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귀농귀촌인 대안운동의 특성과 함의

        김경례(Kim Gyoung Rae) 한국지역사회학회 2016 지역사회연구 Vol.24 No.2

        This article reviews the case of urban-to-rural migrants in Yongsan-myeon, Jangheung-gun, Jeollanam-do as their experience and life and in terms of the alternative movement experiments. The alternative movement rejects the current ruling system and the dominant life style. Yet, expand the extension to experiment with different life style and accept diversity and difference among members internally. This is also going to make a voluntary and autonomically participation, autonomous operation and horizontal network. Research participants in this article are moved to rural areas and created an open community space for communications and networks such as alternative market, town newspaper and common workplace. Furthermore, people seek a new relationship and change between themselves and their neighbors. Especially, alternative market is an open community space as well as the field that practice subsistence and sharing life nor the profits. Also, it against inclusion of a global neoliberal order and growth ideology. It points, however, to co-parenting movement and appropriate technology movement that is oriented to regional and ecological value. Their practice have had a ripple effect starting from their own need and desire in everyday life to internal institution and other local even though it has been made outside of the institutional sphere.

      • KCI등재후보

        공공산후조리원에 대한 정책적 논쟁과 문제점 - 정책담론을 넘어 여성건강 운동으로

        김경례 ( Gyoung Rae Kim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3

        이 글은 공공산후조리원 설립을 둘러싼 정책적 논쟁의 쟁점과 운영 현황 및 문제점 분석을 통해 공공산후조리원의 ‘공공성’이 여성의 재생산 건강권을 충분히 고려하고 있는지에 대해 탐색하였다. 재생산 건강권은 임신, 출산의 전 과정에서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권리를 포함하며, 재생산의 사회적 책임과 공공성 확보를 지향하는 것이다. 1997년부터 본격적으로 운영된 민간 산후조리원은 이윤창출을 위한 상업적 성격으로 인해 고비용, 비용격차, 위생 및 안전의 문제 등이 제기되었고 출산장려와 산모 및 신생아의 건강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공적 서비스를 제공할 목적으로 2013년부터 일부 지자체에서 공공산후조리원을 설립,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비용이나 서비스 내용 면에서 민간산후조리원과 큰 차별성이 없고 이용 및 감면 대상을 제한하고 차등화함으로써 ‘보편적’공공성 보다는 ‘선별적’ 복지수혜 정책의 성격을 띠고 있다. 마지막으로 정책적 한계를 넘어 서구 여성건강운동의 경험을 토대로 한 풀뿌리 여성건강 커뮤니티센터 운동을 제안하였다 This article analyzes policy argument over the issue and the operating status and problems surrounding establishment of public postpartum care center. Also, through the analysis it researches ‘publicness’ of public postpartum care center, whether the publicness is fully considered women’s reproduction health right. The private postpartum clinics, which had operated since 1997, are commercial businesses so that many problems were raised such as high cost, cost gap and health and safety. However, some local government have established and operated public postpartum care center since 2013 to provide systematic public services which can encourage childbirth and can give health care for mothers and newborns. Although, there are not big differences in terms of both cost and service between both private postpartum clinics and public postpartum care center. In addition, the character of public postpartum care center is more like ‘selective’ welfare benefit not the ‘universal’ publicness because it limits and differentiate the people(target)who utilize the center and get remission of fees. Finally, in this article, I suggest in need of grassroots movement for women’s health community center. It should be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western women’s health movement and also should beyond the limits of the policy

      • 광주지역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욕구와 취업활성화 방안 연구

        김경례 ( Gyoung Rae Kim ) 전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현대사회과학연구 Vol.18 No.-

        이 연구는 광주지역 경력단절여성의 경제활동 촉진과 취업활성화를 위해 광주지역 30.40대 경력단절여성의 취업욕구를 조사하여, 이를 토대로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과 지속성 확보 방안, 재취업 시 직업지위 확보방안, 실질적인 취업지원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사회적, 정책적 개선방안을 다각도로 제시하였다.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활성화와 취업지원서비스 개선을 위해서는 첫째, 수요자 중심형 통합적 지원체계를 마련하고 강화해야 한다. 둘째, 양질의 수요자 맞춤형 지원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셋째, 지역특화형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하다. 넷째, 효과적인 구인-구직 매칭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다섯째, 경력단절여성의 경력지속성을 확보하고 재직여성의 노동시장 퇴장을 막기 위해서는 일-가정 양립지원이 강화되어야 한다. 여엇째,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도 중요하지만 당초에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예방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활성화 정책은 단지 취업률을 높이는데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고용조건의 향상과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고용불안정, 노동시장의 성별 불평등과 격차를 최소화하는 사회적 노력과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is on the employment needs of 30-40 career interrupted women in Gwangju to promote economic activities and employment needs. Based on this, re-employment of career interrupted women and women``s ensuring durability plans, ways to secure re-employment status, the social and political improvement plan for the provision of substantial employment support services were presented from various aspects. In order to activate women``s employment and improve employment support service, First, arrange and strengthen the integrated support system of career interrupted women directed model. Second, quality support service is needed. Third,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program for localization type is needed. Fourth, effective matching method of job offering and job fmding should be prepared. Fifth, ensure career durability of career interrupted women and to prevent withdrawal of the employees in the labor market. Female worker``s work-family balance has to be strengthened. Sixth, the re-employment of career interrupted women is important, but efforts are primarily necessary to prevent career interrupted of women. Employment activation policies for career interrupted women should not be limited only to increase employment rate, but also it should be considered as same time as improving employment conditions. Furthermore, social effort should be paralleled to decrease job insecurity, gender inequality and the gap of the labor market.

      • KCI등재

        청년문화정책의 필요성과 방향 -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김경례 ( Kim Gyoung Rae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3

        이 글은 전남지역 청년문화정책 수립의 접근 관점과 방향성을 모색해보기 위한 것이다. 한국의 청년문제는 청년실업으로 수렴되었고 청년정책은 청년층의 고용촉진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 글은 전남지역 청년, 문화예술인의 정책적 욕구를 바탕으로 청년세대의 문화적 표현과 삶의 질 증진을 목적으로 한 청년문화정책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그 방향과 구체적인 실행전략을 제안하였다. 청년문제는 취업만이 아니라 청년세대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삶의 복합적인 문제로 접근해야 하며 청년문화정책은 청년층의 일과 생활, 여가의 균형, 문화권의 확장 및 복지 증진과 연동하여 모색되어야 한다. 정책의 실행과정은 청년들을 정책적 대상이 아니라 정책의 기획 및 참여주체로 상정하고 정책 공급 구조를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개별 청년에서 커뮤니티 구성활동 지원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청년들의 자유로운 문화 및 사회활동을 보장하기 위한 공간, 정보, 자원이 충분히 제공되어야 하며 지원은 하되 간섭은 하지 않는 행정혁신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perspective and direction of establishing youth culture policy in Jeollanam-do. The problem of youth in Korea was hunted by youth unemployment and youth policy was centered on the promotion of youth employment. This article raised the need for youth culture policy through the policy needs of young people and cultural artists in Jeollanamdo province and suggested specific direction and implementation strategy. The youth problem should approach not only the employment but also the complex problems of th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life of the young generation. Youth cultural policy should be sought in conjunction with work, life, leisure, cultural rights, and welfare promotion of young people. Young people should be presumed to be the planning and the subject of the policy, not the policy object. Policy supply structures need to shift from provider-centric to consumer-centric, and from individual youth to support for community-building activities. For the free culture and social activities of young people,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fficient space, information, and resources, and administrative innovation that supports but does not interfere.

      • 일,생활 균형의 철학과 가치 -패러다임의 전환을 위하여-

        김경례 ( Gyoung Rae Kim ) 전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 현대사회과학연구 Vol.15 No.-

        이 글은 일·가정 양립 및 가족친화 관련 정책의 내용을 통해 그것의 함의와 한계를 고찰해 보고 진정 한 의미의 성평등한 일·생활균형을 위해서 어떠한 철학과 가치설정이 필요한지를 모색해 보기 위한 시론 격의 글이다. 일·생활균형의 철학과 가치는 일·생활 불균형을 발생시킨 지배적인 패러다임에 대한 비판적 검토로부터 모색되어야 한다는 측면에서, 먼저 일·가정양립 및 가족친화환경 조성의 필요성에 대한 담론의 등장배 경과 성격을 살펴보고, 현재 일·가정 양립 및 가족친화 관련 정책의 내용을 통해 그 방향성과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일·가정 양립 및 가족친화환경 조성담론은 직장여성의 고용환경 및 고용구조의 개선을 위해서라기보다 는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위기에 대한 대응으로 출현하였으며, 저출산고령화 사회에 대한 위기담론의 핵심 은 생산인구의 감소, 부양인구의 증가로 인한 국가경쟁력 약화였다. 정부의 일·가정 양립정책과 가족친화환경조성제도는 저출산 대책의 일환으로 주로 여성을 대상으로 양 육의 사회적 분담과 지원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그 내용과 방향성이 직장/가정, 공/사, 생산/재생산의 이분 법적 구도에서 후자를 고려하는 것 같지만 전자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후자의 위기로 나타난 사회적 문제를 전자에 포섭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제도와 정책들이 여성의 고용불안정, 여성의 빈곤화, 성별분업구조를 해결하지 못한 채 일자리 창출, 양육 책임 일부의 사회화 형태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일·가정 양립 및 가족친화 정책은 생산중심, 남성중심의 패러다임에 기반해 있 다고 볼 수 있다. 고용불안정, 빈곤의 여성화, 남성생계부양자 모델의 성별분업적인 가족구조가 여전히 작동하는 한 일· 생활 균형은 요원한 일이며 남녀 모두 일 중심의 생활패턴을 유지할 수밖에 없다. 일·생활불균형은 생산 및 남성중심적 패러다임으로 인한 재생산의 위기 및 여성의 전통적 성역할 및 지배패러다임의 거부로 발 생한 현상이다. 따라서 일·생활 균형을 실현하고 생산 및 남성중심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폄 하되어 있는 재생산의 가치 및 여성의 입장을 반영한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This is an essay to examine what philosophy and value selection are required for a true equal gender tasks and balanced life while discussing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work and home dichotomy and family friendly policies. The philosophy and value of the work and life balance maintained the perspective that a critical review on the dominant paradigm that created the work and home imbalance needs to be sought first and this essay examines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discussion on the work and home dichotomy and the necessity of family friendly environment and also reviewed the direction and issues through the contents of current work and home dichotomy and family friendly policies. The work and home dichotomy an family friendly environment establishment discussion emerged as a response to the social crisis with the low birth rate and high elderly population, rather than as an improvement of the hiring conditions or hiring structures for the working women and the key of the crisis discussion in the low birth rate and high elderly population society was the reduction of producing population and increase of the dependent population, which may lead to the weakening of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The work and home dichotomy policy of the government and the family friendly environment system promote the social distribution of childcare and support as a part of low birth rate remedy, which may seem as if they consider the latter in the dichotomy of work/home, public/private, and production/reproduction but rather focus on the former and continue to include the social issues from the latter crisis in the former. Such systems and policies are not able to resolve the instable employment of women, women in poverty, and unfair gender treatment and lead to the partial socialization of employment increase and childcare responsibility. In this perspective, the work and home dichotomy and the family friendly policy is based on the production-focused, masculine paradigm. As long as the instable employment, women in poverty and men as the breadwinner family structure continue to function, the balanced life is hard to achieve and both men and women need to maintain a work-focused life pattern. The work and life imbalance is a phenomenon that arose from the crisis in reproduction from production and male focused paradigm and the refusal of the traditional sex roles of women and dominant paradigm. Therefore, to realize the work and life balance and overcome the production and male centered trends, a switch to a paradigm that reflects the value of reproduction and the situation of the women that are relatively repressed.

      • KCI등재

        사회적경제에서 공동체운동의 가능성과 한계

        김경례(Kim, Gyoung-rae),윤영선(Yun, Young-seon) 한국지역사회학회 2015 지역사회연구 Vol.23 No.2

        This study, first, looked into how members of organizations currently engaged in the social (alternative) economy such as social enterprises, community businesses and cooperative associations would recognize community spirit and second, discussed how different those ideas of the members are from actual goals and details of the government trying to realize communities using the social economy. Third, through a discussion over the real status of how the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would operate, the study argued that unless the members internalize the neo-liberalistic ruling orders practicing democratic, self-regulating and autonomous operation principles or if the members are not allowed to actually practice the principles, it is rather impossible to (re-)form an alternative economic society. Fourth, the study suggests that if we want this alternative community movement to be led to a social relation with a new subject and different living method-based production, not only should we transform the capital-centered economic paradigm into a labor-centered economic paradigm that would respect value of social labor which is social contributions and devotions but we should also expand common wealth and public areas which would eventually change the social ecosystem in general.

      • KCI등재

        기술의 문화적 재현과정과 실천 : 보조생식술을 중심으로

        김경례(Gyoung-Rae Kim)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0 젠더와 문화 Vol.3 No.2

        이 글은 신문기사의 내용과 불임치료와 관련된 대중 의학서적을 통해 의과학적 수사와 담론이 여성의 몸과 불임 그리고 보조생식술을 어떻게 의미화하고 위치 짓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첫째, 기술은 문화에 외재한 객관적이고 독립적인 실체가 아니라 사회적 관계와 담론과정에서 생산되는 것임을 밝혔다. 둘째, 지배적인 기술문화는 출산과 기술에 대한 지배적인 사회규범을 반영하면서 그것을 재생산, 강화하는 기능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불임에 대한 의과학적 담론의 핵심은 불임에 대한 사회적 공포를 생산, 확장하는 과정이며 이는 기술적, 사회적 조건과 맞물려 작동한다. 또한 보조생식술에 대한 의과학적 담론은 의과학자들의 사회적 권위와 의과학적 지식권력을 통해 의료기관 및 보조생식술의 이용을 합리화하고 보편화하는 과정이다. 하지만 대중들은 기술에 대한 역사적 경험과 자신들의 체험을 통해 지배적인 기술문화와 경합하면서 기술에 대한 다층적인 해석과 비판적 개입을 시도하기도 한다. 따라서 기술은 특정문화를 구성, 재구성하는 실천으로서 파악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performs that how medical rhetoric and discourse locate women's bodies, infertility and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through popular medical books relating to the treatment of infertility and contents of newspaper article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chnology is produced by social relations and discourse processes, not objective and independent existence that are external to the culture. Second, technology as a dominant culture reflects prevailing social norms. And that perform a function which reproduce and strengthen prevailing social norms. Medical discourse of infertility is the process of producing a social fear on infertility. And it should work together the development of infertility treatment technologies, expansion of infertility industry, and the necessity of government's population control policy. That is, medical discourse work together technical and social conditions. Also, medical discourse on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is a process of rationalize and generalize the use of medical Institutions and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through the social authority of medical scientists and the power of medical knowledge. But, the people do not fully internalize dominant technology as a culture. They compete with dominant culture of technology through the historical experience about technology and through their experience. They are trying to interpretation and critical intervention about technology. Therefore, technology need to be grasped to practice that (re)constitute of specific culture.

      • KCI등재

        줄기세포연구에 대한 대항담론의 구조와 몸들의 정치

        김경례(Kim Gyoung-Rae)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09 아시아여성연구 Vol.48 No.1

        이 글은 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대항담론의 구조를 ‘몸들’이 문제화되는 방식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생명윤리담론은 생명과 인간의 존엄성을 근거로 생명체로서의 배아, 생명의 매개체로서의 난자를 문제시하였다. 사회제도적 관리 담론은 과학적 연구가 사회구조에 영향을 받고 권력관계를 반영하고 있다는 인식 하에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기 위해 마련된 국제적인 과학 규범을 위반한 여성연구원의 난자와 거래된 난자의 사용이 문제시되었다. 페미니즘 담론은 충분한 정보의 고지와 동의 절차를 거치지 않은 여성의 난자 이용과 난자를 얻고 이용하는 과정에서의 여성의 인권과 건강권의 침해에 주목했다. 이러한 대항담론들은 모두 과학 연구가 야기할 수 있는 윤리적, 사회적 위험성을 지적하였고 이를 위해 배아와 난자를 부각시켰다. 그러나 배아와 난자를 중심으로 한 이러한 위험성 담론은 황우석 사태 이후에 줄기세포 연구의 허용범위와 배아 및 난자의 사용 범위를 규정한 생명윤리법 및 생식세포관리법의 제?개정 과정 속에서 지배담론에 포섭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위험성 담론의 주체들을 배제하고 위험성의 가능성은 여전히 남겨둔 채 형식적 동의와 관리절차를 통해서 위험성 담론을 무력화시키고 과학적 연구의 자율성을 확대하는 방식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위험성 담론을 넘어서, 몸들의 대상화?상품화에 대한 비판을 넘어서, 인지된 동의에 의한 자율적 선택권을 넘어서는 정치적 개입이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또 하나의 대항담론의 구성이라는 측면에서 줄기세포 연구과정에서의 몸들의 생산성에 주목할 것을 제안하였다. 줄기세포에 대한 과학적 지식이 형성되고 임상적 적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여성, 환자, 장애인의 몸들은 단지 연구의 자원이 아니라 연구의 참여 주체로서 행위성을 지닌다. 또한 줄기세포 연구가 발생시킬 것으로 기대되는 부가가치는 의과학자들의 지식노동과 연구에 참여하는 몸들의 협업을 통해서 발생한다. 따라서 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독점적 소유권과 통제권을 의과학자들에게만 부여하는 현행 특허제도와 의사결정구조는 부당하다. 또한 몸들은 줄기세포 연구가 약속하는 ‘희망’과 ‘해방’이라는 지배적 수사가 유토피아적 허구이며 ‘정상성’에 대한 공적 ‘공포’를 통해 작동함을 보여주는 출발점이기도 하다. 따라서 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페미니즘적 과학정치의 구상을 위해 몸들의 생산성에서 출발하여 자본과 권력에 포섭되지 않는 몸들의 자기가치증식을 어떻게 모색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This paper explores the structure of counter discourse about stem cell research around the issue of ‘bodies'. The discourse of bioethics becomes an issue of embryonic and egg that is based on the life and the dignity of man. The discourse of the social institutional control shows scientific research is influenced by social structure and power relation. And this discourse brings an issue of woman researchers' egg and the right of using those eggs into questions, which violates international science standard, and is made for protection of the disadvantaged. Feminism discourse focuses on the violation of women's human rights and health rights in the stem cell research. This discourse focus on informing and consenting procedure to make the decision. These counter discourses report ethical, social dangerousness of scientific research, emphasize embryonic and egg. But these discourses of dangerousness tend to be subsumed into dominant discourse. Dominant forces excluded subjects of those discourses and made formal consenting procedure and expanded the freedom of scientific research in the bio-ethics laws and establishment a generative cell law. Thus, new counter discourses must the discourses of dangerousness, criticism about the objectific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bodies, the right of autonomic choice. Focusing on the productive positioning of bodies in the stem cell research from new counter discourse is suggested through this study. Bodies of woman, patients and the disable are not objects but subjects that participate in the scientific research. And these bodies produce value as something expected from the stem cell research. To add to this, bodies show dominant rhetoric about stem cell research as ‘hope' or ‘emancipation', which are utopian fiction and operate through public ‘fear' about normality. So the constitution of feminist science politics need to start from the productive positioning of bodies and pursue self-valorization of bodies.

      • KCI등재

        대학생들의 ‘썸 문화’에서 나타나는 전략적 선택과 양가적 행위성

        양동옥(Yang, Dong-ouk),김경례(Kim, Gyoung-Rae)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7 젠더와 문화 Vol.10 No.1

        ‘썸 문화’는 연애를 포기당한 세대의 어쩔 수 없는 선택이거나 이기적이며 책임감 없는 관계 맺음을 나타내는 현상으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청년들의 썸은 사랑과 연애 문화를 주체적으로 만들어가는 전략적 협상과 실험의 과정이기도 했다. 이 글은 대학생들의 썸의 행위성에 초점을 맞춰 썸의 진행 과정, 관계 맺기의 특성과 의미를 탐색했다. 썸의 과정에는 썸을 빨리 끝내고 연인관계로 나아가거나 아니면 관계를 단절하려는 욕망이 강하게 나타났다. 썸의 관계 맺기는 깊은 성적 친밀감을 나누기 전에 상대를 걸러 내려는 것과 썸 행위를 긍정적인 능력으로 평가함으로써 전통적 젠더 규범에 균열을 내는 특성을 보였다. 더구나 썸은 관계의 지속성을 전제하지 않기에 관계 맺기와 단절이 용이하지만, 관계의 불확실성 때문에 서로 책임을 다하지 않았다. 썸은 사랑과 연애에 대한 전통적 젠더 규범 내에서 상대적으로 불리한 여성들에게 전략적인 ‘안전장치’로 기능하기도 하며, 연애와 결혼을 유예당하고 있는 청년 세대에게 연애와 유사한 설렘과 친밀감을 공유하는 장이 되기도 했다. The ‘some culture’ has been regarded either as an unavoidable choice by the generation who were forced to give up their love life under uncertain and unstable social-economic conditions, or as a negative social phenomenon that is suggestive of selfish and irresponsible relationship formatio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ome culture’ among youngsters through a strategic negotiation and experimentation process, demonstrating that the generation members create their love and romance culture independently, although ‘some’ is sometimes influenced by a complex social geography and standardized norms regarding love and romance. ‘Some’ describes a process in which a man and a woman start to be fond of each other and explore and examine the possibilities. Both romance and anxiety coexist in this process. Under these conflicting emotions, the participants tend to desire either to end the ‘some’ relationship quickly and develop a romantic relationship, or to break the connection off. ‘Some’ sometimes serves as strategic ‘safety device’ for females who find themselves in a relatively unfavorable position within the traditional gender norms regarding love and romance, while at other times it offers a means of sharing romance and intimacy resembling love among members of the younger generation who are forced to postpone their romance and marri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