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컴퓨터 통신 NETWORK를 위한 공개키 암호 시스템"에 관한 고찰

        권창영,장청룡,원동호 한국통신학회 1993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18 No.8

        한국통신학회 논문지('92-3 Vol.17 No.3) "컴퓨터 통신 NETWORK를 위한 공개키 암호 시스템에 관한 연구(논문번호 92-22)"에서 다변수 다항식을 이용하여 공개키 암호 시스템을 제안하였는 바 제안한 프로토콜은 공개정보를 아는 임의의 제3자가 비밀문에서 평문을 게 해독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몇 가지 고려하여야 할 사항이 있어 지적한다.이 있어 지적한다. This paper points out some weakpoints in the "A Study on Public Key Cryptosystem for Computer Communication Networks" proposed by Gi Jun Ku at KICS 92-22('92-3 Vol.17 No.3) . This public key cryptosystem based on polynomials over finite rings is not strong against cipertext-only-attack. This paper indicate the insecureness of the proposed a public key cryptosystem.ptosystem.

      • KCI등재

        미국 해양대학이 선박직원법 시행령 제16조 제3항의 지정교육기관에 해당하는지 여부 -서울고등법원 2020. 10. 21. 선고 2019누56472 판결-

        권창영 한국해법학회 2022 韓國海法學會誌 Vol.44 No.1

        In this case, the requirements for a Korean who graduated from a maritime academy in the United States, which is a party to the STCW, to obtain a engineer officer’s license in Korea became an issue. The Plaintiff (South Korean citizen), who graduated from Massachusetts Maritime Academy, passed the maritime officer (3rd class engineer officer) test conducted by the Korea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Training Institute without obtaining a maritime officer qualification in the U.S. and applied to the competent authorities for a maritime officer’s license. If the U.S. Maritime Academy falls under the Article 16 (3)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Ship Personnel A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EDSPA’), the Plaintiff can obtain a maritime officer‘s license immediately because his/her period of seagoing service to obtain a 3rd class engineer officer’s license is recognized. In the case of acknowledging exceptions to qualification requirements, such as the controversial provisions of this case, strict interpretation must be made, and analogical interpretation or extended interpretation beyond the scope of the text cannot be allowed. Foreign designated educational institutions under the Article 16 (1) 1 of the EDSPA include designated educational institutions by foreign countries that have ratified the STCW. In contrast, the designated educational institution under the Article 16 (3) of the EDSPA refers to a university, etc. designated by the Minister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Therefore, since the U.S. Maritime Academy is not an educational institution designated by the Minister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the Plaintiff cannot obtain a 3rd class engineer officer’s license. The Plaintiff may obtain a 3rd class engineer officer’s license only if two years’ seagoing service are recognized in accordance with the special provisions of the Article 16 (1) 1 of the EDSPA and an additional three years’ seagoing service are accumulated. In view of the purpose of the Ship Personnel Act,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first judgment to confirm that a maritime officer’s license cannot be obtained in Korea immediately just by graduating from a foreign maritime academy that does not fall under the Article 16 (3) of the EDSPA. 대상판결에서는 「선원의 훈련, 자격증명 및 당직근무의 기준에 관한 국제협약」(STCW)의 당사국인 미국 소재 해양대학을 졸업하였으나 미국에서 해기사면허를 받지 아니한 한국인이 우리나라에서 해기사면허를 받기 위한 요건이 쟁점이 되었다. 미국 해양대학을 졸업한 원고(대한민국 국민)가 미국에서 해기사 자격을 취득하지 아니한 채, 한국해양수산연수원이 시행하는 해기사(3급 기관사) 시험에 합격하고, 관할당국에 해기사면허증의 발급을 신청하였다. 미국 해양대학이 「선박직원법 시행령」 제16조 제3항(이 사건 쟁점조항) 소정의 해양수산부장관이 지정한 교육기관에 해당한다면, 원고는 3급 기관사 면허를 받기 위한 승무경력이 인정되므로 즉시 해기사면허증을 발급받을 수 있다. 이 사건 쟁점조항과 같이 자격 요건에 대한 예외를 인정하는 경우에는 엄격하게 해석하여야 하고, 문언의 범위를 넘어 유추해석하거나 확대해석하는 것은 허용될 수 없다. 선박직원법 시행령 제16조 제1항 제1호의 외국의 지정교육기관에는 STCW를 비준한 외국이 지정교육기관으로 지정한 곳도 포함된다. 이와 달리, 선박직원법 시행령 제16조 제3항의 지정교육기관은 해양수산부장관의 지정을 받은 대학 등을 말한다. 따라서 미국 해양대학은 해양수산부장관의 지정을 받은 교육기관이 아니므로, 원고는 3등 기관사 면허를 발급받을 수 없다. 원고는 선박직원법 시행령 제16조 제1항 제1호의 특례에 따라 2년의 승무경력을 인정받고 추가로 3년의 승무경력을 쌓은 경우에만 3등 기관사면허를 발급받을 수 있다. 선박직원법령의 취지에 비추어 보면, 시행령 제16조 제3항의 지정교육기관에 해당하지 아니한 외국의 해양대학을 졸업한 것만으로는 곧바로 우리나라에서 해기사면허를 취득할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한 최초의 판결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 KCI등재

        공개키 분배방식에 관한 연구

        권창영,원동호 한국통신학회 1990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15 No.12

        Thos paper summarized previously proposed several public key distribution systems and proposes a new public key distribution system to generate an common secret conference key for public key distribution systems three or more user. The now system is based on discrete exponentiation, that is all operations involve reduction modulo p for large prime p and we study some novel characteristics for computins multiplicative inverse in GF(p). We use one-way communication to distribute work keys, while the other uses two-way communication. The security of the new system is based on the difficulty of determining logarithms in a finite field GF(p) and stronger than Diffie-Hellman public key distribution system.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제안된 여러가지 공개키 분배방식을 정리하고, 3인 이상 다수 가입자의 공유 비밀 회의용 키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공개키 분배방식을 제안하였다. 본 방식은 모든 연산이 큰 소수 p에 관한 법연산이 적용되는 멱승 함수를 이용하였으며 GF(p) 상에서 승산역원을 계산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고안하였다. 또한, 기존의 방법과 달리 공통 암호화키를 분배하기 위한 사전 분배정보는 일방향통신으로 가능하다. 본 방식의 안전성은 유한체 GF(p)상에서 이산 대수의 어려움에 근거하며, DH(Diffie-Hellman) 공개키 분배방식 보다 강하다.

      • KCI등재

        항공사고 조사보고서의 증거능력

        권창영 한국법학원 2023 저스티스 Vol.195 No.-

        Aviation demand is steadily increas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aviation industry and the development of economy, and aircraft accidents are happening. Since aircraft accident investigation is a very specialized area,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CAO) stipulates in detail the investigation of aircraft accidents in Annex 13 to the Chicago Convention. In Korea, the Aircraft Accident Investigation Committee intends to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aircraft accidents and safety of aircraft by accurately identifying the causes of accidents through independent and fair investigations. If the responsibility of the perpetrator is recognized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it will lead to civil lawsuits such as claims for damages to air carriers, administrative disputes on administrative measures against aviation operators or workers, and criminal penalties for violations of aviation safety laws. In above various litigation procedures, the court needs to investigate evidence by adopting aircraft accident final report managed by the committee as evidence in order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 aircraft accident and the responsibility of the perpetrator. However, the litigants often argue that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of final reports should be denied based on Annex 13 to the Chicago Convention and the Operation Regulation of the Aircraft and Railway Accident Investigation Committe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Operation Regulation”). This article discusses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and credibility of aircraft accident final reports, focusing on the Chicago Convention and Annex, the trends of U.S. federal laws and cases on NTSB investigation reports, and Korean precedents and theories. First, the Chicago Convention and Annex 13 allows the disclosure or adoption of investigation records and final reports as evidence through balancing test. Regulations that denied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of investigation reports are not international standards but only non-binding recommendations. In addition, although U.S. federal law denies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in final reports (49 U.S.C. 1154(b)), many precedents recognize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of factual accident reports or the factual part of final report. Next, Korea has not notified that it excludes the application of 5.12 in Annex 13 to the Chicago Convention, but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of final reports is not denied even by the Chicago Convention and Annex; according to the Civil Procedure Act,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and the Criminal Procedure Act,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of the investigation report is recognized. Article 34 (1) 2 (b) of the Operational Regulation allows the disclosure of investigation records when a judicial institution determines that disclosure of information in the court is more important for the public interest and the national interest than the effect on collecting information for accident investigation. In light of above points,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of final report is recognized. The Operating Regulation (Article 45 (1) and (2)), a directive, denies the admissibility of the final report and the opinions or analysis of employees, but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legitimacy of the clauses because it violates the contents of the Constitution, Chicago Convention, Annexes, and various litigation laws and it is stipulating the matters to be stipulated in the law in directive without delegation. Therefore, I think it is reasonable to delete Article 45 (1) and (2) of the Operating Regulation in order to ensure the unity of the litigation laws and the laws of evidence in Korea.

      • KCI등재

        선박경매에 관한 베이징협약 연구 Ⅰ - 협약의 적용범위와 경매통고를 중심으로

        권창영 한국민사집행법학회 2023 民事執行法硏究 : 韓國民事執行法學會誌 Vol.19 No.1

        As international trade increases, there are many cases where public auctions are held in Korean courts against foreign ships. At this time, the content and order of rights under the substantive law are in principle in accordance with Article 94 of the International Private Act, and the procedure of judicial sale of ships is in accordance with the law of State of judicial sale. However, since each State has different substantive laws or procedural laws on the judicial sale of ship, it depends on each State's policy whether the State of registration or third State will approve the judicial sale results of the State of judicial sale. When a judicial sale is terminated, the purchaser acquires clean title of the ship without mortgage and charge, and the effect must be recognized not only in the State of judicial sale but also in other States to achieve the purpose fully. From May 2007, after passing through Comité Maritime International, UNCITRAL drafted ‘the Convention on the International Effects of Judicial Sales of Ships’(‘Beijing Convention’). The UN General Assembly adopted the above agreement on December 7, 2022 and approved the signing ceremony of the agreement to be held in Beijing in 2023 as much as possible. Pursuant to Article 21 (1) of the Convention, the above Convention shall enter into force 180 days after the date of the deposit of the third instrument of ratification, acceptance, approval or accession. Since there are many States that actively want to ratify the Convention, including China, Switzerland, the requirements for the entering into force of the Convention are expected to be easily met. It is desirable for Korea to ratify the Beijing Convention because it can achieve international unity in various matters such as protecting the rights of interested parties, handling ship registration, and protecting the status of purchaser. This essay is an overview of Articles 1 to 4 of the Convention, focusing on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Convention and the notice of judicial sale. The Convention applies when the purchaser acquires clean title as a result of the judicial sale of ships. ‘Clean title’ refers to ownership without any mortgage and charge. The Convention only stipulates the international effect of the judicial sale of ships, but excludes judicial sale procedures made in the law of State of judicial sale, such as decisions made by the court regarding the process of the judicial sale. The Convention applies only to the judicial sale of ships if (i) the judicial sale is conducted in a State Party; and (ii) the ship is physically within the territory of the State of judicial sale at the time of that sale. The term ‘at the time of that sale’ should be interpreted as ‘from the time of the decision to commence the judicial sale until the purchaser fully pays the successful bid price’. Article 4 of the Convention stipulates the notice of judicial sale. The notice is only part of the judicial sale procedure, but it is a very important means of protecting the rights of creditors who cannot participate in the auction unless they are notified. The ‘notice of judicial sale’ is not an independent obligation, but functions as a requirement for the issuance of the certificate of judicial sale prescribed in Article 5 of the Convention. The persons to be notified are the registry, mortgage holder, registered charge holder, maritime lien holder who reported the right, the owner of the ship for the time being, registered bareboat charterer and the bareboat charter registry. The notice of judicial sale shall be given in accordance with the law of the State of judicial sale, and in Korea, it is based on the method of service. The notice of judicial sale shall contain, as a minimum, the information mentioned in annex I. The notice shall be published by announcement in the press or other publication available in the State of judicial sale. In addition, the notice shall be transmitted to the re... 국제교역의 증가에 따라 외국선박에 대하여 우리나라 법원에서 경매가 진행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때 실체법상 권리의 내용과 순위는 국제사법 제94조에 따라 원칙적으로 선적국법에 의하고, 선박경매절차는 법정지법에 의하게 된다. 그런데 선박집행에 관한 각국의 실체법이나 절차법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법정지의 경매결과를 선적국이나 제3국이 승인할 것인지 여부는 각국의 정책에 달려있다. 선박경매가 종료된 경우 매수인이 선박에 관하여 부담 없는 완전한 소유권을 취득하고, 그 효과가 경매를 실시한 국가만이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도 인정되어야만 그 목적을 온전히 달성할 수 있다. 2007. 5.부터 국제해법회(Comité Maritime International)를 거쳐, 국제상거래법위원회(UNCITRAL)에서 선박경매의 국제적 효력에 관한 협약 초안을 성안하였다. UN 총회는 2022. 12. 7. 위 협약안을 채택하면서, 가능한 한 2023년 베이징에서 협약 서명식을 열도록 인가하였다. 협약 제21조 제1항에 따라 위 협약은 세 번째 비준서, 수락서, 승인서 또는 가입서가 기탁된 날로부터 180일이 경과한 이후 발효하게 된다. 중국, 스위스를 비롯하여 협약을 적극적으로 비준하려는 국가가 많기 때문에, 위 협약의 발효요건은 쉽게 충족될 것으로 예상된다. 베이징협약을 비준하면, 이해관계인의 권리보호, 선박등기의 처리, 매수인의 지위 보호 등 여러 가지 사항에서 국제적 통일성을 기할 수 있으므로, 우리나라도 위 협약을 비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글은 협약 제1조부터 제4조까지 개관하면서, 협약의 적용범위와 경매통고를 중심으로 연구한 것이다. 협약은 선박경매 결과 매수인이 부담 없는 완전한 소유권을 취득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부담 없는 완전한 소유권’은 일체의 저당권 및 물적 부담이 존재하지 않는 소유권을 말한다. 협약은 선박경매의 국제적 효력에 관하여 규정할 뿐, 선박경매절차나 선박경매절차 진행과 관련하여 법원이 한 결정과 같이 법정지법에서 이루어지는 경매절차에 대하여는 규율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협약은 (i) 경매가 회원국에서 실시되었을 것, (ii) 선박이 경매 당시 선박경매국의 영역 내에 현존하고 있을 것의 요건을 충족하는 선박경매에 한하여 적용된다. ‘경매 당시’란 ‘경매개시결정 시부터 매각대금이 모두 지급될 때까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협약 제4조는 경매통고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다. 경매통고는 경매절차의 일부분에 불과하지만, 통고를 받지 못하면 경매에 참여할 수 없는 채권자에게는 권리를 보호하는 데 매우 중요한 수단이 된다. 경매통고는 독립된 의무가 아니라 협약 제5조에서 정하는 선박경매증서의 발급을 위한 요건으로 기능한다. 통고를 받을 자는 등기소, 저당권자, 등기된 물적 부담권자, 권리를 신고한 선박우선특권자, 통고 당시의 선박소유자, 선체용선자 및 용선등기소이다. 경매통고는 선박집행국의 법률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송달의 방식에 의한다. 통고 내용은 협약 별지 1에서 자세히 규정하고 있다. 통고는 신문 또는 선박경매국 내에서 접근 가능한 그 밖의 출판물을 통해 공고하여야 한다. 또한 통고는 협약 제11조에서 정한 공시위탁기구에 전송하여 공시하도록 하였다.

      • KCI등재

        국제항공운송 중 화물이 손상된 경우 실제운송인의 손해배상 책임 -서울중앙지방법원 2021. 9. 17. 선고 2020가단5006088 판결-

        권창영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22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37 No.1

        대상사안에서 수입상이 영국에서 한국으로 애완동물용 영양보조제를 수입하면서 운송주선인을 통하여 외국항공사(실제운송인)에 항공운송을 의뢰하였고, 항공운송 도중에 화물이 고온과 직사광선의 영향으로 인하여 손상되었다. 그 후 매수인에게 적하보험에 따른 보험금을 지급한 보험회사가 항공운송인을 상대로 손해배상청구권을 대위행사하였다. 이 사건에서 피고에 의한 항공운송은 항공기에 의해 유상으로 수행되는 화물의 국제운송으로서 출발지(영국)와 도착지(대한민국)가 모두 몬트리올 협약의 당사국이므로, 몬트리올 협약이 민법이나 상법 또는 국제사법보다 우선적으로 적용된다. 운송인에 대한 손해배상청구권을 가지는 매수인이 적하보험계약을 체결한 보험회사로부터 보험금을 지급받은 후, 보험회사가 상법 제682조에 의하여 보험자대위권에 기하여 피고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경우에도 그 청구권의 동일성은 유지되므로 원래 운송계약의 준거법인 몬트리올 협약이 적용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이 사건 소에 관하여 이 사건 화물의 도착지인 대한민국 법원에 몬트리올 협약 제33조 제1항에 따른 국제재판관할권이 인정된다. 항공운송인은 화물이 항공운송 중에 손상되어 손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몬트리올 협약 제18조 제2항 소정의 면책사유에 관한 주장・증명이 없는 한 원칙적으로 무과실책임을 진다. 보험자대위의 경우 보험자는 보상할 금액의 전액을 지급한 경우는 물론, 그 일부를 지급한 경우에도 원칙적으로 지급한 금액에 상당하는 권리를 대위취득하게 된다. 그런데 항공운송인은 몬트리올 협약에 기한 책임의 제한에 관한 항변권을 보험자에 대하여도 행사할 수 있다. 따라서 항공운송인의 책임은 몬트리올 협약 제22조 제3항 본문에 의하여 1㎏당 19 SDR로 제한되고 보험가액(송장가액)을 기준으로 산정하여서는 아니 된다.

      • KCI등재후보

        추가담보제공을 조건으로 보전명령을 인가한 결정의 효력

        권창영 대한변호사협회 2009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396

        In the objection case against a preservative order(a provisional seizure order or a provisional disposition order of the article 300(1) of the Civil Execution Act), the court sometimes makes the order which approves the original order on condition that the obligee supplies additional guaranty for the obligor on the ground of the article 286(5) of the Civil Execution 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signed to discuss the method of the proof of obligee’s supplying additional guaranty to the court of execution or an execution officer, the effect of obligee’s non-performance of supplying additional guaranty, and the remedy for the failure of fulfillment of condition. Such order is one of the order of alteration, because the court approves the preservative order on condition that the obligee supplies additional guaranty. The meaning of the order of alteration is that the validity of preservative order continues only if the obligee supplies additional guaranty within the period. Unless the obligee supplies additional guaranty within the period, the validity of a preservative order goes extinct. In Germany, unless the obligee supplies additional guaranty within the period, the obligor can be protected by the method of the objection against execution on the ground of the article 766 of the Civil Procedure Code. In Japan, the obligor can be protected by the method of the objection against execution or the revocation of a preservative order due to changes in circumstances until 1970. Between 1971 and 1990, the obligor can be protected by the method of the revocation of a preservative order due to changes in circumstances. But the article 44 of the Civil Preservative Measures Act declares that the obligor could be protected by the method of the revocation of a preservative execution from 1991. As the failure of supplying additional guaranty makes the validity of a preservative order extinct, sustaining the preservative execution is illegal on it. The exemplification of such order is one of the exemplification of ordering a revocation of the execution disposition on the article 49(a) of the Civil Execution Act. In result, the obligor may file a request for the revocation of a preservative execution by submitting the exemplification of such order. If the court of execution or an execution officer reject the revocation, the obligor may file an objection against execution on the article 16 of the Civil Execution Act. But the revocation of a preservative order due to changes in circumstances on the article 288 or 301 of the Civil Execution Act could not be accepted because of the defect of standing. 민사집행법 제286조 제5항에 근거하여 채무자가 보전명령에 대하여 이의를 제기한 경우 채권자가 추가로 담보를 제공하는 것을 조건으로 보전명령을 인가하는 재판례가 자주 있다. 이 글에서는 독일과 일본의 논의를 참조하여 위와 같은 결정이 있는 경우 채권자가 담보를 제공하고 이를 집행기관에 증명하는 방법, 채권자가 조건을 준수하지 아니한 경우의 효과, 채무자가 채권자의 조건미준수 시 선택할 수 있는 구제방법 등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위와 같은 결정은 추가담보제공조건부로 보전명령을 인가한 것이므로 變更決定의 일종이다. 법원이 담보제공조건부로 보전명령을 인가한다는 의미는 채권자가 裁定期間 내에 담보를 제공한 경우에 한하여 보전명령의 효력을 존속시킨다는 것이다. 따라서 담보의 미제공은 보전명령의 효력을 소멸시키는 해제조건이다. 법원이 담보제공조건부로 보전명령을 인가하였으나 채권자가 담보를 제공하지 아니한 경우, 독일의 학설과 판례는 채무자는 ‘執行方法에 관한 異議’를 제기하여 권리를 구제받을 수 있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1970년 이전에는 ’執行에 관한 異議’나 ‘事情變更에 의한 保全命令의 取消’ 모두 가능 하다는 것이 통설이었으나, 1970년 이후에는 사정변경을 이유로 한 보전명령의 취소만이 가능하다는 견해가 등장하였다. 그러나 1991년부터 시행된 民事保全法은 채무자의 부담을 경감하고 신속하게 채무자를 해방시킬 수 있는 ‘保全執行의 取消’라는 간이한 제도를 제44조에서 신설하여 위와 같은 문제를 입법적으로 해결하였다. 위와 같은 결정에 대하여 채권자가 裁定期間 내에 담보를 제공하였다는 것을 증명하지 아니하면 보전명령의 효력은 상실되므로, 효력이 상실된 보전명령에 기하여 보전집행을 유지하는 것은 위법하게 된다. 따라서 조건부인가결정정본은 민사집행법 제49조 제1호 소정의 ‘집행처분의 취소를 명한 취지를 적은 재판의 정본’에 해당하므로, 채무자는 집행기관에 위 정본을 제출하여 집행의 취소(해제)를 구할 수 있고, 만약 집행기관이 집행취소를 거부하는 경우 민사집행법 제16조에 의하여 집행에 관한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고 보아야 한다. 한편, 채권자의 담보미제공으로 보전명령의 효력이 상실된 이상, 채무자는 더 이상 보전명령의 취소를 구할 이익이 없다. 다만, 가처분명령의 취소와 동시에 원상회복재판이 필요한 경우(민사집행법 제308조), 집행이 이루어지지 아니한 보전명령 등의 경우에는 채무자는 집행에 관한 이의에 의하여 구제받을 수 없으므로, 예외적으로 사정변경에 의한 보전명령의 취소가 허용된다고 보아야 한다.

      • 선장의 직무명령과 선원 쟁의행위의 정당성

        권창영 대한변호사협회 2004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339

        대상사건에서 기존 근로조건을 저하하는 내용의 단체협약이 체결되자, 해원들이 이에 반발하면서 선장의 직무명령에 위반하여 외국의 항구 등에서 쟁의행위를 하였고, 선박소유자는 해원들이 선장의 정당한 직무명령에 위반하였다는 이유로 해원(원고)들을 해고하였다. 이 글에서는 대상판결의 검토를 위하여 쟁의행위의 주체(일부 선원들에 의한 쟁의행위), 목적(평화의무를 위반한 쟁의행위), 쟁의행위의 제한(선원법 제27조에 의한 제한, 선장의 명령권에 의한 제한), 선장의 직무명령을 위반한 해원에 대한 해고의 정당성에 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먼저 선원법 제27조, 제136조가 예정하고 있는 쟁의행위에는 노동조합이 주도하지 아니하는 쟁의행위(비공인파업)와 쟁의행위의 주체가 노동조합과 무관한 다수의 선원들인 쟁의행위(비노조파업)도 포함되고, 선원법은 위와 같은 쟁의행위에 대하여도 일정한 경우 면책효과를 인정하고 있으므로, 일부 해원들은 정당한 쟁의행위의 주체가 된다. 다음으로 갑판부원들의 작업수당을 불이익하게 변경하는 내용의 단체협약이 체결되었으나, 위 단체협약이 현저히 합리성을 결여한 것이라는 점에 대한 주장․입증이 없는 이상 위 단체협약은 유효하므로, 해원들이 위와 같은 단체협약에 불만을 품고 작업수당에 관한 종전 근로조건을 회복하기 위하여 단체협약의 유효기간 중에 쟁의행위를 한 것은 평화의무 위반으로 정당성을 결여한 것이다. 또한 원고들이 일본의 항구에서 화물고박작업을 거부한 행위는 선박이 외국의 항구에 있는 경우 쟁의행위를 제한하고 있는 선원법 제27조에 위반되어 정당성이 결여된 것이다. 해원들은 재선자로서 선장이 인명․선박의 안전확보와 선내질서의 유지를 위한 공법상의 직무명령에 복종할 의무를 부담하고, 위 의무는 쟁의행위를 하는 경우에도 정지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대상사안에서 화물고박작업에 관한 선장의 직무명령은 선박의 물적 감항능력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정당함에도, 원고들이 선장의 화물고박작업 명령에 위반하여 쟁의행위를 한 것은 공법상 복종의무위반으로 정당성이 결여된 것이다. 그렇다면 원고들의 행위는 선장의 명령에 불족종하여 선박운항에 지장을 초래한 행위로서 선원법 제34조 제1항의 정당한 선원근로계약의 해지사유가 된다는 대상판결의 결론은 타당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