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2세 영아의 수학 관련 사교육 현황 및 어머니 인식

        김갑순,김민정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1 한국교육문제연구 Vol.29 No.1

        This study was observed to see mothers' understanding of their young children's mathematics education and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At young children's age, they usually start to show their mathematical concept and problem solving. Two hundred fifty-four mothers who have 2 years old and live in Seoul and GyungGi were sele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mothers had an understanding that necessary education for 2 years old is the development of intellect and knowledge including art and mathematics. The time for teaching Mathematics was recognized before 3 years old. The mothers had very rare experience of private education for Mathematics at the age of 2. The mothers of 2 years old understood that their roll in mathematics education of their young children is important so they were willing to teach their young children by themselves. However, mothers from low income or high income households were less willing to teach their young children mathematics by themselves compared to middle income household mothers. Through these studies, it is expected to understand of the current status and guidance difficulty on mathematics education including young children's Mathematics education necessity and contents recognition. 본 연구는 수학 개념과 수학적 문제해결 능력이 발아하기 시작하는 영아기의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수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현황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만 2세 영아의 어머니 25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변인별 차이는 있으나, 2세 영아기에 필요한 교육은 예능과 수학을 포함한 인지개발이라고 인식하고 있으며, 수학교육의 적기는 만 3세 이전으로 인식하고 있어, 만 2세 영아의 경우 수학에 대한 사교육 경험은 거의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2세 영아 어머니들은 자녀의 수학교육에 있어 어머니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고 직접 수학교육을 할 의지도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저소득의 경우나 고소득의 경우 직접 수학교육을 할 의지는 중간소득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영아기 수학 교육의 필요성 및 수학교육의 내용에 대한 인식은 물론, 수학 교육의 실태 및 지도의 어려움 등에 대한 실태를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 KCI등재

        어린이집 자율장학의 현황 및 요구도 : 근무기관유형과 교육경력에 따라

        김갑순,김민정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0 幼兒 敎育學論集 Vol.14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effective plans for voluntary supervision by examining different types of child-care centers, teachers’ experiences through observing current status and demands of the child-care teachers' voluntary supervision. For this study, the survey was operated 299 employees of 64 different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he Kyung Gi reg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for 'Current Status on Practice' showed that national and public child-care centers more often practiced voluntary supervision than private child-care centers did. Reading and discussing related books were preferred. The voluntary supervision practiced more often to the more experienced teachers but their participation showed less. They wanted teaching practice methods for the voluntary supervisio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ypes of voluntary supervision and participation frequency between experienced and less experienced teachers. In terms of 'Demanding Frequency on the Voluntary supervision', the majority of the teachers wanted to use lectures from outside speakers or workshops about twice a year. The common answers were that their heavy workloads required improvement to be able to activate the voluntary supervision. On the other hand, teachers at national and public child-care centers had the frequency difference compared to teachers at private child-care centers?The teachers who were less experienced at national and public child-care centers evaluated themselves through their teaching and utilizing related books and then expected outcomes from children. However, teachers who were more experienced came to rely on outside speakers, related knowledge or theories instead. 본 연구는 어린이집의 유형과 교사의 교육경력에 따른 자율장학의 현황과 자율장학에 대한 요구를 살펴봄으로써, 효과적인 자율장학의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 어린이집 64곳의 보육교사 2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실시현황’에 있어, 국공립이 민간에 비해 자율장학을 더 빈번하게 실시하고 있으며 형태에 있어서도 서적을 읽고 토의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경력이 높아질수록 더 자주 자율장학 실시하지만 참여 빈도는 낮으며, 자율장학을 통해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내용을 알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자율장학의 형태나 1회당 참여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율장학에 대한 요구도’에 있어서는 다수의 교사들이 연 2회 정도 외부 강사의 강의나 워크숍을 원하고 있으며, 과중한 업무를 개선해야 자율장학이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공통적으로 응답하였다. 또한 국공립 어린이집 교사들은 민간 어린이집 교사들에 비해 희망 실시 횟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력이 낮을수록 자신의 수업에 대한 평가나 참고서적을 활용하고 유아평가에 대한 내용을 기대하는 반면, 고경력자는 외부 강사의 강의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지고, 관련 지식이나 이론에 대한 요구도가 높아지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 부산지역 중학생들의 점심 도시락 실태에 관한 연구

        김갑순,이정숙 한국식품영양학회 2002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15 No.4

        본 연구는 남녀 중학생을 대상으로 식생활 태도, 영양지식, 일상 생활 태도, 점심실태 및 영양섭취 실태와 어머니의 영향과의 상관관계를 조사 · 분석하고자 부산시 6개 지역의 남녀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 및 실측법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영양지식 점수와 식생활태도점수는 남학생과 여학생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영양지식과 식생활 태도의 상관도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지식의 분포는 남학생의 경우 poor가 10.6%, fair 38.2%, good 42.5%, excellent 8.7%이었으며, 여학생은 poor 4.1%, fair 31.6^, good 52.1%, excellent 12.2%이었다. 식생활 태도는 모두 good-fair-excellent-poor 순으로 분포를 보였다.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도시락 지참횟수가 많은 것으로 (p<0.05) 나타났고, 영양지식과 식생활태도에 따라 도시락 지참횟수에 유의적인 차이 (p<0.001)를 보였으나, 어머니의 직업 유무, 어머니의 학력, 월식생활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점심을 통한 영양소 섭취 실태를 보면, 인과 비타민 C를 제외한 나머지 영양소들은 일일 영양권장량의 1/3수준에 미치지 못했으며, 특히 칼슘은 13 ~ 14.1%, 비타민 A는 17.9% ~ 19.2%, 철분 19.3 ~ 19.6% 으로 부족 정도가 심각했다. 각 영양소 섭취량은 서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영양지식이나 식생활 태도와는 상관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시락 지참횟수와 에너지 섭취량, 인의 섭취량이 유의적인 상관을 보였고, 식생활태도가 좋을수록 도시락 지참횟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점심도시락을 싸오지 않는 이유로는 가지고 다니는 것이 귀찮아서 (17.6%), 싸주지 않아서 (11.2%), 사먹는 것이 맛이 있어서 (10.3%), 먹기 싫어서 910.3%) 등으로 나타났다. 점심을 싸오지 않았을 때는 점심으로 친구도시락을 나누어 먹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분식이나 빵을 사 먹는 경우도 있었지만 굶는 학생도 5.4%나 되었다. 조사대상자의 62.3%가 편식습관을 보였고, 아침을 늘 먹지 않는 학생이 9.5%, 꼭곡 챙겨먹는 학생은 52.6%이었으며, 결식 이유는 시간이 없어서 (39.9%) 먹기 싫어서 (17.6%) 식사준비가 안되서 (3.7%) 다이어트 (2.3%) 등이었다. 따라서 성장과 건강유지를 위한 식품과 영양에 대한 바른 정보를 제공하여 정확한 영양지식을 습득케하고, 올바른 식생활을 유도할 수 있는 체계적인 영양교육을 제공하고, 또한 가정에서도 적절한 영양관리 및 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영양관리 및 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점심 도시락만으로는 부족한 영양소를 충분히 보충시켜줄 수 있는 다양한 식단과 학교급식이 하루 발리 시행되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lunch of the boy's and girl's middle school students in Busan.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5 to September 30 in 2002. It was reveale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scores measuring the knowledge in nutrition and the eating habit between male students and females , 10.6% of the male students scored poor in the knowledge in nutrition, 38.2% fair, 42.5% good and 8.7% excellent respectively while 4.1% of the female students scored poor in the same area, 31.6% fair, 52.1% good and 12.2% excellent respectively. The biggest number of both group of students scored good in their eating habit, the second biggest fair, the third biggest excellent and the least scored poor. Female students were reported to bring their lunch more than the male students do (p<0.05). And there was a significantly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ringing lunch according to their knowledge in nutrition and their dietary attitude (p<0.001), but whether mothers have jobs or not,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or monthly expenses for food didn't seem to make any differences. The intakes of nutritional elements except phosphorus and vitamin C are lower than RDA. The ratio of intakes of nutritional elements from lunch was 13 ~ 14.1% of calcium, 17.9 ~ 19.2% of vitamin A and 19.3 ~ 19.6% of iron, showing a significant unbalance in nutritional intakes. Nutritional intakes had little relationship with the knowledge in nutrition and eating habit. The frequency of carrying lunch, energy intakes and phosphorus intakes had significantly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And the better the eating habit was, the more often the individual carried lunch.

      • KCI등재

        Evaluation of South Korean Energy and Environment Tax Policy based on Tax Principle

        김갑순,윤성만 한국조세연구포럼 2019 조세연구 Vol.19 No.4

        Energy and Environment Tax is used globally as a means of environment policy. Energy and Environment tax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driving force for the conversion to environmentally friendly energy. The basic tax principles considered in the design of energy and environmental taxation increases the efficiency of policy instru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South Korea’s energy and environmental taxation based on tax principles, namely, equity, efficiency, simplicity, flexibility, and accountability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improvement. This study applied a methodology that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such as reviewing existing literature and comparing energy and environmental taxes.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South Korea’s energy and environmental taxation is negative in terms of equity, simplicity, and accountability. South Korea’s current energy and environmental tax is regressive to income classes and complex tax structures and it does not objectively measure the impact of energy and environmental taxation. However, energy and environmental taxation is evaluated positively in terms of efficiency and flexibility because it meets the greenhouse gas reduction policy and operates a flexible tax rate.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reorganizing South Korea’s energy and environmental taxation. 최근 발전용 유연탄에 대한 개별소비세의 기본세율과 발열량에 따른 탄력세율을 지속적으로 인상하였고, 온실가스 배출권에 대한 부가가치세를 한시적으로 면제하고 있다. 특히, 현행 에너지 및 환경세제는 에너지원에 따라 개별소비세와 교통․에너지․환경세로 구분하여 과세하는 체계이다. 일반적으로 에너지 및 환경세제는 환경정책의 수단으로 전 세계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에너지 및 환경세제는 환경 친화적 에너지로 전환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세제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효율성만을 고려하는 경향이 있어, 기본적인 조세원칙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세원칙, 즉 형평성, 효율성, 단순성, 유연성 및 책임성에 기초하여 한국의 에너지 및 환경세제 체계를 평가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기존 문헌을 검토하고 에너지 및 환경세를 비교하는 등 정책적 의미를 제공하는 방법론을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에너지 및 환경세제는 형평성, 단순성 및 책임성 측면에서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행 에너지 및 환경세제는 소득계층과 복잡한 세금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에너지 및 환경세제는 온실가스 감축정책을 준수하고 탄력세율을 적용하기 때문에 효율성과 유연성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의 에너지 및 환경세제 체계를 개정하는 과정에서 기본적인 조세원칙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정책적 의미를 제공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