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DN/CP 비율에 의한 영양소 공급이 젖소 육성우의 영양소 섭취량, 소화율, 반추위 발효 및 혈액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겸헌,김현진,황원욱,김수기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6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0 No.5

        본 연구는 국내 실정에 맞는 적정 TDN/CP 비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4.6:1(T1)과 4.3:1(T2)의 비율로 생후 13개월령 육성우에게 급여하여 영양소 섭취량, 소화율, 반추 위액 특성 및 혈액조성에 대하여 조 사하였다. 건물 섭취량은 9.0kg/day로 동일하였으며, 조단백질 섭취량은 T1이 1.34kg/day, T2가 1.45kg/day로 T2가 조금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섬유소 섭취량과 소화율은 T1이 조금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사료 섭취 후 4시간째 위액의 pH, ammonia-N, VFA 농도 를 비교한 결과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전반적인 VFA 수치는 TDN/CP 비율에 따 라 큰 영향이 없었으나 T1 처리구에서 iso-butyrate, iso-valerate 및 A/P ratio가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혈액 특성에는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TDN/CP 비율이 4.3:1과 4.6:1 수준은 반추위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소화율과 비교하였을 때 생후 13개월 령 육성우 시기에는 섬유소 섭취량과 소화율이 증가되는 4.6:1 수준이 보다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 proper management and nutrient supply for raising replacement heifers to improve lactating performance. In order to determine a proper TDN/CP ratio that would be suitable for domestic use, 13-month-old replacement heifers were fed in the ratios of 4.6:1(T1) and 4.3:1(T2), respectively, to examine the changes in nutritional intake, digestibility, characteristics of rumen fluid and blood compositions. While dry matter intake was same at 9.0kg/day, CP intak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though T2(1.45kg/day) was slightly higher than T1(1.34kg/day). In fiber intake and digestibility, two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though T1 was slightly higher than T2. The pH, NH3-N and VFA densities in rumen fluid examined at the fourth hour after feed intak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either. Overall level of VFA was not influenced largely by the TDN/CP ratio, but the iso-butyrate and iso-valerate levels and the A/P ratio were significantly high in T1(p<0.05). In blood characteristics, the treatmen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clusion, the TDN/CP ratios of 4.3:1 and 4.6:1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uminant stomach, but in comparison with digestibility of 13-month-old heifers, the ratio of 4.6:1 was more appropriate for increased intake of fiber and higher digestibility.

      • KCI등재

        산란계 사료 내 지방의 첨가가 계란 지질조성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겸헌,박병성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연구소(구 강원대학교 동물자원공동연구소) 2006 동물자원연구 Vol.17 No.-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different kinds of dietary added fat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cholesterol content and quality of hens‘ eggs. The Haugh units, breaking strength, shell thickness and yolk color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Dietary fat notably altered the polyunsaturated fatty acid composition and cholesterol content in the egg yolk. The n-6 fatty acid of egg yolk was highest in the corn oil fed group with 31.61%, and this tended to decrease in the order of the tallow, linseed oil and fish oil fed groups(p<0.05). The n-3 fatty acid of egg yolk tended to increase in the linseed oil and fish oil fed groups as 9.74% and 5.16%, respectively(p<0.05). Theses alterations in the yolk fatty acid composition resulted in a reduced cholesterol content of the eggs. The ranges of cholesterol content showed values of 15.98-18.37 mg/g of yolk or 227-261 mg/60g of egg, respectively(p<0.05). The cholesterol content of egg yolk was highest in the tallow fed group, and this tended to be reduced in the order of the fish oil, linseed oil and corn oil fed groups(p<0.05). The reduction of the egg yolk cholesterol content in the other groups compared to the tallow grou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e., 13.01% in the fish oil group, 11.49% in the linseed oil group and 6.91% in the corn oil group, respectively(p<0.05). This result suggests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holesterol content or to increase the n-6 and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eggs by manipulation of the dietary added fats.

      • KCI등재

        홀스타인 육성우(15~18개월령)에 있어서 TDN:CP 비율이 영양소 섭취량, 증체 및 혈액대사에 미치는 영향

        김겸헌,김현진,황원욱,김수기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7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1 No.6

        Proper energy and protein supply in Holstein heifers prior to pregnancy and after the latterhalf of the growing period has an influence on the growth of the individuals and milk yieldafter parturition. In this study, to determine the optimal TDN:CP ratio at the latter half of thegrowing period, 5.0:1(T1), 4.5:1(T2) and 4.0:1(T3) were fed to 15 months old growing heifer,then the body weight, feed intake and blood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The dry matter intakewas 8.07 kg/day at an average which was similar among treatments regardless of the TDN:CPratio. Protein intake decreased from 1.45 to 1.29 and 1.17 kg/day, but did not show anysignificant difference. Body weight gain increased significantly at ratio of 4.0:1 with the highestaverage daily gain 0.74 kg/day(p<0.05). After 60 days, the daily weight gain of all treatmentsmet the recommended level, but the 4.0:1(1.28 kg/day) ratio could cause the excessive body fataccumulation which in turn should to be considered relating breeding and pregnancy. DifferentTDN:CP ratios mentioned above(4.0:1, 4.5:1 and 5.0:1) did not affect blood composition according to protein content in feed given to growing heifers at 15~18 months old. Inconsideration of pregnancy, body weight, and the lactation, the ratio of 4.5:1 to 5.0:1 isappropriate, and is thought to be reasonable to increase the energy to protein ratio up to 5.0:1in case of approaching parturition. 임신 전 젖소의 육성기 후반에 있어서 적정한 에너지와 단백질 급여 관리는 개체의 성장과 분만 후유생산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육성기 후반의 적정 TDN:CP 비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생후 15개월령에 5.0:1(T1), 4.5:1(T2) 및 4.0:1(T3)의 비율로 급여하여 체중, 사료섭취량 및 혈액조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건물섭취량은 평균 8.07kg/day로 TDN: CP 비율에 관계없이 유사하였다. 단백질 섭취량은TDN:CP 비율이 낮아짐에 따라 각각 1.45, 1.29 및 1.17kg/day로 감소하였으나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않았다. 증체량은 4.0:1 비율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며, 평균 일당증체량도 0.74kg/day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60일 이후 모든 처리구의 일당증체량이 권장 수준을 충족하였으나,4.0:1 비율구(1.28kg/day)에서 과잉 체지방 축적이 될 수 있는 수준이기 때문에 임신 및 번식과 관련하여 주의해야 한다. 육성우 15~18개월령에서 상기의 모든 TDN:CP 비율은 혈액 조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체중과 출산 및 비유 등을 고려했을 경우 4.5:1에서 5.0:1의 비율이 적합하고, 출산 시기가가까울수록 에너지 단백질 비율을 5.0:1까지 높여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TDN/CP 비율이 젖소 12~14개월령 육성우 영양소 섭취량, 증체량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김겸헌,황원욱,김현진,김수기,Kim, Gyeom-Heon,Hwang, Won-Uk,Kim, Hyun-Jin,Kim, Soo-Ki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6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6 No.2

        본 연구는 수정 전 단계인 생후 12~14개월령의 육성우에게 급여하는 사료의 적정 영양소 수준에 대해 알아보고자 에너지와 단백질의 비율에 따른 영양소 이용성 및 증체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건물 섭취량은 T1 (TDN/CP 비율, 5.0:1), T2 (TDN/CP 비율, 4.5:1) 그리고 T3 (TDN/CP 비율, 4.0:1)가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분 중 회분은 T1이 11.07%로 T3 (9.69%) 보다 유의적으로 높아졌으며, TDN/CP 비율이 높아질수록 분 내 회분 함량도 증가되었다. 초기 체중과 상관없이 증체량은 실험 개시 후 30일째 사료 내 CP 비율이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60일째에는 T2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증체를 보였다 (p<0.05). TDN 비율이 감소하거나 단백질 비율이 높아질수록 증체량은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p<0.05). 실험 종료 시의 혈중 GPT는 T1과 T3 (112.6, 88.3 u/l)가 T2 (50.9 u/l)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phosphorus는 T1 (46.3 mg/dl)이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p<0.05). HDL cholesterol은 T2 (145.2 md/dl)가 T1 (121.0 mg/dl)과 T3 (132.3 mg/dl)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triglyceride는 T3 (40.6 mg/dl)가 T1, T2 (20.7, 29.0 mg/dl)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였다(p<0.05). BUN 농도를 비롯한 그 외의 혈액 분석항목들에서는 처리구별에 있어서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섭취량과 증체율에서는 TDN/CP 비율이 4:1이 가장 좋았으나 체지방 축적이 과잉될 가능성이나 혈액대사 수치를 함께 고려한다면 이 시기에서는 4.5:1의 비율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the effect of energy and protein ratio on the nutrient availability and body weight gain was determined to find the proper nutrient level for the stage of replacement dairy heifers before fertilization at approximately 12~24 months old after birth. Dry matter intake showed that the TDN/CP rate of T1 (5.0:1), T2 (4.5:1) and T3 (4.0:1) resulted in similar values. Among feces, the ash content of T1 was 11.07%, which was significantly (p < 0.05) higher than that of T3 (9.69%). It was also significantly (p < 0.05) higher than that of T2 (10.32%). When the TDN/CP rate was increased, the ash content in the feces was also increased. Regardless of the initial weight, weight gain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CP rate in the feed was increased on the $30^{th}$ day. On the $60^{th}$ day, T2 showed the highest rate of gain (p < 0.05). As the TDN rate was decreased or the protein rate was increased, weight gain was significantly (p < 0.05) increased. Regarding GPT level in the blood after finishing the test, T1 and T3 (112.6, 88.3 u/l) showed significantly (p < 0.05) higher value than T2 (50.9 u/l). For phosphorus level, T1 (46.3 mg/dl) showed significantly (p < 0.05) higher value than other treatments. For HDL cholesterol level, T2 (145.2 mg/dl) had significantly (p < 0.05) higher level than T1 (121.0 mg/dl) or T3 (132.3 mg/dl). For triglyceride levels, T3 (40.6 mg/dl) had significantly (p < 0.05) higher value than T1 (20.7 mg/dl) and T2 (29.0 mg/dl). For other blood parameters including BUN concentr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p > 0.05) difference among treatments. As a result, although feed intake and weight gain with TDN/CP rate of 4:1 showed best results, considering the excess body fat accumulation possibilities or blood metabolism, it seems 4.5:1 ratio is most appropriate.

      • KCI등재

        고온 조건에서 사료 내 생균제의 생존성 및 오염미생물의 생장 억제 효과

        김겸헌,이권정,이아란,장인환,송인근,김동운,김수기,Kim, Gyeom-Heon,Yi, Kwon-Jung,Lee, Ah-Ran,Jang, In-Hwan,Song, In-Geun,Kim, Dong-Woon,Kim, Soo-Ki 한국미생물학회 2014 미생물학회지 Vol.50 No.4

        여름철의 고온으로의 온도 상승에 따른 사료빈 내의 생균제 L. plantarum, S. cerevisiae 및 B. subtilis의 생존성을 실험실의 가상 조건에서 분석하였다. 상온인 $25^{\circ}C$에서 멸균 사료와 비멸균 사료에 단일 혹은 혼합 균주 첨가 시 pH 변화와 생균제들의 생장을 상호 비교하였다. pH는 멸균 사료와 비멸균 사료 모두에서 4일째에 가장 감소한 것은 같았으나 비멸균 사료에서는 2일째까지는 상승하는 변화의 양상을 보여주었다. 멸균 여부 혹은 혼합 여부와 관계없이 S. cerevisiae와 B. subtilis의 생균수는 일정하게 유지되었지만 L. plantarum의 경우에는 그 수가 모두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3종의 혼합 생균제는 상호 길항작용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멸균 및 비멸균 사료에 생균제를 첨가한 후 $60^{\circ}C$의 고온 환경에서 사료의 pH 와 단일접종 생균제의 생존성을 조사하였다. 멸균 및 비멸균 사료 사이에 뚜렷한 pH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B. subtilis의 pH가 가장 낮게 관찰되었다. 고온 하에서 L. plantarum과 S. cerevisiae 균주는 생존할 수 없었으며, 내열성을 가진 B. subtilis 균주는 생존하면서 사료에 자연적으로 생존하는 오염세균의 증식을 억제하였다. 또 B. subtilis를 접종한 비멸균 사료에서 2일째부터 오염 곰팡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내열성이 강한 B. subtilis 균주를 사용하면, 여름철 사료빈 내에 병원성 세균과 곰팡이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igh temperature on the viability of probiotic organisms (Bacillus subtilis, Lactobacillus plantarum,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mixed with animal feed under controlled conditions by simulating a farm feed bin in the summer. Following inoculation of probiotics into the feed, the pH and probiotic viability were monitored during an 8-day incubation at room temperature. Sterile and non-sterile feeds displayed different patterns of pH changes, with increased pH in non-sterile feed at 2 days, but a pattern of decreasing pH at 4 days. The viabilities of S. cerevisiae and B. subtilis after mono/co-inoculation were maintained without substantial changes during the incubation, whereas L. plantarum viability tended to decline. In both non-sterile and sterile feeds, the probiotics were maintained or grew without any antagonistic effects. Probiotic viability was also tested upon a shift to high temperature ($60^{\circ}C$). There was no distinct change in pH between sterile and non-sterile feeds after the temperature shift. L. plantarum and S. cerevisiae could not survive at the high temperature, whereas B. subtilis displayed normal growth, and it inhibited the growth of contaminant microbes. Fungal growth was not observed in non-sterile feed 2 days after supplementation with B. subtilis. Therefore, heat resistant B. subtilis could be safely used in feed bins to inhibit microbial contamination, even at high temperatures. The prevention of elevated temperature in feed bins is necessary for the utilization of L. plantarum and S. cerevisiae during the summer season.

      • KCI등재

        말 분변을 이용한 주스박의 in vitro 발효 특성

        황원욱,김겸헌,임정호,우제훈,박남건,김수기,Hwang, Won-Uk,Kim, Gyeom-Heon,Lim, Joung-Ho,Woo, Jae-Hoon,Park, Nam-Geon,Kim, Soo-Ki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7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7 No.4

        본 연구는 바실러스, 효모 그리고 유산균으로 발효한 다양한 주스박들과 말 분변을 첨가한 in vitro 발효 시험을 통해 pH, 건물 분해율, 암모니아성 질소, 가스 발생량, 휘발성 지방산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주스박 첨가에 따른 발효액의 pH의 범위는 6.4~7.1로 미생물 발효에 의한 소화가 정상적으로 나타났다. 48시간 후 발효액에서 $10^9CFU/m{\ell}$ 정도 미생물이 증식함에 따라 사용한 주스박들이 장내 미생물에 의한 소화작용에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건물 분해율은 배양 12시간 이후부터 증가하여 48시간째에 사과박 39.19%, 포도박 38.22%, 당근박 37.02%, 감귤박 36.2% 그리고 혼합박 34.35%로 나타났다.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는 배양 12시간까지는 전 처리구에서 $1.5mg/100m{\ell}$의 수준이었으며 배양 24시간 이후부터 급격히 증가하였다. 가스 발생량은 혼합박이 가장 낮았으며, 배양 12시간 이후부터 급격히 증가하였다. 총 VFA는 배양 24시간부터 증가하여 48시간에 가장 높았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발효 주스박은 말 in vitro 소화과정에서 적정 pH를 유지하면서 건물 분해가 진행되었고 말의 맹장과 대장에서 섬유소 분해 미생물의 작용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hanges of pH, dry matter digestibility (DMD), $NH_3-N$ concentrate, gas production and volatile fatty acid (VFA) through in vitro fermentation by adding horse feces to various juice pomaces fermented with Bacillus, yeast and lactic acid bacteria. The pH range of fermented fluid with juice pomaces was 6.4-7.1, indicating that the digestion by microbial fermentation was normal. Juice pomaces adopted will be helpfully used to assist with digestion by microbes in intestines because approximately $10^9CFU/m{\ell}$ microbes were grown after 48 hours in fermented fluid. DMD rate gradually increased from 12 hours. It was 39.19% in pomaces of apple, 38.22% in grape, 37.02% in carrot, 36.2% in citrus and 34.35% in mixture respectively after 48 hours. $NH_3-N$ concentrate was not changed significantly as it was maintained at $1.5mg/100m{\ell}$ level in the entire treatment group from beginning of fermentation until 12 hours, but increased rapidly from 24 hours. Amount of gas produced was lowest in the mixture and increased rapidly after 12 hours. Total VFA increased from 24 hours and was highest at 48 hours. It was suggested that dry matter digestion was processed while fermented juice pomaces kept proper pH during in vitro digestion, and cellulose degrading microorganisms could act actively in the caecum and colon of hors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