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간암환자에서 Electronic Portal Imaging Device(EPID)를 이용한 자세 오차 및 종양 이동 거리의 객관적 측정

        금기창(Ki Chang Keum),이상욱(Sang-wook Lee),신현수(Hyun Soo Shin),김귀언(Gwi Eon Kim),성진실(Jinsil Seong),이창걸(Chang Geol Lee),추성실(Sung Sil Chu),장세경(Sei-Kyung Chang),서창옥(Chang Ok Suh)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2

        목 적 : 간암의 3차원 입체조형치료계획시 electronic portal imaging device (EPID)를 이용한 검증영상으로 경계여유 결정에 필요한 객관적 기초자료를 얻으므로써 방사선치료의 정확성을 높이고 본 기기를 이용하여 방사선치료의 정도관리 측면에서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0명의 간암 환자에서 EPID를 이용하여 1회 방사선 치료 중 약 4-7회의 검증영상을 획득하였고 총 10회 분할 치료기간 동안 반복하여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 자세 고정시 발생할 수 있는 각 개인의 자세 오차를 구하여 치료간 발생하는 환자의 위치 이동을 분석하였고, 호흡으로 인한 간의 상하 움직임의 정도를 측정하여 계획용표적체적(Planning Target Volume, PTV)의 결정시 필요한 적정 경계여유를 구하였다. 결 과 : 검증영상 분석 결과 간암의 치료시 자세이동에 의한 자세 오차는 x축으로 3.0 mm, 표준편차는 1.70 mm 였고 y축으로 3.7 mm, 표준편차 1.88 mm 였다. 따라서 각 축을 중심으로 5 mm 이내 였다. 또한 호흡에 의한 간의 상하 운동 범위는 평균 8.63 mm이었고 표준편차는 1.48 mm 였다. 따라서 계획용표적체적 결정시 종양에 적어도 15 mm의 경계여유가 더 필요하다 결 론 : EPID는 3차원 입체조형치료계획시 종양의 경계여유 결정에 매우 유용하며 나아가서 방사선치료의 정도관리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Purpos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ree- dimensional conformal radiotherapy (3-D CRT) by measuring the treatment setup error and physiological movement of liver based on the analysis of images which were obtained by electronic portal imaging device (EPID). Materials and Methods : For 10 patients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4- 7 portal images were obtained by using EPID during the radiotherapy from each patient daily. We analyzed the setup error and physiological movement of liver based on the verification data. We also determined the safety margin of the tumor in 3- D CRT through the analysis of physiological movement. Results :The setup errors were measured as 3 mm with standard deviation 1.70 mm in x direction and 3.7 mm with standard deviation 1.88 mm in y direction respectively. Hence, deviation were smaller than 5 mm from the center of each axis. The measured range of liver movement due to the physiological motion was 8.63 mm on the average. Considering the motion of liver and setup error, the safety margin of tumor was at least 15 mm. Conclusion : EPID is a very useful device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optimal margin of the tumor, and thus enhance the accuracy and stability of the 3- D CRT in patients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 상악동의 선양낭성암종

        금기창(Ki Chang Keum),박희철(Hee Chul Park),김귀언(Gwi Eon Kim),서창옥(Chang Ok Suh),정은지(Eun Ji Chung),김세헌(Se Heon Kim),김영호(Young Ho Kim),홍원표(Won Pyo Hong) 대한두경부종양학회 1996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12 No.2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eatment modalities and treatment results in patients with adenoid cystic carcinoma of the maxillary sinus. From Feb. 1977 to March 1994, 10 patients with the disease were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Yonsei Cancer Center,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ix men and 4 women were presented with median age of 57 years. According to AJCC TNM system, all patients except one had advanced T3 and T4 disease. Only one patient had the regional metastasis to lymph node but none of them had hematogenous metastasis on initial admission. One patient(Group 1) was treated with surgery alone, 3 patients(Group 2) were treated with definitive radiotherapy and 6 patients(Group 3) were treated with combination of surgery and radiotherapy. One patient who was treated with surgery alone had experienced a locoregional recurrence 9 months later and 3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alone had PRs(partial response) followed by the subsequent progression of the local disease. Whereas all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combination of surgery and radiation therapy had CRs(complete response). Among them, only one patient was recurred in the primary site, who was salvaged by reoperation and reirradiation therapy. In conclusion, combination of surgery and radiotherapy resulted in the best treatment modality for adenoid cystic carcinoma of the maxillary sinus. Improved radiotherapy technique and development of multimodality treatment are needed to improve the local control and the survival rate in patients with advanced adenoid cystic carcinoma of the maxillary sinus.

      • SCOPUSKCI등재

        비인강암의 3차원 입체조형치료에서 등가선량분포에 관한 연구

        금기창(Ki Chang Keum),김귀언(Gwi Eon Kim),이상훈(Sang Hoon Lee),장세경(Sei Kyung Chang),임지훈(John Ji hoon Lim),박원(Won Park),서창옥(Chang Ok Suh)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6 No.4

        목 적 : 본 연구는 비인강암 환자의 방사선치료에서 기존의 2차원적 치료계획과 3차원 입체조형 치료계획을 비교 분석하여 3차원적 치료계획의 우월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병기가 T4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두 치료계획 모두 기존의 2차원적 치료방법으로 50.4Gy가 조사된 후 추가조사하는 과정을 2차원적 치료계획과 3차원적 치료계획으로 구분하여 수립하였다. 치료계획의 비교는 선량통계, 선량체적히스토그람, 국소제어율, 그리고 정상조직손상확률을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결 과 : 3차원적 치료계획에서 2차원적 치료계획과 비교하여 계획용표적체적의 선량균일성이 더욱 향상되었으며 평균선량도 15.2%의 증가를 보였다. 또한 종양 주위의 정상 장기인 측두엽, 뇌간, 이하선 및 측두하악골관절에 조사되는 평균선량은 3차원적 치료계획에서 낮았다. 종양제어확률은 3차원적 치료계획에서 2차원적 치료계획에서보다도 6% 증가하였으나 정상조직손상확률은 측두엽, 뇌간, 이하선, 측두하악골관절, 그리고 시신경교차 등 대부분의 정상장기에서 낮았다. 결 론 : 3차원 입체조형치료계획은 2차원적 치료계획에 비교하여 종양의 국소제어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우월한 치료법임이 증명되었으나 임상적으로도 같은 결과를 가져올 지는 향후 전향적인 임상 연구가 요구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monstrate the potential the rapeutic advantage of 3-dimensional(3-D)treatment plannin gover the conventional 2-dimensional(2-D)approach inpatient swith carcinoma of the nasopharynx. Materials and Methods:The two techniques were compared both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for the boost portion of the treatment(19.8Gy of a total 70.2Gy treatment schedule)in patient with T4.The comparisons betwe en 2-D and 3-D plans were made using dose statistics,dose-volume his-togram, tumor control probabilities, and normal tissue complication probabilities. Results:The 3-D treatment planning improved the dose homogeneity in the planning target volume.In addition, it caused the mean dose of the planning target volume to increase by 15.2% over 2-D planning.The mean dose to normal structures such as the temporal lobe,brain stem,parotid gland, and temporomandibular joint was reduced with the 3-D plan.The probability of tumor control was increased by 6% with 3-D treatment planning compared to the 2-D planning, while the probability of normal tissue complication was reduced. Conclusion:This study demonstrated the potential advantage of increasing the tumor control byusing 3-D planning, but prospective studies are required to define the true clinical benefit.

      • KCI등재후보

        절제 불가능한 원발성 간암의 입체조형 방사선치료의 초기 임상 결과

        금기창(Ki Chang Keum),박희철(Hee Chul Park),성진실(Jinsil Seong),장세경(Sei Kyoung Chang),한광협(Kwang Hyub Han),전재윤(Chae Yoon Chon),문영명(Young Myoung Moon),김귀언(Gwi Eon Kim),서창옥(Chang Ok Suh)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0 No.2

        목 적 : 수술적 절제가 불가능한 원발성 간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삼차원적인 방사선치료계획 시스템을 이용한 입체조형 방사선치료를 전향적으로 실시하고 조기 임상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원발성 간암의 비수술적 치료에서 입체조형 방사선치료의 잠재적인 역할과 가능성을 판단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1월부터 1997년 6월까지 원발성 간암으로 진단 후 입체조형 방사선치료의 기법을 적용하여 치료를 받은 17명의 환자가 본 연구 대상에 포함되었다. 대상 환자의 선정 기준은 방사선치료의 과거력이 없는 경우, 간외 전이가 없는 경우, 간경변증의 정도가 Child-Pugh classification A 또는 B군인 경우, 종양이 전체 간 용적의 2/3를 넘지 않는 경우, 전신수행도가 European Cooperative Oncology Group (ECOG) 3기 이상으로 악화되지 않은 경우이었다. 15명의 환자에서 경동맥화학색전술과 입체조형 방사선치료의 병용요법이 시행되었다. 대상 환자는 International Union Against Cancer (UICC) 병기별로 Ⅱ기 1명, Ⅲ기 8명, ⅣA기 8명이었다. 4명의 환자에서 간문맥 혈전증이 동반되었으며, 종양의 평균 직경은 8 cm이었다. 조사영역은 종양과 주변 1.5 cm이었고 조사선량의 분포는 36∼60 Gy로 중앙값은 59.4 Gy이었다. 종양의 반응은 치료 후 4∼8주에 시행한 영상 진단을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추적관찰기간의 중앙값은 15개월이었다. 결 과 : 2년 생존율은 21.2%였고 평균 생존 기간은 19개월이었다. 완전 반응과 부분 반응을 포함하여 11명의 환자에서 치료에 대한 반응을 보여 반응률은 64.7%였다. 종양의 진행을 보인 환자는 3명으로 이 중 2명의 환자가 조사영역 밖에서 종양의 진행을 보였다. 추적 기간 중 6명의 환자에서 원격 전이가 나타났고 폐 전이와 뼈 전이가 각각 5명과 1명이었다. 삼차원 입체 조형 치료와 관련된 것으로 판단되는 방사선 간염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Grade 2의 위염과 십이지장염이 각각 1명씩 발생했다. 치료로 인해 사망하였던 경우는 없었다. 결 론 : 절제 불가능한 원발성 간암의 치료에 입체조형 방사선치료를 적용한 것은 비교적 안전하였고 실제적인 치료 효과를 나타내었다. 향후 원발성 간암의 비수술적 치료에 입체조형 방사선치료의 역할이 기대되며 이 치료법의 우수성을 입증하기 위한 제 3상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otential role of three-dimensional conformal radiotherapy (3D-CRT) in the treatment of primary unresectable hepatocellular carcinoma. The preliminary results on the efficacy and the toxicity of 3D-CRT are reported. Materials and Methods : Seventeen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which was conducted prospectively from January 1995 to June 1997. The exclusion criteria included the presence of extrahepatic metastasis, liver cirrhosis of Child-Pugh classification C, tumors occupying more than two thirds of the entire liver, and a performance status of more than 3 on the ECOG scale. Two patients were treated with radiotherapy only while the remaining 15 were treated with combined 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 Radiotherapy was given to the field including the tumor plus a 1.5 cm margin using a 3D-CRT technique. The radiation dose ranged from 36∼60 Gy (median; 59.4 Gy). Tumor response was based on a radiological examination such as the CT scan, MR imaging, and hepatic artery angiography at 4∼8 weeks following the completion of treatment. The acute and subacute toxicities were monitored. Results : An objective response was observed in 11 out of 17 patients, giving a response rate of 64.7%. The actuarial survival rate at 2 years was 21.2% from the start of radiotherapy (median survival; 19 months). Six patients developed a distant metastasis consisting of a lung metastasis in 5 patients and bone metastasis in one. The complications related to 3D-CRT were gastro-duodenitis (≥ grade 2) in 2 patients. There were no treatment related deaths and radiation induced hepatitis. Conclusion : The preliminary results show that 3D-CRT is a reliable and effective treatment modality for primary unresectable hepatocellular carcinoma compared to other conventional modalities. Further studies to evaluate the definitive role of the 3D-CRT technique in the treatment of primary unresectable hepatocellular carcinoma are needed.

      • KCI등재

        1998, 1999년도 우리나라에서 시행된 근치적 유방 전절제술 후 방사선치료 현황 조사

        금기창(Ki Chang Keum),심수정(Su Jung Shim),이익재(Ik Jae Lee),박원(Won Park),이상욱(Sang-wook Lee),신현수(Hyun Soo Shin),정은지(Eun Ji Chung),지의규(Eui Kyu Chie),김일한(Il Han Kim),오도훈(Do Hoon Oh),하성환(Sung Whan Ha),이형식(Hyu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7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5 No.1

        목 적: 유방암에 대한 방사선치료의 적정성과 안전성을 보장하고 궁극적으로 치료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사선 치료 기술 표준화를 위하여 우리나라 전국 병원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형태 조사연구(patterns of care study, PCS) 를 계획하였다. 그 두 번째 단계로 근치적 유방 전절제술 후 시행한 방사선치료 방법에 대하여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조사하고자 하는 입력 문항을 개발하였고 동시에 인터넷을 통하여 조사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도 록 Web 기반 입력 프로그램(www.pcs.re.kr)을 개발하였다. 대상 환자들은 1998년도에 근치적 유방 전절제술 후 방 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로 전수 조사를 하지 않고 임의 추출하여 조사하였다. 입력 문항은 149개로 병력과 이학적 소견, 수술 소견과 병리소견, 항암화학요법, 호르몬요법, 방사선치료계획, 방사선치료, 치료 중 부작용, 치료 효과, 합병증 등 9군으로 나누어져 있다. 17개 병원에서 입력된 286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결 과: 연령은 20∼81세(중앙값 44세)였다. 환자의 병기는 AJCC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6판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T1: 9.7%, T2: 59.2%, T3: 25.6%, T4: 5.2%이었으며 T0가 1예 있었다. 액와림프절 곽청술에서 떼어낸 림프절이 10개 미만인 환자가 10.5%, 10개 이상인 환자가 86.7%이었으며 7.3% 환자에서 림프절 전이가 없었고, 림프절 전이가 3개 이하인 경우가 14%, 4∼9개가 38.8%, 10개 이상 전이된 경우가 38.5%였다. 따라서 병기 I기: 0.7%,IIa기: 3.8%, IIb기: 9.8%, IIIa기: 43.0%, IIIb기: 2.8%, IIIc기: 38.5%이었다. 방사선치료가 시행된 시기에 따라서는 수술후에 항암약물치료를 마치고 방사선치료를 한 경우가 47.9%로 가장 많았고, 수술 후 약물치료를 시행하고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후에 다시 약물치료를 시행한 경우가 35.0%로 그 다음으로 많았다. 수술 전 약물치료를 시행하고 그 후에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경우도 12.5%였다. 방사선치료 범위는 전체의 5.6%가 흉벽만 치료받았고 20.3%는 흉벽과 쇄골상 림프절을, 27.6%는 흉벽과 쇄골상 림프절과 내유방림프절을, 25.9%에서는 흉벽과 쇄골상 림프절을 치료하면서 액와 후방조사를, 19.9%에서는 흉벽과 쇄골상 림프절과 내유방림프절을 치료하면서 액와 후방조사를 시행하였다. 2예(0.7%)에서는 내유방림프절만 치료하였다. 흉벽의 방사선치료 방법에 있어서는 57.3%에서 양쪽 접선조사를 사용하였고, 42%에서는 전자선으로 치료하였다. 양쪽 접선조사를 시행한 경우에는 54.8%에서 조직보상체를 사용하였고, 전자선으로 치료한 경우는 52.5%에서 사용하였으며 흉벽에 조사된 방사선량은 91.3%에서 45∼50.4 Gy이었으며, 5.9%에서 그 이상이 2.8%에서 그 미만이 조사되었다. 쇄골상 림프절에 조사된 방사선량은 89.5% 에서 45∼50.4 Gy이었으며, 2.4%에서 그 이상이 8%에서 그 미만이 조사되었다. 결 론: 유방 보존술 후 방사선치료와는 달리 근치적 유방 전절제술 후 방사선치료는 다양한 형태로 시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치료방법에 따른 치료성적을 분석함으로써 적절한 방사선 치료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P urpose: To determine the patterns of evaluation and treatment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fter mastectomy and treated with radiotherapy. A nationwide study was performed with the goal of improving radiotherapy treatment. Materials and Methods: A web- based database system for the Korean Patterns of Care Study (PCS) for 6 common cancers was developed. Randomly selected records of 286 eligible patients treated between 1998 and 1999 from 17 hospitals were reviewed. R esults: The ages of the study patients ranged from 20 to 80 years (median age 44 years). The pathologic T stage by the AJCC was T1 in 9.7% of the cases, T2 in 59.2% of the cases, T3 in 25.6% of the cases, and T4 in 5.3% of the cases. For analysis of nodal involvement, N0 was 7.3%, N1 was 14%, N2 was 38.8%, and N3 was 38.5% of the cases. The AJCC stage was stage I in 0.7% of the cases, stage IIa in 3.8% of the cases, stage IIb in 9.8% of the cases, stage IIIa in 43% of the cases, stage IIIb in 2.8% of the cases, and IIIc in 38.5% of the cases. There were various sequences of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after mastectomy. Mastectomy and chemotherapy followed by radiotherapy was the most commonly performed sequence in 47% of the cases. Mastectomy,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followed by additional chemotherapy was performed in 35% of the cases, and neoadjuvant chemoradiotherapy was performed in 12.5% of the cases. The radiotherapy volume was chest wall only in 5.6% of the cases. The volume was chest wall and supraclavicular fossa (SCL) in 20.3% of the cases; chest wall, SCL and internal mammary lymph node (IMN) in 27.6% of the cases; chest wall, SCL and posterior axillary lymph node in 25.9% of the cases; chest wall, SCL, IMN, and posterior axillary lymph node in 19.9% of the cases. Two patients received IMN only. The method of chest wall irradiation was tangential field in 57.3% of the cases and electron beam in 42% of the cases. A bolus for the chest wall was used in 54.8% of the tangential field cases and 52.5% of the electron beam cases. The radiation dose to the chest wall was 45∼59.4 Gy (median 50.4 Gy), to the SCL was 45∼59.4 Gy (median 50.4 Gy), and to the PAB was 4.8∼38.8 Gy, (median 9 Gy) Conclusion: Different and various treatment methods were used for radiotherapy of the breast cancer patients after mastectomy in each hospital. Most of treatment methods varied in the irradiation of the chest wall. A separate analysis for the details of radiotherapy planning also needs to be followed and the outcome of treatment is needed in order to evaluate the different processes.

      • SCOPUSKCI등재

        간암의 정상조직손상확률을 이용한 방사선간염의 발생여부 예측가능성에 관한 연구

        금기창(Ki Chang Keum),성진실(Jinsil Seong),서창옥(Chang Ok Suh),이상욱(Sang-wook Lee),정은지(Eun Ji Chung),신현수(Hyun Soo Shin),김귀언(Gwi Eon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4

        목 적 : 방사선간염(radiation hepatitis)의 발생에는 방사선 조사량, 조사체적 등의 요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이러한 요인들의 관계를 양적으로 나타내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최근 3차원 입체조형 치료계획체계의 발전으로 간암의 방사선조사시 간의 선량-체적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게 되었고 나아가 이를 이용한 수학적 변수인 정상조직손상확률을 계산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저자들은 정상조직손상확률값을 연계시켜서 방사선간염의 예측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2년 3월부터 1994년 12월 사이에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중에서 간암 환자 10명, 담도암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 전 혈청학적 검사에서 간암 환자 2명에서 간경화가 있었고 (각각의 prothrombin time 73%, 68%) 다른 18명의 간기능은 정상이었다. 조사된 방사선량은 1일 1.8∼2.0Gy씩 22회에서 30회를 시행하여 39.6∼60.0 Gy (중앙값은 50.4 Gy)였으며, 조사면수는 2∼6 ports (중앙값은 4 ports)였다. 이 환자들의 치료 전 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하여 간의 선량체적분석 및 Lyman의 공식을 적용하여 정상조직손상확률값을 구하였다. 방사선간염은 alkaline phosphatase의 값이 2배이상 증가 되고 비암성 복수가 동반된 경우로 정의하였으며 환자의 병력 기록을 이용하여 방사선간염 발생여부를 파악하여 정상조직손상확률값과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 정상조직손상확률값은 0.001∼0.840까지 분포하였고 중앙값은 0.05였다. 방사선간염은 방사선 치료후 약1주에서 5주사이에 20명중 3명에서 발생하였으며, 이들의 정상조직손상확률값은 각각 0.390, 0.528, 0.844 (평균값 0.58±0.23)이었고, 방사선간염이 생기지 않은 환자의 정상조직손상확률값은 0.001∼0.308 (평균값 0.09±0.09) 사이에 분포하였다. 정상조직손상확률을 체적인자가 0.32로 계산한 경우에는 비교적 높은 값인 0.39이상에서 방사선 간염이 발생한 것을 알 수 있으나, n 을 0.69로 하여 계산한 경우에는 비교적 낮은 정상조직손상확률(0.03, 0.18)에서도 방사선 간염이 발생하는 것을 보여 체적인자 0.32가 비교적 임상적 결과와 일치하는 값이었다. 결 론 : 정상조직손상확률값이 일정값 이상의 환자에서 방사선간염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 정상조직손상확률값으로 방사선간염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Although It has been known that the tolerance of the liver to external beam irradiation depends on the irradiated volume and dose, few data exist which quantify this dependence. However,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three dimensional (3- D) treatment planning, have the tools to qua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dose, volume, and normal tissue complications become availabl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normal tissue complication probability (NTCP) and the risk of radiation hepatitis for patients who received variant dose partial liver irradiation. Materials and Method : From March 1992 to December 1994, 10 patients with hepatoma and 10 patients with bile duct cancer were included in this study. Eighteen patients had normal hepatic function, but 2 patients (prothrombin time 73%, 68%) had mild liver cirrhosis before irradiation. Radiation therapy was delivered with 10MV linear accelerator, 180∼200 cGy fraction per day. The total dose ranged from 3,960 cGy to 6,000 cGy (median dose 5,040 cGy). The normal tissue complication probability was calculated by using Lyman's model. Radiation hepatitis was defined as the development of anicteric elevation of alkaline phosphatase of at least two fold and non-malignant ascites in the absence of documented progressive. Results :The calculated NTCP ranged from 0.001 to 0.840 (median 0.05). Three of the 20 patients developed radiation hepatitis. The NTCP of the patients with radiation hepatitis were 0.390, 0.528, 0.844 (median : 0.58±0.23), but that of the patients without radiation hepatitis ranged from 0.001 to 0.308 (median : 0.09±0.09). When the NTCP was calculated by using the volume factor of 0.32, a radiation hepatitis was observed only in patients with the NTCP value more than 0.39. By contrast, clinical results of evolving radiation hepatitis were not well correlated with NTCP value calculated when the volume factor of 0.69 was applied. On the basis of these observations, the volume factor of 0.32 was more correlated to predict a radiation hepatitis. Conclusion :The risk of radiation hepatitis was increased above the cut- off value. Therefore the NTCP seems to be used for predicting the radiation hepatitis.

      • SCOPUSKCI등재

        진행된 후두암과 하인두암의 환자에서 유도화학 요법 후 방사선 치료와 수술 후 방사선 치료의 성적 비교 및 고찰

        금기창(Ki Chang keum),이창걸(Chang Geol Lee),김귀언(Gwi Eon Kim),이경희(Kyung Hee Lee)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1 No.2

        Background: We peformed a retrospective study in patients with previously untreated advanced (Stage III or IV) laryngeal and hypopharyngeal cancer to compare the results of induction chemotherapy followed by definitive radiation therapy (CT+ RT) with those of conventional laryngectomy and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OP + RT). Method: Between 1985 and 1990, twenty-four patients were treated with two or three courses of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66-75 Gy). Twenty-five patients were received laryngectomy and radical neck dissection (except 3 patients) and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55~64 Gy). Result: After a median fellow-up of 20 months, the actusrial 5-year overall survival rate was 24% (chemotherapy group) and 36%, (op group). (P<0.1). The local control rate was the 65%, (13/20) and 68.2%, (15/22). (p<0.1). The rate of laryngeal preservation was 65% (13/20) in chemotherapy group. Conclusion: Induction chemotherapy and definitive radiation therapy can be effective in preserving the larynx in a high percentage of patients with advanced laryngeal and hypopharyngeal cancer.

      • SCOPUSKCI등재

        자궁내막암 환자에서 수술 전 방사선치료와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성적 비교 분석

        금기창(Ki chang Keum),이창걸(Chang Geol Lee),정은지(Eun Ji Chung),이상욱(Sang Wook Lee),김우철(Woo Cheol Kim),장세경(Sei Kyung Chang),오영택(Young Taek Oh),서창옥(Chang Ok Suh),김귀언(Gwi Eon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5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3 No.4

        목적 : 자궁내막암 1, 2기 환자에서 수술전 방사선 치료와 수술후 방사선 치료의 성적을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적합한 치료 방법을 얻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85. 1월부터 1991.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과에 내원하여 방사선 치료를 받은 자궁내막암 환자 6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19명(1기 12명, 2기 7명)은 수술전 4-6주전에 방사선 치료를 받았으며(1군), 43명(1기 32명, 2기 11명)은 수술후 4-5주후에 방사선 치료를 받았다(2군). 2군중에 질내조사만 시행된 1명의 환자를 제외한 61명의 환자에서 모두 외부방사선 치료가 시행되었으며, 1군의 70%(13/19)와 2군의 44%(23/42)의 환자에서는 외부방사선 치료와 강내조사가 시행되었다. 외부방사선 조사는 180 CGy를 하루에 한 번씩 주 5회 시행하였으며, 총 방사선 조사선량은 39.6-55 Gy(중앙값 : 45Gy)였다. 강내조사는 1군에서는 Point A에 20-39.6Gy(중앙값 : 39Gy)가 조사되었고, 2군에서는 질 표면에서 0.5mm 깊이에 18-30 Gy(중앙값:21Gy)가 조사되었다. 결과 : 수술전 방사선 치료군과 수술후 방사선 치료군의 5년 생존율은 각각 89%, 98%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1), 2군에서 림프절의 전이 여부에 따라 5년 생존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Purpose : To obtain the optimal treatment method in patients with endometrial carcinoma(clinical stage FIGO Ⅰ, Ⅱ) by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preoperative radiotherapy (pre-op RT) and postoperative radiotherapy (post-op RT). Material and Methods : A retrospective review of 62 endometrial carcinoma patients referred to the Yonsei Cancer Center for radiotherapy between 1985 and 1991 was undertaken. Of 62 patients., 19 patients(Stage Ⅰ:12patients, Stage Ⅱ:7 patients) received pre-op RT before TAH(Total Abdominal Hysterectomy) and BSO(Bilateral Salphingoophorectomy) (Group 1) and 43 patients(Stage 1:32 patients, stage 2: 11patients) received post-weeks prior to surgery and post-op RT was administered on 4-5 weeks following surgery. All patients except 1 patient(Group 2: ICR alone) received external irradiation. Seventy percent(13/19) of pre-op RT group and 54 percent(23/42) of post-op RT group received external pelvic irradiation and intracavitary radiation therapy(ICR). External radiation dose was 39.6-55 Gy(median 45 Gy) in 5-6. 5weeks through opposed AP/PA fields or 4-field box technique treating daily, five days per week. 180 cGy per fraction. ICR doses were prescribed to point A(20-39.6 Gy, median 39 Gy) in Group 1 and 0.5cm depth from vaginal surface (18-30 Gy, median 21 Gy) in Group 2. Results : The overall 5 year survival rate was 95%. No survival difference between pre-op and post-op RT group.(89.3% vs 97.7%, p>0.1) There was no survival difference by stage, grade and histology between two groups. The survival rate was not affected by presence of residual tumor of surgical specimen after pre-op RT in Group 1 (p>0.1), but affected by presence of lymph node metastasis in post-op RT group(p

      • KCI등재후보

        1998, 1999년도 우리나라에서 시행된 유방보존수술 후 방사선치료 현황 조사

        서창옥(Chang-Ok Suh),신현수(Hyun Soo Shin),조재호(Jae Ho Cho),박원(Won Park),안승도(Seung Do Ahn),신경환(Kyung Hwan Shin),정은지(Eun Ji Chung),금기창(Ki Chang Keum),하성환(Sung Whan Ha),안성자(Sung Ja Ahn),김우철(Woo Cheol Kim),이명자(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4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2 No.3

        목 적: 유방암에 대한 방사선치료의 적정성과 안전성을 보장하고 궁극적으로 치료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사선치료 기술 표준화를 위하여 우리나라 전국의 병원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 형태 조사연구(Patterns of Care Study)를 계획하였다. 그 첫 단계로 유방보존적 수술 후 시행한 방사선치료 방법에 대하여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조사하고자 하는 입력 문항을 개발하였고 동시에 인터넷을 통하여 조사자가 직접 입력할 수있도록 Web 기반 입력 프로그램(www.pcs.re.kr)을 개발하였다. 대상 환자들은 1998년도와 1999년도에 유방보존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로 전수 조사를 하지 않고 표본 추출하여 조사하였다. 입력 문항은 127개로 병력과 이학적 소견, 수술 소견과 병리 소견, 항암화학요법, 호르몬요법, 방사선치료계획, 방사선치료, 치료중 부작용, 치료 효과, 합병증, 미용 효과 등 10군으로 나누어져 있다. 15개 병원에서 입력된 261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결 과: 연령은 24∼85세(중앙값 45세)였다. 병리학적 유형은 관상피암종이 88.9%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수질성암종이 4.2%, 소엽상피암종이 1.5%였다. 병기는 AJCC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5판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T1이 59.7%, T2가 29.5%, Tis가 8.8%였으며 전체의 42.5%가 T1c에 해당하였다. 전체 환자의 91.2%에서 액와림프절 곽청술이 시행되었고 69.7%의 환자들에서는 액와림프절 전이가 없었으며 림프절 전이가 3개 이하인 경우가 15.3%, 4∼9개가 4.2%, 10개 이상 전이된 경우가 1.9%였다. 따라서 병기 0기가 8.4%, I기, 44.9%, IIA기, 33.3%, IIB기 8.4%였다. 에스트로겐수용체와 프로게스테론수용체 검사는 각각 71.6, 70.9 % 에서 이루어졌다. 유방보존적 수술 방법은 단순절제술(excision/lumpectomy)이 37.2%, 광범위절제술이 11.5% 사분원절제술(quadrantectomy)이 23%, 부분절제술(partial mastectomy)이 27.5%에서 시행되었다. 수술 후 10예 (3.8%)에서 절제연이 양성이었고 10예는 절제연이 종양에서 2 mm 이내였다. 항암화학요법은 I기에서 54.7%, IIA기에서 83.9%, IIB에서 100% 시행되었다. 방사선치료는 1예를 제외한 모든 환자들이 계획된 방사선량의 90% 이상을 조사 받음으로써 순응도가 매우 높은 치료임을 알 수 있었다. 방사선치료의 범위는 전체의 88% 가 유방만 치료받았고 5%는 유방과 쇄골상부림프절을, 4.2%는 유방, 쇄골상부림프절에 액와림프절후방추가조사를 하였으며, 유방, 쇄골상부림프절과 함께 내유방림프절을 치료하였던 예는 1예(0.4%) 뿐이었다. 유방치료에 사용된 방사선의 종류는 Co-60가 8명(3.1%), 4 MV X-ray가 115명(44.1%), 6 MV X-ray가 125명(47.8%) 이었으며 11명(4.2%)은 10 MV X-ray를 사용하였다. 조사된 방사선량은 유방 전체에 45∼59.4 Gy (중앙값 50.4), 원발 병소에 대한 추가 조사가 8∼20 Gy (중앙값 10 Gy)로 총 방사선 조사선량은 50.4∼70.4 Gy (중앙값 60.4 Gy)였다. 결 론: 조기 유방암에 대한 진단과 병기 결정 과정, 유방보존적 수술 후 시행되는 방사선치료는 큰 편향이없이 권고안대로 잘 시행되고 있었다. 다만 원발 병소에 대한 추가 치료는 비교적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는데 이것이 치료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추적조사연구가 필요하며 방사선치료 계획상의 세부 사항에 대한 분석과 평가가 향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urpose: To determine the patterns of evaluation and treatment in the patient with early breast cancer treated with conservative surgery and radiotherapy and to improve the radiotherapy techiniques, nationwide survey was performed. Materials and Methods: A web-based database system for Korean Patterns of Care Study (PCS) for 6 common cancers was developed. Two hundreds sixty-one randomly selected records of eligible patients treated between 1998∼1999 from 15 hospitals were reviewed. Results: The patients ages ranged from 24 to 85 years(median 45 years). Infiltrating ductal carcinoma was most common histologic type (88.9%) followed by medullary carcinoma (4.2%) and infiltrating lobular carcinoma (1.5%). Pathologic T stage by AJCC was T1 in 59.7% of the casses, T2 in 29.5% of the cases, Tis in 8.8% if the cases. Axillary lymph node dissection was performed in 91.2% of the cases and 69.7% were node negative. AJCC stage was 0 in 8.8% of the cases, stage I in 44.9% of the cases, stage IIa in 33.3% of the cases, and stage IIb in 8.4% of the cases. Estrogen and progesteron receptors were evaluated in 71.6%, and 70.9% of the patients, respectively. Surgical methods of breast-conserving surgery was excision/lumpectomy in 37.2%, wide excision in 11.5%, quadrantectomy in 23% and partial mastectomy in 27.5% of the cases. A pathologically confirmed negative margin was obtained in 90.8% of the cases. Pathological margin was involved with tumor in 10 patients and margin was close (less than 2 mm) in 10 patients. All the patients except one recieved more than 90% of the planned radiotherapy dose. Radiotherapy volume was breast only in 88% of the cases, breast+supraclavicular fossa (SCL) in 5% of the cases, and breast+SCL+posterior axillary boost in 4.2% of the cases. Only one patient received isolated internal mammary lymph node irradiation. Used radiation beam was Co-60 in 8 cases, 4 MV X-ray in 115 cases, 6 MV X-ray in 125 cases, and 10 MV X-ray in 11 cases. The radiation dose to the whole breast was 45∼59.4 Gy (median 50.4) and boost dose was 8∼20 Gy (median 10 Gy). The total radiation dose delivered was 50.4∼70.4 Gy (median 60.4 Gy). Conclusion: There was no major deviation from current standard in the patterns of evaluation and treatment for the patients with early breast cancer treated with breast conservation method. Some varieties were identified in boost irradiation dose. Separate analysis for the datails of radiotherapy planning will be followed and the outcome of treatment is needed to evaluate the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