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 사회성 발달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권정윤(Kwon Jeong-Yoon),정미라(Chung Mi-Ra),홍소영(Hong So-Young),박수경(Park Su-K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5 No.5

        본 연구는 유아의 사회성 발달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결과를 총체적으로 검증하고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인이 무엇인지를 발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00년부터 2010년 2월까지 최근 10년간 국내에서 발행된 석, 박사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 총 81편을 대상으로 가중 평균 효과크기를 사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사회성 발달 증진 프로그램은 유아의 사회성을 신장하는데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사회성 발달 증진 프로그램에 유의한 효과를 미치는 조절변인은 출판, 실험설계, 검사구인 변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유아의 사회성 발달 증진 프로그램은 유아의 사회성을 발달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결론 내릴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the effects of social development program for preschool children and to verify significant moderate variables in the effects by meta-analysis. A total of 81 study results of social development programs for preschool children in journal articles, theses, and dissertations from the year of 2000 to 2010 in Korea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iveness of the social development programs for preschool children showed that the overall weighted mean effect size of the social development programs were .97. It means that the social development programs for preschool children had a great effect for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Second, the effectivenes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variables of publication, design, and instrument of the social development program for preschool children. The study discussed the main issues of the study results in terms of the method of meta-analysis and concluded that further studies are needed for the generalization.

      • KCI등재

        만 2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

        권정윤(Kwon, Jeong-Yoon),정미라(Chung, Mi-Ra),박수경(Park, Su-Kyoung),이방실(Yee, Bang-Sil)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3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77

        본 연구의 목적은 만 2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 2세 영아의 어머니 114명이었으며, 양육효능감과 관련된 변인을 측정하기 위하여 자가평정식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관계검증, 단계적 회귀검증 방법에 의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어머니의 연령, 자녀 수, 취업유무, 기질은 양육효능감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심리적 복지감은 양육효능감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양육참여도와 정적 상관관계, 양육스트레스와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대해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인 변인은 자녀의 발달을 지지하는 양육참여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and its related variabl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14 mothers who have raised two year-old toddlers in Seoul and Gyeonggi-do area. The mothers responded the questionnaires regarding parenting self-efficacy and its related variables.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age of mothers, number of child, mother’s job status, and maternal temperaments. Second, the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Third, the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arenting involvement; however, it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parenting stress. Lastly, the category of developmental support in the parenting involvement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to explain the parenting self-efficacy of mothers who have raised two year-old toddlers.

      • KCI등재

        뇌발달 이론에 기초한 걸음마기 영아-부모 프로그램이 영아발달 및 어머니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정미라 ( Mi Ra Chung ),권정윤 ( Su Kyoung Park ),박수경 ( Jeong Yoon Kwon ),이방실 ( Bang Sil Y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6

        본 연구는 뇌발달 이론에 기초한 걸음마기 영아-부모 프로그램이 영아발달과 어머니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걸음마기 영아와 그들의 어머니 총 69쌍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34쌍과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 35쌍이었다. 영아-부모 프로그램은 10개월에 걸쳐 실시되었고 프로그램 전후로 영아발달검사, 어머니 상호작용 관찰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뇌발달 이론에 기초한 걸음마기 영아-부모 프로그램에 참여한 영아는 인지발달 및 동작발달, 언어능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어머니의 상호작용이 긍정적으로 향상되었고 셋째,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어머니들은 자녀 발달에 대한 이해와 자녀와의 상호작용에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뇌발달 이론에 기초한 영아-부모 프로그램이 갖는 영아 발달적 의미와 어머니 양육환경 개선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oddler-parent program based on the brain development theory`s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oddlers and their mothers interaction. This toddler-parent program has been studied last ten months and subjects were 69 dyads of two years old toddlers and their mothers. The test of scale of infant development, the observation of parents interaction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gnitive development, motor development and language development of the toddlers who participated in the toddler-parent program based on the brain development theory were improved very much. second, mothers who have been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show the improved play interaction. third, the toddler-parent program was evaluated good at parent coaching program. On the basis of this results, the toddler-parent program based on the brain development theory has discussed on the meaning of toddler development and the future direction for mother`s home environment to impro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