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자폐’ 관련 전국단위 주요 신문사와 방송사의 보도형태 변화 분석

        권충훈 K교육연구학회 2023 사회과학리뷰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present the results of the changes in the reporting pattern of media(major newspapers and broadcasters nationwide) related to ‘autism’, which has recently increased in proportion among the types of disabilities. The turning point of the change in the form of reporting set in this study is the drama “Weird Lawyer Woo Young-woo” reflected in the popularity of 2022. The main research methodologies used in this study are ‘text min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In this study, tried to objectively analyze using recognized analysis tools such as BIGKinds, a Korean morpheme analysis program KrKwick, a word cloud implementation site(wordcloud.kr), a semantic network analysis program Ucinet6, and a network visualization program NetDraw. The main analysis targets of this study were the titles of press articles by national newspapers and broadcasters, including the term ‘autism’ for one year, in 2021 and 2022. The results of this study include a significant increase and change in the number of articles in the media related to 'autism' and keyword trends in 2021 and 2022, changes in keywords with high frequency of occurrence in the titles of articles in the media related to 'autism', and the degree of connection of key words by year Changes in centrality values and network diagrams were analyzed and pres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for improving disability awareness of researchers and related institutions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and disability welfare and the policy of completing the program. In addition, related researchers and related organizations are expected to expand efforts to improve disability awareness through cooperation with national media companies.

      • KCI등재후보

        멀티미디어 교수-학습콘텐츠의 인지심리학적 효과

        권충훈 한국콘텐츠학회 200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5 No.5

        Teaching-learning activities in a school class is influenced by the development of a information science in the 21 century. Recently, the instruction in a school class use a multimedia teaching-learning contents chiefly. A great number of teachers don't recognize a foundation of the effects on teaching-learning contents utilizing multimedia. In this paper, I propose to analyze and verify the foundation of effects on cognitive psychology of multimedia teaching-learning contents. The principal method of this study is to synthesize and analyze researches of scholars or literature study largely. In this paper, the foundations of effects on multimedia teaching-learning contents are following: the dual encoding of information process, the skill on direction and speed-regulation of learning, and the others educational strength. The theoretical conviction in multimedia teaching-learning contents is operated as the confidence of education contents & media utilized by teachers and learners, and is anticipated as the growth of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learning activities. 21세기의 정보과학기술의 발달은 학교교실의 교수-학습활동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다. 현재 학교교실수업은 멀티미디어 교수-학습콘텐츠를 주로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교수자들은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교수매체 및 내용의 효과성에 대한 근거를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멀티미디어 교수-학습콘텐츠의 효과성을 인지심리학적 관점에서 분석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방법은 관련 주요 연구자들의 연구를 종합분석하는 것이다. 멀티미디어 교수-학습콘텐츠 효과의 근거로서는, 인간 정보처리의 이중부호화, 학습의 방향과 속도조절기능, 그 외의 교육적 장점 등을 제시하였다. 멀티미디어 교수-학습콘텐츠의 효과성에 대한 이론적 확신은 교수자 및 학습자들로 하여금 그들이 사용하는 교육내용 및 매체에 대한 믿음으로 작용하여 학습의 양적, 질적 증대로 이어지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도가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전망적 효과 - 장애인고용패널조사 데이터 분석을 통한 -

        권충훈,최희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spective effect of acceptance of disability on self-esteem of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is study used the PSED(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conducted by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from the 2008(1st) to the 2014(7th). Data used in this study is as follows; Data on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comes from the 2010(3rd), the 2011(4th) waves, Data on the self-esteem come from the 2012(5th), the 2014(7th) waves. This study analyses a direct effect of acceptance of disability in the 2010(3rd), the 2011(4th) on self-esteem in the 2012(5th), the 2014(7th).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separated by the interval time on two major variables(acceptance of disability, self-esteem). The result of this study is follows; First, acceptance of disability predicts subsequent self-esteem of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y in 1 year, 2 year, 3 year interval(based on research problem 1-3). Second, acceptance of disability did not have a meaningful impact on the self-esteem in 4 year interval(based on research problem 4). 본 연구의 목적은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도가 미래 시점의 자기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조사한 장애인고용 패널조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3차년도와 4차년도에 조사 보고된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도가 5차 년도와 7차년도에 조사 보고된 그들의 자기존중감 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 하였다. 연구대상은 장애인고용패널 조사에 참여한 지체장애인 2,085명이었다. 분석방법은 AMOS 7을 사용하여 장애수용도의 종단적 측정 동일성과 타당도, 자기존중감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 분석을 진행하였고, 전망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진행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도가 어느 간격에서 그들의 자기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따라 유목화 하여 제시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장애인의 장애 수용도는 1년, 2년, 3년 간격에서 자기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연구문제 1,2,3). 둘째,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도는 4년 간격에서 그들의 자기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연구문제 4)를 확인하였다.

      • KCI등재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활용한 대학 핵심역량 관련 언론사 기사와 연구동향 분석

        권충훈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6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trend of press articles and research trends in journal papers in the last 10 years, which dealt with the subject of 'university core competencies' with a big data analysis method. The main research methodology of this study applied the BigKinds analysis system and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olog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press articles related to university core competencies showed a keyword trend that rapidly increased in December 2014 and the second half of 2020. Related keywords were curriculum, specialization, project group, Ministry of Education, ACE, and competitiveness. Second, the semantic network value between keywords of related research papers showed 554 degree, 18,467 avg. degree, and 0.637 density. The degree of centrality of connection was analyzed in the order of university(1606), competency(1481), core(1349), and core competency(1301). Betweenness centrality was analyzed as core competencies(13.101), university students(13.101), university(13.101), and competencies(13.101).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give implications to future research and policy-making, educational program planning and operation, etc. to members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experts in education policy, and educational scholar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핵심역량’과 관련된 주제를 다룬 최근 10년간(2011~2020년) 언론사 보도기사의 추이와 학술지 논문들의 연구동향을 빅데이터 분석방법으로 확인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요연구방법론은 빅카인즈 분석 시스템과 언어네트워크 분석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연구결과는 첫째, 대학 핵심역량 관련 언론사 기사수는 2014년 12월, 2020년 후반기에 급증하는 키워드트렌드를 보였다. 관련 연관어는 교육과정, 특성화, 사업단, 교육부, ACE, 경쟁력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련 연구논문 키워드 간의 언어네트워크 값은 연결정도 554개, 평균연결 18,467개, 밀도 0.637 을 보였다. 연결정도 중심성은 대학(1606), 역량(1481), 핵심(1349), 핵심역량(1301) 등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매개 중심성 높은 키워드는 핵심역량(13.101), 대학생(13.101), 대학(13.101), 역량(13.101)으로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고등교육기관 구성원, 교육정책 관련 전문가, 교육학자 등에게 향후 연구및 정책 입안, 교육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등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학교현장실습 경험이 예비 특수교사와 예비 유아교사의 교직 적성 및 인성에 미치는 영향

        권충훈,이형하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5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8 No.1

        This study is related to the test of teaching aptitudes & persona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fference of teaching aptitudes & personalities between pre-service special teacher a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through teaching practicum experiences. Based on the pre- and post- test scores of the teaching aptitudes & personalitie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73 pre-service special teachers(31 student of dept. of elementary special edu. and 42 student of dept. of early childhood edu.) at K university in G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inquired and discussed from the outcomes of changes of the teaching aptitudes & personalities between pre-service special teacher a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through teaching practicum experiences. First, the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d positive changes at 7 categories, negative changes at 2 categories of the teaching aptitudes & personalities. Second, according to an analysis on the school types(special education teacher vs early childhood teacher) for teaching practicum, the chang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aptitudes & personalities happened on much more and variously. Third, according to an analysis on the educational career of a guidance teacher(below ten years and more than ten years), happened on the group of the less than ten years much more and variously. Specially, the group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less than ten years of guidance teacher experienced much more positive changes. 본 연구는 2013학년도부터 모든 교원양성기관에서 도입한 교직 적성 및 인성검사와 관련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현장실습이 예비 특수교사와 예비 유아교사의 교직 적성 및 인성검사결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구체적으로 확인 및 제시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G광역시 소재 K대학교 초등특수교육과 31명, 유아교육과 42명(총73명)을 대상으로 학교현장실습 이전과 이후에 교직 적성 및 인성검사를 실시하여, 하위 14개 영역별 검사결과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연구대상 전체 예비교사의 교직 적성 및 인성검사는 14개 영역 중 7개 영역에서 의미 있는 증가를, 2개 영역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둘째, 학교현장실습을 경험한 예비 특수교사와 예비 유아교사의 교직 적성 및 인성검사 결과는 매우 다양한 양상을 보였다. 예비 특수교사는 3개 영역에서 유의미한 증가를, 1개 영역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예비 유아교사는 7개 영역에서 유의미한 증가를, 1개 영역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셋째, 학교현장실습 지도교사의 교육경력에 따른 교직 적성 및 인성 검사결과는 예비 유아교사의 경우가 보다 많은 영역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특히 교육경력 10년 미만의 지도교사에게 지도를 받은 예비 유아교사의 교직 적성 및 인성검사 결과가 다양한 영역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 KCI등재후보

        장애아동을 위한 특수교육공학 콘텐츠 유형 탐색

        권충훈,김훈희 한국콘텐츠학회 200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7 No.8

        The special educational technology is the combination term of special education and educational technology. These days, the applications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special education field is very increasing through the development of IT and the progress of teaching methods. The development of IT bring out the applications of assistive technology. The various development and operation strategies of the individualized educational program have promoted the advancement of teaching methods for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quiry and to present the applicable contents of special educational technology for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important study problem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educational technology and special educational technology, to categorize special educational technology in the view of application and to develop the contents of instructional design and assistive technology device. Finally it is to suggest the progress tasks for the development of the special educational technology. 특수교육공학은 특수교육과 교육공학을 결합한 용어이다. 오늘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다양한 교수법의 진보 등으로 특수교육현장에 교육공학적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보조공학적 측면으로, 교수법의 발달은 IEP의 개발 및 운영형태로 적용되고 있다.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교육에 적용 가능한 특수교육공학의 콘텐츠 유형을 탐색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교육공학이 일반교육현장과 특수교육현장에 적용될 때 그 주요 형태 및 기대성과의 차이를 확인하고 특수교육공학의 범주를 찾아 정리해서 특수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한 특수교육공학을 수업공학 측면 및 보조공학장치 측면에서의 콘텐츠 유형을 제시하는 것 등이다.한국의 특수교육은 양적, 제도적 측면에서 큰 성과를 가져왔다. 이제는 질적, 개인적 측면에서의 성과를 내야 할 시점이다. 그런 측면에서 특수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현장감 높은 특수교육공학의 콘텐츠를 제시하였다. 끝으로 특수교육공학 발전을 위한 향후 과제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고교학점제' 관련 언론사 기사들의 주요 변화 분석

        권충훈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5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jectively analyze the trend of media articles related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2017~2019: 3 years), which has become the biggest concern among Korean education policies, through BIGKinds, a news data big data analysis service for media companies. The main research methodologies were BIGKinds system's specific search term news search, news trend analysis, keyword extraction and wordcloud implementation, network analysis and network picture presentat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articles related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at appeared in major media outlets in Korea for 3 years from 2017 to 2019 was 3,649. The number of articles was sharply increased at a certain point about 4 times, based on the government's announcement of related policies. It showed an increasing news trend. Second, the top 20 keywords that emerged from the press articles related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3 years of analysis were present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keyword change by year appeared. Third, the network of media articles related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as visualized and presented in different ways by person, institution, and keywor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education policy was adopted as the representative education policy of the Moon Jae-in government, and is proceeding in the policy decision stage and policy implementation stage.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교육정책 중 관심거리가 되고 있는 ‘고교학점제’ 관련 언론사 기사들의최근 변화(2017년∼2019년: 3년간) 모습을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주요 연구방법론은 BIGKinds 서비스의 특정 검색어 뉴스 검색, 뉴스 트렌드 분석, 키워드 추출 및 워드클라우드구현, 네트워크 분석 및 네트워크 그림 제시 등 이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2017년~2019년 3년간국내 주요 언론사에 등장한 고교학점제 관련 기사건수는 총 3,649건이며, 정부(교육부)의 관련 정책발표를 계기로 4번 정도 특정 시점에서 기사건수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뉴스 트렌드를 보였다. 둘째, 분석대상 3년간의 고교학점제 관련 언론사 기사들에서 추출한 상위출현빈도 20위 키워드들을 제시하였으며, 연도별 키워드의 변화가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고교학점제 관련 언론사 기사들의 연도별 네트워크는 인물, 기관, 키워드 별로 다른 모습으로 시각화하여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고교학점제 교육정책이 문재인 정부의 대표적인 교육정책으로 채택되어, 정책 결정 단계를 거쳐 정책 집행 단계로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해 주었다.

      • KCI등재

        ‘NCS(국가직무능력표준)’에 대한 주요 신문사의 보도 양상

        권충훈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4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number of articles, keyword trends, keywords, and relationship changes in NCS of major domestic newspapers (central and economic).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NCS-related articles from January 1, 2010 to December 31, 2019. The main research methodology of this study utilized the Bigkinds of the Korea Press Foundation, a representative news article big data analysis service, to analyze the number of articles and keyword trends, extract key keywords, and change relation map.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NCS-related articles in the central and economic newspapers in the 2010-2019 (10-year period) was 8,170, and the number of related articles increased since 2013, followed by the largest number of articles in 2015 and 2016. Second, the main keywords of NCS-related articles are the curriculum, national job competence standards, specialization, public institutions, industrial sites, public enterprises, NCS-based curriculum,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learning module, and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significant changes were identified. As a follow-up research idea in this study, a variety of in-depth network analysis methods are used to conduct semantic network analysis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주요 신문사(중앙지, 경제지)의 NCS(국가직무능력표준) 관련 기사들의 기사건수, 키워드 트렌드, 핵심어, 관계도 변화 등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2010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총 10년간) 중앙지, 경제지의 NCS 관련 기사들이다. 연구의 주요 연구방법론은 대표적인 뉴스 기사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인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빅카인즈를 활용하여, 기사건수 및 키워드 트렌드 분석, 주요 핵심어 추출 및 관계도 변화 등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로는 첫째, 2010-2019년 10년간 중앙지 및 경제지 신문에서 NCS 관련 기사건수는 총 8,170건이며, 2013년 이후 관련 기사건수가 늘어나다가 2015년과 2016년에 가장 많은 기사들이 보도되었다. 둘째, NCS 관련 기사들의 주요 핵심어로는 교육과정, 국가직무능력표준, 특성화, 공공기관, 산업현장, 공기업, NCS기반 교육과정, 교육부, 학습모듈, 고용노동부 등이며, 분석대상 전반기와 후반기의 관계도의 의미 있는 변화가 확인되었다. 후속연구 아이디어로는 분석대상인 기사제목 및 기사내용을 다양하고 심도 있는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의미망 분석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다.

      • KCI등재

        중등교사 임용시험 교육학문제의 핵심어와 언어네트워크 분석 : 2019~2022학년도를 중심으로

        권충훈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7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present keywords, trends, and language networks of keywords for each year of the pedagogical exam of the secondary teacher’s employment exam for the 2019~2022 school year. The main research methods were text mining technique and language network analysis method, and analysis programs were KrKwic, Wordcloud Maker, Ucinet6, NetDraw, etc.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keywords such as teacher, student, curriculum, class, and evaluation appeared in the top rankings, and keywords (online, wiki, discussion ceremony, information, etc.) that reflect the recent online class progress in the current COVID-19 situation also tended to appear. The keywords with high frequency of occurrence in the four-year integrated text were student(44), teacher(39), class(27), school(18), curriculum(16), online(10), and discussion method(8). Second, the overall language network of the keywords with high frequency of 4 years showed a significant level of density(0.566), total number of links(492), and average degree of links(16.4). The degree centrality was found in the order of teacher(199.0), class(197.0), student(185.0), and school(150.0). Betweenness centrality was found in the order of teacher(30.859), class(18.956), student(16.054), and school (15.745).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data to be considered for preparatory teachers, institutions and related persons, and teachers and administrators of secondary school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2019~2022학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 교육학문제의 연도별 핵심어와 그 경향, 핵심어들의 언어네트워크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다. 주요 연구방법론은 텍스트마이닝 기법과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이었으며, 분석프로그램으로는 KrKwic, Wordcloud Maker, Ucinet6, NetDraw 등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교육학문제의 상위출현빈도 핵심어는 교사, 학생, 교육과정, 수업, 평가 등의 기존 상위출현빈도 핵심어들이었으며, 최근 코로나19 상황의 온라인수업 진행을 반영한 핵심어(온라인, 위키, 토의식, 정보 등)들도 추가로 등장하는경향을 보였다. 4개년도 통합 텍스트에서의 상위출현빈도 핵심어는 학생(44), 교사(39), 수업(27), 학교(18), 교육과정(16), 온라인(10), 토의식(8) 등이었다. 둘째, 4개년도 상위출현빈도 핵심어들의전체 언어네트워크는 상당한 수준의 밀도(0.566), 총연결수(492), 평균연결정도(16.4)로 분석되었다. 연결정도 중심성은 교사(199.0), 수업(197.0), 학생(185.0), 학교(150.0) 순으로 나타났으며, 매개 중심성은 교사(30.859), 수업(18.956), 학생(16.054), 학교(15.745)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중등교사 임용시험 수험생인 예비교사, 해당 시험 출제 관리하는 기관과 관련자, 중등학교 예비교사 양성기관의 교수자와 행정가들에게 고려해볼 만한 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