( Meonghun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1
최근 기후변화 및 국제교역의 증가로 인해 외래 생물종의 생태계로의 유입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이다. 말벌은 종족번식을 위한 단백질 공급을 위해 꿀벌을 사냥한다. 이러한 이유로 양봉산업에서 말벌 퇴치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한국에는 약 13종의 말벌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8월부터 11월 사이에 가장 많은 피해를 주고 있다. 최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말벌 모니터링에 대한 기초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대부분의 양봉장은 꿀을 얻을 수 있는 나무가 많은 산 근처에 위치하고 있어, 전기나 통신 인프라가 없는 지역이 대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말벌의 활동시기에 활용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객체인식을 위한 이미지 취득 및 처리 시스템에 대한 개념설계를 기반으로 소비전력량을 계산하였다. 계산된 소비전력량에 대해 시스템 사용 시간과 충전 시간 및 효율을 고려한 후 안전계수를 적용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을 위해 태양광패널, 배터리 용량을 고려한 충전 컨트롤러 허용 부하를 결정 및 관련 부품들을 선정하고 야외 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해 영상 취득 장치에 대한 거치 기구를 제작하였다. 시스템을 추후 성능 향상을 위한 고도화를 통해 변경이 가능하도록 영상장치, 분석장치, 알람장치, 전원공급장치, 충전장치로 구분하여 상세설계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말벌로 인한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현장 평가를 통하여 고도화를 진행할 계획이다.
김경철 ( Kyoung Chul Kim ),이시영 ( Siyoung Lee ),홍영기 ( Young Ki Hong ),김현종 ( Hyunjong Kim ),김국환 ( Gookhwan Kim ),이명훈 ( Meonghun Lee ),서다솜 ( Dasom Seo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여 다양한 산업분야에서의 로봇을 활용하기 위한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농업분야에서도 스마트 온실에 적용 가능한 로봇에 대한 연구 개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스마트 온실은 생육 환경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연중 생산이 가능하여 로봇의 활용 빈도가 높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온실에서 작물 모니터링을 위한 로봇 연구를 위해 토마토 인식 및 수확량 예측 로봇 구현과 로봇의 최소 성능 요구 조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토마토 인식 및 수확량 예측 로봇은 로봇 구동부, 영상 수집부, 영상 무선 통신부로 구성하였다. 스마트 온실의 작물 사이를 이동하기 위해 온수파이프 위와 콘크리트 노면을 동시에 이동하기 위해 이중바퀴 구도의 로봇 구동 플랫폼을 활용하였으며,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온수파이프의 시작부분과 끝부분을 인지하여 자동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영상 수집부는 FHD 해상도의 카메라를 적용하였으며, 로봇 구동시 노면 조건 및 외부 장애물에 의한 진동에 대비하기 위해 3축 짐벌을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수집된 영상은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으로 영상을 중계하여 분석용 PC로 전송한 후 인공지능 모듈 중 Fast R-CNN을 활용하여 토마토를 인식하고 HSV 컬러코드 기법을 활용하여 과실의 숙도를 판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렇게 제작되어진 로봇을 활용하여 토마토 테스트 온실에서 현장 평가를 실시하였다. 현장 평가를 통하여 도출된 문제점과 요구되어지는 성능을 정리하여 작물 모니터링 로봇의 최소 성능 요구 조건 및 평가 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에 스마트 온실용 작물 모니터링의 최소 가반 중량, 이동 속도, 위치 정밀도 그리고 영상 수집 장치의 진동 특성 등에 대한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요인들은 국내ㆍ외 로봇 및 농업기계 표준을 기반으로 하여 적용 가능한 요소들을 선정하였으며, 이에 따른 평가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추후 스마트 온실용 모니터링 로봇의 개발 기준 및 방향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요구 조건 및 성능 평가 방법은 실용화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스마트 온실 방제 로봇의 요구조건을 고려한 평가 방법 연구
김경철(Kyoung-Chul Kim),유범상(Beom-Sahng Ryuh),이시영(Siyoung Lee),김국환(Gookhwan Kim),이명훈(Meonghun Lee),홍영기(Young-ki Hong),김현종(Hyunjong Kim),유병기(Byeong-Kee Yu)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10
최근, 스마트 농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농업 자동화 및 로봇에 대한 연구개발이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 온실에서 사용되는 로봇은 작업 특성과 생육 환경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 온실의 환경 분석을 통해 개발되어진 방제 로봇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논문은 스마트 온실에 적용 가능한 방제 로봇의 요구조건을 고려한 평가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로봇의 요구조건을 통하여 성능 및 품질 평가 기준을 수립하고 시험을 실시하였다. 로봇관련표준을 참고하여 방제 로봇의 요구 기능과 목표를 도출하였다. 로봇의 성능을 위해 주행과 작업 능력 시험을 실시하였다. 주행시험은 로봇의 주행성능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였고 작업능력은 방제성능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로봇의 품질을 위해 내구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를 통하여 스마트 온실 로봇에게 요구되는 지표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스마트 온실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로봇들의 평가 기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Recently, research and development on agricultural robots have been on the rise as the interest in smart farming has increased. Robots used in smart greenhouse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ith the working characteristics and growing environment. This study examined cleaning robots developed through the environmental analysis of smart greenhouses. This study assessed the evaluation method considering the requirements of the pest control robot applicable to the smart greenhouse. The performance and quality assessment criteria were established to conduct tests through the requirements of robots. The required functions and goals of the pest control robot were derived by referring to the robot-related standards. A driving and working ability test was conducted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the robot. The driving test was conducted on the driving performance of the robot and the work capability was tested on the pest control performance. In addition, a durability test was conducted to assess the quality of the robot. The required factors for smart greenhouse robots were derived from the test results. The study results are expected be a standard for an evaluation of a variety of robots for applications to smart greenhou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