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선종사상의 표현특성을 적용한 조경문화 연구

        김개천(Kim, Kai-Chun),하혜(Xia, Hui)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0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2 No.1

        This paper discusses the problems which should be paid attention to in landscape architecture design. The landscape design is particular about the ideal condition under the Eastern zen thought influence. the so-called ideal condition referring to is the poem, painting, drama and botanical garden, using the artistic technique which displays the creativity, unity of virtue and reality. To display the vitality of universe or the true life meaning profoundly, thus causes the body of aesthetic appreciation"s surmounting perception and being syncretized with nature, and immediately sublimating to a extensive space of artistic condition. Therefore, this article adopts "the ideal condition" to explore the the true meaning of the Eastern historic garden design . Thus obtains the high coordination with nature which manifests "the unity of human and nature" boundary, and takes specially neutral, amiable, contains and the pursuit of deep beauty; Moreover, in the layout and the spatial processing manifests the meaning of the Zen thought, pursuing the unification between man-power and the nature, solemn and implicit, standardized and diversified, even between the principle and the sentiment. All these characteristics make the Japanese classical garden design delicate, graceful, comfortable and applied, and which make it famous for the rich bright felling of rhythm and the unique national artistic feature of style worldwide.

      • KCI등재
      • KCI등재

        니콜라 부리오의 확장된 관계미학적 관점으로 본 현대전시 공간특성

        햇빛 ( Kim Haetbit ),지은 ( Kim Jieun ),김개천 ( Kim Kaich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3

        (연구배경 및 목적) 프랑스 출신의 전시기획자이자 비평가인 니콜라 부리오는 이전의 이론으로 설명될 수 없는 과정적이고 참여적인 1990년대의 새로운 예술 경향을 ‘관계미학’이라는 개념을 제시하여 설명하였다. 고도의 자본주의 사회를 배경으로 인간 상호작용을 중요시하던 이론은 30년이 지난 현재에서 기술의 발달과 인간에 의해 영향을 받는 생태환경을 배경으로 그 의미가 확장되었다. 인간 간의 관계를 비인간을 포함한 관계로 확장한 관계미학의 상생적 성격은 예술 실천의 장소로 공동체를 형성하는 현대전시 공간에서의 상호작용성과 공통된 맥락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연구는 예술이 사회적 문제에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탐구를 통해 확장된 관계미학의 관점으로 현대 전시공간을 바라보고 그 특성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 연구와 선행 연구를 통하여 확장된 관계미학의 성격을 도출하였고, 현대전시의 다양한 흐름이 반영된 사례를 통해 현대전시 공간에서 나타나는 내재적 특성을 도출한다. 각각 도출된 특성 언어의 의미를 연계하여 종합된 의미의 최종 언어를 도출하고 확장된 관계미학적 관점으로 본 현대전시 공간의 특성으로 추출한다. 추출된 특성을 선정된 사례분석에 대입하여 적합성을 검증하고 변화하는 사회에서 전시공간이 매개하는 상생의 방향을 제안한다. (결과) 이 연구의 결과, 확장된 관계미학적 관점으로 본 현대전시 공간의 특성은 ‘자유로운 교환’,‘불안정한 연결’,‘필연적 공존’으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특성은 상생을 목적으로 현대전시 공간이 상호작용성을 어떠한 방식으로 생산하는지 분석되었다. 초월성, 혼합성, 추상성, 독자성, 수행성, 잠재성의 6가지의 관계 생산 특성과 이것을 대입한 사례분석을 통해 ‘상호작용성’이 대상 간의 관계를 확장 시켰지만, 공간 특정성에서는 비교적 자유롭지 못하다는 한계를 발견하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전시공간의 특권적 지위는 예술의 특수성에 의해 부여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예술 현장을 기획하는 작가의 의도와도 무관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결론) 이러한 관점으로 바라본 전시공간은 확장된 관계미학의 배경이 되는 사변적 실재론에서 이야기하는 ‘모든 존재의 동등한 지위’와 는 완전히 부합되지 않는 특권적 지위를 갖게 되지만 궁극적으로 상생을 목적으로 하는 지위와 의도는 예술의 예외적 특권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예술 실천의 장소인 전시공간이 변화하는 환경과 인간이 공존하는 연결점이 되길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A French exhibition planner and critic Nicolas Bourriaud suggested the concept of Relational Aesthetics to explain a new intermediate and participatory art tendency in the 1990s which can’t be explained with old theories. Theories that have focused on human interactions in the advanced capitalist world 30 years ago have expanded their meaning to the ecological environment that is affected by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human beings in modern days. The coexisting characteristics of Relational Aesthetics that expands the relation between human beings into the relation including non-human objects have common context in the mutual interaction of contemporary exhibition space that forms communities as an art practice place.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seeing the modern exhibition space with the expanded viewpoint of Relational Aesthetics and understanding its characteristics through the exploration of the role of arts in social problems. (Method) It extracted the Implicit characteristics of expanded Relational Aesthetic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preceding research. It also extracts the specialties that appear in contemporary exhibition space through examples that reflect various trends of contemporary exhibitions. Then it extracts the final language of integrated meaning in connection with the meaning of each extracted characteristic language. Then it understands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exhibition space with the viewpoint of expanded Relational Aesthetics. It proves the adequacy by introducing the extracted characteristics into the selected example analysis and suggests the method of coexisting that connects the changing society into an exhibition space.(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exhibition space viewed by the perspective of expanded Relational Aesthetics are free exchange, unstable connection and essential coexistence. The extracted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o see how the contemporary exhibition space produces the interaction for the purpose of coexistence. It applied transcendence, mixture, abstractness, uniqueness, practice and potentiality and example analysis after using the six relational production characteristics and found that relational interaction expanded the object relation but they were not relatively free in space specifics. It was understood that the privileged status of exhibition space is endowed by the specialty of art and not related to the intention of an artist who plans an art area.(Conclusions) From this viewpoint,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exhibition space has privileged status even if it isn’t completely equal to all things that are discussed in speculative realism which is the background of expanded Relational Aesthetics. But the status and intention targeting ultimate coexistence is an exceptional privilege of art. It is expected the exhibition space for the practice of art becomes a connection point of coexistence of the environment and human beings.

      • KCI등재

        뉴미디어의 확장된 신체성으로 본 리테일 브랜딩 공간 상호작용

        햇빛 ( Kim Haetbit ),이선정 ( Lee Sunjung ),김개천 ( Kim Kaich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5

        (연구배경 및 목적) 1990년대 이후 컴퓨터와 뉴미디어의 본격 등장은 디지털 복제와 인터넷 네트워크의 가상 이미지가 현실을 지배하는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새로운 시작을 알렸다. 이러한 시대에서 뉴미디어는‘기호’가 아닌‘감각’을 통해 상호작용하면서 신체성이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 잡는다. 또한,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소비문화는 상업적이고 피동적인 구매 활동이 아닌 긍정적이고 참여적인 활동으로 인식하면서‘소유’보다‘경험’이 중요시된다. 이에 뉴미디어와 리테일 브랜딩 공간을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커다란 시대적 맥락 안에서 이해하였으며,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변화하는‘신체성’이라는 공통점으로 통합할 수 있음을 포착하였다. 본 연구는 뉴 미디어 환경에서 개념이 확장된 신체성의 관점을 통해 리테일 브랜딩 공간을 바라봄으로써 신체와 공간의 상호작용으로 신체와 공간을 새롭게 인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뉴미디어, 리테일 브랜딩 공간, 신체성의 선행연구 분석과 문헌 조사를 통해 변화하는 각각의 관점과 특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이후 뉴미디어의 특성을 통해 현대 사회에서 신체 성의 의미를 파악하였고 개념을 확장한다. 확장된 신체성을 기본 전제로 이를 리테일 브랜딩 공간과 연계하여 상호 관계적 특성 을 도출한다. 도출된 상호 관계적 특성에서 공간 분석을 위한 뉴미디어 공간 특성을 최종적으로 도출하고 리테일 브랜딩 공간의 구성요소와 결합하여 뉴미디어가 적용된 리테일 브랜딩 공간의 분석틀로 제시한다. (결과) 이 연구의 결과, 뉴미디어의 특성을 통해 확장된 신체성을 ‘타자론적 신체’, ‘사이보그적 신체’, ‘시뮬라크르적 신체’로 명명하여 신체성에 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다. 확장된 신체성과 리테일 브랜딩 공간을 상호 관계적 특성으로는 ‘이미지 주체’, ‘이질적 접합’, ‘감각의 침입’ 을 도출하였고, 이러한 특성에서 공간 분석을 위한 뉴미디어의 공간 특성으로 ‘가상성’, ‘탈경계성’, ‘혼합성’, ‘확장성’, ‘흡수성’, ‘유동성’이 최종 도출되었다. (결론) 이러한 뉴미디어의 확장된 신체성으로 본 리테일 브랜딩 공간의 상호작용은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의 사회·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생성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 내용은 기술적 환경과 접합하여 확장을 시도하고 있는 신체성의 개념을 리테일 브랜딩 공간에 나타나는 뉴미디어의 공간 특성으로 분석하는데 의미가 있으며, 공간에 적극적으로 적용되는 뉴미디어를 통해 공간이 공간 사용자와 자유롭게 상호작용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full-fledged appearance of computers and new media since the 1990s proclaimed a new beginning of the postmodernism, in which digital reproduction and virtual images of Internet networks dominate reality. In this era, physicality becomes an important concept as new media interact through “sense” rather than “taste”. In addition, the consumption culture after postmodernism is recognized as a positive and participatory activity rather than a commercial and passive purchasing activity, and 'experience' is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ownership'. Accordingly, the space for new media and retail branding was understood within the context of a large period of postmodernism, and it is thought that it can be integrated into the common point of 'physicality' which is changing since postmodern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newly recognize the body and space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 body and space by looking at the retail branding space through the perspective of bodily nature in which the concept is expanded in a new media environment. (Method) This study conducted theoretical review on the changing viewpoints and characteristics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of new media, retail branding space, and physicality, and literature research. After that,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new media, the meaning of physicality in the modern society was identified and the concept was expanded. Based on the basic premise of extended physicality, inter-relational characteristics are derived by linking them with the retail branding space. From the derived inter-relational characteristics, the new media space characteristics for spatial analysis are finally derived and combined with the components of the retail branding space and presented as an analysis frame for the retail branding space applied with new media.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a new perspective on physicality was proposed by naming the extended physicality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new media as 'a typological body', 'cyborg body', and 'simulacre body'. Interactive characteristics of the expanded physicality and retail branding space were derived as 'image subject', 'heterogeneous junction', and 'expansion of sensation', and from these characteristics, 'virtuality' ‘de-boundary’, ‘mixing’, ‘extensibility’, ‘absorbency’, and ‘fluidity’ were finally derived as spatial characteristics of new media for spatial analysis. (Conclusions) The interaction of the retail branding space, seen through the expanded physicality of this new media, was created to satisfy the socio-cultural needs of a rapidly changing era. The analysis content o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the concept of physicality, which is attempting to expand in conjunction with the technological environment, a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new media appearing in the retail branding space. Through new media that are actively applied to the space, It is expect to interact freely with users of spac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