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범죄와 호신술의 연관어 분석

        김건희 한국치안행정학회 2024 한국치안행정논집 Vol.21 No.1

        현대사회는 급변하고 있으며, 범죄는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다양한 범죄의 위협 속에서 호신술은 개인이 스스로 신변안전을 지키는 방안이 될 수 있으며, 신체의 단련 뿐만 아니라 마음을 단련시켜 범죄에 대한 두려움 및 불안감을 낮출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범죄+호신술’을 키워드로 최근 10년간(2013.1.1.~2023.12.31.)의 빅데이터를 수집해 네트워크 분석, CONCOR 분석, 감성 분석을 시행하였고 이를 통해 범죄 속 호신술에 대한 대중의 인식과 관심도를 파악해 호신술 발전을 위한 초석을 마련하고, 앞으로의 호신술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네트워크 분석결과, 교육, 여성, 대상, 범죄예방, 안전, 예방, 강의, 범죄도시 등의 빈도순으로 연관어가 나타났으며, 교육, 대상, 안전, 여성, 범죄예방 순으로 동시 출현빈도가 높았다. CONCOR 분석 결과, 가장 많은 수의 단어가 군집해 있는 그룹은 필요성 및 방법이 있었고, 다음으로 예방 교육 및 대상, 범죄도시, 추천 순으로 그룹이 군집되었다. 감성 분석결과, 긍정키워드가 부정키워드보다 17.6% 많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감성단어 워드 클라우드 분석을 통해 좋다, 추천, 불안, 안심, 무섭다, 울다, 특별하다, 원하다, 걱정하다, 어렵다 등의 단어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범죄예방을 위해 여성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호신술 교육이 새롭게 마련될 필요가 있고, 각종 영화나 매스컴을 통해 호신술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더욱 노출될 필요가 있다. 둘째, 호신술은 물리적 신변 위협상황에서 매우 중요한 대응수단이 될 수 있다. 셋째, 현재보다 더욱 흥미를 유발해 대중의 관심을 이끌 수 있는 호신술의 이미지를 만들 필요가 있고 불필요한 거부감을 줄이며, 어렵고 힘든 호신술 보다 직관적이고 효율적으로 쉽게 배울 수 있는 호신술 개발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수집해 범죄와 호신술을 모두 포함하는 텍스트 데이터를 연구함으로써 앞으로의 호신술 관련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호신술 발전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변화되는 현대사회의 범죄에서 발전된 호신술이 좋은 대응 방안으로 자리매김하길 기대한다. Modern society is changing rapidly, and crime is constantly occurring. Amid the threat of various crimes, self-defense can be a way for individuals to protect their own personal safety, and it can act as a factor that can lower fear and anxiety about crime by training the mind as well as physical training. Therefore, in this study, big data from the last 10 years (20131.1.1.2023.12.31) was collected using the keyword "Crime + Self-Defense," and network analysis, CONCOR analysis, and Sentiment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this, we tried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elf-defense technology and provide basic data by grasping the public's perception and interest in self-defense technology in crime. As a result of network analysis, education, women, targets, crime prevention, safety, prevention, lectures, and crime cities were found in the order of frequency, and the frequency of simultaneous occurrence was high in the order of education, target, safety, women, and crime prevention. As a result of the CONCOR analysis, the group with the largest number of words had necessity and method, followed by preventive education and target, crime city, and recommendation. As a result of emotional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positive keywords were 17.6% more than negative keywords, and through emotional word cloud analysis, words such as good, recommendation, anxiety, relief, scary, crying, special, want, worry, and difficult were confirmed.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prevent crime, systematic self-defense education for women needs to be newly prepared, and self-defense needs to be further exposed in a positive direction through various movies and media. Second, self-defense can be a very important countermeasure to personal threats. Third,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image of self-defense that is more interesting than the present, reduce rejection, and develop self-defense techniques that can be learned more intuitively and efficiently than difficult and difficult self-defense techniqu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llects vast amounts of data, studies text data containing both crime and self-defense techniques, provides basic data for future self-defense-related research, and draw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elf-defense techniques. It is hoped that self-defense skills developed from crimes in the diversified modern society will establish themselves as a good countermeasure.

      • KCI등재

        디지털 시대 저작권법상 저작재산권 제한 내용 검토

        김건희 한국저작권위원회 2022 계간 저작권 Vol.35 No.4

        Copyright law continues to change its contents according to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media technologies, which have also been changing the form of use of works protected by copyright law. This is results from the digital transformation; most of the content including copyrighted works are changed into digital forms. Just as the Printing Revolution in the past brought the era of reproduction, it leads to the era of transition to the ‘Digital’ Revolution. As one of phenomena of transformation, the form of using copyrighted works is changing from downloading for the long-term use to streaming for temporary use. Of course, while digitized works are mainly used online rather than offline, the current copyright law has a large number of provisions based on the traditional/classical use of works. Copyright infringement in online space can bring more complex problems than expected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Despite the new technologies used in the online space, our copyright law does not provide an appropriate answer to whether the use of copyrighted works constitutes an infringement or whether the interests of copyright holders and users are reasonably balanced. There is a gap between reality and law, where various uses of digitized works matter, and this paper will look at copyright limitations in consideration of using digital content, which has become common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The Korean Copyright Act basically stipulates the rights conferred on copyright holders, while exercising those rights of copyright holders is restricted for securing rights of users who use works. The history of copyright law is nothing but a history of constant tug-of-war between rights holders and users, and we should examine whether the current copyright limiations are undertaking appropriate functions in the digital era for the purpose of balancing between rights holders and users. Although they are largely divided into limitations for the public interest and limitations for user convenience (private interest), the purpose of the user convenience will eventually contribute to promote access and use of works and lead to the improve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reviewing fair use (Article 35-5 of the Copyright Act), copyright law is ultimately characterized as a law for cultural development, and it is on its way to adapt itself to the rapidly changed environment of content consumption in response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Rather than simply adjusting profits on the premise of the conventional confrontation structure of ‘rightsholder versus user’, it is necessary to keep in mind that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subjects surrounding the efficient use of digital works is well understood and controlled. In the reality in which the possibility of copyright infringement is increasing when using digital works, copyright limitations do not seem to balance users and rightsholders. Ultimately, when digital content users use works, it will be necessary for copyright limitations to make clear the scope and contents of practically permissible use in more details. 저작권법은 매체 기술 발전 과정에 따라 그 내용의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또한 매체 기술의 발달은 저작권법에서 보호하고 있는 저작물의 이용 형태도 변화시켰다. 디지털 시대, 콘텐츠는 대부분 디지털 형태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과거 인쇄 혁명으로 복제 시대에 진입하였듯이, 디지털 혁명으로 전송 시대로 변하였다. 전송의 방식으로 소유를 위한 다운로딩에서 이용을 위한 스트리밍으로 이용 형태가 바뀌고 있기도 하다. 디지털 형태의 저작물은 당연히 오프라인보다 온라인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지만 현재 저작권법은 오프라인에서의 저작물 이용에 기반한 내용들이 많다. 온라인 공간에서의 저작권 침해 행위는 디지털 기술 발달로 예상보다 더 복잡한 문제를 가져올 수 있다. 온라인 공간에서 활용되는 새로운 기술에도 불구하고, 우리 저작권법은 저작물의 이용이 저작권 침해가 되는 것인지 나아가 저작권자와 저작물 이용자의 이익 균형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해답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온라인상 저작물 이용이 많은 현실과 법 사이 괴리가 있는 것인데,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해 흔해진 디지털 콘텐츠 이용 시 고려되는 저작권 제한 조항에 대한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 저작권법은 기본적으로 권리자인 저작권자가 가지는 권리에 대해 정하는 한편, 저작물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권리를 위하여 저작권자의 권리를 제한하는 내용을 정하고 있다. 저작권법의 역사는 권리자와 이용자 사이의 끊임없는 줄다리기의 역사라고 보아도 무방할 정도로 두 주체 사이는 긴장감이 흐르고 있는데, 이러한 저작재산권 제한 규정이 권리자와 이용자 사이의 균형을 잡기 위한 내용으로 디지털 시대 적절한 기능을 다하고 있는지 검토해본다. 크게 공익을 위한 저작재산권 제한, 그리고 이용자의 편의(사익)를 위한 저작재산권 제한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지만, 이용자의 편의를 위한 목적도 결국 이용자의 접근과 이용을 원활하게 도모하여 결국 더 많은 문화유산을 생산하여 문화 산업의 향상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함일 것이다. 한편, 저작재산권 제한의 일반조항으로서 Fair Use(저작권법 제35조의5)에 대해서도 검토한 결과, 저작권법은 궁극적으로 문화 발전을 위한 법이고, 문화 콘텐츠는 예전과 달리 기술 발전에 따른 대응으로 콘텐츠 형식과 이를 이용하는 형태가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저작권법상 저작재산권의 제한 내용도 시대에 맞게 달라져야 할 것이다. 단순히 종래의 ‘저작권자 대 이용자’의 대립 구조를 전제로 이익을 조정할 것이 아니라 나아가 디지털 저작물의 효율적 이용을 둘러싼 다양한 주체 상호간 복합적 이해 조절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디지털 저작물 이용 시 저작권 침해 가능성도 더욱 높아지고 있는 현실에서 저작재산권을 제한하는 것만으로는 이용자와 저작자 사이의 균형을 잡을 수는 없을 것이다. 결국, 디지털 콘텐츠 이용자들이 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콘텐츠별 이용허락의 범위와 내용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색(色)을 활용한 노인의 인지장애 예방 및 관리 방안 고찰

        김건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8 조형미디어학 Vol.21 No.1

        The explosive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has caused a surge in geriatric diseases and the interest in cognitive impairment has been increasing. Cognitive impairment represented by dementia is a progressive, degenerative, and irreversible characteristic of a pathological condition deviating from normal aging process, and prevention and early detection are the best since the current treatment method is not developed. The main symptoms of dementia are cognitive decline and emotional and personality changes, so far cognitive treatment has been managed to keep the residual function to the maximum in the direction of minimizing the dependence on daily life. However, due to limitations of the application of the previous interventions, the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using color has been reported in recent years in search of various prevention and management measures. The color is input to the visual field of the brain and it is confirmed that it is effective for the elderly whose cognitive function is lowered due to the brain damage or brain lesion through activation of the brain function through the high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in the visual area. In addition,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suggest that it is also effective in preventing dementia before the occurrence of cognitive impairment. Conclusionally, color usage for the elderly living in the community could prevent cognitive impairment an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m by enabling successful aging without deterioration of cognitive function. 노인인구의 폭발적인 증가는 노인성 질환의 급증을 초래하였고, 질병 특성상 인지장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치매로 대표되는 인지장애는 정상 노화과정에서 벗어난 병리적 상태로 진행성, 퇴행성, 불가역성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치료법이 개발되어 있지 않아 예방 및 조기 발견이 최선인 상태이다. 치매의 주요 증상은 인지기능 저하와 정서 및 성격 변화로 지금까지는 인지치료, 일상생활의존성의 최소화 등 잔존 기능을 최대한 유지하는 방향으로 관리가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적용의 제한성으로 인해 최근 다양한 예방 및 관리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가운데, 색을 활용한 미술치료방법의 효과성이 보고되고 있다. 색은 시각을 통해 뇌에 입력되며 시각영역에서의 고도의 정보처리과정을 거치므로 뇌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통해 뇌손상이나 뇌병변에 따라 인지기능이 저하된 노인에게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나아가 인지장애가 발생하기 전 치매 예방에도 효과적이라는 선행연구결과를 종합해볼 때,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건강한 노인에게 색을 활용한 인지장애 예방 방안을 적용한다면 인지기능 저하 없는 성공적인 노화를 성취할 수 있도록 하여 노년의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ADHD 교육 관련 국외 연구 동향

        김건희,여진아,이선영,오재분,서인순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7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of ADHD education related research from 2011 to 2015. Based on the selection criteria, a total of 133 papers were analyzed, and the subjects and research subjects of each research method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ADHD education related researches were most active in 2011 and 2012.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survey research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of all studies, followed by experimental research. Research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a variety of subjects, an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mainly on the characteristics of ADHD and the knowledge and awareness of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study, about half of the teaching / learning strategies for ADHD children took place, and most of th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methods used in based on schools and homes. In the experimental study, most of the studies related to the ADHD participants were conducted, and the studies related to the teachers and parents were three. In the literature research were more in the characteristics of ADHD than others, and the topics of literature research varied from school counselor, medication, teaching strategy, and intervention strateg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it is more important to be conducted in the research in what ADHD is and how students with ADHD should be taught. Also, it is important to be more interested in how to teach students with ADHD in collaboration between school and home. 본 연구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국외에서 발표된 ADHD 교육관련 연구동향을 알아 본 것이다. 선정 기준에 따라 총 133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도별 연구동향과 연구방법별 연구주제 및 연구대상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ADHD 교육관련 연구는 2011년과 2012년도에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 면에서는 조사연구가 전체 연구의 절반이상을 차지했으며, 다음으로는 실험연구가 많았다. 조사연구의 경우 다양한 주제에서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주로 ADHD의 특성과 교사들의 지식이나 인식과 관련된 연구들이었다. 조사연구 80편 중 교사나 부모를 대상으로 한 경우는 17편(21%)이었다. 실험연구의 경우에는 ADHD로 진단받은 학습자들을 위한 교수/학습전략 부분의 연구가 약 반 정도를 차지하였다. 실험연구의 연구대상은 ADHD 당사자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문헌연구의 경우 ADHD의 특성을 주제로 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많았으나, 학교상담사, 약물치료, 교수전략, 중재전략 등 다양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면, ADHD에 대한 이해를 한층 높이기 위한 다양한 연구 방법이 모색되고 교수/학습 전략과 관련된 연구 등으로 연구주제를 다양화 하는 한편, 교육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부모나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를 더욱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자기조절력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유아기에서 학령기까지를 중심으로 -

        김건희,허명진,박병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2

        본 연구는 지금까지 발표된 자기조절력과 관련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이 분야에서 앞으로 어떤 방향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발표된 자기조절력에 관련된 문헌 108편 중 학령기까지를 연구 대상으로 한 논문 108편을 최종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발표연도와 연구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대상 논문들은 연구 방법에 따른 형태를 조사연구, 실험연구, 문헌연구로 나누어 졌다. 조사연구는 연구 주제, 연구 대상, 연구 대상자 수에 따라 나누어 분석하였고, 실험연구는 독립변수, 연구 대상, 연구 대상자 수, 연구 기간에 따라 나누어서 분석하였으며, 문헌연구는 연도별, 목적별 그리고 제언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 방법 면에서는 주로 조사연구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조사연구의 주제는 부모와 관련된 연구가 많았고, 연구 대상은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다른 연구에 비하여 많았다. 실험연구에서는 신체활동 관련 프로그램 적용 실험연구가 많았으며 연구 대상은 주로 유아에게 상대적으로 집중되어 있었고 장애를 가진 유아나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3편 뿐이었다. 그리고 연구 대상자 수도 주로 31명에서 60명 사이가 많았다. 이러한 결과에 따르면 자기조절이 행동과 정서적인 면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연구 방법이나 연구 대상이 상당히 제한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향후 연구는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그 대상을 보다 확대하여 장애를 가진 유아나 학령기의 학생까지 나아가야 하며, 다양한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다각도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 청소년들의 알레르기성 비염과 근력운동빈도, 좌식시간 간의 연관성: 2016년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 활용

        김건희,박두용,이온,김연수 대한스포츠의학회 2019 대한스포츠의학회지 Vol.37 No.2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allergic rhinitis and frequency of muscular exercise and sitting time in Korean adolescents. Methods: We perform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calculate allergic rhinitis odds ratio (OR) and 95% confidence interval (CI) about frequency of muscular exercise and sitting time measured by questionnaires. Results: Students participating in muscular exercise over 5 days a week had lower OR than students not participating in muscular exercise (OR, 0.91; 95% CI, 0.84– 0.98), and the groups whose sitting time were 5 to 10 hours, 10 to 15 hours, over 15 hours had much higher OR than the group participating in sitting time less than 1 hour (5–10 hours: OR, 1.23; 95% CI, 1.05–1.44; 10–15 hours: OR, 1.34; 95% CI, 1.15–1.55; ≥15 hours: OR, 1.39; 95% CI, 1.19–1.63). Conclusion: We found that allergic rhinitis of Korean adolescents was associated with frequency of muscular exercise and sitting time.

      • 발달장애 학생의 SNS 활동을 통한 우정형성에 관한 연구

        김건희,이효신,배정혜,김지윤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4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SNS(Social Network Services) 활동을 통해 발달장애 학생들이 또래들과 어떠한 관계를 형성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 중 참여 관찰법을 사용하여 A광역시에 위치한 B특수학교 중등부 2학년에 재학 중인발달장애 학생 3명을 대상으로 2013년 8월부터 11월까지 4개월 동안 총 22회기 SNS 활동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또래와의 우정 형성에서 어려움을 보이던 세 명의 발달장애 학생들은 SNS 활동에서 또래에게 관심을 보였고, 함께 하는 것에 즐거움을 느꼈으며, 타인에 대한 친밀감을 표현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