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전시의 관람 동기와 재 관람 요인 연구

        금진우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5 No.-

        디지털 전시는 가상환경의 기술을 적용하여 관람객들에게 현실에서 체험할 수 없는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는 중요한 전시 영역이 되었다. 하지만 현재까지 전시 관람객들의 가치 인식과 만족 등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디지털 전시에 대한 관람자들의 인식과 만족을 중심으로 한 재 관람 동기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전시 관람객들의 관람 동기와 재 관람 의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디지털 전시에 대한 관람객의 관심, 기대 수준, 만족도 및 태도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여, 향후 디지털 전시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요소를 식별하고자 한다. 설문을 분석하여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시 관람 동기를 분석한 결과, 성별 차이에서는 전시의 주제와 전시 내용이 영향을 미쳤고, 연령에 따른 차이에서는 관람 비용이 영향을 미쳤으며, 직업에 따라서는 전시장의 명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 관람 의도 및 재관람 결정 요인을 분석한 결과, 재 관람 의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고, 재 관람 결정 요인에서는 전시장 접근성에서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관람 목적을 분석한 결과, 여가활동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학습활동, 취미오락 활동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시 관람자들은 전반적으로 본인이 관람한 디지털 전시에 대해 만족하였고, 이런 만족감은 재 관람 의사를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igital exhibitions have become an important exhibition area that provides visitors with various experiences that cannot be experienced in real life by applying virtual environment technology. However, until now, research on the valu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exhibition visitors has been very limi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motivation for re-viewing focusing on the viewer'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digital exhibi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otiva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digital exhibition visitors. Specifically, we would like to identify important factors for revitalizing digital exhibitions in the future by investigating visitors' opinions on their interest, expectation level, satisfaction, and attitude in digital exhibitions. The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tivation for viewing the exhibition, it was found that the theme and contents of the exhibition had an effect on gender differences, the cost of viewing had an effect on age differences, and the reputation of the exhibition hall had an effect on occupation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re-viewing intention and re-viewing determina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viewing intention,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in the exhibition hall accessibility in the re-viewing determinan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urpose of viewing, leisure activities appeared the highest, followed by learning activities and hobbies and entertainment activities. Fourth, overall, exhibition visitors were satisfied with the digital exhibition they watched, and this satisfaction was found to generate an intention to revisit.

      • 사보의 편집디자인에 있어서 아트 디렉션의 적용 실태조사

        금진우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10 정보디자인학연구 Vol.13 No.1

        여러 인쇄물 중에서도 디자인 분야에서 아트 디렉션 제도의 도입으로 가장 큰 발전과 변화를 이룬 것이 잡지이다. 오늘날 잡지의 성공적인 변화는 ‘읽는 것’에서 ‘보는 것’으로 변화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아트 디렉션을 통해 시각 이미지의 차별화를 이루어 독창적인 잡지로 변화했음을 뜻한다. 잡지는 그래픽 디자인 분야에서 시각적 요소를 가장 다양하게 포함하는 매체이다. 이러한 잡지와 가장 유사한 매체는 사보이다. 사보의 편집디자인은 기획 차원에서 다루어져야 하는 디자인 계획이며, 시각적 성격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일관성 있는 디자인 원리와 원칙에 의해 다루어져야 한다.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이 바로 아트 디렉션의 활용이다. 하지만, 다양한 조직 및 계층과의 커뮤니케이션을 목표로 하는 사보의 경우, 여전히 아트 디렉션의 활용에 대해 적극적이지 못하다. 더구나 사보 담당자들이 아트 디렉션의 기능과 영향에 대해서 명확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면 이의 해결은 매우 어려운 일이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가지고, 국내 사보 담당자들의 아트 디렉션에 대한 인식과 활용 여부를 다음의 내용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① 사보 담당 부서의 유무와 그 인적 구성. ② 사보 제작 시, 편집디자인을 대행하는 기획사 활용 여부와 업무 계약 기간. ③ 기획사 선정 시, 디자인의 비중. ④ 아트 디렉션의 개념과 아트 디렉터 업무 이해 정도. ⑤ 편집디자인에서 아트 디렉션의 필요성. ⑥ 사보에서 디자인의 영향력 정도.

      • 부산시의 디자인 정책 방향 -디자인 산업의 경제적 역할을 바탕으로-

        금진우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10 정보디자인학연구 Vol.13 No.1

        This paper studies the economic roles of design industries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with a possibility of application to the design policy of local government as like Busan city. The research reports and theoretical papers are surveyed and analyzed to know the status of the design industry in leading countries as well as to make the concepts around design industries relating to other similar industry concepts. Also the framework of the design industry production system is used to draw policy considerations for Busan city. This study implies that policy-making in the sense of the design industry rather than the cultural industry would be recommended in the local government, considering the potentially economic capacity of various industries in Busan city. It suggests also that policies in Busan city need to be improved to attract the design industry, to support their non-profit activities financially and institutionally. The frequent exchange between the design industry and other sectors, especially the service industry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multiplier effect of spending in the design sectors. To help the design industry in Busan city, it may be needed to established networks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is study has taken a step in developing policy implications for design industries in Busan city, but still needs further a research to use consistent statistical data in research methodology and to include a broader range of the design industry concept

      • KCI등재

        디자인 기반의 학문 융합 교과목 개발 -디자인과 인문 사회 계열 간의 통합 교과목을 중심으로-

        금진우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1 조형미디어학 Vol.24 No.3

        Today’s rapid social change has changed the social perception of industry and knowledge, and is creating a system based on new technology and culture. New education is also required in universities due to changes in knowledge and information base. This is to improve the education system centered on educators and focus on the practical educational contents required in the industrial field, and it is to cultivate complex ability to solve problems according to various environments, not to perform one job with one major knowledge. In response to these change, interest in education based on core competencies has increased in university education, and it is being reorganized into education that can be applied to practice. Until now, the convergence education relate to design has mainly liked design and engineering or design and business administration. This is not to say that the university did not provide design as a discipline to students of any major other than general liberal arts courses or design. From this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present design-based convergence subject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Based on the educational goals and values of the university, the demands for academic competency in various fields and the demands of industrial sites were accommodated and reflected in the subjects. Since the subjects presented here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actual conditions of a specific university, they cannot be used or applied equally at other universities. However, according to the trend of increasing the number of convergence major subjects in the current university situation, it will be helpful to exppand liberal arts subjects at universities that do not have engineering major or to link curriculums that link existing majors and majors. 오늘날 급격한 사회 변화는 산업과 지식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변화시켰고, 새로운 기술과 문화를 바탕으로 한 시스템을 만들어 내고 있다. 대학에도 지식과 정보 기반의 변화로 인해 새로운 교육이 요구되고 있다. 이는 교육자 중심의 교육 체계를 개선하여 산업 현장에서 요구하는 실무적 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며, 하나의 전공 지식으로 한 가지 일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환경에 맞추어 문제를 해결하는 복합적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이런 변화에 대한 대응으로 대학 교육에서는 핵심 역량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고, 실무에 적용 가능한 교육으로 개편하고 있다. 지금까지 디자인과 관련된 융합 교육은 주로 디자인과 공학을 연계하거나 디자인과 경영학을 연계해 온 것이 전부이다. 이것은 대학에서 일반교양 과정이나 디자인을 제외한 다른 전공 학생들에게 학문으로서 디자인을 제공한 것은 아니다. 이런 관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을 기반으로 하는 인문과 사회 계열의 융합 교과목을 개발하고 제시하는 것이다. 대학교의 교육 목표와 가치를 기반으로 하여 여러 분야의 학문적 역량 요구와 산업 현장의 요구를 수용하여, 이를 교과목에 반영하였다. 여기에서 제시된 교과목은 특정 대학교의 실태에 맞추어 개발되었기 때문에 다른 대학에서도 동일하게 활용하거나 적용할 수는 없다. 하지만 현재 대학의 상황에서 융합 전공을 늘려가는 추세에 따라, 공학관련 전공이 없는 대학교의 교양 교과목 확대나 혹은 기존의 전공과 전공을 연계하는 연계 교과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해양 레저 산업과 연계한 부산 디자인 기업 전문화 전략

        금진우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7 조형미디어학 Vol.20 No.4

        The marine leisure industry is a design-based field, yet it is also very broad because it is related to a variety of industrial fields. There is no place that is not affected by the influence of design. Even though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design in accordance with the growth of the marine leisure industry, in for example the creation of marine environments, the building of cruise tourism infrastructure, and the development of marine sporting goods, there are not enough design companies training human resources for professional marine design. The city of Busan has an appropriate, natural and industrial environment to be considered as a potential site to foster the marine leisure industry. It also has the possibility to lead marine-related development and to construct a marine leisure industry complex. However, the capability of the city of Busan in relation with the marine leisure industry and marine design, which supports the marine leisure industry, does not meet the general stand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direction to the role of design in improv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marine leisure industry and in founding a base to systematically nurture the industry. It also gives direction to specialization strategies for design companies in Busan related to the marine leisure industry. This study proposes, as a strategy for fostering design companies doing marine design, the solidification of basic competence in marine design, the training of human resources coordinated with academic institutions, and the reinforcement of R & D competence in marine design. It also proposes, as a strategy for supporting design companies, reorganizing the supporting systems of local governments, the expansion and image management of the marine industry, and the establishment of a virtuous cycle for the marine design industry. 해양 레저 산업은 디자인과 연계된 디자인 기반의 산업 중 하나이며, 그 산업적 영역은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기 때문에 매우 광범위하다. 연계된 다양한 분야마다 디자인의 영향이 미치지 않는 곳이 없다. 국내에서도 해양 레저 수요 증가에 따라서 해양 마리나 환경 조성, 크루즈 관광 기반 환경 조성, 해양 레포츠 제품 개발 등 해양 산업에 따른 디자인 수요가 증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는 해양 산업을 연계한 디자인 전문 인력 양성이나 해양 디자인에 전문화된 디자인 기업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부산시 역시 국내 해양 레저 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는 자연 여건과 산업 여건, 그리고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동남권 해양 연계 개발이나 해양 레저 산업 단지 조성 등 산업을 주도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실재 해양 레저 산업은 물론 이를 지원하는 해양 디자인 산업의 역량은 매우 낮은 수준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에서 출발하여, 해양 레저 산업의 경쟁력 향상과 체계적인 육성을 위한 기반 조성으로서 디자인의 역할과 해양 레저 산업에 연계한 부산시에 소재한 디자인 기업의 전문화 전략과 그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디자인을 위한 디자인 기업 육성 지원 전략으로서 해양 디자인 기초 역량 강화, 교육기관과 연계한 전문 인력 양성, 해양 디자인 R & D 역량 강화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디자인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전략으로 지방 정부의 지원체계 정비, 해양 레저 산업의 확산 및 홍보, 해양 디자인 산업의 선순환 체계 구축이 제안하였다.

      • 관광지로서 영도구 PR 전략

        금진우 고신대학교 영도발전연구소 2002 영도연구 Vol.4 No.-

        Yeongdo-gu was not concretely informed at home and abroad not-withstanding the Heaven's blessing natural condition. In the background there are relatively disadvantageous regionality with emotional alienation and dropped-down in life recognized wrong although it is positioned in huge city. And, due to lack of basic infrastructure necessary for tourism it loses attraction as substantial tourist resort. The problems of Yeongdo as tourist resort or target of tourism PR are as follows : 1. The prejudice of potential tourists may be enumerated and majority of them have negative image. 2. That there is no oriented Yeongdo image or representing image. 3. Yeongdo-gu C.I. as symbolic system manufactured could hardly represents' demand or identity of Yeongdo-gu. 4. Object to see is insufficient and the reputed fame and motivation as place of stay is not made. 5. There is on ground at all for satisfaction of variety or choice subject to preference of tourists as it has no peculiar lodging facility or food with characteristic connection with this notwithstanding the terrain feature. Although there is no framework set forth for PR strategy successful, it may be summarized as to carry out timely PR, performance of tourism PR in the stand of systematic PR process, utilization of various PR activities, choice of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y & tactics and practice of scientific PR study to recapitulate so many examlpes. To accommodate such theoretical procedures well and to have to apply it to the substantial business and pour policy-wise support and persistent elaboration so that may become composite PR marketing. The concrete results of this study for Yeongdo-gu PR strategy are as follows : 1. Establishment of PR strategy. The mid-term & long-term PR strategies have to be established and the exclusive organization to carry out this task must be consisted. To extract the oriented image of Yeongdo-gu, enact slogan and concentratingly make PR the oriented image set forth with the slogan and visual. 2. Manufacture of PR material and diversification in advertisement. First of all the PR media has to be diversified. To list the major image & tourism is to be systemized to the Yeongdo-gu PR material and strengthen PR through internet, however, it must be developed as bearing in mind of various language zones. 3. Visitors inducement mean has to be developed. To have explanatory gathering at hotels by travel agents and to publish multi-national language tourist map and PR pamphlets in linkage with Busan-city, to manufacture tourists PR posters and have to utilize as mean & PR media for inducing potential tourists by manufacturing CD, Video, DVD in meeting with development of media. 4. Oversea PR should be strengthened in linkage with the KNTC & Busan-city. Consideration on the overseas PR of Yeongdo-gu also should be taken into as the subjectivity by contraction mutual ad agreement with oversea sister-city or by utilize large media the noted effect is big enough.

      • KCI등재
      • KCI등재

        장소를 활용한 영도지역 공간 스토리텔링 적용 방안

        금진우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1 조형미디어학 Vol.24 No.2

        The main value of contents based on local culture lies in the development of local economy and local culture. So, contents development with a local culture as a background should contain a unique personality that sets it apart from other regions. In Korea, contents development was mainly used as a mean of creating economic value, but it did not pay attention to cultural value. The region can be revived only when sustainable and unique contents are developed using the local space and the culture accumulated in this space. It is never easy to concined each meaningful place with a story that attracts public attention. Because there are problems that are different to solve simply by giving a story to a certain place or finding a story based on the place. In other to implement a spoken or written story into a physical space called a place, the composition or writing method of the story itself must be differ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newly recognize the value of meaningful and attractive space in the Yeongdo island, and to suggest a plan to activate it as local culture contents. And point to be noted in the place storytelling process using the place as the subject were found, and were drawn for a strategic approach.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basic strategy of creating place storytelling and the method of applying storytelling appropriate to each place according to the storytelling process were summarized. According to this application plan, an attractive and meaningful place in Yeongdo island was selected and an application case of the place storytelling was presented. Specifically, the target were ‘Jonaegi Sweet Potato Village’ and ‘White Shoal Cultural Village’. This is the application of the ideas obtained from the case of storytelling applied to conten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lace in Yeongdo island. However, it can be a demondtration case for the development of the place storytelling. 지역 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콘텐츠의 주요 가치는 지역 경제와 지역 문화 발전에 있다. 따라서 지역 문화를 배경으로 하는 콘텐츠 개발에는 다른 지역과 구별이 되는 고유한 개성을 담아야 한다. 우리나라에서 콘텐츠 개발은 주로 경제적 가치 창출의 수단으로 활용되었을 뿐 그것의 문화적 가치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다. 지역의 공간과 이 공간에서 축적된 문화를 활용하여 지속 가능하고 개성이 있는 콘텐츠를 개발해야 지역이 살아날 수 있다. 각각의 의미있는 장소와 대중의 관심을 끄는 이야기를 결합하는 일은 결코 쉽지 않다. 단순히 특정 장소에 이야기를 입히거나 장소를 소재로 하는 이야기를 찾는 것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들이 있기 때문이다. 말 혹은 글로 된 이야기를 장소라는 물리적 공간에 구현하기 위해서는 이야기 자체의 구성이나 작법이 달라져야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영도의 의미가 있고 매력이 있는 공간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고, 이를 지역 문화 콘텐츠로서 활성화 시키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래서 장소를 소재로 하는 공간을 스토리텔링화 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을 찾아내고, 이를 전략적으로 접근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스토리텔링의 프로세스에 따른 공간 스토리텔링의 기본 전략과 각각의 장소에 알맞은 스토리텔링 적용 방안을 정리하였다. 또한 이 적용 방안에 따라서, 영도 지역의 매력이 있고 의미가 있는 장소를 선정하고 공간 스토리텔링의 적용 예를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조내기 고구마 마을’과 ‘흰여울 문화 마을’을 그 대상으로 하였다. 이것은 콘텐츠에 적용하는 스토리텔링의 사례에서 얻은 아이디어를 영도의 각 장소 특성에 맞추어 적용한 것이다. 따라서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공간 스토리텔링의 개발을 위한 시범 사례가 될 수 있다.

      • 해양산업과 연계한 부산시 디자인산업 정책 방향

        금진우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12 정보디자인학연구 Vol. No.

        디자인 산업은, 국제화의 진전으로 생산 요소와 기업에 대한 정부 통제력과 영향력이 점차 축소되는 가운데, 도시 경제에 중요한 활력소를 제공하고, 도시 경제 활동을 촉진하고, 시민의 삶을 윤택하게 하며, 사회의 창의력을 배양함으로써 국가 경쟁력의 바탕이자 국가 경제 성장의 원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런 이유로, 디자인 산업에 대하여 세계 여러 국가와 도시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는 디자인산업이 후발 개발도상국들이 모방하기 어려운 소프트적 경쟁 요소를 제공함으로써, 자국의 경쟁력을 지속시키는데 유효한 수단임을 인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자인 산업은 다양화되는 시장 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응함으로써, 전통 제조업의 수익을 높이고, 다른 한편으로 저 생산성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서비스업을 고 부가가치 형으로 전환하는데 적합한 수단이 된다. 최근 부산, 울산, 경남 등의 동남권역 지방 정부들도 디자인과 디자인 산업을 지역 전략 산업의 하나로서 육성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부산시는 ‘해양산업 육성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해양 수도 부산’이란 슬로건을 채택하여 해양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나아가 부산의 미래를 이끌어 갈 10대 전략산업에 ‘해양산업’과 ‘디자인산업’을 포함시켰다. 부산은 해양과 디자인에 관련된 산업체와 대학 그리고 연구 기관이 집적된 곳으로, 해양과 디자인 두 산업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산업 도시이다. 본 연구는, 지방 정부인 부산시가 추구해야 할 해양산업과 연계한 디자인산업 발전에 대한 정책적 방향을 도출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부산시가 전략 산업으로 육성하려는 해양산업과 디자인산업의 융합을 바탕으로 하여, 부산의 디자인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디자인 정책의 방향을, 정책 기구와 조직, 정책 방향, 융합으로서의 해양디자인 등으로 나누어 제시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