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한국어 교실 체험에 담긴 문해교육의 의미 탐색

        권순정 ( Soon Jung Kwon ),신수영 ( Su Yeong Shin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0 교육인류학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한국어 교실 체험을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의 의미를 재해석하여 문해교육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에 기초하여 9개월 동안의 현장연구를 통해 한국어 교실의 일상을 관찰하고 결혼이주여성 그리고 교사들과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또한 한국어 교실에서의 연구자들의 체험에 대한 성찰과 함께 프레이리의 문해교육에 주목하며 그의 문헌들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해석하였다. 연구자들은 한국어 교실 체험을 통해 1) 결혼이주여성들의 ‘나’를 위한 학습과 이를 통한 정체성의 재구성; 2) 공동체 안에서 촉진되는 학습; 3) 교사들의 사랑과 관심에 기초한 연민과 의식화에 대한 이해, 그리고 이주여성들의 혼자서기; 4) 글을 통한 세계에 대한 이해와 해방을 향한 희망의 의미들을 깨달을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연구자들은 한국어 교육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문해교육의 참 의미를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meaning of literacy education by reinterpreting the lived experiences of Korean language classes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doing so, researchers observed the daily live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and teachers; conducted interviews based on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reflected upon our experiences in Korean language classes; and looked into the literature of Paulo Freire, interpreting the meanings of our research by focusing on literacy education. The research included 9-months of fieldwork. Through data analysis of the lived experience of Korean language classes, we were able to realize 1) that female marriage immigrants are learning Korean language for `themselves` and that this relates to the meaning of reconstruction of identities; 2) the promotion of learning in a community; 3) compassion and the understanding of conscientization based on the love and care of teachers and female marriage immigrants` self-reliances; 4) understanding of the world through words and the hope of emancipation. From these explorations, we became to aware of not only a new understanding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also the true meaning of literacy education.

      • KCI등재

        도덕교육 담론을 통한 시민성교육과 인성교육의 의미에 대한 연구

        권순정(Soonjung K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1

        본 연구는 도덕교육의 맥락에서 시민성교육과 인성교육의 이론적 논의를 재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우선, 도덕교육이 사회화와 의식화라는 두 흐름으로 설명되는 점에 근거하여, 시민성교육과 인성교육을 조명하였다. 또한 시민성교육과 인성교 육에 대한 논의들이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파악하였다. 두 논의를 통해 시민성교육과 인성교육의 이론적 교차점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시민성교육과 인성교육이 도덕교육이 제시하는 사회화와 의식화가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에 있음에주목하며, 이를 토대로 학교 안팎으로 연계된 형태로 실천해야 할 이론적 근거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re-explore the theoretical discourses and its meanings of citizenship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and the relationship of the discourses within the context of moral education. First of all, the meanings of citizenship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were revisited in the frame of socialization and conscientization in moral education. Also, the each theoretical approach and discourses on citizenship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was discussed. Finally, I presented the theoretical linkage between citizenship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As a consequence, citizenship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should focus on sequential process of socialization and conscientization from moral education perspective. This gives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practices that both education should be practiced in and outside the schools.

      • KCI등재

        코로나19 이후 중학교 학생들의 학교 교육 경험 탐색 -숲속중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권순정(Soonjung Kwon),유주영(Juyoung Yoo) 한국교육사회학회 2021 교육사회학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학생들이 어떻게 학교 교육을 경험하였는지 탐색하여 향후 학교 교육의 방향과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시 숲속중학교(가칭)를 중심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코로나19 이후 학생들은 교사로부터 “소환”되어 돌봄 교실에 나오면서 원격수업에 참여할 수 있었다. 이들은 대부분 코로나19 이전부터 배움에 어려움을 겪었던 학생들로 코로나19 이후 돌봄 교실에 참여하며 안전한 공간인 학교에서 선생님의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 친구들과 함께하는 “진짜수업”은 아니지만 적어도 원격수업을 통해 배움을 이어갈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진짜수업과 원격수업 사이에서 “실력의 격차”를 스스로 알게 되어 두려움을 느끼기도 하였다. 이들은 돌봄을 활용하여 학교에 나가면서 자신을 관리하고 배움을 이어갔다. 셋째, 전환기를 보내고 있는 1학년 학생들은 “존버”하며 원격수업을 견뎌내고 있었다. 그러다가 교사로부터 소환되어 학교에 가면서 학생이 된 것 같은 느낌을 받기도 하였다. 그리고 온라인을 통해 친구들의 존재를 알게 되었지만 함께 배우는 동료로 인식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등교 이후, 친구들을 함께 배우는 관계로 확인하는 경험을 하였다. 이렇게 전환기 학생들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학교 생활에서의 차이를 느끼며 학교에 대한 의미를 찾아 나갔다. 본 연구는 위 결과를 토대로 배움은 돌봄과의 유기적 관계 속에서 적극적으로 이어져야 함을 논의하였다. 또한, 코로나19와 같은 위기 속에서 배움과 돌봄은 모든 학생의 기본 권리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이를 중심으로 학교 교육의 역할이 논의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and role of school education by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fter COVID-19.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We interviewd 11 students of Seoul Forest Middle School (pseudonyms) and observed the classes, teacher’s learning community.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COVID-19, teachers “called” students to come to school so that they can be cared and participate in distance learning. Students who were called to come to schools had difficulties in learning even before COVID-19. Students who were called to school participated in distance learning in a safe place and continued learning. Second, students felt fear in between what they call “real class(learning before COVID-19)” and distance learning. This is because they sensed the gap of capabilities among students. Those students automously choose to come to school to continue learning based on teachers’ care. Third, students in transition year endured distance learning by ‘bearing up’. However students who were called to come to school started to feel that ‘I am now a middle school student’. Moreover, although they new the existence of students through distance learning, they rarely felt that they were learning together. However, since they started to come to school they expereinced that they can raise their hands and ask questions with friends. Likely, students in transition year were finding meanings of schools in both online and offlin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 suggested that learning should be understood in a relationship with caring. In addition, we maintained that the learning and caring should be understood as the basic rights of all students when discussing the role of schooling after COVID-19.

      • 초등체육수업의 안전사고 사례 및 대처방안

        권순정(Kwon Soon Jung),이수재(Lee Soo Jae) 한국사회안전학회 2011 한국사회안전학회지 Vol.7 No.2

        본 연구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체육수업의 안전사고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초등제육수업의 안전사고 사려 및 유형을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도출하였으며, 일본의 소학교 안전사고 사례 및 예방대책을 언급하였다. 사고원인별 세부 분석 결과에서 운동기구 용품에서는 축구, 피구, 야구 등인 구기관련(591건), 뜀틀(87건)로 나타나 이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 학생들의 체격, 기능수준, 성별을 고려한 기구의 선택이 중요함을 제시 하여 기구변화를 통한 안전하고 즐거운 체육수업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This study drew the cases and patterns of safety accidents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lass which account for the largest portion of the safety acci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 ever increasing every year and commented on the cases of safety accidents & preventive measures in Japanese elementary school. As the result of a detailed analysis by accident causes, it was found that ball games [591 cases] such as soccer, dodge ball, and baseball, etc. and vaulting horse[87 cases] were found to be a main contributor to such accidents. As a preventive method of such accidents,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the safe and pleasant physical education class by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choice of athletic apparatuses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physique, functional level, and gender.

      • KCI등재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트러블』을 통해서 본 ‘젠더’

        권순정(Kwon, Sun-Jung) 새한철학회 2013 哲學論叢 Vol.72 No.2

        이 논문의 목적은 버틀러의 ‘젠더’의 의미를 명료하게 하는 것이다. 기존의 젠더의 의미가 섹스의 불변성을 토대한 반면, 버틀러의 젠더는 제도 담론의 산물이므로 본질의 존재 자체를 부정한다. 그럼에도 기존의 논의들이 고정적 정체성을 가정하는 이유는, 버틀러의 논의에 의하면 인간존재의 이상적 모델로 설정해 놓은 가상의 세계가 혹은 담론이 의도하는 젠더가 ‘본질’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그러나 젠더는 그러한 가상의 세계를 패러디하는 정체성으로, 권력에 반복해서 복종하는 정체성으로, 제도의 금기를 내면화하는 우울증적 정체성으로 드러난다. 말하자면, 버틀러의 젠더는 제도 담론의 수행성을 통해 규정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두 가지의 논점을 통해 버틀러의 젠더의 의미를 명료화할 것이다. 즉 이 연구는 정체성의 본질이 가상임을 니체의 『도덕의 계보』를 통해 증명하고, 젠더 주체가 주권적 자율성을 가진 주체가 아니라 제도 담론의 수행성을 수행하는 수행적 주체임을 증명한다. 『도덕의 계보』는 선·악의 구도가 인간이 설정한 이상, 즉 이분법적 구도로부터 출현한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본질’의 의미를 깨뜨린다. 이 논의는 젠더 정체성의 고정성이 권력의 책략일 뿐이라고 말하는 버틀러의 주장을 정당화한다. 그리고 두 번째로 언급되는 근대 주체에 대한 논의는 본질적 정체성을 가지지 않는 인간 존재가 제도 담론에 의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논한다. 이 논의에서는 젠더가 어떻게 주권적 주체인 것처럼 형성되는지,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수행적 주체임을 말하고자 한다. 그의 수행적 주체는 제도 담론, 즉 이성애적 이데올로기와 남근로고스중심주의의 분류를 통해 형성되고, 그것을 수행함으로써 비로소 사회의 성적 주체가 된다. 따라서 그의 젠더는 총체성이 영원히 보류되고, 주어진 시간대에 완전한 모습을 갖출 수도 없는 다양한 양상으로 드러날 뿐이다. 버틀러의 젠더양상들, 즉 패러디적 정체성, 반복·복종의 정체성, 우울증적 정체성은 본질을 상실하고 제도 담론의 수행성을 수행하는 버틀러의 젠더의 모습이다. 그리고 그의 수행적 주체는 역사의 우연성 속에 존재하는, 변화를 숙명으로 받아들이는 주체이다. The aim of this thesis clarifies the meaning of Judith Butler‘s gender. While the meaning of gender has been dependent on constant quality of sex, Butler‘s gender is a product of system of discourse. Therefore, Butler‘s gender identity is of no essence. Butler‘s gender is regulated by the performative of system of discourse. Therefore, first, with genealogy of moral written by F. Nietzsche, this thesis refutes the point of view that identity essentially is being. According to genealogy of moral, good and evil are established on the assumption of human idealism. By exposing that they precisely appear in binary system, meaning of the essence is destroyed. According to Butler, it is only through the ruse of power that gender identity is fixed. Second, this thesis refuses the point of view that modern subject has sovereign autonomy. It seems as if modern subject has sovereign autonomy, even though it is performative subject that acts on discourse. That is because of the performative of subject. Butler‘s performative subject is formed by the system of discourse, more specifically, by consolidation of heterosexist and phallogocentric power regime. If they performed it, then, they become a sexual subject within society. Thus, gender is only a complexity whose totality is permanently deferred, never fully what it is at any given juncture in time. It appears in the context variously. Parodic identity that does not assume that there is an original, the identity of iterabilitive and subjective gender that does repetitively perform power, and melancholic identity that internalizes taboo of system or ritual all together are gender‘s appearance. They do not have essence. And they perform the system of discourse. Thus Butler‘s performative subject enters existence of the contingency of history, and it recognizes that endless change is its destiny.

      • KCI등재

        중증 호흡기 감염병 진료를 고려한 음압격리병동부의 건축계획

        권순정 ( Kwon Soon Jung ),윤형진 ( Yoon Hyungjin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2016 의료·복지 건축 Vol.22 No.3

        Purpose: The MERS(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outbreaks in Korea highlighted dramatically the failings of traditional hospital environment for controlling or preventing infections among both patients and healthcare workers. MERS is transmitted by droplets that can be airborne over a limited area. The point should be emphasized that MERS in South Korea was predominantly a hospital-acquired (not a community-acquired) infection, because approximately 93% of MERS cases were resulted from exposure in hospital settings. This paper tries to suggest the design guidelines of negative pressured isolation ward for the sake of proper control of severe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s. Methods: Literature survey on the design guideline and regulations of airborne infection wards in Korea, Europe U.K. and CDC of U.S. have been carries out. 4 special infection wards in Hongkong, Germany, Japan and Korea have been surveyed in order to make the best use of the experiences related to facility design and operations. Results: Operating system influencing the facility design, space organizations of infectious ward including required space and zoning, and circulations of patients, staffs and materials are proposed.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paper can be the basic data for the design of the airborne infection ward and relevant regulations. Afterwards in-depth study such as the development of space standards for the single bedroom, locker room and so on could be explo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