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50세 이상의 퇴행성 요추 질환 환자에서 기립 전신 척추 측면 사진의 필요성- 앙와위 요추부 측면 사진과의 비교 -

        김환정,박건영,성환일,구제윤,권원조,박창규,최원식 대한척추외과학회 2014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1 No.2

        Study Design: Cross-sectional study. Objectives: Sagittal imbalance cannot be predict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lumbar lordosis. Thus, we tried to evaluate thenecessity of whole spine standing lateral radiograph through comparison of the spinal and pelvic parameter between supine lumbarlateral radiograph and whole spine standing lateral radiograph. Summary of the Literature Review: No studies in the literature compare supine lumbar lateral radiograph and whole spine standinglateral radiograph. Materials and Methods: We randomly selected 50 males and 50 females among the patients over the age of 50 who visited ourhospital for outpatient due to degenerative lumbar disease. Lumbar lordosis (sLL/wLL), sacral slope (sSS/wSS), and pelvic tilt (sPT/wPT) were measured and compared respectively by supine lumbar lateral radiograph and whole spine standing lateral radiograph. Wecategorized as group AI (sLL<30˚) and group AII (sLL≥30˚) by supine lumbar lateral radiograph and analyzed them. We also categorized asgroup BI (SVA≤5 cm) and group BII (SVA>5 cm) by whole spine standing lateral radiograph and analyzed them.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lumbar lordosis (sLL/wLL: 35.1˚/37.7˚) and pelvic parameter (sSS/wSS: 32˚/31.7˚, sPT/wPT: 24.3˚/24.2˚. sPI/wPI: 56.3˚/58.2˚) between supine lumbar lateral radiograph and whole spine standing lateral radiograph, and therewere also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group AI & AII) in SVA, lumbar lordosis and pelvic parameter. Pelvic parametercompared by supine lumbar lateral radiograph and whole spine standing lateral radiograph based on sagittal balance was no significantdifference, but lumbar lordosis appeared statistical difference. Conclusion: Sagittal imbalance appears quite a lot in patients with degenerative lumbar disease and supine lateral radiograph can’treflect the whole sagittal imbalance. So, whole spine standing lateral radiograph should be performed routinely to analyze the sagittalalignment. Key Words: Degenerative lumbar disease, Supine lumbar lateral radiograph, Whole spine standing lateral radiograph, Sagittal balance 연구 계획: 횡단 연구목적: 요추 전만각 정도에 따라 시상면 불균형을 예측할 수 없어, 앙와위 요추부 측면 사진과 기립 전신 척추 측면 사진에서의 척추 지표와 골반 지표를비교하여 기립 전신 척추 측면 사진의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앙와위 요추부 측면 사진과 기립 전신 척추 측면 사진을 비교한 연구는 없었다. 대상 및 방법: 퇴행성 요추 질환으로 외래로 내원한 50세 이상 환자에서 남자 50명과 여자 5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였다. 앙와위 요추부 측면 사진과 기립 전신 척추 측면 사진에서 요추 전만각(sLL/wLL), 천추 경사(sSS/wSS), 골반 경사(sPT/wPT)를 각각 측정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앙와위 요추부 측면사진 상에서 요추 전만각이 30도 미만인 Group AI과, 30도 이상인 Group AII으로 분류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또한 기립 전신 척추 측면 사진에서 시상수직축이 제 1천추의 후상연 모서리를 기준점으로 전방 5 cm 미만인 Group BI과 5 cm 이상인 Group BII으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왕와위 요추부 측면 사진과 기립 전신 척추 측면 사진에서 요추 전만각(sLL/wLL: 35.1도/37.7도) 및 골반 지표(sSS/wSS: 32도/31.7도, sPT/wPT:24.3도/24.2도. sPI/wPI: 56.3도/58.2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AI과 AII에서 시상 수직축 및 요추 전만각, 골반 지표는 모두 통계적으로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시상면 균형 여부에 따라 앙와위 측면 사진과 기립 전신 척추 측면 사진 상에서 비교한 골반 지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요추 전만각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퇴행성 요추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시상면 불균형이 적지 않게 나타나고 앙와위 요추부 측면 사진으로는 전체적인 시상면 불균형을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시상면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기립 전신 척추 측면 사진을 일괄적으로 촬영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색인 단어: 퇴행성 요추질환, 앙와위 요추부 측면 사진, 기립 전신 척추 측면 사진, 시상면 균형약칭 제목: 기립 전신 척추 측면 사진의 필요성

      • KCI등재

        황색인대 골화증에 의한 흉추부 척수증의 수술적 치료 후 임상적 결과와 예후 인자 분석

        김환정,송대건,박건영,구제윤,권원조,박경훈,최원식 대한척추외과학회 2014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1 No.3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We analyzed the clinical results of thoracic myelopathy caused by ossification of yellow ligament (OYL) and to exploreprognostic factors after surgical treatment.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oracic myelopathy due to OYL is difficult to treat; surgery is considered as treatment of choice. However, studies of the clinical results and prognostic factors are few due to its rare presentation.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six patients who had surgery for thoracic myelopathy caused by OYL were evaluated from February2002 to April 2012. We describe the analysis of the clinical results after surgery and prognostic factors. Results: Modified Japanese orthopedic association (JOA) score was recorded in all patients by 5.7±1.3 points (range, 2-9 points)preoperatively, 7.8±1.7 points (range, 4-10 points) postoperatively, and 8.4±2.1 points (range, 5-11 points) at final follow-up. Hirabayashirecovery rate was recorded by 60.2±20.2% (range, 45.5-72.0%) postoperatively, 64.5±17.3% (range, 50.2-75.1%) at final follow-up.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 was also improved by 7.6±1.8 points (range, 7-10 points) preoperatively, 4.5±1.3 points (range,3-6 points) postoperatively, and 3.8±1.6 points (range, 2-5 points) at final follow-up. Both modified JOA score and VAS score improvedsignificantly (p<0.05). In prognostic factor analysis, OYL type on CT axial image, duration of symptom, and preoperative severity ofmyelopathy was significant (p<0.05). Conclusion: We showed the effectiveness of surgery on patients who suffer from thoracic myelopathy caused by OYL and that OYL typeidentified by CT axial image, duration of symptom, and preoperative severity of myelopathy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Key Words: Ossification of yellow ligament, Thoracic myelopathy, Clinical result, Prognostic factor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목적: 황색인대 골화증에 의한 흉추부 척수증 환자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후 임상적 결과를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예후 인자를 탐색하였다. 선행 문헌의 요약: 황색 인대 골화증으로 인한 흉추부 척수증은 수술적 치료가 그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치료가 쉽지 않으며 질환의 낮은 빈도로인하여 수술적 결과 및 예후 인자에 대한 연구는 흔치 않은 실정이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2월부터 2012년 4월까지 본원에서 황색인대 골화증으로 인한 흉추부 척수증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 중 최소 2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적 치료 후 임상 결과(신경학적 상태, 통증)를 기술 하고 예상되는 예후 인자(자기 공명 영상 촬영 상에서 신호 강도 변화 여부, 수술 방법, 나이, 병변의 위치, 자기 공명 영상 촬영 시상면에서 병변의 형태, 컴퓨터 단층 촬영 축상면에서 병변의 형태, 수술 전 증상의 지속기간, 수술 전 증상의 심한 정도)를 설정하여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에서 modified JOA score는 수술 전 평균 5.7±1.3점(2-9점), 수술 직후 평균 7.8±1.7점(4-10점), 최종 추시 평균 8.4±2.1점(5-11점)으로측정되었고, Hirabayashi recovery rate는 수술 직후 평균 60.2±20.2%(45.5-72.0%), 최종 추시 평균 64.5±17.3%(50.2-75.1%)로 측정되어 수술 후 신경학적 증상의 호전을 보였다. VAS score는 수술 전 평균 7.6±1.8점(7-10점)이었고 수술 직후 평균 4.5±1.3점(3-6점), 최종 추시 평균 3.8±1.6점(2-5점)으로 호전되었다. Modified JOA score와 VAS score 모두 수술 후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호전되었다(p<0.05). 수술 후 결과에 영향을 미친 예후 인자는 CT 축상면에서 병변의 형태, 수술 전 증상의 지속 기간, 수술 전 신경학적 증상의 심한 정도 가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p<0.05). 결론: 황색인대 골화증에 의한 흉추부 척수증 환자에서 수술적 치료의 효용성을 입증할 수 있었고, CT 축상면에서 병변의 형태, 수술 전 증상의 지속 기간 및 수술 전 증상의 심한 정도가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조기에 병변을 진단하고 수술적 치료를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예후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색인 단어: 황색인대 골화증, 흉추부 척수증, 임상적 결과, 예후 인자약칭 제목: 황색인대 골화증으로 인한 흉추부 척수증 환자에서 임상 결과와 예후 인자

      • KCI등재

        경막외 지주막 낭종의 수술적 치료 - 증례 보고 -

        김환정,정상욱,박건영,성환일,권원조,최원식 대한척추외과학회 2015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2 No.3

        Study Design: A case report. Objectives: To report a case of spinal extradural arachnoid cyst.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Extradural arachonid cysts of the spine are a rare cause of spinal cord and nerve root compression. There are few reports about it, and the etiology remains unclear. Materials and Methods: The authors performed a clinical and radiographic case review. Results: A 56-year-old male patient presented with both lower extremity radiating pain and tingling sensation in both feet for four years. His MRI revealed a large, well-demarcated extradural lesion, isointense to cerebrospinal fluid from L1 to L3. We performed dural repair and laminectomy for partial resection of the cyst. The outcome was good in the immediate postoperative period, and the patient made a full recovery without complications. Conclusions: Surgical treatment should be considered for large spinal extradural arachnoid cysts with neurologic symptoms when conservative treatment does not work. 연구 계획: 증례보고적: 경막외 지주막 낭종이 있어 수술하였던 1예에 대해서 보고하고자 한다. 선행 문헌의 요약: 경막외 지주막 낭종은 척수 신경의 압박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 매우 드문 질환이며, 원인 또한 불분명하여, 경막외 지주막 낭종에 대해 적은 증례가 보고되고 있다. 대상 및 방법: 이학적, 임상 및 영상학적 검사를 토대로 증례 보고 하였다. 결과: 56세 남자 환자로 내원 4년 전부터 서서히 진행된 양하지 및 양측 족저부의 심한 통증과 저린감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자기공명영상 검사에서 제1요추부터 제 3요추까지 이어지는 척추강 내 낭성 종괴 소견이 관찰되었다. 후궁절제술 및 낭종 부분 절제술, 경막 봉합술을 시행하였고, 특별한 합병증 없이 수술 직후부터 환자의 증상은 바로 호전되었다. 결론: 신경학적 증상이 있는 경막외 지주막 낭종이 있을 때,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여도 호전이 없을 경우에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여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요추부 인접 분절 질환에 대한 위험 인자 분석 및 수 술 후 결과

        김환정,강종원,김병섭,강성일,권원조,박건영,박재국,성환일,최원식 대한척추외과학회 2010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7 No.2

        연구계획: 요추 유합술 후 인접 분절 질환으로 재수술을 시행한 증례에 대한 후향적 연구목적: 인접 분절 질환에 대한 위험 인자와 수술적 치료에 대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인접 분절 질환 발생의 위험 인자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있었으나,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7월부터 2006년 7월까지 인접 분절 질환으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 받은 총 50예 환자 중 최소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35예(남자 13예, 여자 2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통해 인접 분절의 퇴행성 변화의 정도, 방사선학적으로 유합 분절 수, 요추 전만각, 시상면 균형(sagittal balance)을 측정하여 각각 재수술까지 기간을 분석하였으며 Brodsky 기준에 따라 재수술의 임상적 결과를 평가하였다. 결과: 인접 분절 질환으로는 척추관 협착증이 21예(60%), 불안정성이 14예(40%)였으며 이중 2예는 의인성 편평배부 증후군을, 2예는 요부 변성 후만증을 동반하였다. 유합 범위가 2분절 이하가 20예(57%), 3분절 이상인 경우가 15예(43%)였으며, 재수술까지의 기간은 2분절 이하인 경우는 평균 93개월,3분절 이상인 경우는 평균 62개월이었다. 또한 요추 전만각은 25예(71%)에서 정상범위, 10예(29%)에서 비정상 범위의 전만각을 보였으며, 재수술까지의 기간은 요추 전만각이 정상인 경우 평균 101개월, 비정상인 경우 64개월이었다. 1차 수술 후 시상면 균형이 정상 범위를 벗어난 경우가 6예(17%)였고, 평균 재수술까지의 기간이 59개월로 시상면 균형이 유지된 109개월에 비해 유의하게 짧았다(p=0.007). 임상적 결과에서는 우수 6예(17%), 양호 15예(43%)로 21예(60%)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결론: 요추부 유합술 후 발생하는 인접 분절 질환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 1차 수술시 유합 분절의 범위에 대한 신중한 검토와 유합시 요추부 전만각 및시상면 균형의 생리적 범위로의 유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Study Design: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We analyzed the risk factors and the surgical results for adjacent segment disease after lumbar fusion.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Many studies have been performed about the risk factors for adjacent segment disease, but the findings are still controversial.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35 (13 men, 22 women) of 50 patients who underwent lumbar fusion due to adjacent segment disease with a minimum of 2 year follow-up period from July 1999 to July 2006. The differences of the interval to revision (IR)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the examining preexisting degenerative change in the adjacent segments on MRI, the number of fused segments, the lumbar lordosis and the sagittal balance. The surgical outcomes of reoperation were assessed by Brodsky’s criteria. Results: Junctional stenosis as adjacent segment disease was seen in 21 cases (60%) and instability was seen in 14 cases (40%),including 2 iatrogenic flat backs and 2 cases of lumbar degenerative kyphosis. The average IR was 93 months for the cases that had less than 2 segment fusion (20 cases) and 62 months in those with more than 3 segment fusion (15 cases). As for lumbar lordosis, 25 cases (71%) had a normal range of angle as well as 101 months until the IR and 10 cases (29%) had an abnormal range of angle as well as 64months until IR. Six cases were beyond the normal range of sagittal balance (17%) and their average IR value was 59 months. Otherwise,the cases with a normal range of sagittal balance had 109 months for the IR. The clinical outcome was excellent in 6 cases (17%) and good in 15 cases (43%). Conclusion: To decrease the adjacent segment disease, we should seriously consider the extent of lumbar fusion and we should restore the angle in lumbar lordosis to the physiological range and the sagittal balance during the initial operation.

      • KCI등재

        시상면 불균형 환자의 수술적 교정시장골나사 사용유무에 따른 척추골반지표의 변화

        김환정,지용주,송대건,박경훈,박건영,성환일,구제윤,권원조,최원식 대한척추외과학회 2014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1 No.2

        Study Design: A retrospective-based study. Objective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iliac screws in the surgical correction of sagittal imbalance by changes of spinopelvicparameter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Although reports exist regarding the fusion rates on lumbosacral fusion by iliac screws, no previousstudies address the issue of changes of spinopelvic parameters on surgical correction of sagittal imbalance by iliac screws.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a total of 23 patients who were operated on by pedicle subtraction osteotomy and posteriorfusion on sagittal imbalanc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1) non-iliac screw fixation and; 2) iliac screw fixation. The twogroups were compared during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stages, and the last follow-up spinopelvic parameters of two groups. Results: Spinopelvic parameters, except for pelvic incidence, were corrected after surgery; some corrected values of spinopelvicparameters were lost during follow-up.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ast follow-up period between lumbarlordosis and pelvic tilt. Values of postoperative lumbar lordosis and pelvic tilt was similar to each other; however, during the follow-upperiod corrected values of spinopelvic parameters of non-iliac screw fixation group were more los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changes in postoperative and last follow-up sacral slope and pelvic incidence. Conclusions: Sagittal imbalance could be corrected by pedicle subtraction osteotomy, and corrected values of lumbar lordosis andpelvic tilt of iliac screw fixation group could be maintained well compared to non-iliac screw fixation. Iliac screw fixation could be usefulfor maintenance of corrected values of spinopelvic parameters in surgical correction of sagittal imbalance. Key Words: Sagittal imbalance, spinopelvic parameter, Surgical correction, Iliac screw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목적: 척추 골반 지표의 변화를 통해 시상면 불균형의 수술적 교정에서 장골나사못의 유용성에 대하여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이전까지의 연구에서 장골나사못을 이용한 요천추부 유합술시 유합율에 대하여 보고하고 있지만, 장골나사못의 이용이 시상면 불균형 교정 수술 후 척추 및 골반지표의 유지 및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대상 및 방법: 시상면 불균형으로 척추경 절골술(pedicle substraction osteotomy) 및 후방유합술을 시행한 환자 2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교정 수술에 장골나사못을 사용하지 않은 군과 사용한 군, 두 군을 대상으로 수술 전후 및 최종 추시시의 척추골반지표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척추골반지표는 골반지수를 제외하고 수술 전에 비하여 수술 후에 교정되었다가 추시 과정에서 교정값이 소실되는 양상을 보였다.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있게 변화된 척추골반지표는 최종 추시 시의 요추부 전만각과 골반경사로, 수술후 요추부 전만각과 골반경사는 두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추시 과정 중 장골 나사못을 사용하지 않은 군에서 교정값이 더욱 소실되는 양상을 보였다. 최종 추시 시의 천추경사와 골반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변화하지 않았다. 결론: 시상면 불균형은 척추경을 통한 쐐기 절골술을 이용한 요추부 전만각 교정술로 충분한 교정을 얻을 수 있으며, 장골나사못 사용을 한 군에서 최종추시시의 요추부 전만각 및 골반경사 교정값 소실이 적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장골나사못을 이용한 시상면 불균형 교정수술은 수술 이후 교정각의유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색인 단어: 시상면 불균형, 척추골반지표, 수술적 교정, 장골나사못약칭 제목: 장골나사못의 시상면 불균형 환자에 대한 수술적 교정에서의 유용성

      • KCI등재

        요추부 퇴행성 시상면 불균형 환자에서의 수술적 치료 후 근위 인접 분절의 문제와 연관된 위험 인자

        김환정,송대건,강종원,박건영,구제윤,권원조,최원식,이재원 대한척추외과학회 2013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0 No.4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As we analyze the incidence and the risk factor for proximal junctional problem after surgical treatment of lumbar degenerative sagittal imbalance, we want to contribute to reducing the junctional problem of surgical treatment of lumbar degenerative sagittal imbalance.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Surgical treatment of degenerative spinal deformity has increased. Rigid fixation was a risk factor for degenerative change of adjacent segment and failure, and it remains a big challenge for the junctional problem of surgical treatment. However, research on the correlation with risk factors is rare. Materials and Methods: Forty four patients (mean age 66.5; range, 50-74) who had surgery due to lumbar degenerative sagittal imbalance were evaluated by the risk factor associated with junctional problems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11. The risk factors were analyzed by surgical factor (proximal fusion level, using iliac screw, correction or undercorrection of lumbar lordosis compared with pelvic incidence) and patient factor (age, bone marrow density, body mass index). Results: Junctional problems occurred in 18 patients (41%) out of 44 patients. Among these problems, there were 10 cases of fractures, 8 cases of junctional kyphosis, and 4 cases of proximal screw pull out. . Among the risk factors, only the correction or undercorrection of lumbar lordosis compared with pelvic incidence in surgical fact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ther surgical factors and patient factor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Junctional problems after a surgical treatment of lumbar degenerative sagittal imbalance were common. However, we could not know the exact risk factor of junctional problems except the degree of correction of lumbar lordosis compared with pelvic incidence, because most of the risk factor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o, further evaluations of the risk factor of lumbar degenerative sagittal imbalance are required.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 목적: 요추부 퇴행성 시상면 불균형으로 수술 후 발생하는 인접 분절 문제의 발생 빈도, 인접 분절 문제 발생에 영향을 주는 위험 요소와 연관성을 분석하여 요추부 퇴행성 시상면 불균형 환자의 수술적 치료에서 발생하는 근위 인접 분절의 합병증을 줄이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선행문헌의 요약: 요추부 퇴행성 척추 변형에 대한 수술이 증가하고 있다. 성공적인 유합술은 인접 분절의 퇴행성 변화와 실패의 위험인자가 되며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하는 인접 분절에서의 문제들은 가장 큰 과제로 남아있으나 그 위험 요소에 대한 분석은 부족한 실정이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요추부 퇴행성 시상면 불균형으로 수술을 시행 받은 44명의 환자를 대상 (평균 65.8세, 범위 50~74세)으로 하여 인접 분절의 문제에 대하여 각각 위험 요소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위험 요소는 수술적 요인 (근위 유합 부위, 장골 나사의 사용 유무, 골반입사각 대비 요추 전만각 교정 여부) 와 환자 요인 (나이, 골밀도, 체질량 지수)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총 44예의 환자 중 18명의 환자 (41%)에서 인접 분절 문제가 발생하였다. 인접 분절 문제 중 골절 10예, 분절 후만 8예, 근위 나사 이완 4예였으며위험 요소로서 수술적 요인 중 골반 입사각 대비 요추 전만각 교정 여부는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으나 다른 수술적 요인과 환자 요인에서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 요추부 퇴행성 시상면 불균형 환자의 수술적 치료 시 근위 인접 분절 문제가 비교적 흔하게 발생하였으나 분석 요인들 중 골반 입사각 대비 요추전만각 교정 여부를 제외 하고는 대부분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아 근위 인접 분절 문제의 정확한 위험 요소를 알기는 힘들었으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자발성 척추 경막 외 혈종의 위험 인자 및 수술적 치료 후 예후인자

        김환정,정상욱,이규상,박경훈,박건영,권원조,성환일,최원식 대한척추외과학회 2015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2 No.4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explore the risk factors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neurological improvement after operation in the spontaneous spinal epidural hematoma.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 cause of the spontaneous spinal epidural hematoma is unknown. The objective risk and prognostic factors are still controversial.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6 to December 2014, a total of 12 patients with spontaneous epidural hematoma were evaluated. The risk and prognostic factors analyzed were sex, age, underlying diseases, medications, neurologic status, level and extent of hematoma, cord edema, and interval from onset to surgery.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factor and neurologic recovery. The neurologic status was analyzed using the American Spinal Injury Association impairment scale (AIS) at the first and the last neurologic examination. Results: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68.6 years. Sev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anticoagulation therapy, and two were advised to switch to a healthier diet. The initial neurologic status of the patients was AIS A in 2 cases, B in 5 cases, C in 4 cases, D in 1 case, and in two patients, cord edema was revealed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The interval of time from onset to surgery was less than 24 hours in 6 cases, 24–48 hours in 4 cases, and more than 48 hours in 2 cases. Conclusions: The prognostic factors associated with spontaneous spinal epidural hematoma were found to be initial neurologic status, cord edema on MRI, and interval from onset to surgery. We found no correlation between anticoagulation therapy or healthy diet and spontaneous spinal epidural hematoma, but anticoagulation therapy cannot be excluded as a risk factor.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적: 자발성 척추 경막외 혈종 발생 원인과 관련된 위험 인자와 예후 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 문헌의 요약: 자발성 척추 경막외 혈종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아직 발생 원인에 대해서 밝혀지지 않았고 이와 관련된 위험 인자와 예후 인자에 대해서도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자발성 척추 경막 외 혈종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1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발생 원인과 관련된 위험 인자로서 성별, 나이, 기저 질환, 약물 복용 및 건강 보조 식품 복용 여부를 신경학적 증상과 관련된 예후 인자로서 내원 당시의 신경학적 손상 정도, 혈종의 발생 부위, 혈종의 범위, 척수 부종 동반 여부, 초기 증상 발생 후 수술적 치료까지 걸린 시간에 대해 교차분석을 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 연령은 68.6세였고, 항응고제 복용이 7예, 건강 보조 식품 복용이 2예였다. 초기 신경학적 증상은 AIS A가 2예, B가 5예 C가 4예, D가1예였고, 척수 부종이 2예였다. 증상 발생 후 수술적 치료까지 걸린 시간은 24시간 이내가 6예, 24~48시간이 4예, 48시간 이상이 2예였다. 결론: 자발성 척추 경막 외 혈종의 예후 인자로 내원 시 AIS정도, 척수 부종의 유무, 초기 증상 발생 후 수술적 치료까지 걸린 시간이 관련이 있었다. 또한, 자발성 척추 경막 외 혈종의 발생과 관련된 위험 인자로서 항응고제의 사용과 건강 보조 식품 복용이 통계적 상관성을 확인할 수는 없었으나 위험인자임은 배제할 수 없다.

      • KCI등재

        성인 척추변형 환자에서 척추골반부 고정시 장골나사못과 관련된 합병증 - 척추골반부 고정 시 장골나사못의 합병증 -

        김환정,지용주,강종원,박건영,구제윤,권원조,최원식 대한척추외과학회 2013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0 No.3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evaluate clinical & radiologic significance about complications of spinopelvic fixation with iliac screw in patients with adult spinal deformity.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Complications of iliac screw fixation in adult spinal deformity patients was obscure in spite of the good results of iliac screw fixation. Material and Methods: We analyzed 27 patients, followed over 1-year, with adult spinal deformity (lumbar degenerative kyphosis,degenerative lumbar scoliosis, flat back syndrome). The study was done for complications of iliac screw fixation by clinical and radiological evaluations. Results: Post-operative iliac screw prominence were 15 cases (55.5%) , iliac screw breakage was 1 case (3.7%), bursitis was 1 case (3.7%), sacroiliac joint pain were 5 cases (18.5%), halo sign around iliac screw were 23 cases (85.1%), and 3 cases (11.1%) were performed reoperation. There was no significance between halo sign and sacroiliac joint pain. Conclusions: Iliac screw fixation is a very useful operative method without severe complications on spinopelvic fixation. There are some complications of iliac screw fixation and iliac screw prominence is a most common problem, but few counterplan exits. So, further studies about reducing complication method, management protocols of iliac screw complication were needed. 연구계획: 후향적 연구. 목적: 성인척추변형으로 장골 나사를 이용하여 척추골반부 고정을 시행한 환자에서 발생한 합병증들에 대하여 알아보고,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의의를평가하고자 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성인척추변형환자에서 장골나사못을 이용하여 척추골반부 고정이 시행되고 좋은 결과를 발표하고 있으나 장골나사못을 이용한 척추골반부 고정의 합병증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대상 및 방법: 성인척추변형환자(요추변성후만증, 시상면 불균형이 동반된 퇴행성 요추부 측만증, 편평배부증후군)로 본원에서 장골나사못을 이용하여수술을 받은 환자 중 1년 이상 추시된 27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추후 발생한 합병증들에 대하여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으로 나누어 평가를 하였다. 결과: 장골나사못 돌출15례(55.5%), 장골나사 파단1례(3.7%), 점액낭염 1례(3.7%)가 있었으며 halo sign은 23례(85.1%), 천장관절 동통 5례(18.5%) 등이 있었으며 3례에서 재수술을 시행 받았다. 그러나 halo sign과 천장관절 동통의 통계학적인 의의는 없었다. 결론: 장골나사못을 이용한 척추골반부 고정은 심각한 합병증이 없는 유용한 수술이다. 그렇지만 일부 합병증들이 동반되며 그 중 장골나사못 돌출이가장 흔히 발생할 수 있지만, 그 대책은 미비하다. 따라서 추후 합병증들을 감소 방안과 관리 방법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퇴행성 요추 질환에서 발생한 후관절 근접 낭종의 방사선적 특징 및 수술의 결과

        김환정(Whoan Jeang Kim),장선호(Shann Haw Chang),양화열(Hwa Yeol Yang),권원조(Won Jo Kwon),성환일(Hwan Il Sung),박경훈(Kyung Hoon Park),최원식(Won Sik Choy) 대한정형외과학회 201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2 No.1

        목적: 후관절 근접 낭종이 동반된 퇴행성 요추부 질환으로 수술 받은 2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방사선적 특징과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척추관 협착증 동반 여부, 불안정성, 척추 전방 전위증 동반 여부, 낭종의 위치 및 방향, 후관절의 퇴행성 변화 정도, 후관절 각도, 추간판 퇴행 정도를 확인하였다. 모든 환자에게 광범위 감압술 및 기기고정 유합술을 시행하였다. 임상적 결과를 Oswestry low back pain disability questionnaire 및 visual analogue scale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23예 중 19예(82.6%)에서 척추관 협착증이 동반되었고, 4예(17.4%)에서는 후관절 낭종이 독립적으로 존재하였다. 이 중 7예(30.4%)에서 불안정성과 전방 전위가 동반되었다. 낭종의 발생은 제4-5 요추간(69.6%)이 가장 많았으며 이환된 병변측의 후관절이 반대측에 비하여 심한 퇴행성 변화를 보였다. 후관절 각도는 좌 우측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해당 분절의 추간판은 17예(69.6%)에서 퇴행성 변화를 보였다. 임상적 결과는 수술 후 2년 추시 양호하였다. 결론: 낭종의 발생과 퇴행성 변화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후관절 낭종과 동반된 퇴행성 요추부 질환에서 광범위 감압술 및 유합술이 좋은 임상적 결과을 얻어 유용한 술식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adiologic features of juxtafacet cyst and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features and clinical outcome.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a total of 23 patients. The degree of facet joint degeneration was classified using the Fujiwara method. The facet joint angles were measured with an magnetic resonance imaging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cystic lesion that was occupied and the cystic lesion that was not occupied. Disc degeneration was measured by the Pfirrmann classification method. The clinical result was evaluated using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score and visual analogue scale. Results: The L4–5 level of juxtafacet cyst was mostly affected, as found in previous studies. Facet joint arthritis was more severe within the side with the cystic lesion.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disc degeneration and juxtafacet joint cyst. All patients underwent wide decompression and fusion. Clinical result was excellent. No patients had signs of recurrence during the follow-up periods. Conclusion: Juxtafacet cyst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facet joint degeneration. Therefore, aggressive surgical treatment-not just simple cyst excision-should be considered as the treatment option for juxtafacet cyst associated with degenerative lumbar disease.

      • KCI등재

        잠김 압박 금속판 (LCP-DF, Synthes(R))을 이용한 AO 분류 C형 원위 대퇴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

        김갑중 ( Kap Jung Kim ),이상기 ( Sang Ki Lee ),최원식 ( Won Sik Choy ),권원조 ( Won Cho Kwon ),이도현 ( Do Hyun Lee ) 대한골절학회 2010 대한골절학회지 Vol.23 No.1

        목적: 잠김 압박 금속판을 이용한 AO 분류 C형 원위 대퇴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2월부터 2008년 6월까지 AO 분류 C형 원위 대퇴골 골절을 잠김 압박 금속판을 이용하여 수술을 시행한 14환자 1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상 기전, 동반 손상, 방사선학 결과, 임상적 결과 및 수술 후 합병증을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연령은 59.6세(30∼77)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25개월(12∼40)이었다. AO 분류 C1 3예, C2 5예, C3 7예였다. 수상 기전으로 교통사고 9예, 실족 5예, 낙상 1예였다. 타 부위 손상은 4예였다. 방사선학적 평균 유합 기간은 15주(13∼20)였다. 최종 추시 시 평균 Neer 기능적 점수는 74.2(58∼97)로, 우수 3예, 만족 5예, 불만족 7예었다. 합병증으로 감염 2예, 불유합 1예가 있었다. 금속판의 기계적 파손이나 고정 실패는 1예도 없었다. 결론: 잠김 압박 금속판은 AO 분류 C형의 원위 대퇴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에 우수한 고정력을 보였다. 최종 추시 시 임상적 결과는 다양하였으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관절면의 해부학적 정복 및 적극적인 재활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analyze the surgical results of AO type C distal femoral fractures using locking compression plate. Materials and Methods: From February 2006 to June 2008, 14 patients 15 cases were included. Injury mechanisms, combined injuries, radiologic and clinical results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analyzed. Results: The mean age was 59.6 (30∼77) years.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25 (12∼40) months. AO types were 3 of C1, 5 of C2 and 7 of C3. Injury mechanisms were 9 of traffic accident, 5 of slip down and 1 of fall from a height. Four cases were combined with other extremity injuries or fractures. The mean radiologic union was obtained at postoperative 15 (13∼20) weeks. The mean Neer`s functional score was 74.2 (58∼97); 3 of excellent, 5 of satisfactory and 7 of unsatisfactory.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2 of infection and 1 of nonunion. There were no mechanical failures or fixation loss with locking compression plate at the final follow up. Conclusion: Internal fixation using locking compression plate for AO type C distal femoral fractures provided excellent fixations. At the final follow up, the clinical results were variable. The affecting factors on the final results seemed to be joint congruencies after anatomical reduction and active rehabili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