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FMEA에서 고장원인에 대한 정량적 위험척도의 개발 방향
권혁무,홍성훈,이민구,고창성,김태운 한국신뢰성학회 2020 한국신뢰성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0 No.7
FMEA는 고장 발생과 그 원인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고장으로 인한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고자 고안된 도구이다. 한정된 자원으로 효과적인 예방조치를 위해서는 전체 고장 및 그 원인에 대한 위험을 평가하여 조치의 우선순위를 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개발된 위험평가척도가 RPN으로 고장이나 고장원인의 발생도, 검출도 및 심각도에 기반하고 있으며 이들 각 요소는 다분히 주관적인 판단에 의존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객관적인 정보나 데이터의 부족을 전제로 개발된 RPN은 여러 가지 단점을 태생적으로 내포할 수밖에 없다. 오늘날 대량의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수집되고 많은 정보가 이용 가능하므로 RPN의 단점을 보완하여 보다 객관적이고 실질적인 의미를 갖는 척도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RPN을 개량하여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척도를 개발하기 위한 과거의 연구와 앞으로의 방향을 검토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