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istinguishing Factors in Semantic and Pragmatic Differences between Get- and Be-passives

        김경열(Kim Kyung-Yul),조세연(Cho Sae-You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인문과학연구 Vol.0 No.22

        본 연구에서는 get-수동형과 be-수동형 구문사이의 의미·화용론적 차이점을 살펴보고, 두 수동형의 의미·화용론적 차이점을 구분해주는 변별요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get-수동형의 빈번한 사용이 get-수동형의 의미구조와 화용론적 필요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밝힌다. 동사 get의 다기능적 의미, 주어-지향적 표현, 화자-중심적 전략들과 같은 변별요인들이 get-수동형의 특징을 설명해주는 증거로 제시된다. 첫 번째 요인으로는, 동사 get의 다의적 의미(어휘적 의미부터 기능적 의미까지 포함)로 인해 다양한 get-문장구조(기동형 get, 수동형 get, 의무형 조동사 get 등)가 존재하고 통사-의미의 변화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제안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get-수동형은, be-수동형과 비교해볼 때, 주어-지향적, 사역적 특질을 더 보여주고 있으며, 화용-중심적 성격을 지니게 된다. 두 번째 요인으로는, 동사 get이 지니고 있는 내재적 의미로 인해, get-수동형은 수동구문 주어의 의미역할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임으로써 주어-지향적 장치로서의 기능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세 번째 요인으로는, 화용론적 관점에서 볼 때, 담화에서 get-수동형은 화용론적 동기(감정, 태도, 입장에 대한 화자의 화용론적 필요성)를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하므로 화자간의 담화적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할 뿐 만 아니라, 다른 시각과 입장에서 수동적 행위를 표현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This study seeks to verify whether the semantic and pragmatic differences between get-and be-passives are reflected in the possible competition between them.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stinguishing factors that characterize the semantic and pragmatic differences between get- and be-passives, and examine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overall frequency of get- and be-passives and their semantic structures and pragmatic motivations. Some distinguishing factors (i.e, multi-functional meanings, subject-recipient oriented devices, and speaker-oriented strategies, etc.) governing the choice of get-passives are suggested as evidence of the central characteristic of the get-passive. In this study, it is proposed that the polysemy in get (i.e., from lexcial meanings to functional meanings) reflects a change in the syntactic distribution of get-constructions (e.g., inchoative get, passive get, deontic modal auxiliary get). In addition, get-passives have more subject-oriented or more causative qualities than be-passives and receives a more pragmatic-oriented interpretation. Semantically, thanks to the receptive or agentive meaning of the verb get, get-passives tend to put emphasis on the semantic role of the subject and on what happens to the subject-referent as a result of the event. Finally, from a pragmatic point of view, pragmatic motivations (i.e., the speaker's affective and attitudinal value or stance) in discourse provide a relevant perspective to perceive the function of get-passives as an interpersonal grammar, which allows the speaker to report passive events with different perspectives and attitudes.

      • KCI등재후보

        A Contrastive Analysis on Information Structure in English and Korean

        김경열(Kim Kyung-Yul)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과학연구 Vol.0 No.26

        정보구조를 전달하고 표현하는 방식은 각 언어마다 다르므로 어떤 언어의 정보구조는 그 언어만이 가지고 있는 언어적 장치에 의해 실현되고, 두 언어사이의 정보구조에 대한 해석은 그 언어만이 지니고 있는 독특한 변인에 의해 결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영어와 한국어의 정보구조의 표현과 해석의 차이점을 유발하는 원인을 규명하고, 각 언어의 특성을 변별해주는 언어적 요인을 찾아내고자 한다. 특히 정보구조의 특성과 관련하여 영어와 한국어의 정보구조의 규칙성과 언어적 성향을 밝힘으로써 영어와 한국어의 언어간 차이점을 이해하고자 한다. 주어-중심적 언어인 영어(주어-동사-목적어 어순)는 구조적장치(분열문, 형식적 주어의 사용, 비지시적 대명사의 사용 등)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화제-중심적 언어인 한국어(주어-목적어-동사 어순)는 문법적 혹은 형태론적 특성(예, 주격 접미사와 정보구조와의 관계)이 정보구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밝힌다. 이러한 정보구조를 전달하는 언어적 방식과 차이점이 영어와 한국어의 언어적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두 언어를 비교분석하는데 중요한 언어적 변인임을 강조한다. Languages differ in the way in which they deal with the manifestation of information structure in terms of information processing. This study examines some typological differences between English and Korean with respect to the questions of how far and in what ways the linguistic realization of given-new information structure can be varied. As for the language-specific factors that characterize the difference in information processing between English and Korean, it is proposed that as a SVO-language and a subject-prominent language, English prefers dummy subjects, non-referential pronouns, and clefting constructions. As a SOV-language and a topicprominent language, Korean lacks dummy or non-referential pronouns like it or there. A general typological difference between English and Korean in relation to information structure is that English tends to rely on structural devices (e.g., clefting sentences) for information processing, while Korean shows a tendency that grammatical or morphological devices paly a significant role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 KCI등재

        The Formal Grapheme 〈ㅇ〉 in Middle Korean

        김상태(Kim Sang-Tae),김경열(Kim Kyung-Yul)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연구 Vol.0 No.32

        한국어와 영어는 음소적 자소이고, 한자는 형태소적 자소이다. 그러나 한국어와 한자의 공통점은 별개의 자소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자소들이 결합되어야 글자로서의 기능을 한다. 우리는 현재까지 한국어에서 이자소들의 결합을 ‘음절’로 인식하여 왔으나, 이글에서는 자소들의 결합을 ‘자절’로 보고자 한다. 훈민정음해례본에서는 ‘성음(成音)’과 ‘성자(成字)’를 구별하고 있다. ‘凡字必合而成音’의 구절에서 보듯 이초, 중, 종성이합해야음이된다고 했고, ‘初中終聲合而成字’처럼초, 중, 종성자를 합해야 글자를 이룰수있다고 했다. 지금까지 훈민정음제자원리에 대해서 《訓民正音》 해례의 ‘正音二十八字, 各象其形而制之’와 정인지 서문의 ‘象形而字倣古篆’에 대한 해석이 ‘육서(六書)’ 기원설과 관련지어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이글에서는 자소 〈ㅇ〉의 자소적 기능을 기존의 ‘육서(六書)’와는 다른 한자자소론의 측면에서 한자와의 상호관련성을 살펴보았다. 한자의 자소는 크게 ‘구형소(構形素)’와 ‘기능소(機能素)’로 나뉜다. 구형소는 자형의 구조형태를 분석하고, 기능소는 평면적으로 자소가 담당하는 역할을 분석한다. 자소 〈ㅇ〉은 한자자소론과 관련하여 특별한 음의(音義) 없이 형체만 존재하면서, 특정한 자소와 결합했을 때만 일정한 의미를 갖는 구형소의 형체자소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Graphemics has attracted little attention as an object of main linguistic sphere. From linguistic development, the spoken language is prior to the written language. Hence, the written language has long been a replacement of spoken language and a secondary system of representation. Hence, the studies in the preceding have been very confused with transcription and writing system. Consequently, relatively little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on graphemics, especially in Korean. Until now, there is, to my knowledge, no study on the graphemic correlation between the Korean Alphabet and Chinese charac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raphemic correlation between two languages. Korean, together with English, is a representative of phonemic grapheme. However, the correspondence between grapheme and phoneme is ideally one-to-one, but we could seldom see the perfect one-to-one correspondence. This is caused by the systematic difference between grapheme and phoneme. In addition, Chinese character is a representative of logographic grapheme, which is to say, morphemic grapheme. Both languages have a common characteristic of making-up character.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e Korean writing system is that except for a few grammatical morphemes in archaic texts, no letter may stand alone to represent the elements of Korean language. Like the Chinese character, the Korean letters are combined into blocks. These blocks have been used a syllable as a meaning of character. But the syllable was not coincident with character. One of the structural differences is caused by the grapheme 〈ㅇ〉 in middle Korean. This study presents the graphemic function of 〈ㅇ〉 in middle Korean by comparing it with Chinese graphemics suggested by Park(2006). He classified the Chinese graphemes into constructional and functional grapheme. And then, he subdivided constructional graphemes into four; stroke, foundation, derivative and formal grapheme. In terms of Chinese graphemics, the grapheme <ㅇ> in middle Korean is included in formal grapheme. It does not solely function, but when it combines with specific grapheme, it becomes a meaningful unit. That is to say, although this grapheme does not function as a phonetic and semantic indicator, it is very essential to form a character.

      • KCI등재

        고성능 강재(HSB 800)를 적용한 플레이트 거더의 휨강도에 대한 플랜지 국부좌굴

        김정훈,김경열,이정화,김경식,강영종,Kim, Jeong Hun,Kim, Kyoung Yul,Lee, Jeong Hwa,Kim, Kyung Sik,Kang, Young Jong 한국강구조학회 2014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26 No.2

        최근에 인장강도 800MPa급 고성능 강재가 개발되었지만 플랜지와 복부판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플레이트 거더의 국부좌굴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HSB 800을 적용한 플레이트 거더의 플랜지 국부좌굴에 대한 강도를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으로 평가하였다. 비선형 해석 시 I-단면을 갖는 플레이트 거더의 플랜지와 복부판은 3차원 쉘요소로써 초기결함 및 잔류응력을 고려하였으며, 고성능 강재의 재료모델은 다중선형 재료로 모형화하였다. 이를 적용하여 복부판이 조밀, 비조밀 그리고 세장 단면을 갖는 압축 플랜지에 대해 매개변수 해석을 수행하였다. 플레이트 거더의 플랜지 국부좌굴에 대한 거동을 분석하였고, 본 연구의 비선형 해석 결과를 AASHTO LRFD(2012)와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2012)의 압축플랜지 공칭휨강도와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High performance steel for bridges(HSB 800) with a minimum tensile stress of 800MPa was recently developed. However, the study for local buckling behavior of plate girders considering interactive effects of flanges and webs is still insufficient. In this study, the flange local buckling(FLB) strength of plate girders with HSB 800 was evaluated by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 The flanges and webs of plate girders having I-section were modeled as 3D shell elements in the nonlinear analysis. Initial imperfection and residual stress were imposed on the plate girder. The high performance steel was modeled as a multi-linear material. Thus, parametric study of compression flanges with a compact, noncompact and slender web was performed. The flange local buckling behavior of plate girders was analyzed, and the nonlinear analysis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nominal flexural strength of both AASHTO LRFD(2012) and KHBDC LSD(2012) codes.

      • KCI등재

        A Syntactic Approach to Intervention Effects between Interrogative C and Wh-in-situ

        이두원(Lee, Doo-Won),김경열(Kim, Kyung-Yul)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연구 Vol.0 No.33

        초점요소가 의문 보문자(C)와 의문사 사이에 쓰일 때, 소위 간섭효과가 발생한다. 그러나, 그 요소가 전제해석이나 특정성과 같은 담화효과를 나타낼 때, 간섭효과는 취소된다. 신정보가 주어지는 동사 앞 위치에서 초점의 현저성(focal prominence)를 보이는 요소가 문두로 뒤섞기를 겪을 때, 그 요소는 전제해석이나 특정성을 지니게 된다. 특정성이나 전제해석을 갖는 요소는 의문 보문자 지정어(spec-C)에 위치한다. 특정성을 갖는 주어 또한 그렇다. 이 때 그 요소들은 본래의 초점을 잃게 된다. 의문 보문자인 탐색자(probe)는 해석자질인 [iQ, iF]를 갖고 의문사인 목표(goal)는 [uQ, uF]를 갖는다. 이 때, 목표의 비해석 자질인 [uQ, uF]는 그 비해석 자질을 제거하기 위해 탐색자 해석자질인 [iQ, iF]에 대해 점검받는다. 그러나 해석 자질인 초점요소의 [[iF]가 그 사이에 위치하면, 목표의 비해석 자질인 [uQ, uF]는 점검 받을 수 없다. 왜냐하면, 초점요소의 [[iF]는 [iQ]가 없어서 비해석 자질인 [uQ, uF]를 지울 수 없기 때문이다. 이 때, 일치상의 간섭효과가 발생하여 문장은 비문이 된다. 이 현상이 반향 의문문(echo question)에서는 사라진다. 왜냐하면, 이 때 초점요소가 전제해석의 담화효과를 보여서 spec-C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An intervening effect occurs whenever a focus-bearing element intervenes between an interrogative C and wh-in-situ. There arises cancellation of intervention effects, when the focus-bearing elements carry discourse effects such as a presupposed interpretation or specificity, which is syntactically explained in this paper. When the elements with focal prominence in question undergo from the preverbal position to the sentence-initial position (viz. spec-C, here), they come to carry the discourse effect such as a presupposed interpretation or contrastiveness. That is, the scrambled argument to the sentence-initial position cannot bear any focus between C and wh-in-situ. When the focus-bearing element in the subject position comes to bear a specific interpretation pragmatically, it is reanalyzed to spec-C. which induces it not to bear focus. At this point, the probe [iQ, iF] in C and the goal [uQ, uF] in wh-phrase are in an Agree relation; hence, the sentence is acceptable. Under my system, the wh-phrases have uninterpretable features [uQ, uF], which needs to be checked against the interpretable features of a matching operator. Only the interrogative C has the complete set of interpretable features [iQ, iF] of the wh-in-situ and so only it can Agree with the wh-in-situ, eliminating all of the uninterpretable features. However, when the intervening focus operator with the interpretable focus feature [iF] which comes with the focused element, appears between C and wh-in-situ, the intervention effect arises. At this point, the closest c-commanding Foc cannot match on every feature with wh-in-situ, since it does not have the feature [iQ]. Hence, the probe [iQ, iF] in C and the goal [uQ, uF] in wh-phrase cannot be in an Agree relation. In an echo question, a focus-bearing element preceding wh-in-situ cannot be a focus, since the hearer is likely to reanalyze the NP-man as discourse-old (viz. presupposed). When the focus-bearing element is reinterpreted as presupposed or specific in spec-C, the intervention effects are cancelled.

      • Tungsten Filament의 열피로 특성 평가

        오환섭(Hwan sup Oh),김경열(Kyung yul Kim),박종찬(Jong chan Park),박상정(Sang jung Park),탁영지(young ji Tak) 한국자동차공학회 2002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2 No.5_3

        This study is very important to define the characteristic of thermal fatigue for tungsten filament in the view of micro-order scale. As the result of this study about thermal fatigue for tungsten fIlament, An empirical formula, such as V=30.20- 3.59logN, is made from the relation between change of voltage and number of cycle. New fracture mechanism of thermal fatigue is suggested for tungsten filament's fractography.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