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잠재계층분석을 활용한 성인 학습자의 비형식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유형 및 영향요인 분석

        길혜지(吉惠芝),김민수(金?秀)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아시아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2016년에 조사된 KEDI 평생학습 개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만 25세부터 64세까지 성인의 비형식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양상을 이해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3,553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4가지 비형식교육 영역, 즉, 직업능력향상교육, 인문교양교육, 문화예술스포츠교육, 시민참여교육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응답을 활용하여 잠재계층분석을 실시하였고, 참여유형을 분류한 후에는 유형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통계를 분석한 결과, 비형식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수강한 성인 2명 중 1명의 비율로 직업능력향상교육에 참여하였고, 문화예술스포츠교육, 인문교양교육, 시민참여교육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잠재계층분석을 실시한 결과, 비형식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은 크게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직업능력추구형(44.0%)’, ‘여가문화향유형(31.7%)’, ‘자기계발형(21.2%)’, ‘사회기여추구형(3.0%)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능력추구형을 참조집단으로 하여 나머지 3개 유형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R3STEP으로 분석한 결과, 성별, 연령, 거주지, 취업상태가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4가지 참여유형 간 삶의 질 만족에 차이가 있는지 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형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가운데 직업능력추구형의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우리나라 성인의 비형식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양상을 이해하고 각 유형의 특성을 반영한 차별적인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non-formal lifelong education program participation of Korean adult learners from 25 to 64 years using 2016 Korean Adult Lifelong Learning Survey from KEDI. 3,553 adult learners with participating in the lifelong educational program like a vocational training program, liberal arts program, culture-sports program, and civic program, had been analyzed. After adult learners were classified using latent class analysis LCA), the factors affecting the participation type were identified.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one of the two adults who participated in the non-formal lifelong education program experienced with the vocational training. And participation of culture-sports program, liberal arts program, and civic program were high in the order. Second, adults learners grouped into 4 types regarding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like vocational ability-seeking type(44.0%), leisure-seeking type(31.7%), self development-seeking type(21.2%) and social contribution-seeking type(3.0%).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participation type by R3STEP, gender, age, residence, employment status were significant factors. Fin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individual background and life satisfaction among participation types, especially, life satisfaction of vocational ability-seeking type was lowest overall.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develop and operate non-formal lifelong education program considering adult learners characteristics by types.

      • KCI등재

        대학생의 수업 참여 경험이 대인관계역량에 미치는 영향

        길혜지(吉惠芝),강창혁(姜昌?),김상희(金相姬)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아시아교육연구 Vol.17 No.2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대인관계역량을 계발 •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대학 재학 중 수업 참여 경험뿐만 아니라 고등학생 시기 발현된 정의적 특성에 대한 분석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대인관계역량은 미래사회를 성공적으로 살아가기 위한 핵심역량으로서 중등 및 고등교육단계에서 공통적으로 강조되고 있으며, 발달적 관점에 근거할 때 고등학생 때 정의적 특성이 대학생이 되어서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에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학 입학 이후 4학년 때까지의 수업 참여 경험이 대인관계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잠재성장모형을 설정하여 종단 분석하였고, 고등학생 시절의 정의적 특성이 대학 신입생 때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수업 참여 태도는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변화하였으며, 신입생 초기 값과 변화율에는 개인차가 있었다. 그리고 대학 신입생 때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할수록 대학 졸업 시점에서의 대인관계역량이 높았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수업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대학생은 대인관계역량이 더욱 향상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 및 대학배경 변수 중 교육환경만족도, 학점, 부모학력, 수능성적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대학 신입생 때 수업 참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배경변수가 통제된 후에도 고등학교 시기에 발현된 정의적 특성, 즉, 내재적 동기, 타율적 동기, 자기효능감, 경쟁학습 선호 수준은 수업 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추가적인 설명량은 7.5%정도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university students" classroom engagement on interpersonal skills which emphasized as a core competence using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05 data. The longitudinal influences of students’ classroom engagement on interpersonal skills were analyzed with latent growth model. In addition, based on the developmental perspectives, this study analyzed with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how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from highschool period influences on the classroom engagement of freshme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classroom engagement of university students increased with advancing into higher grades and the higher freshmen engaged in the classroom activities, the higher the perceived interpersonal skills of the fourth grade students had. In addition, when moving on higher grades,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lectures actively might improve interpersonal skills more. Second, among context variables, satisfaction on education, GPA, parents" academic background,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score influenc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freshmen" classroom engagement positively. After controlling the context,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highschool students - intrinsic motivation, controlled motivation, self-efficacy, the level of competitive learning style preference - influences meaningfully on freshmen" classroom engagement and explains additional variance of 7.5%.

      • KCI등재

        4년제 대졸 직장인의 대학원 진학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길혜지(吉惠芝),백순근(白淳根),양현경(梁?勍),신은주(愼恩周)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아시아교육연구 Vol.19 No.2

        이 연구는 4년제 대학을 졸업하고 사회로 진출한 직장인이 대학원에 진학하고자 하는 이유를 확인하고, 개인과 직장 수준에서 어떤 특성들이 대학원 진학 의사를 결정하는 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12차년도 자료(2015년 조사)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분석대상은 2007년부터 2012년까지 기간 동안 4년제 대학을 졸업한 733명 중 임금 근로자인 476명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년제 대졸 직장인 중 15.5%가 대학원 진학 의사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 중 대다수가 관심분야를 공부하고 직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근무형태에 따라 대학원 진학을 희망하는 이유에는 특별한 경향성을 보이지 않았다. 둘째, 4년제 대졸 직장인의 대학원 진학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수준에서는 생계유지보다 자아실현 및 사회봉사를 목적으로 직업을 선택했거나, 경제적 성공을 위해 본인 노력보다 혈연, 학연 등 외적 요소를 중시하는 직장인이 대학원 진학 의사를 가질 확률이 더 높았다. 그리고 직장수준에서는 서울에 근무하는 직장인일수록, 업무와 전공일치도가 높을수록, 직장만족도가 높을수록, 업무만족도가 낮을수록 대학원 진학 의사를 가질 확률이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사회에 진출한 직장인들의 대학원 교육에 대한 새로운 수요 등을 고려하여 대학원 교육이 더 다양화·특성화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asons as to why those who hold bachelor’s degree are pursuing graduate study having joined a workforce and to figure out the effects of individual or job-related characteristics on entering graduate school. Using the 12th year (2015)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KEEP) data, 476 employed people’s responses out of 773 people with four-year college degree had been analyzed.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15.5% of employees with four-year bachelor’s degree showed a desire to pursue graduate study; their primary motive was to improve job skills and competency. Second, the reason for desiring graduate study did not differ by their job descriptions. Finally,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in the individual level, the people who whose job choice driven not by making a living but by a desire for self-actualization, the service to our society, and those who value human network over personal endeavors for their financial success are more likely to desire graduate study. In addition, those who work in Seoul, those whose job description matches with their undergraduate major, those who are more content with their job, those who are discontent with workplaces are more likely to pursue graduate study. These results suggest that graduate school education needs to be diversified and specialized regarding new demands for entering graduate schools of workers who have already had a job.

      • KCI등재

        중등 예비교사의 디지털 시민성 측정도구 개발

        길혜지(Hyeji Kil),박지민(Jimin Park)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23 핵심역량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중등 예비교사의 디지털 시민성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예비교사의 디지털 시민성 하위요인을 디지털 에티켓, 디지털 권리와 책임, 개인정보 보호와 보안, 안전과 웰빙,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온라인 정치 및 사회참여로 설정하였다. 예비문항 초안에 대해 중·고등학교 교사 11명에게 내용타당도를 검토받았고, 문항 선정을 위해 C도에 소재한 사범대학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구인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151명). 41개 예비문항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28개 문항을 선정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구성된 문항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디지털 시민성을 구성하는 6가지 하위요인이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측정문항에 대한 적절성 검토 결과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다변량분산분석을 통해 예비교사의 학년, 전공계열에 따라 디지털 시민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전공계열에서 디지털 시민성의 하위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중등 예비교사가 자신의 디지털 시민성을 성찰하여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교육적 경험으로 이어지는 데 도움이 되는 도구로서의 활용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asurement tool for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digital citizenship. For this purpose, based on literature review, 6 sub-factors were set as digital etiquette, rights and responsibilities, privacy and security, safety and well-being, media information literacy, and political and social participation. The content validity of the 41 draft items was reviewed by 11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o select the 28 final items by 151-pre-service teachers. As a result of confirmation factor analysis on 6 sub-factors of digital citizenship, it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valid and to have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In addition, a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6 sub-factors of digital citizenship by the grade and major of the preservice teachers,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the major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proposed to use it as a measurement tool for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to reflect on their digital citizenship.

      • KCI등재
      • KCI등재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에 따른 취학 전 아동의 문제행동 차이 분석

        길혜지,황정원 육아정책연구소 2017 육아정책연구 Vol.11 No.1

        Since the need for the gender equality grows as the number of women who work increases, this study conducted group classification that considers the parenting attitude of both father and mother using data of 1,099 six-year-old preschool children in the 7th year Panel Study on Korea Children(PSKC).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and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f the levels of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s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ir parents’ attitude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results of cluster analysis that explored the types of parenting attitudes indicated the following four main categories: strict father group (31.8%), neglecting mother group (23.5%), communicating parents group (22.9%), and passive father group (21.7%). The father and mother in Group 1 (strict father group) both formed a close relationship with children while father played the role to discipline the children. In Group 2 (passive father group), father took a very passive stance in form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children while mother controlled and managed children to a certain level. In Group 3 (neglecting mother group), mother showed a very low attitude toward children both in terms of compassion and controlling. Group 4 (communicating parents group) showed relatively low level of controlling while both mother and father showed affection toward children. Second, parenting attitude types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not only in the socioeconomic backgrounds such as parents’ education level, working status, and income level, but also in parenting related characteristics such as sharing child care and parenting stress. Finally, childrens’ manifestation of problematic differed with the types of parenting attitudes: level of problematic behavior was higher among the children raised in the neglecting mother group and passive father group, compared to other two groups. These results imply that parents should rear their children with affection, and discipline them when necessary, rather than neglecting their problems during their preschool years in order for the children to adapt well in later school life. Based on these results, education programs for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for both father and mother with pre-school children are expected to help the parents pay more attention to their children and guide their children in desirable directions. 본 연구에서는 최근 여성의 사회진출이 증가하면서 가정에서의 양성평등에 대한 요구 또한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한국아동패널 7차 년도(취학 전 6세 아동) 1,099명 자료를 활용하여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동시에 고려한 유형 분류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각 유형별 특성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더 나아가 부모의 양육 형태에 따라 아동의 문제행동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을 탐색하기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크게 4가지 유형, 즉 엄격한 아버지 집단(31.8%), 무관심한 어머니 집단(23.5%), 소통하는 부모집단(22.9%), 소극적인 아버지 집단(21.7%)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양육태도 유형별로 부모학력, 취업여부 및 소득수준과 같은 사회경제적 배경뿐만 아니라 양육분담, 양육스트레스와 같은 양육관련 특성에 있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에 따라 취학 전 아동의 문제행동 발현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무관심한 어머니 집단과 소극적인 아버지 집단에서 양육되는 아동의 문제행동 수준이 다른 두 집단보다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취학 후 아동의 원만한 학교생활 적응을 위해서는 무조건적인 방임보다는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의 애정을 기반으로 양육하되, 필요하다면 자녀를 훈육하는 태도가 요구됨을 보여준다.

      • KCI등재

        4년제 대학의 졸업 소요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과 대학교육 특성 분석

        길혜지,박성호,박미현 한국교육개발원 2018 한국교육 Vol.45 No.2

        Purpose: Concerns about a nation-wide labor loss caused by voluntary graduation delay has been ri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mpirically how undergraduate education and its student characteristics affect on duration for graduation in 4-year college. Methodology: Using the 2014GOMS data consisting of 9,676 students from 140 universitie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undergraduate programs and its student characteristics on the duration to complete a bachelor's degree by 2-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Findings: First, the students who actively explored their interests prior to entering college took a shorter time to complete their degree than others. Second, based on the basic model analysis, the differences in the duration for graduation were mainly explained by students’ characteristics, b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are also explained as 6.7%. As a result of the final model analysis, several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as having a positive impact in terms of the duration for graduation: gender(mal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major, double major, self-sufficient tuition payment, language training experience, taking off for the civil service exam or similar professional certification exams, job experience during undergraduate study, university location(metropolitan area), and overall employment rate. However,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having a negative impact: education major, the reason for selecting a major, GPA, household income, the number of certificates, and the size of college(small, middle). Value: This study suggests that universities must take an active role in offering students more opportunities to explore their interests and career aptitudes at the entry-level and expand consortium with industries so that students can establish a long-term career plan. 이 연구는 우리나라가 글로벌 금융위기를 잘 극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청년실업률이 높아지면서 졸업을 유예하는 4년제 대학생의 비율이 급증하는 현실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졸업유예를 개인 선택의 문제로만 바라볼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비용을 고려하여 대학교육의 책무성 측면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에, 2014GOMS 자료 중에서 4년제 대학 졸업생 9,676명과 이들이 졸업한 140개 대학의 자료를 활용하여 2수준 다층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졸업 소요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학 시 대학과 전공을 선택한 이유에 따라 졸업 소요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자신의 적성과 관심 있는 분야에 대해 적극적으로 고민한 후 진학한 대학생들의 경우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졸업까지 소요되는 기간이 보다 짧았다. 둘째, 기본모형 분석 결과, 4년제 대학생 간 졸업 소요기간의 차이는 주로 학생 개인특성으로 설명되나, 대학특성 역시 6.7% 정도 설명하고 있었다. 셋째, 개인배경 및 재학 중 취업경험 관련 변수와 대학특성 관련 변수들을 모두 투입한 최종모형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졸업 소요기간에 정적 영향을 유의하게 미치는 변수는 성별(남학생), 전공계열(인문사회계열), 복수전공 여부, 등록금의 자가 마련 비율, 어학연수 경험, 공무원 및 전문자격시험 응시 수(2회 이상), 재학 중 일자리 경험, 대학소재지(수도권), 대학의 졸업생 취업률이었다. 반면, 전공계열(교육계열), 전공선택 이유(적성 고려), 졸업 평점, 졸업 당시 가구소득, 자격증 수, 대학규모(소규모, 중규모)는 모두 졸업 소요기간에 부적인 영향을 유의하게 미치고 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의 성공적인 취업을 위해서 졸업유예를 통해 재학생 신분을 단순히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입학 시부터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충분히 탐색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산학협력을 통해 장기적인 진로계획을 지원하는 대학의 역할에 대해 제안하였다.

      • KCI등재

        중학생의 교육성취에 대한 잠재집단 결정요인 및 전이 양상 탐색

        길혜지(Hyeji Kila),김상희(Kim Sang Hee)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21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30 No.3

        본 연구는 중학생이 입학과 졸업 시점에서의 교육성취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타난 교육성취의 변화 양상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의 중학교 1학년과 3학년, 총 6,348명을 대상으로 잠재전이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중학교 1학년 시기에 4개의 잠재집단으로 분류되었고, 교육성취(평균), 인지성취(중저)-정의성취(중저), 인지성취(고)-효능감(최고), 인지성취(저)-효능감(최저) 집단 순이었다. 둘째, 중학교 3학년 시기 역시 4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고, 교육성취(평균), 인지성취(중저)-정의성취(중저), 인지성취(고)-정의성취(최고), 인지성취(저)-내재적 동기(최저) 집단 순이었다. 셋째, 해당기간 동안 유사 집단으로 전이될 확률은 60%-70%인 가운데, 한 단계 더 높은 집단으로 전이될 확률이 최소 15.1%로 나타났다. 이러한 잠재집단 분류 및 전이 양상과 함께 각 시점의 잠재집단 분류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nge of middle school students educational achievement between 1st and 3rd grade, and the determinants on the latent classes at the two period with KELS 2013 data using latent transition analysis. As results, both the 1st grade and the 3rd grade, the four latent classes were revealed. And the probability of the latent transition for the similar class between 1st and 3rd grade were 60-70%. In addition, the probability of transition to the next higher classes was at least 15.1%.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educational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 KCI등재

        중학생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ICT 역량과 수업참여 경험을 중심으로

        길혜지,김지은,박지민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2 교육혁신연구 Vol.32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crea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focusing on the class participation experience and the ICT competency of teachers and students. Method: The 2-level HLM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4th wave of BELS(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elementary school survey (2,873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2019 survey) by setting factors at the student and school level. Results: First, at the student level, female students had lower creativity than male students. Creativity increased as monthly average income, out-of-school hours, school happiness, academic achievement, discussion participation, attitude toward narrative evaluation, ICT competency, and usage of smart devices for production and sale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more teachers-centered learning methods and smart devices were used for entertainment purposes, the lower the creativity. Second, the higher the averag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and the higher the participation rate in self-organizing clubs at the school level, the lower their creativity. Third, as the results of analysis according to gender,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affecting the creativity of male and female students. Conclusion: To enhance the crea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it is essential to provide a learner-centered learning strategy, increase ICT competency, and guide them to grow into creators who use smart devices for production and sales rather than entertainment. 연구목적: 이 연구는 학교 수업참여 경험과 교사 및 학생의 ICT 역량을 중심으로 중학생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부산교육종단연구(BELS) 초등 패널 4차년도 자료(중학교 1학년 2,873명, 2019년 조사)를 활용하여 학생과 학교수준 요인을 설정한 2수준 다층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생 개인 수준에서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창의성이 낮았고, 월평균 소득, 학업 외 시간활용, 학교행복감, 학업성취, 토론참여도, 서술형평가에 대한 태도, 지식정보능력, 제작 및 판매 목적의 스마트기기 활용이 많을수록 창의성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교수자 중심의 학습 방법과 오락 목적의 스마트기기 활용이 많을수록 창의성은 낮아졌다. 둘째, 학교 수준 변인에서는 학생들의 평균적인 학업성취와 자율동아리 참여 비율이 높을수록 오히려 학생의 창의성은 낮게 나타났다. 셋째, 성별에 따라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논의 및 결론: 중학생의 창의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자 중심으로 교수학습 전략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며, 지식정보능력을 길러줌과 동시에 스마트기기 활용을 오락보다는 제작 및 판매와 같이 메이커로서 자라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데이터기반 지방교육행정 시나리오 탐색: 페르소나 기법을 중심으로

        길혜지,심현기,윤홍주,이호준,오혜근,나민주 한국교육행정학회 2022 敎育行政學硏究 Vol.40 No.2

        본 연구는 페르소나 기법을 활용하여 데이터기반행정이 지방교육행정기관에 안착하고 활성화되기 위해 실태를 파악하고 전략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지방교육행정기관 공무원 14명에 대한 서면 인터뷰를 실시하여 담당업무를 고려한 데이터 활용 인식, 행동적 특성, 개선 아이디어 등을 포함한 미래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데이터기반 지방교육행정에 대한 현장의 인식을 대표하는 7가지 페르소나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는 교육감의 의지로 데이터기반 행정이 성공적으로 도입될 것이라는 확신의 페르소나, 두번째는 데이터 활용에 심리적 장벽 없이 자발적으로 고민하는 페르소나가 도출되었다. 세 번째 페르소나는 데이터기반 행정의 취지는 공감하나 인력과 예산 지원에 문제의식을 갖고 있었고, 네 번째 페르소나는 기관장의 추진 의지가 없고 조직적으로도 무관심함에 어려움을 표하였다. 다섯 번째는 데이터기반 정책 수립 및 집행에 전문가 도움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여섯 번째는 대다수 직원이 데이터기반 행정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상태에서 홀로 고분분투하는 페르소나로 나타났다. 마지막은 교육분야의 민감정보로 인해 데이터 의사결정 한계를 강조한 페르소나가 도출되었다. 페르소나 기법과 실제 사례가 접목된 결과는 데이터기반 지방교육행정의 현재를 탐색하고 구체적인 발전 전략 수립에 기초자료 마련에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