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북한의 핵실험과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

        김강녕(Kang-Nyeong Kim) 한국통일전략학회 2006 통일전략 Vol.6 No.2

        본 연구는 북한의 핵실험과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최근 북한의 핵실험(2006. 10. 9)과 핵개발의 추이, 러시아의 동북아 및 한반도 정책, 북한핵실험과 러시아의 인식·대응 등을 분석한 후 결론을 도출해보았다. 소련은 1948년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을 수립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1948년 유엔한국임시위원단이 북한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막은 것도 소련이었다. 처음부터 구소련은 북한의 긴밀한 동맹국이었고 북한은 구소련의 안보를 지키는 완충지대가 되었으며, 소련의 군사적·경제적 원조를 받아 전 한반도에 지배를 확대하려고 했다. 그러나 고르바초프의 신사고 외교에 의해 소련의 대북한 외교는 커다란 변화를 겪게 되었다. 북한은 끝내 국제적 설득과 압력을 무시한 채 핵실험을 강행했다. 국제사회의 요구와 경고에는 귀를 닫고 자신의 일정표에 따라 움직인 것이다. 러시아는 기본적으로 한반도 비핵화는 접경국으로서의 이해뿐만 아니라 핵강대국으로서의 이해에도 부합된다고 보고 있다. 러시아는 북핵문제가 6자회담 틀내에서 대화와 협상을 통해 해결되는 것을 선호하고 있다. 북한에 실험용 원자로 및 핵기술을 제공한 바 있는 러시아는 북한의 핵실험과 관련해서 북한도 잘못했지만 북핵문제의 또 다른 당사자인 미국도 잘못했다는 양비론을 펴고 있다. 러시아는 구소련 붕괴 후 유일 초강대국이 된 미국과의 관계설정에 있어서 미국의 세계정치의 지도적 역할에 대해 국익과 부합되는 경우 ‘편승’(강한 편과 제휴)하고, 국익과 충돌하는 경우 ‘균형’(약한 편과 제휴)하는 ‘편승과 균형’의 전략을 유연하게 구사하고 있다. 러시아는 북한의 핵실험이후에도 변함없이 ①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유지, ② 한국과의 경제교류를 통한 실익 추구, ③ 북한에 대한 영향력 복원, ④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 확보 등과 같은 기존의 한반도 정책을 추진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푸틴정부의 대북정책은 북한의 개혁·개방정책 추진 속도와 북한 핵문제해결을 위한 6자회담의 진전 여부에 영향을 받으면서 발전될 것이나, 제한적 수준에서나마 양국간 제반분야 협력증진노력은 지속될 것이다. 향후 북핵과 관련해서는 러시아 역할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북한핵문제 해결을 위한 6자회담과 미국의 대응방향이 관심의 초점이 될 전망이다. 중국, 일본 및 한반도와 영토가 맞닿아 있는 러시아는 한반도의 안보와 통일문제와 관련되어 있어 우리의 지속적인 관심과 협력을 유도하기 위한 정책적 대응이 요구되는 주요국가들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한미공조, 국제공조, 남북공조 등의 조화를 모색해 나가면서 우리가 당면한 북한 핵위기를 전화위복(轉禍爲福)시킬 수 있는 해법을 마련하는 일에 중지(衆智)와 역량(力量)을 모아야 할 때이다. This paper is aimed at examining North Korea's Nuke Test(October 9, 2006) and Russian policy toward Korean peninsula. North Korea’s nuclear problem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will influence the future of the Korean peninsula and impact on the entire Northeast Asia. As an occupying power after World War II, a close ally of neighboring North Korea for over four decades, and now a country enjoying good relations with both North and South Korea, Russia has significant economic, political, and strategic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 For over four decades, the Soviet Union had an essentially 'frozen' policy on the Korean Peninsula ― firmly backing Pyongyang. But beginning with Mikhail Gorbachev's dramatic foreign policy reforms in the late 1980s, Moscow's polic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has undergone major changes. North Korea announced on October 9 that it has successfully conducted an underground nuclear test, ignoring repeated warnings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announcement of the test came just three days after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warned the North that the action could lead to severe consequences. Russian reaction to North Korea's Nuclear Test has been realistic, gradualistic, and unequivocal. Russia absolutely condemns the test in North Korea, which has inflicted great damage to the non-proliferation process, also urging Pyongyang return to the Six Party Talks. We have no way of property confronting North Korea’s nuclear provocation, and there is no guarantee that Pyongyang will succumb to the pressure of international community and dismantle its nuclear weapons in the near future. If we can solve it properly, new era of cooperation and reciprocity will be open in the Northeast Asia. It is time to solidify a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 U.S., Russia, and other peace-loving nations to dismantle the North Korean nuclear weapons.

      •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군사적 보장: 현황과 과제

        김강녕 ( Kim Kang-nyeong ) 한국접경지역통일학회 2021 접경지역통일연구 Vol.5 No.1

        본 논문은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군사적 보장의 현황과 과제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군비통제의 개념·유형·기능, 남북간 군사적 긴장완화 및 신뢰구축, 한반도 평화체제·군비통제·교류협력과 군사적 보장,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를 위한 군비통제적 주요과제를 살펴본 것이다.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군비통제 및 남북교류협력은 군사적 보장(뒷받침)이 요구되는 사안이다.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군비통제적 주요과제는 ① 상시적 소통채널의 확보, ② 포괄적 군비통제와 협력안보에 의한 한반도 상호안전보장체제 구축, ③ 비무장지대 평화지대화 조성을 위한 군사적 대책강구 등으로 요약해 볼 수 있다. 한국군은 강하고 튼튼한 공조적·자조적 군사안보력을 바탕으로 평화를 지키고 평화를 만들어 나감으로써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정착을 힘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노력해 나가야 한다. 우리정부는 4.27 판문점선언과‘9.19 평양선언’과 부속‘9.19 군사합의’의 이행·확대발전을 위해 한반도 평화프로 세스를 촉진·재활성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to analyz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tasks based on military guarantees for the persistent establishment of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To this end, the paper is composed of 6 chapters titled introduction; definitions, types, and functions of arms control; easing military tensions and building trust between the two Koreas; peace regime, arms control, exchange and cooper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nd military guarantees for them; and conclusion. Peace regime, arms control, exchange and cooper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re issues that require military guarantees. Major arms control challenges(future tasks) for the persistent establishment of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include arms control tasks for establishing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s follows: ① securing a permanent communication channel, ② establishing a mutual security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comprehensive arms control and cooperative security, and ③ strengthening military measures to create a peace zone in the DMZ(Demilitarized Zone). The ROK’s military should make efforts to support the permanent settlement of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by protecting peace and creating peace based on strong cooperative and self-help military security. Our government should promote and revitalize the peace process on the Korean Peninsula to implement and expand the April 27 Panmunjom Declaration, the September 19 Pyongyang Declaration, and the attached September 19 Military Agreement.

      • 지정학의 주요이론과 한국에의 함의

        김강녕 ( Kim Kang-nyeong ) 한국군사학회 2022 군사논단 Vol.111 No.-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main theories of geopolitics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ROK. Geopolitics is a combination of geography and politics. Major theories of Anglo-American classical geopolitics include A. Mahan’s theory of sea power, H. Mackinder’s theory of continental power(heartland theory), and N. Spykman’s theory of rimland. German geopolitics, which led to F. Ratzel(organic theory), R. Kjellen(first use of geopolitical terms), and K. Househopper(concept of living space), was criticized for providing a cause for World War II and almost disappeared as a postwar study. Then, after the rise of critical geopolitics in the 1980s, geopolitics revived in the 1990s. The revival of geopolitics contributed to the phenomenon analysis from a geopolitical point of view, including H. Kissinger’s ‘The Theory of Power Balance’(1994) S. Huntington’s ‘The Clash of Civilization’(1993), Z. Brezinski’s ‘The Grand Chess Board’(1997) and R. Kaplan’s ‘The Revenge of Geography’ (2012). Like major countries, the ROK should seek and promote geopolitical development strategies suitable for Korea in relation to geographical space. Geopolitical development strategies suitable for Korea include: ①overcoming the passive world view of ‘the destiny of the peninsula,’ ②strengthening national power as an important geopolitical power in East Asia, and ③establishing geopolitical theory suitable for the ROK and training experts. The vision of the ROK’s geopolitics, that is, complex geopolitics based on increasing national interests such as national security and economic prosperity,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후보

        안보환경의 변화와 국가안보전략

        김강녕(Kang-nyeong Kim) 성신여자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2015 국가와 정치 Vol.21 No.-

        본 논문은 안보환경의 변화와 우리의 군사안보적 대응과제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반도를 위요한 안보정세의 변화, 박근혜 정부의 국가안보전략, 군사안보적 대응전략의 순서로 살펴본 후 결론을 도출해 본 것이다. 북한은 만성적인 경제·식량난에도 불구하고 핵·미사일 개발과 대남 적화전략을 포기하지 않고 있다. 특히 동북아는 21세기 세계 정치·경제의 중심으로 부상하고 있으나 역사 인식과 도서·해양영유권 문제를 둘러싸고 역내 국가 간의 갈등이 증대되고 있다. 오늘날 세계 안보환경은 전통적인 군사적 위협이 상존하는 가운데 초국가적·비군사적 위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세계 경제위기가 장기화되면서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이러한 안보환경 속에서 세계 각국은 자체 안보역량을 강화하는 동시에 평화와 안정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동참하는 등 상호 협력과 견제를 병행하고 있다. 우리 군은 대한민국의 발전을 튼튼한 안보로 뒷받침해왔다. 한미군사동맹은 지난 60여 년 동안 북한의 군사적 위협을 억제하는 동시에 동북아 지역의 안정에도 크게 기여해왔다. 한국의 군사안보적 대응책은 크게 ①확고한 국방태세 확립과 미래지향적 방위역량 강화, ②한미전략동맹 발전과 국제안보협력 증진으로 요약해 볼 수 있다. 향후 몇 년간은 세계, 동북아, 한반도에서의 안보환경이 급격히 변화될 가능성이 높으며, 우리 국민 모두가 하나로 단결하여 확고한 안보태세를 갖추어야 할 중요한 시기가 될 것이다. 우리 군은 대한민국의 수호자이자 세계 속의 강군으로서 한반도의 평화를 굳건히 지키고, 세계평화에 기여할 수 있는 선진강군 육성을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changes in security environment and ROK's strategies. To this end, the paper is composed of 5 chapters titled introduction, Park Geun-hye Administration’s national security strategies, changes in security environment surrounding Korean Peninsula, ROK's military security strategies, and conclusion. Despite chronic economic crises and food shortages, North Korea is relentlessly pursuing nuclear and missile development while maintaining an adversarial strategy towards the ROK. Although Northeast Asia is emerging as the political and economic center of the world in the 21st century, tensions in the region are increasing over disparate interpretations of history, and sovereignty over islands and territorial waters. Today’ global security environment is becoming ever more complex with the continued presence of traditional military threats coupled with an increase of transnational and non-military threats, against the backdrop of a prolonged global economic downturn. In such an environment, states are strengthening their national security while simultaneously supporting international efforts towards peace and stability. In fact, they are cooperating with other states but at the same time treating them as competitors. The ROK Armed Forces have supported Korea's growth by guaranteeing the continuation of unequivocal security. The ROK-U.S. Alliance has deterred North Korea’ military threat for the past60 years and concurrently contributed greatly to the stability of Northeast Asia. ROK's major military security strategies are as follows: (1)Robust defense posture and establishing future-oriented defense capabilities, (2)Development of ROK-U.S. strategic alliance and promotion of international security cooperation.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security environment of the Korean Peninsula, Northeast Asia, and the world will rapidly change over the next few years. As the guardian of the ROK and as a global military force, our Armed Forces should strive to become a advanced military that upholds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contributes to similar efforts on the international stage.

      • KCI등재

        탈북자의 인권침해실태와 보호방안

        김강녕(Kang-Nyeong Kim) 한국통일전략학회 2006 통일전략 Vol.6 No.1

        본 논문은 최근 국내외적으로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탈북자의 인권침해 실태와 보호방안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재외 탈북자는 중국, 러시아, 몽골, 구소련, 동남아 지역국가 등에 분포되어 있지만, 중국에 거주하는 재외 탈북자가 대다수이다. 재외 탈북자의 체류유형을 보면 여성이 탈북자 4분의 3이상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들 여성 중 절반 정도가 중국남성과 동거형태로 생활하고 있고 인신매매조직에 이끌리어 오게 된 여성도 적지 않으며 남성들의 경우는 노동력이 귀한 오지지역의 벌목공 또는 탄광광부로 거래되는 사례가 발견되고 있다. 재외 탈북자들은 불법체류자 또는 인신매매대상으로서 성적 착취, 매춘, 강제노동 및 서비스, 노예상태에 준하는 행태 등으로 인권유린을 당하지만, 송환시에는 노동단련형, 노동교화형, 무기노동교화형, 사형(주로 인신매매범, 절도범의 경우) 또는 재산몰수형 등의 처벌을 받게 됨으로써 절박한 환경에서 살아가고 있다. 탈북자의 처벌은 1995년 이전에는 탈북자를 정치범으로 간주하여 정치범수용소에서 특별 관리하고 가족들도 통제구역으로 강제이주조치 취하다가, 1995~1998년 기간에는 9·27 구호소(꽃제비 수용소)에서 일정기간 수용 후 석방하는 등 탈북자에 대한 처벌이 완화되었으며, 1998년 이후 중국 등으로 국경이동 북한주민의 급격한 증가와 북한의 경제난으로 사회질서가 이완되면서 탈북자 및 국경이동 북한주민에 대한 처벌이 초기에 비해서는 현저히 약화되었나 본질적으로 개선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아무리 불법이주자(undocumented migrant)라 할지라도 생명권, 노예 및 강제노동금지, 고문 및 비인도적인 처우금지, 사생활 보호권, 이동의 자유, 사상 및 종교의 자유, 표현의 자유 등 기본적인 인권을 침해당하지 않을 권리는 가지고 있는 것이다. 탈북자문제 등 인권문제는 누구든지 문제를 제기하지 않으면 개선되기 어려운 사안이다. 한국정부는 중국 등에 있는 탈북자가 난민협약 당사자가 되도록 노력하고 국내입국탈북자가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는 한편, 근본적으로는 북한의 인권상황을 개선하여 삶의 질 향상을 통해 탈북자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하는데도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할 것이다. 동독주민의 자유와 인권신장문제에 일관되게 역점을 두어온 것이 동독의 민주화를 부추겼고, 이것이 결국 통일로 이어지게 한 독일의 사례를 타산지석(他山之石)의 큰 교훈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The research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s of human rights violations and protective plans for North Korean refugees. The violation of North Korea's human rights is not the problem of a specific state but worldwide problem. Recently the number of refugees from North Korea has grown rapidly. They have suffered from the violations of human rights during staying in China or other countries in the process of escaping from North Korea. In China, the irregular status of undocumented North Korean women contributes to their vulnerability to sexual exploitation, including trafficking into forced marriage, the sexual industry, as well as voluntary and quasi-voluntary arranged marriages. Of course, numerous refugees have stayed very long in those areas. They are placed in adversity and very bad surroundings. Tens of thousands of irregular North Koreans living in China continue to be vulnerable to exploitation and abuse. They have no protection from the authorities in either China or North Korea, and there is a little recognition of their plight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Leaving North Korea without permission is a criminal offence that can carry the death penalty, so deportation has very serious consequences. Those who come to the attention of the Chinese authorities are forcibly repatriated to North Korea where they will detained and may be subjected to forced labour and torture. There are countless testimonies beatings, tortures, deregarding treatment, and even forced abortions and infanticide from those who have escaped. In North Korea, there are severe deprivations of human dignity and freedom. The human rights' problem of refugees from North Korea is originated from very miserable conditions of the fundamental human rights in North Korea. The success of adaptation of refugees in South Korea means to be able to become the preliminary South-North integration model. Korean government should establish and carry out the multilateral plans for human rights protections of the refugees from North Korea. Korean government should join hands with variou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persuade Chinese government to be the party to an agreement for North Korean refugees, to solve the problem of them. And especially, Korean government should begin to bargain with North Korean government under the principle of reciprocity to develop the infringement of fundamental human rights in North Korea.

      • 임진왜란의 전황과 교훈에 관한 연구

        김강녕 ( Kang Nyeong Kim ) 조선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8 서석사회과학논총 Vol.1 No.1

        이 글은 `임진왜란의 전황과 교훈에 관한 연구`이라는 주제 하에서 임진왜란이 어떠한 배경과 원인 하에서 어떻게 침략이 이루어지고 우리의 의병과 수군 및 조명연합군 등이 어떻게 막아냈으며, 한국과 동북아정세에 어떠한 결과와 영향을 미치게 되었는지 임진왜란의 전황(戰況)을 고찰하고 그것이 주는 전쟁사적 의미와 교훈(敎訓)을 분석해본 논문이다. 임진왜란은 1592(임진년)~1596년과 1597(정유년)~1598년 양차에 걸친 왜군의 침략으로 일어난 조명연합군과 일본간의 7년 전쟁을 의미한다. 흔히 1597년에 일어난 정유재란을 포함해서 말한다. 임진왜란은 근대무기(화약병기)로 무장한 대량의 군대가 참여한 아시아 최초의 지역전쟁으로 아시아사에 미친 영향은 매우 크다. 임진왜란은 조선의 관군과 의병, 일본의 도요토미 히데요시(豊申秀吉)의 군대, 그리고 명의 원군(援軍) 사이의 싸움으로서 직접 전쟁터가 된 조선은 물론, 일본 및 명(明)에 대해서도 정권의 붕괴, 왕조의 변경을 초래한 중대한 영향을 미친 전쟁인 까닭이다. 왜군(일본군)의 침략으로 일어난 임진왜란이라는 국난을 당하여 우리 겨레는 침략자에 대항하여 싸웠다. 각지에서 일어난 의병과 다시 편성된 관군, 그리고 이순신이 이끄는 수군의 용전과 명군의 도움을 받아 마침내 외침을 극복하였다. 일본은 임진년에 이어 정유년에도 재침했지만 결국 조명연합군 반격과 군비강화로 강화로 수세에 몰린 왜군의 상황, 재기용된 이순신(李舜臣)의 활약과 도요토미의 병사(病死) 등으로 인해 왜군은 북상을 포기하고 1598년 11월 26일 본국으로 총퇴각을 함으로써 7년전쟁인 임진왜란은 일단 종결되었다. 하지만 오늘날에 있어서도 임진왜란이 주는 전쟁사적 의미와 교훈 또한 결코 작지 않다. 임진왜란은 동아시아 삼국의 통일 왕조가 모두 화약무기로 무장하고 정면 대결했던 최초의 전쟁일 뿐만 아니라 일본과 명나라라는 2국가의 왕조의 교체를 가속화시킬 정도로 엄청난 결과를 미친 대규모 전쟁이었다는 점, 그리고 조선의 의병들이 보여준 유격전술은 세계적으로 효시를 기록했다는 점, 임진왜란과 같은 전쟁이 되풀이 되어서는 안된다는 교훈 등도 함축하고 있는 까닭이다. 임진왜란은 엄청난 전란의 피해로 민족적 자존심이 크게 손상되기는 했으나 전 민족이 일치단결해 국난을 슬기롭게 극복함으로써 어떠한 외침도 물리칠 수 있다는 민족적 자신감과 저력을 잘 보여준 전쟁이었다. 임진왜란에서 우리가 승리할 수 있었던 요인은 ① 우리 민족의 잠재역량의 우월성, ② 문화적 우월감에 가득 찬 자발적 전투 참여 의식, ③ 대포와 함선 기술의 우수성 등으로 요약해 볼 수 있다. 임진왜란은 우리의 전쟁영웅들의 순국정신과 온 국민의 의병정신으로 이룩해낸 승리의 전쟁으로서 의미를 지니며, 국방에 있어서는 군사력과 군사혁신 등이 예나 지금이나 매우 중요한 요인임과 우리안보에 있어서 일본이 중요한 변수임을 잘 가르쳐 주고 있다. 임진왜란 이후로도 일본은 한일합방에 의한 국권강탈, 한국의 역사왜곡, 독도도발 등의 제2, 제3의 왜란의 행태를 보여온 것이 사실이다. `평화를 원하거든 전쟁에 대비하라`는 말처럼, 오늘을 사는 우리는 한일우호협력관계를 위해 노력하면서도 역사적으로 임진왜란이 주는 유비무환(有備無患)의 교훈을 깊이 되새기고 안보와 관련해서 그 대비책을 강구해 나가는 일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Two Japanese invasions of Korea and subsequent battles on the Korean Peninsula took place during the years 1592-1598. The Japanese invasions were Asia`s first regional wars involving massive armies equipped with modern weapons. This paper is to analyze Imjin War(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is study deals with primarily the military situation of Imjin War and its lessons. In the late 1500s, a warlord named Toyotomi Hideyoshi rose to power in Japan. Having succeeded in imposing his rule on the whole country, Toyotomi was in search of new worlds to conquer. He sent envoys to Korea to reopen relations, were suspended due to incessant incursions by Japanese pirates. Toyotomi`s message also contained a demand that Korea give free passage the Japanese army in their invasion of China. Korea, committed to good relations with Ming China, rejected the Japanese demand, and Toyotomi invade Korea with 200, 000 troops in the spring of 1592. Korean defenders heroically resisted the aggressors. But the heavily outnumbered and unprepared forces were no match for the Japanese troops equipped with muskets, a weapon totally new to Koreans. Seoul fell within three weeks of the beginning of the invasion. King Sonjo and the royal princes flied to the northern provinces and appealed the Ming China for aid. Meanwhile, as Japan generals squabbled among themselves, Admiral Yi Sunsin conducted a brilliant series of operations in the Korean Strait, destroying numerous Japanese ships. The iron-clad "turtle boats" Admiral Yi invented were more than a match for anything then afloat. The triumphant Japanese were soon fighting a combined Ming Chinese-Korean Army. Cut off from suppliers and reinforcement by Admiral Yi, the Japanese generals began to lose confidence. A Korean volunteer army(an army in the cause of justice) in the southern provinces harassed them with guerrilla tactics, while disease and malnutrition took further tolls. Peace negotiations began between the Ming general and the Japanese, who had lost the will to fight and had began to retreat, stalked by volunteer peasant forces and contingents of Buddhist monks. Negotiations dragged on for five years, until Toyotomi again sent his army in 1597. This invasion encompassed only Kyongsangdo and of the Chollado provinces. They soon retreated before the volunteers, and began evacuating upon the death of Toyotomi. Admiral Yi was killed in his attempt to smash the Japanese retreat during a climactic naval battle. The war ended at last, with grave impact upon Korea, Ming China and Japan. Both the Korean land and people were devastated by the Toyotomi Invasions. Many artisans and technicians were taken by the retreating Japanese, and arable land was only one-third of the prewar acreage. Japan, on the other hand, achieved a peaceful, centralized feudal society under Toyotomi`s successor, Tokugawa Ieyasu. The importation of neo-Confucianism and the study of Korean medicinal materials and therapy helped Japanese scholars mak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ir society. Moveable metal type expedited book printing and Korean artisans captured by Japanese army developed ceramic and textile products. After the Tokugawa takeover, Japan sought peaceful relations with Korea to benefit further from Korea`s adaption of Chinese culture. For Ming China, the results of the Toyotomi invasion were catastrophic. The economic setback suffered in the campaign led to the collapse of the dynasty. Imjin War was gives us very important lessons. It teach us that our national power and the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 are very important in our national defense. We should keep in mind the universal lesson of history that we have to prepare for war if we really want peace. Today`s leaders of Korea need to learn from Admiral Yi`s traits, styles, values, personalities, attitudes, and achievements.

      • KCI등재
      • 9.19 군사합의의 의의, 이행평가 및 향후과제

        김강녕 ( Kim Kang-nyeong ) 한국접경지역통일학회 2021 접경지역통일연구 Vol.5 No.2

        본 논문은 9.19 군사합의의 의의, 이행평가 및 향후과제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9.19 군사합의의 개념·내용·의의, 북한 대남정책 동향과 9.19 군사합의 이행현황, 9.19 군사합의 3년 이행평가, 그리고 우리의 향후과제 및 대응을 살펴본 것이다. 9.19 군사합의는 2018년 남북정상이 합의한 ‘판문점선언’의 군사분야 이행합의서로서 그 의의는 ① 남북간 군사적 긴장완화 및 신뢰구축에 실질적 기여, ② 한반도 비핵화 및 남북관계 발전을 위한 추동력 제공, ③ 한반도 항구적 평화정착을 위한 국민적 공감대 형성 등으로 정리해 볼 수 있다. 동 합의는 한반도 군비통제의 가능성을 보여준 담대한 출발로서 6.25전쟁 정전이후 군사적으로 가장 진전된 합의로 평가되고 있다. 9.19 군사합의의 이행평가는 크게 긍정적·고무적 측면과 부정적·미흡적 측면으로 분석·종합해 볼 수 있다. 9.19 군사합의 3년을 평가해 본 결과, 동 합의와 관련하여 풀어야 할 향후과제는 다음과 같이 ① 합의이행의 정상화, ② 합의위반행위 시 적절한 대응조치, ③ 북한의 파기운운 위협 시 의연한 자세 등으로 요약해 볼 수 있다. 남북의 새로운 합의체결 노력도 중요하지만 기존합의 준수노력이 더 중요한바 검증·이행방안 강구에 힘써 나가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analyze the significance of the September 19 inter-Korean military agreement, its implementation evaluation, and future tasks. To this end, the concept, content, and significance of the September 19 military agreement, the trend of North Korea’s policy toward South Korea, the statu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September 19 military agreement, the implementation evaluation of the September 19 military agreement, and our future tasks and responses were examined. The September 19 military agreement is a military implementation agreement of the ‘Panmunjom Declaration’ agreed by the leaders of the two Koreas in 2018, and its significance is ① to contribute substantially to easing military tension between the two Koreas and building trust, ②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develop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③ to form a national consensus for the establishment of lasting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The agreement is a bold start that showed the possibility of arms control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s evaluated as the most advanced military agreement since the Korean War. The evaluation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September 19 military agreement can be analyzed and synthesized in both positive and encouraging aspects and negative and insufficient aspects.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three-year September 19 military agreement, the future tasks to be solved in relation to the agreemen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① normalization of the agreement, ② appropriate countermeasures in case of violation of the agreement, and ③ a determined attitude in case of North Korea’ s threat of destruction. Efforts to conclude a new agreement between the two Koreas are also important, but efforts to comply with the existing agreement are more important, so efforts should be made to supplement verification and implementation meas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