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카라마조프 형제들》과 어머니 테마

        권철근(Kwon, Chol-kun) 한국노어노문학회 2011 노어노문학 Vol.23 No.4

        《카라마조프 형제들》에는 다양한 어머니 형상이 등장한다. 카라마조프 형제들의 어머니인 아델라이다와 소피아, 스메르쟈코프의 어머니 스메르쟈시차야, 일류샤의 어머니, 아들을 잃은 어머니, 조시마와 마르켈의 어머니, 딸을 찾아 하계로 내려온 대지의 여신 데메테르 등 이전의 다른 작품들에 비해 더 많은 숫자의 어머니가 출현하는 것은 이 작품에 등장하는 어머니에게 다양한 기능과 역할이 부여된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어머니는 아젤라이다와 소피아를 통해 외국적인 것과 러시아적인 것의 상호 대비를 상징적으로 그려낸다. 뿐만 아니라 아들들이 가진 어머니 및 어머니의 기억을 통해 그들의 윤리 도덕의 척도가 되기도 한다. 그러나 어머니의 테마가 갖는 무엇보다 중요한 의미는 《카라마조프 형제들》이라는 제목뿐만 아니라 <어느 집안의 내력>이라는 서두의 내용이 말해주듯이 가족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이라 할 것이다. 또한 《카라마조프 형제들》은 제목이 표현하듯이 가족 소설의 의미를 간과할 수 없고, 이런 사실을 반영이라도 하듯, 작가는 여성으로서의 어머니를 그리지 않고 있다. 이것은 이 작품이 ‘가족’의 의미를 강조한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적절한 선택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측면은 여러 타입의 어머니 이야기로부터 시작되어 부친살해 재판의 논고와 변론, 즉 압축 정리된 추악한 아버지의 모습으로 본문의 대미를 장식하게 되는 작품 구조에 의해서도 강조된다. 《카라마조프 형제들》 연구에서 아버지의 테마, 아이들의 테마, 또는 아버지와 아들의 테마는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며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어머니 테마는 도스토예프스키의 취약한 여성적 원리 묘사 때문인지, 이들 테마에 비해 무시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카라마조프 형제들》은 구조적인 면에서 어머니가 여성보다 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런 까닭에 이 작품의 여성 등장인물 연구는 잘 알려진 도스토예프스키의 여인상 연구에 함몰되기보다는 어머니의 의미를 통해 부모와 가족, 그리고 사회와 국가, 인간과 종교에 접근하려는 작가의 뜻을 읽어야 할 필요가 있고, 이런 맥락에서 어머니 테마는 중요성을 더하게 된다.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onduct a precise review of the essence and meaning of the theme of mothers, and thereby establish a basis for further discussion on the artistic structure of the whole work. Several mother figures appear in The Brothers Karamazov. Although they suggest the significance of the theme of mothers, the topic remains outside the focus, regardless of the role that it plays. The neglect of the theme of mothers can be regarded as a consequence of the absence of interest in some important details in The Brothers Karamazov. Thus, special attention needs to be focused, firstly, on the mutual relations of three mother figures, such as Adelaida, Sophia, and Smerdiashchaia, and, second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eme of mothers and that of family. Other examples of mothers include a mother who lost her son, madam Khokhlakova in the secular world, and, in the mythological world, the goddess of earth Demeter. Achieving a more detailed understanding also requires a more subtle definition of the relationship and meaning of the other female figures in Dostoevskii’ last novel, such as Grushenka and Katerina Ivanovna, who turn out to be mother figures by their relations to the Oedipus complex. The fact that the beginning of The Brothers Karamazov includes the stories of two wives of Fedor Karamazov and concludes with the symbolically extended role of the father of another family, Snegirev, is one of the techniques that illustrates the importance of the theme of family.

      • KCI등재
      • KCI등재

        『카라마조프 형제들』에 나타난 〈러시아 수도사〉의 의미와 역할

        권철근(Kwon Chol Kun) 한국노어노문학회 2007 노어노문학 Vol.19 No.3

        도스토예프스키의 종교적 관심이 작품 전체를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 카라마조프 형제들에 있어서 〈대심문관의 전설〉의 중요성은 널리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연구는 도스토예프스키가 제시하는 대심문관의 관점이 궁극적으로는 인간에 대한 중상이며 반기 독교적이라는 점에 동의하면서도, 그의 논지가 인간의 약점을 정확하게 간파하고 있다는 사실에 우려를 표명한다. 도스토예프스키의 의미 속에서 대심문관의 유혹의 본질은 기독교의 가면 하에서 행해지는 인간에 대한 허위의 사랑이자, 인간의 허약함에 대한 값싼 관용이며, 그러한 정신의 본질은 인간에 대한 증오와 강제이다. 그러나 대심문관의 인간의 본질 및 약점에 대한 정확한 간파와 논리 전개는 신을 믿는 사람들에게는 당혹스러운 것이어서, 어떤 비평가는 인간의 긴 역사를 바탕으로 고려해볼 때 “그리스도에 대한 최종적이며 대답할 수 없는 비판”으로 간주한 바 있다. 카라마조프 형제들에서 〈러시아 수도사〉의 역할이 부각되는 것은 바로 이 부분에서 이다. 〈러시아 수도사〉는 공리주의적 사고를 중심으로 구축된 〈대심문관의 전설〉이 간과하고 있는 인간성의 불가사이를 지적함으로써, 도스토예프스키가 지하로부터의 수기 이래 지속하고 있는 인간 내면의 신비를 규명하는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된다. 도스토예프스키는 〈러시아 수도사〉에서는 “소보르노스찌”(соборность)라는 러시아 정교의 전통적인 방식을 조시마 장로의 설교와 담화를 통해 제시하는데, 그에게 있어서 “소보르노스찌”가 중요성을 갖는 이유는 그것이 그를 오랫동안 방황하게 했던 서로 상충되는 내면의 두 가지 요소, 즉 신앙과 자유에 대한 정열의 합류점이 되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그는 길었던 그 동안의 종교적 고민을 “소보르노스찌”에서 해답을 발견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내면적 시련을 통한 도스토예프스키의 종교관 진화는 “소보르노스찌”에서 정점에 이르게 된다. 〈러시아 수도사〉의 중심을 구축하는 조시마 장로의 담화와 실천적 행위의 핵심은 ‘우리는 모두가 모두에게 책임이 있다’는 것으로, 그는 용서를 천국으로, ‘사랑할 수 없는 것’을 지옥으로 설교한다. 이해와 용서와 사랑이 “우밀레니에”(умиление)의 부드러운 감성을 자극하며 상호 일치와 조화의 “소보르노스찌”를 달성하는 모습은 『카라마조프 형제들』에서 여러 차례 묘사된다. 특히 조시마의 죽음으로부터 표도르의 피살로 연결되는 그 운명적인 하루 동안 발생하는 사건은 조시마의 담화 속에 나타나는 실천적이며 참된 사랑 - 자신의 육체를 부패시켜 민중을 구하는 무한한 사랑 - 의 모습과 진정한 기적을 표현하기에 모자람이 없다. 도스토예프스키는 〈러시아 수도사〉가 핵심적 역할을 하는 이러한 조시마 장로의 언행 속에서 자신이 추구하는 정교의 참모습을 제시했던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지하로부터의 수기》에 나타난 도스토예프스키의 '지하철학'

        권철근(Kwon Chol Kun) 한국노어노문학회 2005 노어노문학 Vol.17 No.3

        It has often been pointed out that Notes from the Underground represents an attack on the views of radical utilitarian thinker Chernyshevsky and a response to his novel What Is to Be Done. In this respect, comparatively little attention has been devoted to the fact that Notes from the Underground reveals human psychology as well. A close examination of the text shows that Notes from the Underground has perhaps the most complex narrational structure of all Dostoevsky's works. Part One, tol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older Underground Man, is straightforward. Part Two, however, works on several narrational planes at the same time, relating the ideas and feeling of Underground Man sixteen years ago, as they are remembered by a now much older narrator about his present and past selves. As a result of this narrative situation a significant ironic distance is established between the Underground Man's younger and older selves. This ironic distance is especially important because it is the author's most effective means of bringing ou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encing and narrating personae on which the Underground Man's possibility for self-deception is based. This is the reason why both the philosophy and the psychology of Underground Man are in detail studied. The reason that the Underground Man is created not only as an underground philosopher, but as a man of complex psychology is to make a considerable point of human nature, which is irrational. The Underground Man deceives even himself by the various devices, rationalization, exaggeration, and daydreaming, for instance. In lying to himself and listening to his own lies, the Underground Man embroils himself in endless contradictions. He no longer respects himself or others and is completely incapable of love. He has indeed become preoccupied with coarse pleasures and vices. He is easily offended - all because of his self-deception. An awareness of the Underground Man's psychology, together with his philosophy, emphasizes the significance of the work both as a masterful psychological portrait and as a philosophical manifesto against the radical utilitarian thinker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일류샤의 죽음’ 재조명: 『카라마조프 형제들』의 ‘세 죽음’과 아버지의 테마

        권철근(Kwon, Chol-kun)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13 슬라브학보 Vol.28 No.3

        The reason we need to pay special attention to the fathers in The Brothers Karamazov is that they become the direct or indirect targets of the three major deaths described in this work. The fact that the novel The Brothers Karamazov begins with the story of the disgusting ‘father warring with the son" and ends with that of the ‘father caring for the dying son" with utmost love and devotion serves as a device emphasizing the role of the theme of fathers. The three deaths in The Brother Karamazov become an artistic picture of the images of fathers and sons, portrayed on the basis of the ideas of N.F. Fyodorov. The final part of the main body ? the long dispute between the prosecutor and the lawyer ? reflects the ideas of Fyodorov about fathers and sons, while the subsequent epilogue ? the death of Ilyusha and the expected rebirth of his father Snegiryov ? portrays the realization of his thoughts regarding the need for humanity to unite as a brother, a family, and a nation through the revival of the ancestors. In particular, the regeneration of Snegiryov, who was considered a model of loathsome fathers like Fyodor Pavlovich, is depicted not as an allegory but a realistic reflection of the philosophy of Fyodorov, who insisted on the revival of fathers, and it becomes, therefore, an example that the theme of fathers in The Brothers Karamazov is constructed on the solid philosophical basis of Fyodorov.

      • KCI등재

        자기정당화의 글쓰기 : 『지하로부터의 수기』와 『롤리타』

        권철근(Kwon Chol Kun)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06 슬라브학보 Vol.21 No.3

        In spite of his distaste for Dostoevsky, we may say that on closer scrutiny, Vladimir Nabokov in his works demonstrates not only very detailed knowledge of Dostoevsky's themes and patterns, but even hidden influence. Nabokov, as a specialist for literature, was fond of playing cruel game with Russian literature at the expense of ignoramuses. Dostoevsky was the main target in that game and Lolita is a sort of indirect tribute as well as mock response to Dostoevsky. Humbert's confession in Lolita, written in fifty?six days in jail, is in a way the Nabokovian answer to Dostoevsky's Notes from the Underground and, thus, is comparable to that of the underground man. First of all, the readers of both works are asked to accept these notes of confession not as subjective accounts of first?person narrators, but as the objective testimonies of both omniscient authors, even though the views and opinions expressed as well as the very account of reality itself must bear the imprint of narrators' psyche. Therefore, if the narrator is in a state of self?deception, then his consciousness becomes a distorting consciousness and his account is a distorted account. The very form of Lolita and Notes from the Underground lends itself to exploitation of the theme of self?deception, for they are not only memoirs, but also confessions. The memoir form, which confines itself to the subjectivity of a single point of view, is perfectly adapted for exploring the problem of self?honesty, as the underground man comments on the use of the memoir form in literature. The many passages of comments and descriptions of both narrators catch themselves in lies and acknowledge them arouse our suspicions that perhaps there are other lies of which they are either unaware of or that they fail to acknowledge. There are two general ways in which Humbert may alert that he is lying: first by deceiving readers about his pedophilia, secondly by deceiving himself for redemption. It also seems clear that the underground man at the time of writing his notes is completely incapable of attaining his goal of self?honesty because he deceives himself by his self?rationalization, exaggeration, and daydreaming. Self?justification, then, is an important theme throughout the novels and perhaps offers some important clues for interpretation. If the narrators are lying to themselves, then, in a confession of this kind they are necessarily lying to readers. Their remarks, therefore, cannot be taken as face value. Finally, the recognition that both Dostoevsky and Nabokov have created self?deceived and dishonest narrators reveal successive layers of meaning to an already fascinating and complex structure.

      • KCI등재

        도스토예프스키 장편소설의 병리학 : 살인과 간질

        권철근(Kwon Chol Kun) 한국노어노문학회 2006 노어노문학 Vol.18 No.3

        도스토예프스키의 장편소설에는 타인살해, 자살 등 살인의 형태를 띠고 있는 범죄가 많은데, 이러한 살인의 각종 변이형은 질병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그 중 특히 간질은 인간을 신경증적 분열로 인도하여 살인에 이르게 하는 것으로, 이러한 방식은 도스토예프스키 작품의 거의 공식화된 패턴이 되고 있다. 그리하여 정신분석 전문가들은 도스토예프스키가 그의 작품 세계에서 표현한 간질과 살인의 관계에 주목하였고, 작가의 내면에 잠재된 심리에 대한 여러 가설을 세운 바 있다. 그러나 간질과 범죄의 관계에서 더 주목해야 하는 것은 후기 작품으로 진행되어 갈수록 양자의 관계에 미묘한 변화가 생기고 있다는 사실이다. 《백치》에서는 므이쉬킨과 로고진의 대조적 분신관계를 활용하여 간질과 살인을 표현했던 작가가 《카라마조프 형제들》에서는 스메르쟈코프를 등장시켜 양자를 통합시키고 있고, 간질 그 자체는 므이쉬킨에 의해 표현되었던 백치적 신성함과 순수함의 개념으로부터 스메르쟈코프의 사악한 부친살해로 바뀌어버린다. 또한 간질에 대한 작가의 이러한 신념변화에서 주목의 대상이 되는 것이 간질의 과도적 성향이 포착되는 하나의 변별적 자질로서의 키릴로프의 간질이다. 그의 간질이 인간으로부터 인신으로의 변화의 수단이자 도구로서 선악에 대한 구별 역시 초월하는 것이라는 사실을 고려하면, 이것이 스메르쟈코프의 사악한 살인에 이르는 하나의 이정표가 되는 것임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작품 속의 표출된 도스토예프스키의 잠재된 내면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정신분석 전문가들이 그랬던 것처럼 《카라마조프 형제들》의 부친 살해에 집착하여, 등장인물의 내면세계를 작가의 그것에 중첩시키려는 시도보다는 전체 도스토예프스키의 세계 속에서 그것을 찾아야 할 것이다. 《백치》의 간질환자 므이쉬킨은 간질과 백치의 신성한 이미지를 통해 순수의 극치를 보여주며, 사악한 눈으로 표현되는 로고진은 그로테스크한 살인자이다. 서로 연결될 수 없을 것 같은 양극적 현상은 간질환자이자 부친살해자인 스메르쟈코프에 의해 통합 되는데, 그가 이반의 대응적 분신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간질과 살인과 분신의 테마가 스메르쟈코프라는 한 지점에서 만나게 된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백치》, 《악령》, 《카라마조프 형제들》이 간질과 살인의 상관관계가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준다는 것은 이렇게 증명되며, 부친살해자이자 자살자인 간질환자 스메르쟈코프는 도스토 예프스키가 묘사한 사회적, 윤리적 범죄와 질병의 총화로서, 그의 사회적 절망 표현이자 상징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시각의 예술가와 청각의 예술가

        권철근(Kwon, Chol-kun) 한국노어노문학회 2012 노어노문학 Vol.24 No.3

        톨스토이와 도스토예프스키의 이념적 사색과 인간 영혼에 대한 탐색은 비단 러시아 민족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범인류적인 것이었고, 관심 영역 역시 문학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철학자나 종교 사상가의 그것에 필적하는 것이어서 그들의 세계관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후세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금까지의 두 작가에 대한 비교 연구는 개인적 취향과 선호도에 경도되는 측면이 강한 편이어서 톨스토이의 경우에는 사상가이며 교육자적인 면모에, 도스토예프스키의 경우는 그가 보여준 영적 탐구에 상대적 중점을 두고 연구되어 왔다. 음악과 미술에 대한 두 작가의 특별한 관심은 상당한 대비를 보여준다.《크로이체르 소나타》라는 제목이 나타내듯이 톨스토이의 관심은 음악 쪽으로 다가가는데 비하여 도스토예프스키는 미술에 더 큰 관심을 표명하는 것이다. 이런 모습을 반영하듯 우리들은 도스토예프스키의 《백치》에서 홀바인의 충격적인 그림 <무덤 속 그리스도의 주검>을 만나게 되고, 톨스토이의《크로이체르 소나타》에서는 베토벤 음악의 무서운 힘에 전율을 느끼게 된다. 톨스토이의 음악적인 측면이 도스토예프스키의 미술적인 측면에 대비되는 것이다. 음악과 미술로 드러나는 두 작가의 판이하게 다른 기호는 두 예술의 일차적 인식기관인 귀와 눈이라는 보다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대비 역시 드러나게 한다. 음악에 대한 관심과 기호가 그것의 매체가 되는 소리와 그것을 듣는 인체 기관, 즉 귀에 대한 작가의 관심으로 확장되는 것은 자연스런 귀결이다. 도스토예프스키의 작품에서 눈과 미술은 강력한 의미를 지니며 해당 작품의 상징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비해 톨스토이의 음악과 청각적 요소의 활용법은 그가 평생에 걸쳐 추구해온 진실과 행복 찾기의 수단이 된다. 그리하여 도스토예프스키가 눈으로 영혼을 읽으려했다면 톨스토이는 귀로 영혼의 소리를 들으려 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점에서 도스토예프스키의 그림은 그 자체가 의미를 갖는 상징이자 주체가 되는데 비해 톨스토이의 음악은 궁극적인 지향점에 도달하기 위한 도구가 되는 것으로 서로 구별된다. 톨스토이는 진실을 듣는 귀, 도스토예프스키는 미를 보는 심미안을 강조한 작가로서, 시각과 청각은 오로지 내면을 읽고 진실을 추구하던 그들의 지칠 줄 모르는 영원한 노력을 알려주는 징표의 하나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