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환경과 관련된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성취동기 요인

        금영충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6 직업능력개발연구 Vol.9 No.1

        This research aimed to investigate industrial high school students' achievement motivation and related factor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by undertaking survey and literature review. In establishing research problem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as defined in terms of 5 factors and 17 items, including relationship with fellow students, relationship with teachers, school environment, club activity, and the channel or the degree of external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these 6 factors and 17 items were converged to 6 components. In the analysis of these components, they were named as follows: the first component was designated as the factor for relationship with fellow students; the second and the fourth components were designated as factors of external reinforcement; the third component was called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the firth component was called the school environment factor; and the sixth component was designated as the club activity factor. Accordingly, the factor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hich influenced achievement motivation of industrial high school students were the relationship with fellows students,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school environment, club activity, and the channel or the degree of external reinforcement. 본 연구는 교육환경에 따른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성취동기와 관련된 요인과 수준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통해 이루어졌다. 교육환경에 따른 성취동기 요인은, 연구문제 설정에서 교육환경은 학교 동료 관계, 교사와의 관계, 학교환경, 특별활동, 외적 강화의 경로 및 수준의 5개 요인, 17개 문항으로 제작하였고, 요인분석 결과, 이들 6개 요인 17개 문항은 6개 성분으로 수렴되었다. 이 성분을 분석해 보면, 1성분은 학교 동료 관계 요인, 2성분과 4성분은 외적 강화 요인, 3성분은 교사와의 관계 요인, 5성분은 학교환경 요인, 6성분은 특별활동 요인으로 명명할 수 있었다. 따라서 교육환경이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성취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교 동료 관계, 교사와의 관계, 학교환경, 특별 활동, 외적 강화의 경로 및 수준이 관련 요인이었다.

      • KCI등재후보

        STEAM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요구

        금영충,배선아 대한공업교육학회 2012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and analyze the recognition and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STEAM education. Mail and E-mail surveys were conducted for 533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ollowing were found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First, although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ood positively the necessity of STEAM education, showed average levels of recognition on STEAM education. Second, the rate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d experience in applying STEAM education was low. Third,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quired to education closely related to real life, and interesti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for STEAM education. Four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ked for the integration centering activities related real life, followed by the integration focusing on thema related to real life, the integrating centering student's needs and interests, and the integration focusing on issues according to the appropriate integration methods for STEAM education. Fif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quired creative design/problem solving ability, academic performance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with regard to the ability to develop through STEAM education. Lastly,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manded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STEAM education, teacher's recognition and attitudes towards STEAM education, teacher's training for STEAM education, the distribution of reference materials and etc in order to stimulate STEAM edu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STEAM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군집표집 방법으로 전국의 초등교사 533명을 표집하여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우편 및 이메일을 통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는 STEAM 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공감하고 있었으나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은 보통 수준이었다. 둘째, STEAM 교육을 적용한 경험이 있는 초등교사의 비율이 매우 낮았다, STEAM 교육 적용에 대한 어려움은 STEAM 교육 자료 준비의 어려움이 가장 높았으며, STEAM 교육에 대한 이해 부족, 개발된 STEAM 교육프로그램의 보급 부족, STEAM 교육 실현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부족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교사는 STEAM 교육의 교육방향에 대하여 현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교육, 창의적인 사고능력 및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STEAM 교과의 흥미 있는 교육, STEAM 교과의 학업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순으로 요구하였다. 넷째, 초등교사는 STEAM 교육에 적합한 통합 방식에 관하여 현실생활과 관련한 활동 중심의 통합, 현실생활과 관련한 주제 중심의 통합, 학생의 필요와 흥미 중심의 통합, 문제 중심의 통합 순으로 요구하였다. 다섯째, 초등교사는 STEAM 교육을 통해 함양해야 할 능력에 관하여 창의적인 설계/문제해결 능력, 학업수행능력, 대인관계 능력 순으로 요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초등교사는 STEAM 교육 활성화를 위해 STEAM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STEAM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이해, 다양한 교수․학습자료 보급, 교사 연수, 교사 협동, 교육과정 개선 등이 이루어져야 함을 요구하였다.

      • KCI등재후보

        중학교 기술교과 교육과정에서 제조기술의 목표와 내용의 변천

        금영충,이상봉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7 實科敎育硏究 Vol.1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ntents by time through analyzing transitions in objectives and contents of manufacturing technology education in technology education curriculum of junior high school.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 objectives of manufacturing technology education were focused on manufacture-related skills.Second, The study classified the contents of manufacturing technology education according to input, process and output, three major steps of manufacturing system proposed in Jackson's Mill education curriculum. As a result, input and process occupied more than output in contents. Cognitive domain and psychomotor domain occupied high portion in contents.Third, Correlation between objectives and contents was analyzed 72.3%, it was found that objectives generally focused on all domains while cognitive and psychomotor domain occupies high portion among contents.

      • KCI등재

        초등기술기반 STEAM 교육이 초등학생의 기술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나만의 3D 입체 이미지 만들기’와 ‘QR코드로 명함 만들기’를 중심으로-

        금영충,배선아 한국실과교육학회 2012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elementary technology -based STEAM education on attitude toward technolog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following null hypothesis was stat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attitude toward technolog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fore and after applied the elementary technology-based STEAM education in sub-elements ① interest in the technology, ② technology's gender role, ③ technology's importance and influence, ④ accessibility to technology, ⑤ technology and school curriculum,⑥ technology-related career, and ⑦ technology and creative activity.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applied to 'After-school' activities of ○○elementary school for this experimental research.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62questions developed by Lee and was modified to suit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and interpreted statistically by paired samples t-test using SPSS(ver. 15).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First, the elementary technology-based STEAM education was effective in raising technological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the elementary technology-based STEAM education was effective in enhancing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interest in technology, technology's importance and influence, technology and school curriculum, technology-related career, and creative activity. Third, the elementary technology-based STEAM education was not effective in improving attitude on technology's gender role and accessibility to technolog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이 연구는 ‘나만의 3D 입체 이미지 만들기’와 ‘QR코드로 명함 만들기’의 기술적 활동을 중심으로 초등기술기반 STEAM 교육이 초등학생의 기술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영가설을 설정하였다. 초등기술기반 STEAM 교육을 적용하기 전과 후의 초등학생의 기술적 태도는 ①기술에 대한 흥미, ②기술의 성 역할, ③기술의 중요성과 영향, ④기술의 접근 용이성, ⑤기술과 학교수업, ⑥기술 관련 진로, ⑦기술과 창의적 활동과 같은 하위 요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을 것이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26명을 대상으로 ‘방과후학교’ 활동에 ‘단일집단 사전 사후검사 설계’모형을 적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대응표본 t-검증 실시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기술기반 STEAM 교육은 초등학생의 기술적 태도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초등기술기반 STEAM 교육은 초등학생의 기술에 대한 흥미, 기술의 중요성과 영향, 기술과 학교수업, 기술 관련 진로, 창의적 활동에 관한 태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 셋째, 초등기술기반 STEAM 교육은 초등학생의 기술의 성 역할, 기술의 접근 용이성에 관한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지 못했다.

      • KCI등재

        공업계 고등학교 전자기계과 CAD 수업에서 협동학습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금영충(Young Chung),이상봉(Sang Bong Yi) 대한공업교육학회 2001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on achievement of computer aided design (CAD) instruction at mechatronics department in industrial high school through the post-test only control group design experi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mainly concluded the following; 1. For high-level of entering behavior stud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on achievement in CAD instruction at the mechatronics department in industrial high school. 2. For low and middle leveled entering behavior students, there was significant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on achievement in CAD instruction at the mechatronics department in industrial high school. 3. For the understanding of technical drawing, `AutoCAD(R14)`, there was significant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on achievement in CAD instruction at the department in industrial high school. On the basis of results of the study,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at the cooperative learning is encouraged for the CAD instruction in the area of technical drawing and `AutoCAD(R14)` for low and middle achievement students in industrial high school.

      • KCI등재후보

        공업계열 전문계 고등학교 활동 중심 STEM 교육프로그램 개발 모형

        배선아,금영충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9 實科敎育硏究 Vol.15 No.4

        이 연구는 공업계열 전문계 고등학교의 전문교과와 과학, 기술, 공학, 수학 교과 내용의 통합을 알아보고, 활동 중심 접근에 의한 STEM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모형을 제안함으로써, 최근 통합교육의 화두인 STEM 교육과 이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STEM 교육과 교육과정 개발 모형, 교육프로그램 개발 모형과 관련된 문헌을 고찰하여 공업계열 전문계 고등학교 활동 중심 STEM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개념 모형과 절차 모형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개발된 개념 모형은 STEM 교육 탐색, 활동 중심 통합, 활동과제별 교육목표, 내용, 방법, 평가로 이루어졌다. 절차 모형은 준비, 개발, 개선 단계로 구성하였으며, 15 단계의 세부단계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활동 중심 통합 방식을 적용한 모형으로서 통합교육 연구에 의미를 가지며, 중등직업교육기관을 위한 최초의 STEM 교육프로그램 개발 모형으로서 STEM 교육 연구에 큰 의미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development model of activity-centered STEM education program in Industrial Technical High School through review of literature about STEM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models, and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model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development model consisted of conceptual model and process model. The conceptual model consisted of STEM education exploration, activity-centered integration, and each activity task include educational goals,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 The process model was composed of preparation, development and improvement and divided into 15 detail stages. The study of development model based on activity-centered integrative method was firstly conducted in the study. Furthermore, it is meaningful that the developed model as the first STEM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model for institution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 KCI등재후보

        공업계열 전문계 고등학교 화공 분야의 STEM 교육에 대한 화공교사의 인식과 요구

        배선아,금영충 대한공업교육학회 2010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and analyze the recognition and demands of chemical industry teachers for STEM education of Chemical Industry area in Industrial Technical High School and mail surveys were conducted for 373 chemical industry teachers at 45 schools offering chemical industry courses across the nation. The following were found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First, although chemical industry teachers understood positively the necessity of STEM education, they showed low levels of recognition on STEM education. Second, the rate of the chemical industry teachers who had experience in applying STEM education was low. The biggest difficulty in applying STEM education was due to a lack of STEM education programs, followed by the difficulty in preparing STEM educational materials, and a lack of instructional methods for STEM education. Third, chemical industry teachers required to improve fundamental ability, enhance job skills, education closely related to real life, and interesti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for STEM education. Fourth, chemical industry teachers demanded unit operation, followed by process control, manufacturing chemical, industrial chemical, and chemical analysis with regard to the contents to study STEM education. Fifth, chemical industry teachers asked for the integration centering activities related real life, followed by the integration focusing on thema related to real life, the integrating centering student's needs and interests, and the integration focusing on issues according to the appropriate integration methods for STEM education. Sixth, chemical industry teachers required creative design/problem solving ability, followed by fundamental ability, job skill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with regard to the ability to develop through STEM education. Lastly, chemical industry teachers demanded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STEM education, teacher's recognition and attitudes towards STEM education, teacher's training for STEM education, the distribution of reference materials and etc in order to stimulate STEM education. 이 연구는 공업계열 전문계 고등학교 화공 분야의 STEM 교육에 대한 화공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 분석하기 위해 수행된 것으로, 전국에서 화공 분야 학과가 설치된 45개 학교에 재직 중인 373명의 화공교사를 대상으로 우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화공교사는 STEM 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공감하고 있었으나 STEM 교육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낮았다. 둘째, STEM 교육을 적용한 경험이 있는 화공교사의 비율이 매우 낮았다, STEM 교육 적용에 대한 어려움은 STEM 교육프로그램이 없기 때문으로 인함이 가장 높았으며, STEM 교육 자료 준비의 어려움, STEM 교육에 대한 이해 부족, STEM 교육 실현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부족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화공교사는 STEM 교육의 교육방향에 대하여 기초능력 향상, 직무능력 향상, 현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교육, 흥미 있는 교육 순으로 요구하였다. 넷째, 화공교사는 STEM 교육을 위해 연구해야할 내용에 관하여 단위조작· 공정제어, 제조화학, 공업화학, 분석화학 ·순으로 요구하였다. 다섯째, 화공교사는 STEM 교육에 적합한 통합 방식에 관하여 현실생활과 관련한 활동 중심의 통합, 현실생활과 관련한 주제 중심의 통합, 학생의 필요와 흥미 중심의 통합, 문제 중심의 통합 순으로 요구하였다. 여섯째, 화공교사는 STEM 교육을 통해 함양해야 할 능력에 관하여 창의적인 설계/문제해결 능력, 기초능력, 직무능력, 대인관계 능력 순으로 요구하였다. 마지막으로 화공교사는 STEM 교육 활성화를 위해 STEM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STEM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의식과 태도, STEM 교육에 대한 교사 연수가, 참고자료 보급 등이 이루어져야 함을 요구하였다.

      • KCI등재

        교육환경과 관련된 공업계 고등학교학생의 성취동기 요인과 수준

        배선아,금영충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6 實科敎育硏究 Vol.12 No.4

        이 연구는 교육환경에 따른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성취동기와 관련된 요인과 수준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통해 이루어졌다. 조사 도구는 독립변인 검사지와 성취동기 수준을 알아보기 위한 성취동기 검사지를 이용하였으며, 문헌연구를 통해 추출한 학교 동료 관계, 교사와의 관계, 학교환경, 특별활동, 외적 강화의 경로 및 수준의 5개 요인, 17개 문항으로 제작하였다. 조사 대상은 전국의 공업계 고등학교 전체를 모집단으로 하여 군집표집 방법으로 15개교, 45학급, 1,490여명의 표본을 표집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수렴된 6개 성분을 분석하였을 때, 성분 1은 학교 동료 관계 요인, 성분 2와 성분 4는 외적 강화 요인, 성분 3은 교사와의 관계 요인, 성분 5는 학교환경 요인, 성분 6은 특별활동 요인으로 명명할 수 있었다. 이 요인들을 1% 유의수준에서 변량 분석하였을 때, 학교 동료 관계, 교사와의 관계, 외적 강화 경로 및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 KCI등재

        중학교 ‘산업과 진로’ 단원에 활용할 진로탐색 프로그램 개발

        민동임,이상봉,금영충,배선아 한국기술교육학회 2009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or the development of career exploration program for the unit 'Industry and Career' in the third grade of junior high school. Basically the career exploration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three steps of preparation, development and improvement. In the preparation stage, need analysis of student, society, teacher was made and the topic of the career exploration program was selected. In the development stage, set the goal of career exploration program and form a program classified into 3 chapters : understanding of oneself, understanding of careers and career selection. In the improvement stage, apply the program into the class and complement it to make the final program. Career exploration program resulted from the study has features as fellows. First, the program was designed as a 9 hour, and can be applied flexibly according to situation. Second, the program consist of three contents of (1) understanding of oneself, (2) understanding of careers, (3) selection of career. Third, career exploration program basically consist of two parts for students and teacher.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3학년 ‘산업과 진로’ 단원에서 활용할 진로탐색 프로 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준비, 개발, 개선의 3가지 단계로 이루어졌으 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준비 단계에서는 학생, 사회, 교사의 요구를 분석하였고, 그에 맞는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주제를 선정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목표를 설정하고, ‘자신의 이해’, ‘직업의 이해’, ‘진로 선택’의 3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학습 내용 및 경험을 선정하여 진로 탐색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개선 단계에서는 전문가에 의한 타당도 검증, 학생들에 의한 현장시험을 실행 하여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인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첫째, 개발된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총 9차시로서 상황에 따라 융통성 있게 적 용가능하다. 둘째, 개발된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내용은 ‘자신의 이해’, ‘직업의 이해’, ‘진로 선택’의 세 가지 영역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개발된 프로그램은 교사용 자료와 학 생용 자료로 구성되어 있다. 개발된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중학교 3학년 기술·가정과 ‘산업과 진로’ 단원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으며, 창의적 재량활동 및 특별활동 등의 진로교육에 서도 활용되어질 수 있다. 또한,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중학교 3학년 기술․가 정과 ‘생애 설계와 진로 탐색’ 단원과 고등학교 1학년 기술․가정과 ‘직업과 진로 설계’ 단원에도 활용되어질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중소기업분야 특성화 전문계 고등학교 운영 실태

        배선아,오동규,금영충 대한공업교육학회 2007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2 No.2

        이 연구는 중소기업분야 특성화 전문계 고등학교의 운영실태를 조사, 분석하기 위해서 수행된 것으로, 중소기업분야 특성화 전문계 고등학교로 선정된 29개교의 특성화 담당교사와 면담 및 전화 인터뷰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연구결과 첫째, 29개교 중소기업분야 특성화 전문계 고등학교는 제조업기반기술과 제조업 지원업종으로 특성화하고 있으나 제조업 기반기술 분야가 79%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신입생 지원 현황은 2006, 2007년 모두 1.01의 경쟁률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셋째, 전체교원 중 여교사가 차지하는 비율은 32%였으나 보직교사이상에서는 14%로 매우 낮았다. 넷째, 실험실습실은 확보율은 94%로 비교적 안정적이었고, 기자재 보유율은 76.4%로 조금 낮았다. 마지막으로 다른 사업 추진 현황을 분석한 결과 72.4%의 학교가 다른 사업과 병행하고 있었다. 따라서 중소기업분야 특성화 전문계 고등학교 육성 방향은 다른 사업과의 차별성에 중점을 두고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operation of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in small-medium enterprises area. This study collected data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and telephone interviews with teachers in charge of specialization in 29 schools that were selected as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s in small-medium enterprises area. The finding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29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s in small-medium enterprises area were specialized in manufacturing industry-based technology and supportive business for the manufacturing Industry. manufacturing industry-based technology was occupied a large portion of 79%. Second, the competition rates for entrance were relatively low in 2006 and 2007 as 1.01. Third, female teachers were occupied 32% among the entire teachers. but there were only 14% among teachers higher than teachers with assignment. Fourth, the possession rate of experimental and practice room was relatively stable as 94% while the possession rate of equipments was somewhat low as 76.4%. Lastly, this study found through analysis that more than 70% of schools were operating other business entities at the same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