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학지리학 연구의 정체성과 연구방법론 고찰

        권혁래(Kwon, Hyeok-Rae) 우리문학회 2016 우리文學硏究 Vol.0 No.51

        이 논문에서 필자는 지리학과 문학 연구 분야에서 진행되어 온 문학지리학의 연구방법론 및 성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문학지리학 연구의 정체성과 연구방법론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학문적 개념으로는 1990년대 초부터 지리학자들이 해외의 연구성과를 도입하며 문학지리학을 소개하고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국문학계에서 2000년대 중반 이후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지리학 연구자들의 문학지리학 연구는 지리학의 논리 위에서 문학을 활용하여 지리학 연구의 외연을 넓혀 왔다. 이은숙과 김진영, 심승희 등은 실증주의적 접근, 인본주의적 접근, 구조주의적 접근을 통해 문학작품에 표현된 장소 경험을 연구하였다. 현재 문학작품 소스 발굴 및 작품 이해가 제한된 상태에서 문학지리학 연구 전망은 밝지 않다. 이 점에서 이은숙이 공동연구 방식을 통해 문학작품에서 도시공간, 이민공간, 여가공간을 주목하고, 장소 마케팅, 여가, 문화적 정체성, 문학공간의 DB화 등의 주제를 연구해온 것은 연구의 다양성 및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국문학계에서 조동일은 지방문학사, 또는 지역문학 연구의 개념으로 문학지리학 연구를 시도하였다. 김태준은 ‘문학지리’, ‘심상공간’이라는 용어를 쓰면서 방향성을 제시하였는데, 그의 연구는 ‘문학기행 에세이’, ‘지역문화 연구’ 성격을 지닌다. 동국대 현대문학 연구자들은 『근대 한국의 문학지리학』을 공동집필하면서 ‘표상’이라는 개념을 사용하며 지리학자들과는 별개의 인식과 방법을 가지고 문학 공간의 의미를 해석하였다. 이승수는 연행노정 및 중국 배경 소설을 연구하면서 인문지리학적 관점과 서사지리 개념을 사용하면서 훈고학적 고증과 현지답사를 통한 문학의 공간을 연구하였다. 권혁래는 전란을 소재로 한 조선후기 중국 배경 역사소설을 연구하면서 문학공간을 실증적으로 고증하고, 문학작품에 그려진 공간(장소)와 서사 간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문학에 그려진 노정․공간이 왜곡된 것이나 장소 형상화에 깃든 작가의식을 스토리텔링의 방식으로 해명․고찰하였다. 탁원정, 이강엽, 조재현, 신태수, 김수연 등은 고소설 작품에서 공간의 특성, 공간과 갈등의 관계를 주목하면서 고소설 작품의 공간을 해석하는 적실한 방식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다양한 고소설 작품의 공간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모델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것으로 예상한다. 문학에서는 문학지리학에 대한 좀 더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지방문학사’, ‘지역문화 연구’ 개념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심상지리’, ‘표상’, ‘서사지리’, ‘문학지도’, ‘스토리텔링’ 등의 개념을 발전시키고, 지리학계에서 진행해온 ‘장소와 장소성, 경관, 인문지리’ 논의를 수용하여 공간, 장소에 대해 심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아울러 지리학과 문학 연구자들은 각자의 영역에서 심화시켜 온 연구성과를 공유하며, 상이한 개념과 용어 문제, 문학공간의 활용 방법에 대해 토의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perform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overall research findings on literary geography, and to further discuss the issues and challenges found during the course of the review. The academic terminology associated with literary geography first came to the fore in the early 1990’s when geographers introduced overseas research findings. Literary geography has been studied in earnest in the Korean literature community since the mid-2000‘s. The studies on literary geography have primarily been conducted on the utilization of the underlying logic of geography within literature. To be more specific, Eunsook Lee, Jinyeong Kim, and Seunghui Sim took empirical, humanistic, and structural approaches, respectively, to study the experiences of a place expressed in literary work. Under the currently restricted conditions associated with the excavation of literary sources, as well as the processes required to understand literary works, the outlook of the research on literary geography is not promising. However, using a collaborative research approach, Lee’s study described how places can be urban spaces, immigration spaces, or leisure spaces. Lee’s research on the database of literary space, cultural identity, leisure, and place marketing holds significance in that it shows the possibility and diversity of literary geography research at this point in time. Dongil Cho tried to study literary geography by exploring the history of local or regional literature. Taejun Kim presented the direction of the study of regional culture and the wiring of literature tour by using the terminology “the imagery space” and “the literary geography”. Modern literature researchers from Dongguk University used the concept of representation to interpret the meaning of literary spaces when they co-wrote “Korea’s Modern Literary Geography” in order to express differences between their perceptions and research methods compared to those of geographers. Seungsu Lee proposed a research method for literary spaces by using exegetically historical research and field surveys, adopting the concept of an epical space from anthropology. Hyeokrae Kwon empirically studied the historical evidence of spaces found in a novel, while discu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s and their accounts, and the storytelling style of the spaces. In literary studies, a more systematic and logical approach is needed for literary geography. It is not sufficient to use terminology such as “the history of local literature” and “the study of regional literature”. More in-depth approaches to spaces and places should be introduced by further developing the concepts of imagery space, representation, epic geography, literature map, and storytelling, while considering discussions of place and sense of place, landscape, and human geography.

      • KCI등재

        국방모델 개발을 위한 공통 모의논리 제안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권혁래,구본임,이태억,임종원,Kwon, Hyog-Lae,Ku, Bonim,Lee, Tae-Eog,Lim, Jong Won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12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15 No.6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economics of national defence, the needs for defence M&S systems are greatly increased, but the lack of interoperability and reusability lowers the level of reliability in the existing simulations models. Recently, many research activities have been performed and some conceptual models, such as CMMS, DCMF, and KAMA, were introduced. However, these models don't support the whole process of defence M&S system development nor provide integrated domain knowledge and up-to-date data.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analysts' guidances and doctrines, which are the basic ingredients for the simulation system development, and proposed a systematic structure for all the defence M&S stakeholders to share the standardized domain knowledge, modeling algorithm and data. This will be a logical bridge between Mission Space and Simulation Space, and provide substantial data sets to build simulation systems.

      • KCI등재

        문학지리학의 관점에서 본 등주(登州)

        권혁래(Kwon Hyeok-Rae) 국어국문학회 2010 국어국문학 Vol.- No.154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Deungju in Shandong, China has significance in terms of the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Korea. In this paper, the meaning of Deungju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iterary geography is discussed by analyzing descriptions of Deungju in various literary works, including poems based on travel logs at the end of Gorye dynasty, Jocheon Voyage Log by Hong Ik-han, and Gim Yeong-cheol Jeon. Deungju was depicted as a stop over connecting the land and the sea route in the course of travel to and from China at the end of Goryeo dynasty and the early Joseon dynasty. A lodging house at Deungju Station and Bongrae station, Bongraegak, and Bojeongsa are the representative examples shown in the envoy travel literature. Gwon Geon and Jeong Mong-ju used the place as material for their literary works. A 30day literary log was recorded in the Jocheon Voyage Log by Hong Ik-han(1625). Here,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landscape and traditions of Deungju and the places visited by the envoys as they successfully performed their mission were also included. Deungju in Gim Yeong-cheol Jeon was described as a city where love, happiness and the pain of separation between Gim Yeong-cheol and Lady Jeon were shared. It is expected that the depictions of Deungju in Korean literary works could serve as a significant historical record, and strengthen the ties between China and Korea.

      • KCI등재

        고전 대중화의 현재와 미래

        권혁래(Kwon, Hyeok-rae) 한국고전번역원 2015 民族文化 Vol.45 No.-

        고전의 대중화란 ‘고전이 어떻게 현재와 소통 가능한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작업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고전 번역 및 대중출판물 간행 작업을 중심으로 현황을 검토·분석하고, 오늘날 고전의 활용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고전 대중화 작업의 현황과 성과는, 1)민족문화 보전과 한문고전 번역·출간, 2)민족고전 발굴과 한국고전문학전집 간행, 3)고전의 대중출판물 간행 작업, 4)주목되는 고전 대중화 연구 및 글쓰기 작업, 네 항목으로 분석, 평가하였다. 향후 고전 대중화 작업의 방향은 ‘해석의 글쓰기’, ‘콘텐츠와 스토리텔링’의 시각에서 제언하였다. 한문고전의 번역과 해석의 중요성도 강조하였다. 고전의 대중화는 오랫동안 원전의 번역·출판 작업 중심으로 진행되었지만, 때때로 이론화 작업이나 대중독자를 대상으로 한 글쓰기 작업으로도 나타났다. 최근 고전문학 연구들 중에는 고전 텍스트와 글쓰기, 게임, 영화, 드라마 등의 문화콘텐츠를 연계시키려는 논의가 꾸준히 발견되지만, 추상적이거나 모호한 경우도 적지 않다. 학회 차원에서, 그리고 대학의 관련 학과 커리큘럼에서 고전 대중화 연구 주제를 지속적으로 기획 · 실행 · 평가하고 논의의 방향을 공유할 필요가 있다. 1960년대 이래 고전이 전통문화 및 민족문화의 발굴 및 보존, 선양 면에서 주목되어 왔다면, 오늘날 고전 연구에 적실한 연구 시각은 ‘해석의 글쓰기’, ‘콘텐츠로서 고전 보기’다. 고전 연구자는 오늘날 현실의 맥락에서 사회와 인생에 어떠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지 성찰하여 질문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이에 대하여 자신의 주제와 관점에서 답하는 글쓰기를 해야 한다. 이것이 해석의 글쓰기다. 고전은 또한 영상콘텐츠, 관광콘텐츠, 교육콘텐츠, 지역문화콘텐츠 등의 분야에서 활용 가치를 주목받고 있다. 대학의 문학 전공자들이 이러한 공부를 배우고 활용할 줄 알고, 관련 업종에 종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관련 전공에서는 ‘콘텐츠’ 제작과 관련된 커리큘럼을 개발해고, 학생들의 공부를 콘텐츠 제작과 스토리텔링의 글쓰기까지 확장시킬 수 있기를 제안한다. 이를 통해 고전 전공자들의 시야 및 활용분야가 넓어지고, 고전의 대중화 토대가 확충될 것이다. Popularization of the classics is the work of answering the question, ‘how can classics communicate the present and the future?’ In this regard, the author reviews and analyzes current conditions based on translations and published works on the classics and discusses what value and meaning classics have nowadays. The author analyzes and evaluates the current trends and results of popularization of the classics in four parts: 1) conservation of national culture and publishing translations of Classical Chinese, 2) excavation of national classics and publishing Korean classical literature, 3) popular publications based on classical novels, and 4) a study of the popularization of works receiving attention in chapter 2. In chapter 3, the author suggests the direction of classic popularization from the viewpoint of ‘writing of interpretation’ and ‘contents (story-source).’ Although for a long time popularization centered on translation and publishing, the direction of future work on popularizing the classics is from the perspectives of ‘writing on interpretation’ and ‘content.’ Sometimes it took the form of theorizing or even writing intended for popular readership. In recent studies on classical literature, classical texts are linked to writing, games, movies, drama and other cultural contents, but there are some abstract or ambiguous cases. In academia and related university course curricula, research topics on popularization of classics are continuously planned and undertaken. There is a need to evaluate and share the direction of the discussion. Classical literature in film content, sightseeing content, educational content, local cultural content, etc., has attracted attention in areas such as utilization value. Literature majors in college know to take advantage of this course of study to be able to engage in related industries. To this end, we propose the related area in the curriculum be “content” production; students’ studies can be extended to content creation writing and storytelling.

      • KCI등재
      • KCI등재

        <조완벽전>과 <최척전>에 그려진 민간인 포로 형상과 해양체험

        권혁래 ( Kwon Hyeok-rae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9 漢文古典硏究 Vol.38 No.1

        이 논문에서 필자는 포로실기 <趙完璧傳>에 기록된 임진왜란 민간인 포로조완벽의 항해와 해양체험을 분석하고, 이와 연관하여 조위한의 소설 <최척전>의 포로서사 및 문학공간 설정이 <조완벽전>과 어떻게 상관있는지에 대해 상론하였다. 이수광은 항해노정 중, 조완벽을 무역선원의 형상으로 묘사하고, 항해 도중겪은 특이한 일들을 주로 기술하였다. 이수광은 항해노정 중 일본 사츠마주, 중국 광동성, 베트남 흥옌, 필리핀[呂宋], 류큐(琉球) 등의 주요 지명과 원양항해기법을 비중 있게 기록하였다. 남양견문에서 해류가 서쪽에서 동쪽으로 거세게흐르는 것에 대해 “서쪽 바다의 수위가 높고 동쪽이 낮아 그렇다(海水西高東下)”고 한 인식은 독특하다. ‘游龍’ 이야기는 ‘용오름 현상’에 대한 것으로, 당시 뱃사람들이 토네이도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을 보여준다. 조위한은 조완벽, 이수광 등과 동시대의 인물로서, <조완벽전>을 읽고 <최척전>을 구상하였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조위한은 <조완벽전>에서 민간인포로라는 주인공 형상, 나가사키·바다·무역선·베트남항구라는 문학공간, 민간인 포로의 고국귀환이라는 주제 등의 면에서 제재를 얻고 상상력을 발휘한 것으로 보인다. 조위한은 옥영의 ‘베트남행’을 그리면서 항해노정이나 해양체험에 대해서는 거의 기술하지 않고, 베트남 항구에서의 극적인 부부상봉 장면과 선한 일본인 주인 형상을 강화함으로써 ‘민간인 포로의 고국 귀환’이라는 주제를 실현하였다. In this paper, I analyzed Jo Wanbyuk's life-story of the kidnapping of Japan in 1597, and discussed in detail how the narrative and literary space of Jo Wihan's novel Choi Cheok-jeon is related to Lee Sugwang’s Jo Wanbyuk-jeon. Lee Sugwang portrays Jo Wihan in the form of a commercial sailor, and describes mainly the unique things he experienced during his sailing. Lee Sugwang recorded the names of Satsuma, Kwangdung and Heung-yen Viet Nam among the sailing voyages. He said that the western sea was high and the east was low, so the waters flowed from west to east. It also recorded the perception that sailors had about tornadoes. Jo Wihan read Jo Wanbyuk-jeon and got material in terms of the hero named 'kidnapped person', a literary space called the 'Nagasaki-sea-trading ship-port of Viet Nam', and themes of 'the return of kidnapped ones'. And he created his novel Choi Cheok-jeon with his imagination.

      • KCI등재

        문학과 문화 : 보상과 리더십의 관점에서 본 <김영철전>

        권혁래 ( Heok Rae Kwon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4 동양문화연구 Vol.19 No.-

        이 논문에서 필자는 17세기 역사소설 <김영철전>을 주 텍스트로 하여 명-청 간 전쟁에 휘말린 한 개인의 인생과 정부의 리더십 문제를 비판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김영철전>은 주인공 김영철이 1618년 부모와 이별한 후 심하전투에 출전, 전쟁포로가 되어 갖은 고생을 하다가 고국의 부모를 봉양하기 위해 필사적으로 귀향한 이야기, 그리고 그 귀향으로 인하여 김영철과 이국땅의 처자들이 서로 평생 한스러워하던 이야기, 김영철이 종군(從軍)으로 인하여 평생 고통스러워하던 이야기를 그린 역사소설이다. 이 작품을 통해서 우리는 김영철의 가족사의 시대적 배경이 되는 17세기 동아시아의 역사 현장 및 정치적 현실의 단면을 생생하게 만날 수 있다. 조선 정부는 심하전투 때 군사를 모으면서 징집자들에게 군역 면제를 비롯한 삼통(三通)을 약속하였지만, <김영철전>의 주인공 김영철은 어떠한 보상도 받지 못했고, 일생 동안 군역의 수고로움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조선정부는 심하전투 때 결사항전하다가 전사한 김응하 장군에 대해서는 즉각적으로 <충렬록>에 이름을 올려 영웅화하여 숭명반청 이데올로기를 선양하였다. 하지만 전공자(戰功者), 전상자(戰傷者), 전사자(戰死者), 포로(捕虜)된 자들에 대해서 어떠한 보상도 하지 못했고, 그러한 돈이나 정책도 준비하지 못했다. 이에 비해 소설 속의 청 태종 홍타이지(皇太極)는 위기에 처한 김영철을 천하를 얻을 징조라며, 영철이 전에 지은 과오를 용서하고, 비단과 말 두 마리라는 큰 상을 내렸다. 역사적으로 청 정부는 포로들을 팔기군으로 편입하고, 항장들을 비롯하여 이민족 출신자들을 우대하여 건국에 큰 공을 세우게 했고, 그들에게 합당한 보상을 하였다. 청정부는 이러한 정책과 보상의 리더십을 통해 천하를 통일하였고, 조선정부는 파병 군인에 대한 보상을 하지 못함으로써 국정의 토대를 잃었다. 1만여 군인들이 목숨을 잃거나 귀환하지 못함으로써 조선의 국 력은 크게 손상되었고, 1만여 가정에서는 생계를 잇고 가문 이을 남자를 잃었다. <김영철전>은 전시의 상황에서 무능한 국가와 천하를 통일할 국가의 리더십이 어떠한 것인가를 대비적으로 보여준다. 필자는 텍스트 분석을 통하여 위정자들이 공허한 이데올로기에 빠지지 않고 국제정세를 잘 살펴 국가의 실리를 챙겨야 함과, 개인의 삶을 보호하고 공적에 대한 합당한 보상이 필요함을 제기하였다. Writer, by making 17c historical novel Kim Young Chul-joen the main text, considered one person’s life who was involved in Ming-Qing war and the government leadership problem in this paper. Kim Youngchul-jeon is a historical novel that main character Kim Youngchul separated with family, participated in Simha Battle, suffered from being war prisoner and returned to the country, followed the army again and get suffered. Through this work, we can meet historical event and aspect of real politics of 17c East Asia that provide a period background of Kim Youngchul family history. Recruiting the army for Simha Battle, Chosun government promised the exemption of military service and people of lower class. However, main character Kim Youngchul didn’t receive any rewards, and couldn’t get out of laborious tasks for the lifetime. Chosun government enhanced the ideology that revere Ming and against Qing by registering General Kim Eungha who died in Simha Battle on Chungryeol-rok promptly and heroizing him. However, the government couldn’t give any reward to people who honored, wounded, died, and prisoned during the war and couldn’t prepare any money or law neither. In contrast, emperor of Qing, Hong Taiji in the novel forgave Youngchul’s mistake in the past and gave a silk and two horses. Historically, Qing government admitted war prisoners to Eight Banners(八旗軍), deserved foreign people well including surrendered generals, made them give a big contributions, and gave proper rewards. Qing government unified the China with these laws and leadership of rewards, however, Chosun government lost the foundation of government affair by not giving a reward to dispatching soldiers. About ten thousand soldiers died or couldn’t return to Chosun, Chosun national power critically damaged and those families lost men who inherit the family. Kim Youngchul-jeon shows incapable nation in the war and what is the leadership of nation who unify the world. Writer brought up the need to take a benefit of the nation, with politicians do not fall in empty ideology and look closely at international situation, and the need to protect personal lives and give proper reward about accomplishment.

      • KCI등재

        문학 : <구운몽>의 현재적 소통과 다시쓰기 출판물

        권혁래 ( Hyeok Rae Kwon ) 온지학회 2011 溫知論叢 Vol.0 No.27

        1990년대 이래 시리즈·전집 형태의 대중출판물로 간행된 <구운몽>은 모두 28종인데, 이를 대상 독자층의 연령대별로 구분하여 보면, 아동용 16종, 성인용 9종, 청소년용 3종 순이었다. 2000년대 이후에는 청소년층을 대상으로 한 출판물이 새롭게 등장하였으며, 아동층을 대상으로 한 출판물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필자가 제시한 <구운몽>의 다시쓰기 출판물에 대한 비평의 기준은 ①어휘 및 문장 표현의 난이도 조절, ②서사의 디테일한 점들을 재현하는 문제, ③주제 구현의 충실성 문제, ④작품 해설 및 정보의 문제, ⑤그림의 문제 등이다. 이를 바탕으로 8종의 <구운몽> 다시쓰기 출판물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작품의 주요 장면들을 대비하면서 각 출판물의 다시쓰기 작업이 거둔 성과와 개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Since 1990, there have been 28 different versions of Guwunmong, rewritten as a type of Korean classic collection. In terms of readers by age, 16 were for children, 9 were for adults and 3 were for adolescents. Although versions for adolescents have recently emerged, books for children are the most numerous. The criteria for analysis of rewritten publications of Guwunmong presented by various authors include ①adjustment of the level of vocabulary and expression, ②the method of reproduction of the details of the epic, ③faithful reproduction of the subject, ④issue of the explanation and information of the work, and ⑤issue of pictures, based on which nine different written publications of Guwunmong was analyzed in concrete. In conclusion, by comparing the main scenes of Guwunmong, each rewritten publication was evaluated in terms of performance and characteristics.

      • KCI등재

        장편군담소설 <허인전>의 서지와 서사적 특징

        권혁래 ( Hyeok-rae Kwon ) 온지학회 2017 溫知論叢 Vol.0 No.53

        <허인전>은 한글박물관 소장 한글필사본 소설로, 명나라 무종 정덕제를 배경으로 한 장편 군담소설이다. 상하권 2권 2책이며, 상권 83장, 하권73장에 각 면마다 행과 글자 수는 일정하지 않다. 현 한글박물관 소장본 필사는 20세기 초에 이뤄진 것인데, 원작은 20세기 이전, 19세기에 창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작품은 장편 군담소설 유형에 속하며, 주된 내용은 명나라 정덕제 무종이 양자로 들인 류경복이 역모를 일으켜 황위를 찬탈한 뒤, 충신 허운의 아들 허인이 그에 맞서 싸워, 무종의 아들 홍이 황위를 되찾고 평화를 되찾는다는 이야기다. 허인은 거듭된 전쟁에서 신이한 작전을 사용하여 승리하였고, 숙종이 새로운 황제로 옹립된다. 류경복의 동생 경회가 반역을 일으키지만, 다시 허인이 류경회를 몰아내고 태평성세를 이룬다. <허인전>의 주요 인물은 명 황제 무종 및 숙종, 충신 허인, 역신 류경복이다. 명 무종과 숙종은 불명(不明)한 황제로 성격화되었다. 허인은 불굴의 충신으로, 류경복은 흉포한 역신으로 성격화되었다. <허인전>은 충신과 역신 간에 전면적 전쟁이 여덟 차례나 반복적으로 펼쳐진다. 여기에 인물의 출생·성장담, 남녀 주인공의 결연담, 사냥담, 자객 퇴치담 등이 자세하게 묘사되면서 장편화되었다. <허인전>은 『삼국지연의』의 인물, 서사, 장소성 등을 수용하여 명 무종 연간의 의사역사적 소재를 다양한 방식으로 소설화하였다. 특히 촉한 장군 ‘강유’의 환생으로서 허인의 형상을 설정하여 성격화하고, 강유와 그 스승 제갈량이 펼쳤던 다양한 진법과 병법을 차용한 군담의 양상은 흥미롭다. <허인전>은 『삼국지연의』의 열독과 감회를 통해 새로운 성격의 군담 소설이 탄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 점에서 <허인전>의 개성과 문학적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Heo-in jeon is a Korean manuscript novel by the Hangul Museum. The novel consists of two volumes. The first volume is 166 pages, and the second volume is 146 pages. This manuscript of novel was copied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the original seems to have been created in the 19th century. Heo-in jeon was featured as a full-fledged gangster with rebel Ryu Kyung-bok and loyalist Heo In, centering on the Ming Emperor Mujong and Sukjong. The main characters of Heo-in jeon are the Ming Emperor Mujong and Sukjong, loyalist Heo In, and rebel Ryu Kyung-bok. Heo-in jeon has eight times the war stories between the loyalist and the shrine. And as the story of the birth and growth of the characters, the love story of the male and female characters, and the hunting story were added, the novel became a feature-length novel. Heo-in jeon has embraced the characters, narratives, and place of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三國志演義), and made characters, narratives, and subject consciousness fiction in various ways. Especially, it is interesting to set the shape of the main character as a reincarnation of 'Jiang Wei(姜維)'.

      • KCI등재

        다문화동화집 출간과 활용 연구 - 이주민들이 안고 들어온 글로컬 문학에 대해 -

        권혁래 ( Kwon Hyeokrae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8 동화와 번역 Vol.35 No.-

        이주민 모국의 옛이야기를 전래동화로 개작한 다문화동화집은 다문화가정 자 녀의 정체성 확립, 다문화가정의 부모자식 간 소통뿐 아니라, 일반 학생들의 다문 화 감수성 신장에도 기여할 것이다. 2010년 이후로 한국에는 ‘색동다리 다문화’, ‘동아시아 대표동화’, ‘다문화 그림 책’, ‘지구촌 다문화 그림책 이야기’ 등의 ‘다문화동화’ 시리즈가 출판되었다. 이 동 화집에 나타난 대상 국가, 작품목록, 결혼이주 여성들의 동화창작 참여, 이중언어 표기방식 등은 다문화수용의 새로운 방식을 보여준다. 다문화동화집에 대한 필자의 전망 및 제안은 다음과 같다. ①다문화동화 시리즈는 문학시장 개척 및 다문화교육에 활용될 것이다. ②다 문화동화 출판대상을 베트남, 필리핀 등의 동남아, 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등으로 넓힌다. ③결혼이주민들을 활용하거나 공용어로 번역된 텍스트를 읽고 아시아 국 가의 동화목록을 조사하고, 문학적으로 우수한 작품을 파악한다. ④동화 텍스트의 한국어와 외국어 이중병기 출판방식은 다문화교육에 유용하다. ⑤다문화동화집을 바탕으로 교육적 활용과 콘텐츠 제작 방안을 모색한다. Children's multicultural stories[fairy tales] may help children, who have foreign parents,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ir mothers’ country culture, establish their own identity, and enhances the communication ability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s multicultural literature als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by enhancing understanding of foreign cultures to Korean children. Since 2010, there has been a new trend in publishing Children's multicultural literature and picture books in the Korean publishing industry. The list of countries, publishing lists, and bilingual notation that have appeared in the Saegdongdali Children's Multicultural Literature Series, Multicultural neighborhood fairy tales, East Asian representative fairy tale series, Multicultural picture book series, Global village multicultural picture book story show the present state of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in the Korean society through fairy tales. A key element of the work of compiling children's multicultural literature is to identify the representative fairy tale works of Asian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