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니체의 감정이해와 건강한 삶

        권의섭 새한철학회 2021 哲學論叢 Vol.104 No.2

        This study will explore Nietzsche's analysis on various feelings and emotions and how he differentiates healthy life from sick one. More specifically, it will investigate what type of sick feelings are weakening life, why they are created, and what negative consequences they bring to life. It will also track how Nietzsche criticizes specific views of the world views, humans, and ethics subconsciously presupposed by sick feelings as a fundamental way to overcome such feelings.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help understand what healthy feelings and emotions are helpful in promoting growth life, and why Nietzsche emphasizes on them. The study will also look into the process of emotional activities and building emotions in association with Nietzsche's key concept of the will to power, a yardstick that differentiates sick feelings from healthy one. Eventually,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Nietzsche's emotional theory in line with his key philosophical beliefs, and to define a healthy life in relation to emotions and feelings. 본 연구는 생명력이 쇠약해진 나약한 자들이 어떤 병든 감정에 사로잡히며, 그 병든 감정의 근저에 전제된 잘못된 신념이 무엇이며, 왜 그것이 문제인지를 니체 철학에 입각해 살펴본다. 이를 통해 니체의 감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그가 강조하는 건강한 감정이 무엇인지를 해명한다. 이를 위해 니체의 다양한 감정 분석을 탐색하며, 니체가 건강한 삶과 병든 삶을 어떻게 규명하는지 알아본다. 구체적으로는 삶을 약화하는 병적 감정으로는 어떤 것이 있으며, 그런 감정은 왜 발생하였으며, 삶에 어떤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는지를 살펴본다. 병적 감정에 대한 근본적인 극복을 위해 병적 감정이 무의식적으로 전제하고 있는 특정한 세계관, 인간관, 윤리관을 니체가 어떻게 비판하는지도 추적할 것이다. 이를 통해 삶을 성장시키는 건강한 감정은 어떤 것이며, 왜 니체가 그러한 감정을 건강한 감정이라고 강조하는지를 알아본다. 병든 감정과 건강한 감정을 구분 짓는 기준인 니체의 핵심 개념인 “힘에의 의지”와 연관해서 감정 활동과 감정 형성 과정도 살펴본다. 궁극적으로는 니체의 감정론을 그의 핵심 철학적 신념과 연관 지어 알아보며 감정과 관련해 규정되는 건강한 삶이란 어떤 것인가를 본 논문은 모색한다.

      • KCI등재

        인권 담론과 글로벌 시대 인권 이해

        권의섭 동아인문학회 2019 동아인문학 Vol.46 No.-

        Our age is being referred to as a global age. The revolutionary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has placed the world within close mutual relationships. The progress of globalization makes mutual exchange active and it is inducing cultural changes in each country. Further, globalization changes the normative order and legal order of each country and induces changes in values. Today, the strongest and most appealing norm in the resolution of global issues that globalization has caused is human rights. While it is abstract, there is no other norm that is as universally accepted as human rights. Human rights act as an important compass and as brakes in this global age. The guarantee of human rights allows self-respect and further, mutual respect and as a result, it aids the self-realization of social members. Further, human right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a peaceful society and international relations. A globalized world passes on to us the difficult task of figuring out how we are going to concretely define and apply a minimal amount of abstract human rights principles that we have agreed upon. As basic work to respond to this task, this study attempts to observe how the globalized world situation we are in demands different human rights understanding. Also,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difficulties that must be overcome by newly established human rights and the role of human rights as demanded by our age. For this, it will open key discussions regarding the history of the establishment of human rights and human rights understanding. 오늘날 우리 시대를 글로벌 시대라고 한다. 교통과 정보통신의 혁명적인 발전은 세계를 긴밀하게 상호 관계에 놓이게 만들었다. 글로벌화의 진행은 문화의 상호교류를 활발하게 만들어 각 나라의 문화 변동을 유발하고 있다. 더 나아가 세계화는 각 국가의 규범적 질서, 법질서를 변경시키고, 가치관의 변동까지 유발한다. 오늘날 세계화가 발생시킨 전 지구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가장 강력하고 호소력 있는 규범이 인권이다. 비록 추상적이지만 인권만큼 보편적으로 수용되는 규범도 찾아볼 수 없다. 인권은 글로벌 시대에 중요한 나침반과 브레이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인권 보장은 자기존중을 넘어 상호존중을 가능하게 하며 결과적으로 자신뿐만 아니라 사회구성원들의 자아실현을 도와준다. 더 나아가 인권은 평화로운 사회와 국제관계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글로벌화 된 세계는 우리가 합의한 최소한의 추상적 인권 원칙을 어떻게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실천할 것인가라는 어려운 과제를 우리에게 던지고 있다. 이런 과제에 응답하기 위한 기초적 작업으로 본 논문은 오늘날 우리가 처해있는 글로벌한 세계 상황이 어떻게 다른 인권이해를 요구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우리 시대가 요구하는 인권의 역할과 새롭게 정립될 인권이 극복해야 할 어려움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권 성립의 역사와 인권이해와 관련한 핵심 논쟁들을 살펴보고 있다.

      • KCI등재

        니체의 생명사상과 생명공학

        권의섭 한국니체학회 2007 니체연구 Vol.12 No.-

        The Thought of Nietzsche on Life and Biotechnology 문]1900년도에 죽은 니체가 오늘날 논란이 되는 생명공학과 관련하여 자신의 견해를 직접적으로 표명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러나 니체가 강조한 철학적 신념들은 생명공학이 제기한 오늘날의 문제를 우리가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지, 무엇을 긍정하고, 부정해야 할지와 관련하여 많은 메시지를 던져줄 수는 있을 것이다. 그런데 니체가 생명공학에 대해 어떤 구체적 입장을 취할까를 유추해보고자 할 때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비체계적인 그의 철학방식이다. 비체계적이고, 심지어 모순 되는 언급을 즐기는 그의 철학은 다양한 모습으로 사람들에게 해석되곤 한다. 이러한 니체의 다양한 모습은 생명공학과 관련된 그의 입장을 유추하는 데서도 동일하게 반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생명공학과 관련하여 니체가 어떤 견해에 있으며, 우리들에게 어떤 의미 있는 주장을 제기해 줄지를 그의 핵심개념을 살펴봄으로써 가늠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을 함에 가장 중심적인 개념은 ‘삶’과 ‘생명’일 것이다. 삶과 생명의 맥락에서 던지는 니체의 다양한 비판과 주장들에 기초해 니체의 생명 공학적 입장을 유추해보는 것은 생명공학과 관련된 논의가 중심을 잃거나 논쟁이 피상적으로 흘러가지 않도록 도와줄 것이다.

      • KCI등재

        니체의 심미주의 - 학문과 예술의 관계를 중심으로

        권의섭 한국니체학회 2013 니체연구 Vol.23 No.-

        니체에게 있어 예술에 대한 새로운 강조는 보편적 진리 추구라는 학문적이상에 사로잡힌 전통 철학과는 다른 세계관과 가치관의 전제와 관련되어 있다. 지금까지의 서양 역사가 절대적 진리라는 학문적 이상에 경도되었기 때문에절대적 진리의 폐기로서의 허무주의 시대를 필연적으로 결과했다면, 이 허무주의의 극복과 관련된 새로운 철학은 ‘예술가적 태도’와 밀접한 연관을 가져야한다고 니체는 생각한다. 니체의 예술가적 태도와 연관된 심미주의는 세계와 삶을 객관적 인식을 목적으로 하는 학문적 관심과 도덕적 당위와 같은 실천적 관심에서 접근하는 것이아니라 ‘순수한 미적차원’에서 접근하기를 요구한다. 학문적 관심이 진리(가치)와 거짓(비가치)이라는 이원론적 구도 아래 진리로 판명되지 못한 것들을 일방적으로 부정하고 폐기한다면, 그에 반해 예술가적 태도는 고통과 거짓(비진리)조차도 재해석의 과정을 통해 전체적 삶에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것으로 새롭게 그 의미를 창조하여 긍정하는 것이다. The reason why Nietzsche again and again emphasizes art is that Art includes a sense of value and a view of the world different from these in the traditional philosophy. By pursuing the universal truth, western history so far has so emphasized the scientific ideal and the absolute truth that it necessarily caused Nihilism. New philosophy which is expected to be able to overcome Nihilism is closely concerned with “Artistic attitude”. Aestheticism which is related to Nietzsche’s artistic attitude is not approaching the scientific concerns which are pursuing the cognition of world and life, or which are pursuing the practical concern such as moral obligation. In stead, it demands to approach the pure aesthetic dimension. Scientific concerns have denied all that are proved not to be truth in terms of the truth/ falsehood dualism, while artistic attitude by reinterpreting even pains and false creates essential meanings for the whole life.

      • KCI등재

        비른바허의 생태윤리와 책임

        권의섭(Kwon Ei-sub) 대한철학회 2005 哲學硏究 Vol.96 No.-

        오늘날 기술적 힘의 증대는 더 이상 추상적이고 보편적인 의무나 목적만을 지향할 것이 아니라 행위 결과를 예상하고 거기에 대한 구체적 책임윤리를 요구한다. 그것은 새로운 권력으로 등장한 기술적 행위로 인해 우리의 생존 자체가 파괴될 수 있다는 절박함에서이다. 이런 상황에서 자연과 미래세대에 대한 비른바허의 책임윤리를 책임의 기본관계인, '책임의 주체', '책임의 대상', '책임의 근거'라는 요소로 나누어 살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비른바허는 어떤 문제보다 구체적 실천을 요하는 환경문제와 관련해서는 그 윤리적 근거를 누구나 수긍할 수 있는 구체적 사실에서 합리적으로 찾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도덕 판단자의 행복과 쾌락이라는 주관적 조건에 기초해 환경윤리의 원칙들을 이끌어내고, 구체적 실천을 도모하는 것이 모든 사람들이 수용할 수 없는 신학적, 형이상학적 신념에 기초한 정당화 방식보다 합리적이라고 비른바허는 보고 있다. 비른바허는 그의 공리주의적 신념에 기초해 감각중심적 입장을 지지하며, 이에 기초해 이성적 능력만을 강조하는 인간중심주의뿐만 아니라 자연주의적 정당화 방식까지도 비판하고 있다. Enlargement of our technological force requires not to seek abstract and universal duty or purpose but to expect action result and seek specific responsibility. The reason is imminent crisis that our survival itself can be broken by technological action which appear by new power. In this situation it can speak as significant work that we examine the responsibility ethics about Birnbacher's nature and future generations that divide on constituent of 'Subject of responsibility', 'Target of responsibility', 'Basis of responsibility'. For Birnbacher, Environmental problem that need more specific practice than other some problem must seek rationally the ethical groundwork in specific truth. Birnbacher thinks that it is more reasonable than justification way based on metaphysical belief that elicit principle being based on subjective condition that is morality judgment person's happiness and pleasure. Birnbacher is criticizing naturalistic justification way as well as anthropocentrism that emphasize rational ability. He sustains sensecentrism on the basis of utilitarianism belief.

      • 엔진룸에 장착된 ECU 실장에서 열침체물의 냉각성능 연구

        권의섭(Y.S.Kwon),신세현(S.Shin),오준남(J.N.Oh) 한국자동차공학회 1998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1998 No.5_2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transient thermal characteristics of ECU package with a heat sink pad for automobile antilock braking systems(ABS). Both numerical and experimental analyses with the engine room conditions has been conducted and compared. In the numerical analysis, non-isotropic and smeared thermal conductivity was adopted for the modeling of PCB and a parameter(φ) was used for cooling performance comparison. The present numerical results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experiments. The thickness reduction of the heat sink caused reduction of cooling performance associated with the increase of chip surface femperature. The present study proposed a method of heat sink weight reduction not by thickness reduction but by the removal of local block shown the lowest temperature in the heat sink.

      • KCI등재

        니체의 약자의 양심과 주권적 양심에 대한 고찰

        권의섭(Kwon, Ei-Sub) 새한철학회 2015 哲學論叢 Vol.80 No.2

        최근에 일어난 대형 사고에서 자신이 보호해야 할 많은 학생을 구하지 못하고 먼저 현장에서 탈출한 선생님이 양심의 가책 때문에 자살을 한 사건이 발생하였다. 그 선생님의 자살과 더불어 그분에게 향하던 차가운 눈빛과 비난의 소리는 금세 연민의 눈빛으로 변했다. 아마 많은 사람들도 이와 같은 비극적 상황에 부닥치면 양심의 가책을 느낄 것이며 극단적 선택을 할 수 있다. 그런데 그 양심의 가책은 어디에서 기인한 것일까? 이런 경우 자살을 통한 사죄라는 선택은 양심의 소리에 충실한 것일까? 다르게 행동할 수 있는 여지는 없었을까? 그것도 양심의 소리에 근거해서 말이다. 본 연구자가 양심의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게 된 출발점은 구체적 현실에서 일어나는 수많은 양심에 기초한 평가와 행위가 그것이 진정 우리의 삶을 위한 최선의 행위인가, 오히려 양심과 도덕이라는 이름 아래 삶을 왜곡하고 있지 않은가라는 의문에서이다. 그런 양심과 관련된 다양한 의문에서 출발해 니체의 약자의 양심 비판과 새로운 주권적(sovereign)양심 이해를 통해 건강한 양심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In an accident caused recently, a teacher committed suicide from his guilty conscience because he didn"t rescue many students that he must care but he escaped from the accident place earlier than his students. With his suicide, people changed their curse and contempt to sympathy to him. What makes the unconscionable man conscientious? What makes him commit suicide? Many people also may feel guilty when they face with the same situation. But where does the pangs of conscience originated? Is Apology over death faithful to the voice of conscience? Is the choice to apology over death faithful to the voice of conscience in this case? Is there any way to act differently? Says it based on the voice of conscience. It is in question that the researcher is interested in the problem of conscienc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at the question relating to these conscience resolved by the conscience criticism and new sovereign conscience understanding of Nietzsche.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will say that conscience also can be divided into diseased and healthy. The researcher wants to consider what we need to overcome to restore a healthy conscience and what is life that is based on healthy conscience through Nietzsche"s philosophy.

      • KCI등재

        포스트모던 시대 인성교육의 방향과 실천

        권의섭(Kwon, Ei-Sub) 새한철학회 2017 哲學論叢 Vol.87 No.1

        인성교육은 너무나 다양한 정의를 허용하는 열린 개념이다. 그래서 각 시대마다 인성교육의 성격과 내용은 다르게 이해되었다. 심지어 누군가에게는 인성교육이 누군가에게는 반인성교육이라는 비판이 제기될 정도로 논쟁적 해석이 주어진다. 그렇다면 오늘날의 인성교육은 어떤 교육이어야 하며 그 교육 방향은 어떻게 정해져야 할 것인가? 우선 학생들이 살아가야 할 사회는 포스트모던 사회의 특징을 더 강하게 지니게 된다는 점에서 인성교육은 포스트모던 시대의 핵심 가치를 중심으로 그 방향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우선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은 모던주의의 획일주의에 반대해서 교육에 있어 ‘차이와 다름에 대한 긍정’과 ‘다양성의 긍정’을 강조한다. 그리고 이성 중심주의에 반대해 ‘욕망과 감정에 대한 긍정’을, 권위주의에 반대해 ‘자율성 긍정’과 ‘반권위주의’를 내세운다. 또한, 교육에 있어 ‘대화’와 ‘배려’의 중시를, 인간중심주의를 반대해 ‘탈인간중심주의’를, 개인주의에 반대해 ‘연대의 긍정’을, 거대한 이야기에 반대해 ‘작은 이야기에 대한 긍정’을 강조하고 있다.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이 추구하는 이런 가치는 포스트모던 사회의 인성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이자 구체적 교육방법론 정립에 있어 큰 시사점을 준다. 이에 본 논문은 오늘날의 인성교육은 포스트모던 가치에 기반을 둔 ‘배려윤리’와 ‘시민교육’의 통합적 교육을 강조한다. 배려윤리와 시민교육은 각각 배려와 정의를 가장 중요한 핵심 가치로 추구한다. 새는 좌우의 날개로 날 수 있듯이, 포스트모던 시대 우리 사회를 이끌어가야 할 핵심 가치와 덕목은 배려와 정의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포스트모던 시대 인성교육은 이 배려와 정의를 조화롭게 추구하게끔 도와주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포스트모던 시대의 인성교육은 그 교수법에서도 포스트모던한 여러 가치에 기초해야 할 것이다. Character education is an open concept that allows so many diverse definitions. Because of this, the nature and contents of character education have been understood differently in each era. Then what kind of education does today’s character education have to be and how is the direction of such education to be determined? First of all, based on the fact that the society that students must live in strongly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postmodern society, character education must establish its direction focused on the core values of a postmodern society. These values pursued by postmodernists are the direction that must be aimed for by the character education of a postmodern society and they provide great implications in the establishment of a concrete educational methodology. At this, the present thesis emphasizes the integrative education of ‘care ethics’ and ‘citizenship education’ based on postmodern values for the character education of today. Care ethics and citizenship education respectively pursue care and justice as the most important core values. Just as a bird can fly with wings on its left and right side, it can be said that the core values and virtues that we must have to lead our society in a postmodern society are care and justice. Therefore, character education in a postmodern age must be education that aids the harmonious pursuit of such care and justice. The character education of a postmodern age must be based on the various postmodern values even in its teaching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