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18세기 중엽 사노비(私奴婢)의 사회,경제적 성격 -경상도(慶尙道) 안동(安東) 김계리(金溪里) 의성금씨가(義城金氏家) 사례

        김건태 ( Kuen Tae Kim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1 大東文化硏究 Vol.75 No.-

        이 글의 목적은 비교사적 관점에서 조선후기 노비의 사회·경제적 성격을 규명해보려는 데 있다. 이를 위해 18세기 중엽 안동 금계리 의성김씨 노비들의 가족구성 형태, 식량조달 방법, 상전가에 대한 각종 의무, 부세납부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의성김씨가 노비들의 성격은 크게 2유형으로 분류된다고 볼 수 있다. 상전과 같은 마을에 거주하는 노비들은 성격이 거의 비슷하다. 생계유지 방법과 상전가에 대한 의무 사항이 다른 경우가 있지만 그 차이는 본질적인 것은 아니었다. 생계를 상전가에 의존하고 있었다고 하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그리고 상전의 의지에 따라 수시로 仰役과 使喚을 오갔기 때문에 이 또한 본질적 차이로 보기 어렵다. 이들은 국가에 부세도 납부하지 않았다. 한편, 상전 마을과 다른 行政里에 거주하는 노비들은 식량을 상전가로부터 보조받는 경우가 없었다. 그들은 자기가 농사지어서 확보한 곡물로 생계문제를 해결해야했다. 상전에게 신공을 납부할 의무가 있었는데, 奴의 신공은 양인남자의 군포와 그 성격이 흡사했다. 다만 婢도 상전가에 신공을 납부했기 때문에 노비들은 양인에 비해 좀더 많은 부담을 졌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은 국가에서 요구하면 언제든지 호적에 독립호를 구성하여 還穀, 요役, 雜役稅등을 상납해야만 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socio-economic nature of the late-Choson private nobi by adopting comparative perspectives. The late-Choson private nobi, living separated from the master`s household, was a private person subordinated to the master, and at the same time a public person assigned tax duties by the state. Because the state imposed the public duty on the private nobi unilaterally, the master could not remove it on his own. Thus, the public duty practiced by the nobi outside the master`s residence differentiates Choson Korean nobi from Western slave or serf. Defining Choson Korean nobi either slave or serf will lead to obscure the nature of that class. Even though Choson nobi, Western slave, and serf, all existed at bottom of society, differing historical circumstances like the ancient Greek and Roman societies, the European feudal societies, and the southern U.S. before the Civil War resulted in the differentiation of their socio-economic nature. Therefore, by identifying Choson nobi as either Western slave or serf, one may take risk of oversimplifying the diverse historical experiences in the East and West.

      • KCI등재
      • KCI등재

        조선 후기 호적대장 호구차정 원리 ― 언양현 가좌책을 중심으로

        金建泰 ( Kim Kuen-tae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0 大東文化硏究 Vol.110 No.-

        1875년 경상도 언양현 천소동 가좌책에서 원호의 경제력[노비보유, 가옥규모, 농우보유, 경작면적] 수준이 협호보다 낮은 사례를 다수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정부에서 배정한 직역자 수를 채우려면 元戶를 차정할 때 主戶의 신분을 먼저 따져야 했기 때문에 발생했다. 이렇게 호적대장 원호를 차정할 때 주호의 경제력은 부차적 요소로 작용했다. 조선 후기 호구정책은 경제력이 넉넉한 자연가뿐만 아니라 경제력이 열악한 자연가도 원호가 되고, 빈한한 자연가뿐만 아니라 부유한 자연가도 협호나 적외호가 되는 것을 용인하였다. 수령과 色吏들의 탐욕, 즉 조선 후기 지방관아의 부정부패 때문에 빈한한 원호가 호적에 등재된 것이 아니었다. 이 같은 호구정책은 호총이 갑자기 증가한 세조대 이후 정착되었다. 세조대 이후 군역자 폭증으로 군인의 사회적 위상이 추락하게 되자 양인 상층은 군역을 회피하게 되었다. 한편 양인 하층은 군역부담을 견디지 못해 몰락했고, 이는 15세기 후반 이후 노비증가의 주된 요인이 되었다. 이렇듯 세조대 이후 부유한 양인 상층이 적외호로 남고, 빈한한 양인이 원호[군역자]가 되는 현상이 구조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The Gajwachaek (an official document on the household and economic status of each region) of Cheonso-dong, Eonyang-hyeon in the Gyeongsang Province in 1875 displayed many cases in which the economic status of the registered household (wonho), such as their ownership of nobi or farming cattle and the sizes of their houses and farmland, was lower than the economic status of their subordinate household (hyeopho). This was because the social class of the actual household (juho) had to be considered before registering the wonho to meet the number of compulsory laborers set by the government. The records thus showed how the economic status of the actual household was secondary to registering the wonho for household registers. The census policy in the late Chosŏn dynasty made not only relatively wealthy families but also families lacking in economic power become registered households. The policy further allowed wealthy families, other than impoverished families, to be registered as hyeopho or jeokoeho. Impoverished wonho were not registered to the family register because of the greedy local governors and functionaries (saekri), that is, the corruption of the local governments in the late Chosŏn dynasty. Such census policy was set in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when there was a dramatic increase in the number of households. As the number of people who had to serve in the military increased sharply and the social status of the army plummeted after the reign of King Sejo, the higher peasant class began to avoid their military service. The lower peasant class, on the other hand, who were unable to overcome the burden of their military service collapsed, thereby resulting in a sharp rise in the nobi class in the late fifteenth century. Since the reign of King Sejo, the phenomenon of wealthy and higher ranking peasants being registered as jeokoeho and poor peasants becoming the wonho, thereby providing military service, became structuralized.

      • KCI등재

        이황(李滉)의 가산경영(家産經營)과 치산이재(治産理財)

        김건태 ( Kuen Tae Kim ) 퇴계학연구원 2011 退溪學報 Vol.130 No.-

        본고는 16세기 士族의 경제활동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나아가 주자성리학 확산의 사회경제적 배경을 해명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으려는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이황의 家書를 분석하여 전답집적, 노비증식, 농장경영에 쏟은 이황의 열정, 그리고 財物에 대한 그의 인식 등 사회경제활동, 나아가 經濟觀念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이황은 단순히 많은 노비와 전답을 소유하는 것에만 만족하지 않고, 농장경영도 효율적으로 하려고 했고, 노비신공도 적극적으로 수취했다. 재산증식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지만 무분별하게 재산을 모으려고 하지는 않았다. 15세기까지만 하더라도 농장경영에 적극성을 보인 사족들은 그다지 많지 않았다. 15세기까지만 하더라도 사족들 가운데 다수는 한양이나 지방의 邑治에 거주하면서 科田法 통해 많은 곡물을 수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이황처럼 농촌에 거주하면서 농장경영을 진두지휘한 사족은 그다지 많지 않았던 것이다. 이같이 사족들이 농촌에 거주하면서 地主的 학자로서 생활하게 된 것과 주자성리학 확산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주자성리학은 지주제를 근간으로 하는 새로운 향촌질서를 구축하려는 16세기 지주들의 이해관계를 옹호해주는 사유체계였던 것이다. The aim of this article revolves around economic activities of the literati which provide the clue to explore the socio-economic backgrounds on expansion of Chu Hsi`s Neo-Confucianism in the sixteenth century. To obtain this purpose, I analyzed the letters from Yi Hwang family enumerating the passions of Yi Hwang for aggregation fields and paddies, proliferation of Nobi, and Nongjang (agricultural estates). In addition, the letters gave opportunity to search for his recognition for the property based on socio-economic activities and a sense of economy as well. Yi Hwang was not simply satisfied with ownership of lots of the Nobi and fields and paddies, but he also tried to manage the Nongjang effective as well as to enthusiastically acquire Nobi`s fee paid to him (奴婢身貢). By the way, there were not so many literati in the fifteenth century paying much more attention to the management of the Nongjang as Yi Hwang did, because they mainly lived in Hanyang or in provincial Eupchi and received lots of the grains from the Rank Land Law. In other words, it was in the sixteenth century when the literati paid much more attention to the management of the Nongjang by themselves. The reason why the literati in the sixteenth century were inclined to live in rural area as a scholastic landlord was correlated with the expansion of Chu Hsi`s Neo-Confucianism in the whole area. It was likely that Chu Hsi`s Neo-Confucianism was the systematic thought to support the interest of the landlord who wanted to establish the villages in new order. Therefore, my finding in this article is that the existence of the scholastic landlords in rural area triggered the expansion of Chu Hsi`s Neo-Confucianism in all across the country.

      • KCI등재
      • KCI우수등재

        호적대장에 등재된 호구의 성격

        김건태(Kim Kuen-Tae) 한국사연구회 2006 한국사연구 Vol.132 No.-

        This study has reviewed the compiling process of the hojeok (household registers) through examining the appointing of duty persons and the principles for listing households. The study emphasizes a difference between social realities and their representations in the hojeok in the late Joseon Korea. In looking into social realities of the late Joseon, the hojeok should be used as a prism. In order to access to social realities of the late Joseon, we have to know how such a prism as the hojeok represents them. Just like a prism, the compiling principles for the hojeok functioned to deflect social realities of the time, the knowledge of which is critical to get real picture of the late Joseon society. There was certainly more than one way how natural households (yeonho) were registered as hojeok households(wonho). While the same members from natural household might be divided into different hojeok households, the same hojeok household included different members from natural households. Moreover, the exclusion of natural household members from the hojeok was contingent upon the needs of the time. And, it is incorrect to conclude that all infants were excluded from the hojeok, and that all males were included into the hojeok. Therefore, it is highly skeptical that family forms based on hojeok households correctly represent those of the late Joseon. In addition, the hojeok is misleading in providing real demographic data of the late Joseon Korea. The population size gained through a multiple of number of total hojeok households, or a multiple of averag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is not reliable, because the rate of registered population into the hojeok was never constant throughout the late Joseon periods. In fact, the age distribution in the Danseong hojeok varied considerably between the seventeenth, the eighteenth, and the nineteenth centuries.

      • KCI등재

        결부제의 사적 추이

        金建泰 ( Kim Kuen-tae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9 大東文化硏究 Vol.108 No.-

        결부제는 성립 이후 몇 차례 변화를 겪었다. 7세기에는 공물 수취와 요역 차출을 위해 노동력을 근거로 결부를 산출하였다. 이후 결부 산출 근거가 노동력에서 농지로 변했다. 고려전기에는 절대면적과 비옥도를 연동시켜 결부를 산출하도록 규정했다. 이러한 사실은 이전 시기에 비해 농업의 비중이 커지고 사회의 경제적 통일성이 진전되었음을 의미한다. 고려전기 결부제가 상대면적 체제에 기반을 두었지만 상·중·하등전의 결당 곡물 생산량과 곡물 수취량은 상이했다. 그같은 상황에서 정부는 공물을 활용하여 상·중·하등전의 결당 수취량을 동일하게 했다. 결당 곡물 수취량은 과전법 단계에서 동일해지는데, 이는 결당 생산량을 이념적 차원에서 통일시켰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조선후기까지 결당 생산량은 부세정책의 영향으로 지역에 따라 상이했다. 그리고 17세기 초까지도 결부제의 주된 기능은 여전히 노동력을 징발하는 데 있었다. 즉 결부 수에 근거하여 부과한 공물이 부세의 중심을 차지했던 것이다. 대동법 실시로 결부제는 또 한 차례 변화했다. 결부제의 주된 기능이 토지세를 수취하는 것으로 바뀌었는데, 이때부터 결부는 토지세를 의미하는 또 다른 표현이 되었다. The Kyul-bu system has changed several times since its establishment. In the 7th century, the amount of yield to be collected was calculated on the basis of labor in order to collect tax-in-kind and enforce labor services owned to the country. Afterward, the basis for calculation changed from labor to farmland. During the early Goryeo period, the Kyul-bu system was calculated by considering both the absolute land area and its level of fertility. This implies that agriculture had become more important and that economic integration had progressed compared to the previous era. While the Kyul-bu system was based on relative terms of the land during the early Goryeo period, the level of output differed depending on the land classification. The amount of yield taken per land became unified under Gwajeon-beop, which meant that the productivity of the different land classifications became theoretically on a par. However, until the late Choson period, the required level of output varied regionally under the influence of the taxation policy. Furthermore, up until the early 17th century, the main function of the Kyul-bu system was still to enforce labor. In other words, the tax-in-kind based on the area of land was the main source of tax. The Kyul-bu system was yet again change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Daedong-beop. Under this circumstance, the main function of the Kyul-bu system was to collect land tax, and from this time onwards became synonymous with tax imposed on lan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